KR101292422B1 -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 - Google Patents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422B1
KR101292422B1 KR1020130025443A KR20130025443A KR101292422B1 KR 101292422 B1 KR101292422 B1 KR 101292422B1 KR 1020130025443 A KR1020130025443 A KR 1020130025443A KR 20130025443 A KR20130025443 A KR 20130025443A KR 101292422 B1 KR101292422 B1 KR 10129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erver
broadcasting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복
Original Assignee
새서울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서울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서울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시간 및 IP 방송 단말기의 IP 방송 서버에 대한 접속 및 방송 데이터 요청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 형태 또는 저장 파일의 스트리밍 형태로 선택 진행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과 IP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IP 방송 시스템은, IP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 및 IP 방송 단말기의 지정을 위한 단말기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의 접속요청신호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IP 방송 서버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단말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미디어 서버와, 상기 IP 방송 서버의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후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IP 방송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Internet protoco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getting over connection delay and data loss of broadcasting terminal is connected to server when broadcasting}
본 발명은 IP 방송 시스템 및 IP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시간 및 IP 방송 단말기의 IP 방송 서버에 대한 접속 및 방송 데이터 요청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 형태 또는 저장 파일의 스트리밍 형태로 선택 진행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과 IP 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IP(Internet Protocol) 기반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 및 전송 가능 용량의 증대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서비스가 있으며, 이와 같은 IP 기반의 방송서비스(이하 “IP 방송 서비스”라 함)는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멀티캐스트라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즉, IP 기반의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수신단으로 전달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송단이 하나의 수신단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경우를 유니캐스트(Unicast), 특정 네트워크의 모든 단말로 전달하는 경우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라 하고, 멀티캐스트(Multicast)는 이러한 전송 방식의 중간 방식으로 특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통상의 IP 방송 서비스는 특정 채널을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특정 그룹으로 지정하고, 이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방송신호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이하 IGMP)가 사용되며, 이러한 IGMP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그룹의 구성원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채널의 시청 시작 또는 시청 중단에 따른 변경 사항은 그룹의 참여와 탈퇴를 필요로 한다. 사용자가 채널의 시청을 시작하게 되면, 사용자의 단말 또는 셋톱박스(Set-top box)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를 전송받게 된다. 전송된 방송신호는 패킷 용량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등을 이용하여 압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디코딩 작업 및 버퍼링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IP 방송 서비스는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가 잘 구축된 지역인 경우 그 서비스에 큰 어려움이 없지만, 도서산간 지역과 같이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가 잘 구축되어 있지 않은 지역인 경우 그 서비스를 전혀 제공할 수 없거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IP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안이 있으나, 이 경우 IP 방송용 단말기가 IP 방송 시마다 해당 방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 항상 접속된 상태여야 하고, 이는 과다한 인터넷 이용 요금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인터넷 이용 요금의 문제로 인해 IP 방송 시마다 인터넷에 접속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손실로 인해 해당 IP 방송의 정상적인 수신 및 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48572호(2011.07.05), “수동형 가입자 네트워크에서 푸시형 멀티캐스트의 인터넷 그룹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2011호(2004.04.14),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피투피 방식의 소프트웨어적인 멀티캐스팅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IP 방송 단말기가 IP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의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의 전송이 있을 시에만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해당 IP 방송 콘텐츠를 수신 및 방송하고, 이 과정에서 해당 IP 방송 단말기가 IP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를 손실 없이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동시에 수신한 IP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출력을 중단 현상 없이 할 수 있게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의 IP 방송 서버에 대한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 형태 또는 저장 파일의 스트리밍 형태로 선택 진행함에 따라, 방송 시에만 IP 방송 서버에 접속하는 모든 IP 방송 단말기에서 IP 방송 서버에 대한 접속 지연 현상 및 이에 따른 방송 지연 및 방송 데이터 손실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은, IP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 및 IP 방송 단말기의 지정을 위한 단말기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의 접속요청신호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IP 방송 서버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단말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미디어 서버와, 상기 IP 방송 서버의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후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IP 방송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와 IP 방송 서버 그리고 IP 방송 미디어 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고, IP 방송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하는 사물지능통신(M2M) 방식의 중계단말기를 매개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접속되어 IP 방송 서버 및 IP 방송 미디어 서버와 인터넷 기반의 접속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서버는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단말기 선택신호에 따라 지정되는 상기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 후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상기 