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066B1 -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066B1
KR101292066B1 KR1020110142632A KR20110142632A KR101292066B1 KR 101292066 B1 KR101292066 B1 KR 101292066B1 KR 1020110142632 A KR1020110142632 A KR 1020110142632A KR 20110142632 A KR20110142632 A KR 20110142632A KR 101292066 B1 KR101292066 B1 KR 10129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dimming control
le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534A (ko
Inventor
송성근
오승열
이상택
조주희
최정식
신덕식
차대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0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LED에 대한 조광을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조명장치를 군집화하여 제어하고, 중앙전원의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조광제어를 구현함으로써, 고효율화를 달성한다. 또한, 발열원인이 되는 전력변환부를 조명기구 또는 광원부에서 이격되게 설치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System for operating of high capacity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LED에 대한 조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두운 곳을 밝히는 조명등의 광원으로 소비자들이 널리 사용하는 것은 백열등에서 형광등으로 다시 삼파장 전구로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위에서 언급한 백열등, 형광등, 삼파장 전구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긴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등이 개발 출시되고 있다.
특히, LED는 백열등이나 형광등과 같은 조명수단에 비하여 다양한 색을 연출할 수 있고 수명이 길고 전기소모량이 적을 뿐 아니라 크기까지 작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들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광원으로 LED(엘이디,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한 등기구들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LED를 이용한 등기구 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LED 등기구에 따라서 복잡한 회로를 각각 구성한다. 따라서, 조광제어를 위해서는 외부의 제어기를 통해 등기구의 조광제어를 위한 별도의 신호선이 필요하며, 각각의 등기구 별로 내부의 발열부가 존재하므로,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각각의 등기구별로 역률보상회로, 변환회로, 전류제어회로 등을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명기구 설계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각 등기구는 50W 급으로 등기구별로 PFC, 컨버터, 전류제어기, LED로 구성되어 효율이 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무실, 터널의 조명등, 공원의 가로등 등 군집별로 등기구를 설치하고, 중앙의 전원을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고, 등기구에서 전류 제어만을 구현하여 LED 구동 및 조광제어를 위해 등기구에 필요한 신호선을 줄일 수 있어 설계 및 시공을 간소화할 수 있는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은 교류전원에 대한 역률과 고조파왜율을 개선하고,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조명장치로 공급하는 전원장치 및 전원장치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직류전원의 변화를 감지하여 LED를 구동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장치는 전류제어부와, 다수의 LED만을 설치하며,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압변화에 따라 군집별로 조광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장치는 LED의 조광제어를 위한 별도의 신호선 없이 직류전원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변화에 따라 조광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전원장치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직류전원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변화에 따라 LED의 조광제어를 실행하는 전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류제어부는 LED를 군집별로 조광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치를 군집화하여 제어하고, 중앙전원의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조광제어를 구현함으로써, 고효율화를 달성한다.
또한, 발열원인이 되는 전력변환부를 조명기구 또는 광원부에서 이격되게 설치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광원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 LED 장치가 배치된 환경이나 시점에 따라 다양한 조도의 광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LED들이 최적의 조도를 기준으로 발광하게 되어, 최적의 조도 달성이 용이하며 필요 이하로 조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독립적인 조명장치들을 일정 시점마다 교번적으로 점멸시켜 일정 조도를 달성하도록 함으로써, LED들의 수명 관리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종래의 조광제어를 위한 LED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조광제어를 위한 LED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LED 장치는 조명장치(100a, 100b,…, 100n), 조광제어부(200) 및 전원부(300)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는 역률개선부(10a, 10b,…, 10n), 컨버터부(20a, 20b,…, 20n), 전류제어부(30a, 30b,…, 30n) 및 LED(40a, 40b,…, 40n)를 포함한다.
하나의 조명장치(100)는 역률개선부(10), 컨버터부(20), 전류제어부(30) 및 LED(40)로 구성된다. 특히, 역률개선부(10)는 회로의 역률을 개선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무효전력을 줄여 공급된 전력을 유효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컨버터부(20)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환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전류제어부(30)는 조광제어를 위한 전류를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구성은 모든 조명장치의 내부에 각각 위치하며, 별도의 조광제어를 위해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조광제어부(200)의 제어를 받기 위해 각각의 조명장치에 신호선을 인가해야 하는 구성은 가진다.
전원부(300)는 교류 발전기나 인버터(Inverter), 변압기 등에 해당하고, 교류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300)는 단상교류전원, 3상교류전원, 교류발전기(수력, 화력, 풍력, 파력, 원자력 등)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조광제어부(200)는 조명 설비에서 광원의 광속을 변화시켜서 조명 환경의 극적 효과 또는 분위기를 바꾸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며, 에너지 절감을 도모한다. 특히, 조광제어부(200)는 다수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을 제어하여 각각의 LED(40a, 40b,…, 40c)에 대한 조광을 제어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LED 장치는 외부의 조광제어부(200)를 통해 조명장치(100a, 100b,…, 100n)의 조광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신호선이 필요하며,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 별로 내부의 발열부가 존재하므로,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 별로 역률개선부(10a, 10b,…, 10n), 컨버터부(20a, 20b,…, 20n)를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명기구 설계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이 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광제어부(200), 전원부(300), 중앙전원장치(400) 및 조명장치(100a, 100b,…, 100n)로 구성된다. 이때, 조명장치(100a, 100b,…, 100n)는 각각의 전류제어부(30a, 30b,…, 30n)와 LED(40a, 40b,…, 40n)를 포함한다.
전원부(300)는 교류 발전기나 인버터, 변압기 등에 해당하고, 교류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300)는 단상교류전원, 3상교류전원, 교류발전기(수력, 화력, 풍력, 파력, 원자력 등)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300)는 중앙전원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중앙전원장치(400)는 전원부(300)와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중앙전원장치(400)는 역률개선부(10)와 컨버터부(20)를 포함하며, 분전반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300)는 휴즈(미도시)와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휴즈(Huge)는 전원부(300)와 필터(Filter)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휴즈는 교류 형태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300)에서 인과되는 과전류로부터 LED 구동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필터는 휴즈와 역률개선부(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전원부(300)에서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노이즈 및 전자파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필터는 입력된 전원을 평활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역률개선부(10)는 무효전력을 줄여 공급된 전력을 유효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즉, 역률개선부(10)는 인덕터(Inductor)에 삼각파 모양으로 전류를 흘려, 전류의 정현파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를 보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역률(Power Factor)은 교류회로에서 유효전력과 피상전력과의 비를 나타내며, 직류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와의 곱이 전력이 되나, 교류회로에서는 전류와 전압의 실효치와의 곱이 반드시 전력으로 되지는 않고, 전압과 전류와의 곱을 피상전력이라 하고, 이에 역률을 곱해야 비로소 전력이 된다. 예를 들어, 전열기나 백열전구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것에서는 역률은 1이 되나, 전동기나 변압기와 같이 철심을 갖고 철심에 교류전원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전류의 일부에 의하여 자속을 발생시켜 에너지를 자기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동작 및 콘덴서와 같이 정전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에서는 역률이 저하한다. 여기서, 역률이 낮다는 것을 역률이 나쁘다고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역률개선부(10)는 전원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역률을 개선하고, 정격의 전압이 컨버터부(2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컨버터부(20)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컨버터부(20)는 철심의 양쪽에 각각 코일을 감은 후, 한쪽에는 전원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에는 검류계를 연결한다. 전원을 연결한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과 철심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시간에 따라 변한다면 자기장의 크기 또한 같이 변한다. 그리고, 철심을 통해 자기장이 전달되어 반대편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의 세기도 시간에 따라 변한다. 반대편 코일에는 전자기유도로 유도기전력이 생기고 유도전류가 흘러 검류계의 바늘이 움직인다. 만약, 교류전원이라면 반대편 코일에도 교류전류가 유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부(20)는 역률개선부(1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형태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로 제공한다.
조광제어부(200)는 조명 설비에서 광원의 광속을 변화시켜서 조명 환경의 극적 효과 또는 분위기를 바꾸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광제어부(200)는 중앙전원장치(400)와 연결되어 전원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조광제어부(200)는 기 설계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포함된 각각의 LED(40a, 40b,…, 40n)의 점멸여부 및 점멸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조광제어부(200)는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서 발현되는 일정 광이 위치, 시간 또는 환경에 따라 적절한 조도의 광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광제어부(200)는 중앙전원장치(400) 및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를 제어하여 해당되는 LED(40a, 40b,…, 40n)의 조광을 제어한다. 이때, 조광제어부(200)는 중앙전원장치(400)를 통해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공급상태 또는 차단상태를 제어하다.
조광제어부(200)는 LED(40a, 40b,…, 40c) 중 하나의 LED에 대한 전원 공급 시점을 제어하고, LED(40a, 40b,…, 40c)의 턴-온 또는 턴-오프 순서 또는 LED(40a, 40b,…, 40c)의 교번적인 턴-온 또는 턴-오프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a, 100b,…, 100n)는 각각의 LED(40a, 40b,…, 40n)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LED(40a, 40b,…, 40n)는 기판(PCB)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LED(40a, 40b,…, 40n)는 일정한 크기와 발산 조도 값을 가진다. 그리고, 각각의 LED(40a, 40b,…, 40n)에 대한 전체의 조도 합은 LED 구동 장치에 요구되는 전체 조도 합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포함되는 각각의 LED(40a, 40b,…, 40n)은 해당 LED 구동 장치의 설계 목적에 따라 그 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포함되는 각각의 전류제어부(30a, 30b,…, 30n)는 조광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중앙전원장치(400)를 통해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포함되는 각각의 전류제어부(30a, 30b,…, 30n)는 조광제어부(200) 제어에 따라 독립적으로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 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포함되는 각각의 전류제어부(30a, 30b,…, 30n) 및 LED(40a, 40b,…, 40n)는 환경적인 특성에 따라 고출력의 LED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0a, 100b,…, 100n)는 중앙전원장치(400)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는다.