접속요청신호로써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단말기는 상기 IP 방송 서버의 문자메시지에 따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는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하거나 파일로 저장 후 스트리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는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방송 개시 후 사전 설정된 범위의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 내에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실시간의 스트리밍을 하고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초과하여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저장 파일을 스트리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서버의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IP 방송 단말기 중 해당 IP 방송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지 못한 IP 방송 단말기는 그 사실 정보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접속 못한 사실 정보의 문자메시지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서버는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방송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단말기는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기준으로 해당 방송 콘텐츠의 방송 종료 후 상기 IP 방송 서버에 방송 이력을 재요청하며, 상기 IP 방송 서버의 방송 이력에 현재 처리할 방송 콘텐츠가 없을 시 상기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요청신호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단말기는 상기 IP 방송 서버에 사전 설정된 접속시간마다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가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고 단말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서버가 상기 단말기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에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서버의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단말기에서 요청한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스트리밍 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IP 방송 서버가 상기 단말기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에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동시 진행되거나 서로 순서가 바뀌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P 방송 서버가 상기 단말기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에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IP 방송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단말기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단말기에서 요청한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스트리밍 하는 단계는,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방송 개시 후 사전 설정된 범위의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 내에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방송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고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초과하여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저장 파일을 스트리밍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서버의 접속요청신호 수신 후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접속 불가 시 이 사실 정보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방송 종료 신호 전송 시 이를 수신한 상기 IP 방송 서버가 해당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가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서버에 사전 설정된 접속시간마다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단말기에서 요청한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스트리밍 하는 단계와,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서버에 사전 설정된 접속시간마다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IP 방송 서버가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P 방송 단말기가 IP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의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의 전송이 있을 시에만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해당 IP 방송 콘텐츠를 수신 및 방송하고, 이 과정에서 해당 IP 방송 단말기가 IP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를 손실 없이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동시에 수신한 IP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출력을 중단 현상 없이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의 IP 방송 서버에 대한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 형태 또는 저장 파일의 스트리밍 형태로 선택 진행함에 따라, 방송 시에만 IP 방송 서버에 접속하는 모든 IP 방송 단말기에서 IP 방송 서버에 대한 접속 지연 현상 및 이에 따른 방송 지연 및 방송 데이터 손실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개시가 동시 진행 또는 매우 작은 시간 차 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으로 하고, 이와 달리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개시 시간에 차이가 크면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스트리밍 함에 따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방송하는 IP 방송 단말기 측에서는 방송 지연 및 방송 데이터 손실 현상 없이 정상적인 방송 형태로 방송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에서 IP 방송 미디어 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의 전체 방송 시스템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100: 이하 “IP방송 시스템”이라 함)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 IP 방송 서버(120),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 IP 방송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는 IP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 및 IP 방송 단말기(140)의 지정을 위한 단말기 선택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방송 데이터 및 단말기 선택신호를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 및 IP 방송 서버(120)에 전송한다. 즉,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는 인터넷망을 통해 IP 방송 서버(120) 및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와 접속되며, 이에 따라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는 생성된 방송 데이터 및 단말기 선택신호를 각각 인터넷망을 통해 IP 방송 서버(120) 및 IP 방송 미디서 서버(130)에 전송한다.
IP 방송 서버(120)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단말기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단말기(140)에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이하 “접속요청신호”라 함)를 전송한다. 즉, IP 방송 서버(120)는 IP 방송 단말기(140)에 대한 상기 접속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IP 방송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요청신호로는 문자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SMS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더 상세히 설명하면, IP 방송 서버(120)의 상기 접속요청신호는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전송되어 이러한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사물지능통신(M2M) 방식의 중계단말기(150)에 전송된 다음, 중계단말기(15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IP 방송 단말기(140)에 전송된다.
그리고 IP 방송 서버(120)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의 단말기 선택신호에 따라 지정되는 IP 방송 단말기(140)의 방송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 한 다음, 이렇게 업데이트된 방송 이력 정보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이때, IP 방송 서버(140)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의 단말기 선택신호에 따라 지정된 IP 방송 단말기(140)의 방송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 후 해당 IP 방송 단말기(140)에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IP 방송 서버(120)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방송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것일 수 있다.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다음, 이렇게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즉,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방송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IP 방송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더 상세히 설명하면,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전송되어 이러한 기지국의 중계를 통해 사물지능통신(M2M) 방식의 중계단말기(150)에 전송된 다음, 중계단말기(15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IP 방송 단말기(140)에 전송된다.
그리고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하거나 파일로 저장 후 스트리밍 한다. 여기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방송 개시 후에, 사전 설정된 범위의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 내에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140)에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하고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초과하여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140)에는 저장 파일 스트리밍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IP 방송 미디어 서버의 구성 및 기능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IP 방송 서버(120)와의 연계를 위한 시그널 세션(131),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와의 연계를 위한 미디어 세션(132), IP 방송 단말기(140)와의 연계를 위한 미디어 세션(133)을 운용한다.
IP 방송 서버(120)와의 연계를 위한 시그널 세션(131)은 IP 방송 서버(120)와 TCP로 연결되어 IP 방송 시스템(100)의 운용 시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와의 연계를 위한 미디어 세션(132)은 IP 방송 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IP 방송 단말기(140)와의 연계를 위한 미디어 세션(133)은 IP 방송 단말기(140)의 요청 시 그에 해당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그 세션들의 운용 및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또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하는 동시에 IP 방송 단말기(140)의 요청 시 제어부(134)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파일이 검출되어 IP 방송 단말기(140)에 전송되는 저장부(135)를 포함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IP 방송 단말기(140)는 IP 방송 서버(120)의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IP 방송 단말기(140)는 IP 방송 서버(120)의 접속요청신호인 SMS에 따라 해당 IP 방송 서버(120)에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140)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한다.
또한 IP 방송 서버(120)의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한 IP 방송 단말기(140) 중 해당 IP 방송 서버(12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지 못한 IP 방송 단말기(140)는 그 사실 정보를 해당 IP 방송 서버(12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IP 방송 단말기(140)는 네트워크에 접속 못한 사실 정보의 문자메시지를 해당 IP 방송 서버(12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메시지로서 SMS가 이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그리고 IP 방송 단말기(120)는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기준으로 해당 방송 콘텐츠의 방송 종료 후 IP 방송 서버(120)에 방송 이력을 재요청한 다음, IP 방송 서버(120)의 방송 이력에 현재 처리할 방송 콘텐츠가 없을 시 IP 방송 단말기(120)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는 동시에 IP 방송 서버(120)의 접속요청신호를 대기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 IP 방송 서버(120),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 IP 방송 단말기(140)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와 IP 방송 서버(120) 그리고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고, IP 방송 단말기(120)는 근거리 통신을 하는 사물지능통신(M2M) 방식의 중계단말기(150)를 매개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접속되어 IP 방송 서버(120) 및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와 인터넷 기반의 접속을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IP 방송 단말기(140)가 IP 방송 서버(120)의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서버(120)에 접속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로써, IP 방송 단말기(140)는 IP 방송 서버(120)에 대한 접속 스케줄이 사전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즉, IP 방송 단말기(140)는 IP 방송 서버(120)에 대한 접속시간이 사전 설정되고, 이에 따라 IP 방송 단말기(140)는 사전 설정된 접속시간마다 IP 방송 서버(120)에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140)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가 IP 방송 서버(120)에 대한 IP 방송 단말기(140)의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IP 방송 단말기(140)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 형태 또는 저장 파일의 스트리밍 형태로 선택 진행함에 따라, 방송 시에만 IP 방송 서버(120)에 접속하는 모든 IP 방송 단말기(140)에서 IP 방송 서버(120)에 대한 접속 지연 현상 및 이에 따른 방송 지연과 방송 데이터 손실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140)의 방송 개시가 동시 진행 또는 매우 작은 시간 차 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가 IP 방송 단말기(140)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으로 하고, 이와 달리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140)의 방송 개시 시간에 차이가 크면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스트리밍 함에 따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방송하는 IP 방송 단말기(140) 측에서는 방송 지연 및 방송 데이터 손실 현상 없이 정상적인 방송 형태로 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스템의 전체 방송 시스템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스템은 방송 준비 과정, 방송 시작 후의 방송 과정, 방송 종료 과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먼저, 방송 준비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에서 방송할 IP 방송 단말기(140)를 선택한 후 방송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는 IP 방송 서버로 방송을 시작하겠다는 BroadcastBegin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IP 방송 서버(120)가 이에 대한 응답으로 BroadCastCF 신호를 보내면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는 방송에 사용할 CODEC정보 등을 포함한 SetCODECInfo 신호를 IP 방송 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IP 방송 서버(120)는 CODEC 정보를 받았다는 메시지를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에게 전송하고, 또한 BroadcastBegin 신호를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전송한다.
방송 시작 및 그 후의 방송 과정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키로 하며, 따라서 도 3을 참조한 본 설명에서는 해당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방송 종료 과정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에서 방송중지 신호의 입력에 따라,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는 IP 방송 서버(120)에 BroadcastEnd 신호를 전송하고, IP 방송 서버(120)는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BroadcastEnd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는 레코딩을 중지하고, 또한 레코딩 중지의 사실 정보를 IP 방송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에서 IP 방송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스템을 사용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가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전송한다.
단계(S120)에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가 단말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서버(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단계(S120)은 IP 방송 서버(120)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의 단말기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단말기(140)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10)과 단계(S120)은 동시 진행되거나 두 단계 중 어느 단계가 선행될 수 있고, 이때 단계(S110)과 단계(S120) 중 어느 단계가 선행되어도 무방하다.
단계(S130)에서 IP 방송 서버(120)가 상기 단말기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140)에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한다.
단계(S140)에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30)에서 전송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S130)과 단계(S140)은 동시 진행되거나 단계(S140)이 단계(S130)보다 선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S150)에서 IP 방송 단말기(140)가 IP 방송 서버(120)의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서버(120)에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140)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한다.
단계(S160)에서 IP 방송 단말기(140)는 IP 방송 서버(120)에서 확인한 방송 이력 정보를 기준으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한다.
단계(S170)에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가 IP 방송 단말기(140)에서 요청한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140)에 스트리밍 한다. 여기서, 단계(S170)은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방송 개시 후 사전 설정된 범위의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 내에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140)를 대상으로 방송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고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초과하여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140)를 대상으로 저장 파일을 스트리밍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S180)에서 IP 방송 단말기(140)가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를 통해 스트리밍 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한다.
단계(S190)에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방송 종료 신호 전송 시 이를 수신한 IP 방송 서버(120)가 해당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IP 방송 방법은, IP 방송 단말기(140)가 IP 방송 서버(120)의 접속요청신호 수신 후 해당 IP 방송 서버(120)에 접속 불가 시 이 사실 정보를 해당 IP 방송 서버(12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S210)에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가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전송한다.
단계(S220)에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에서 전송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계(S230)에서 IP 방송 단말기(140)가 IP 방송 서버(120)에 사전 설정된 접속시간마다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140)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S230) 이전에 단계(S225)의 IP 방송 서버(120)가 IP 방송 단말기(140)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이 선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S240)에서 IP 방송 단말기(140)가 IP 방송 서버(120)에서 확인한 방송 이력을 기준으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한다.
단계(S250)에서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가 IP 방송 단말기(120)에서 요청한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140)에 스트리밍 한다. 여기서, 단계(S250)은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가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방송 개시 후 사전 설정된 범위의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 내에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140)를 대상으로 방송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고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초과하여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140)를 대상으로 저장 파일을 스트리밍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S260)에서 IP 방송 단말기(140)가 IP 방송 미디어 서버(130)를 통해 스트리밍 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한다.
단계(S270)에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로부터 방송 종료 신호 전송 시 이를 수신한 IP 방송 서버(120)가 해당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110)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들을 통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은, IP 방송 단말기가 IP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의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의 전송이 있을 시에만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해당 IP 방송 콘텐츠를 수신 및 방송하고, 이 과정에서 해당 IP 방송 단말기가 IP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를 손실 없이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동시에 수신한 IP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출력을 중단 현상 없이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의 IP 방송 서버에 대한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 형태 또는 저장 파일의 스트리밍 형태로 선택 진행함에 따라, 방송 시에만 IP 방송 서버에 접속하는 모든 IP 방송 단말기에서 IP 방송 서버에 대한 접속 지연 현상 및 이에 따른 방송 지연 및 방송 데이터 손실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
특히,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개시가 동시 진행 또는 매우 작은 시간 차 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실시간으로 하고, 이와 달리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개시 및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지정한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개시 시간에 차이가 크면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스트리밍 함에 따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방송하는 IP 방송 단말기 측에서는 방송 지연 및 방송 데이터 손실 현상 없이 정상적인 방송 형태로 방송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IP 방송 시스템 110 :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
120 : IP 방송 서버 130 : IP 방송 미디어 서버
131 : 시그널 세션 132, 133 : 미디어 세션
134 : 제어부 135 : 저장부
140 : IP 방송 단말기 150 : 중계 단말기

Claims (20)

  1. IP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 및 IP 방송 단말기의 지정을 위한 단말기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의 접속요청신호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IP 방송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단말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미디어 서버;
    상기 IP 방송 서버의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후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IP 방송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와 IP 방송 서버 그리고 IP 방송 미디어 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IP 방송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하는 사물지능통신(M2M) 방식의 중계단말기를 매개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접속되어 상기 IP 방송 서버 및 IP 방송 미디어 서버와 인터넷 기반의 접속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P 방송 서버는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단말기 선택신호에 따라 지정되는 상기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 후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상기 접속요청신호로써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P 방송 단말기는 상기 IP 방송 서버의 문자메시지에 따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5. IP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 및 IP 방송 단말기의 지정을 위한 단말기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의 접속요청신호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IP 방송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하거나 파일로 저장 후 스트리밍하며,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단말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미디어 서버;
    상기 IP 방송 서버의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후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IP 방송 단말기를 포함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는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방송 개시 후 사전 설정된 범위의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 내에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실시간의 스트리밍을 하고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초과하여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저장 파일을 스트리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7. IP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 및 IP 방송 단말기의 지정을 위한 단말기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의 접속요청신호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IP 방송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단말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미디어 서버;
    상기 IP 방송 서버의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후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IP 방송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IP 방송 서버의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IP 방송 단말기 중 해당 IP 방송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지 못한 IP 방송 단말기는 그 사실 정보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P 방송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접속 못한 사실 정보의 문자메시지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P 방송 서버는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방송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10. IP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 및 IP 방송 단말기의 지정을 위한 단말기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의 접속요청신호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IP 방송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단말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미디어 서버;
    상기 IP 방송 서버의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후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며,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기준으로 해당 방송 콘텐츠의 방송 종료 후 상기 IP 방송 서버에 방송 이력을 재요청하고, 상기 IP 방송 서버의 방송 이력에 현재 처리할 방송 콘텐츠가 없을 시 상기 IP 방송 단말기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요청신호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11. IP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 및 IP 방송 단말기의 지정을 위한 단말기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선택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의 접속요청신호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IP 방송 서버;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단말기에 전송하는 IP 방송 미디어 서버;
    상기 IP 방송 서버의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후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IP 방송 서버에 사전 설정된 접속시간마다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12. (a)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가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고 단말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IP 방송 서버가 상기 단말기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에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서버의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단말기에서 요청한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스트리밍 하되,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는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방송 개시 후 사전 설정된 범위의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 내에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방송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고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초과하여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저장 파일을 스트리밍 하는 단계;
    (f)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가 동시 진행되거나 상기 (c) 단계가 (b) 단계보다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IP 방송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단말기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
  15. 삭제
  16. (a)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가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고 단말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IP 방송 서버가 상기 단말기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IP 방송 단말기에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서버의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단말기에서 요청한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스트리밍 하는 단계;
    (f)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서버의 접속요청신호 수신 후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접속 불가 시 이 사실 정보를 해당 IP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방송 종료 신호 전송 시 이를 수신한 상기 IP 방송 서버가 해당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
  18. (a)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가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c) IP 방송 단말기가 IP 방송 서버에 사전 설정된 접속시간마다 접속하여 IP 방송 단말기 자신의 방송 이력 정보를 확인 후 이를 기준으로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단말기에서 요청한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IP 방송 단말기에 스트리밍 하는 단계;
    (e) 상기 IP 방송 단말기가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되는 방송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IP 방송 서버가 IP 방송 단말기의 방송 이력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IP 방송 미디어 서버가 상기 IP 방송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방송 개시 후 사전 설정된 범위의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 내에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방송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고 상기 방송 개시 허용시간을 초과하여 접속한 IP 방송 단말기를 대상으로 저장 파일을 스트리밍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방법.
KR1020130025443A 2013-03-11 2013-03-11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 KR101292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443A KR101292422B1 (ko) 2013-03-11 2013-03-11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443A KR101292422B1 (ko) 2013-03-11 2013-03-11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422B1 true KR101292422B1 (ko) 2013-08-01

Family

ID=4921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443A KR101292422B1 (ko) 2013-03-11 2013-03-11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4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1501A (zh) * 2020-06-03 2020-09-25 广州辉群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广播系统及广播系统的异常检测方法
WO2021162141A1 (ko) * 2020-02-12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356A (ko) * 2007-09-18 2009-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356A (ko) * 2007-09-18 2009-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141A1 (ko) * 2020-02-12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962648B2 (en) 2020-02-12 2024-04-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that executes application locally when disconnected from cloud server
CN111711501A (zh) * 2020-06-03 2020-09-25 广州辉群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广播系统及广播系统的异常检测方法
CN111711501B (zh) * 2020-06-03 2022-07-22 广州辉群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广播系统及广播系统的异常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327B2 (en) Presence service using IMS based DASH service
US8230044B2 (en) Media channel management
US9282448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reaming media service
US9615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imeshift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US20170164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User-Initiated LTE Broadcast
US1004497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devices
EP35150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operation on contents
US9826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dvertisement in a broadcasting system
KR100934088B1 (ko) 멀티미디어 컨텐트 플로우들을 생성하고 분산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504655B1 (en) Proxy delegation for content delivery
KR101292422B1 (ko) Ip 방송 시 서버 접속형 방송 단말기의 접속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ip 방송 시스템, 이를 이용한 ip 방송 방법
JP6418665B2 (ja) Imsベースのdashサービスにおいて、プレゼンスサーバによりプレゼンス情報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プレゼンスサーバを介してプレゼンス情報を受信するユーザ機器(ue)
US9374681B2 (en) Mobile device originated multicast broadcasting
US20190098351A1 (en) Method for managing the access right to an item of digital content
EP2472406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N108632681B (zh) 播放媒体流的方法、服务器及终端
KR102044001B1 (ko)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혼용 기반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412661A1 (en) Providing transparent multicast content vi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1528268B1 (ko) 콘텐츠를 원격 위치들에 스트리밍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WO2017066952A1 (en) Mbms switching improvement
US20150264599A1 (en) Non-intrusive method of sending the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r to the receiver
KR20160096941A (ko) 이기종망을 통한 ip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전송 서버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