전류제어부(30a, 30b,…, 30n)는 정전류 드라이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전류제어부(30a, 30b,…, 30n)는 중앙전원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대한 전류를 조절하여 각각의 LED(40a, 40b,…, 40n)로 전류를 공급 및 공급 중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전류제어부(30a, 30b,…, 30n)는 각각의 LED(40a, 40b,…, 40c)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LED(40a, 40b,…, 40c)는 전류제어부(30a, 30b,…, 30n)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전류제어부(30a, 30b,…, 30n)는 각각의 LED(40a, 40b,…, 40c)로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즉, 조명장치(100a, 100b,…, 100n)는 내부에 전류제어부(30a, 30b,…, 30n)와 LED(40a, 40b,…, 40n)만을 설치하며,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에 대해 군집으로 조광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100a, 100b,…, 100n)는 사무실, 터널, 공원, 가로등 또는 여러 개의 등기구나 광원(Bulb type, MR16, Down light)에 있어서, 군집별로 조광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0a, 100b,…, 100n)는 LED(40a, 40b,…, 40n)의 조광제어를 위한 별도의 신호선 없이 직류전원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변화에 따라 조광제어를 실행한다. 즉, 중앙의 분전반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통해 조광제어를 위한 별도의 신호선 없이 조광제어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구동 장치에서 조명장치(100a, 100b,…, 100c)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40a, 40b,…, 40n)는 조광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LED 구동 장치가 배치된 위치, 환경이나 시점에 따라 다양한 조도의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각각의 LED(40a, 40b,…, 40n)가 최적의 조도를 기준으로 발광하게 됨으로 요구된 조도 달성이 용이하며, 필요 이하로 조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광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조명장치(100a, 100b,…, 100n)에 대한 LED(40a, 40b,…, 40c)를 일정 시점마다 교번적으로 점멸시켜 일정 조도를 달성하도록 함으로써, LED(40a, 40b,…, 40c)의 수명 관리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구동 장치는 대형 사무실의 경우에 50W급 면조명 20개를 1개의 중앙전원장치(400)로 관리하여 여러 개의 등기구 즉, 조명장치(100a, 100b,…, 100n)를 제어함으로, 효율 및 제어 측면에서 큰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터널등, 가로등, 배의 조명등, 어선용 집어등, 건축용 조명, 광고등, 농업용의 조명등에 대하여 군집화하면, 조광제어 및 고효율화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조명장치를 군집화하여 제어하고, 중앙전원의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조광제어를 구현함으로써, 고효율화를 달성한다. 또한, 발열원인이 되는 전력변환부를 조명기구 또는 광원부에서 이격되게 설치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은 전원장치(600)와 조명장치(100)로 구성된다.
전원장치(600)는 전원부(300), 중앙전원장치(400) 및 조광제어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전원부(300)는 중앙전원장치(4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중앙전원장치(400)는 역률개선부(10)와 컨버터부(20)를 포함하며, 전원부(30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역률을 개선하고, 정격의 전압이 컨버터부(2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컨버터부(20)는 역률개선부(1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형태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조명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조광제어부(200)는 중앙전원장치(400) 및 조명장치(100)를 제어하여 해당되는 LED(40)의 조광을 제어한다. 이때, 조광제어부(200)는 중앙전원장치(400)를 통해 조명장치(100)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공급상태 또는 차단상태를 제어하다.
조명장치(100)는 중앙전원장치(400)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조명장치(100)는 중앙전원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대한 전류를 조절하여 LED(40)로 전류를 공급 및 공급 중지를 수행하는 전류제어부(30)와, 전류제어부(30)에 각각 일대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전원을 조광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LED(40)로 구성된다. 즉, 조명장치(100)는 내부에 전류제어부(30)와 LED(40)만을 설치하며, 조명장치(100)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에 대해 군집으로 조광제어를 실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LED에 대한 조광을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조명장치를 군집화하여 제어하고, 중앙전원의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조광제어를 구현함으로써, 고효율화를 달성한다. 또한, 발열원인이 되는 전력변환부를 조명기구 또는 광원부에서 이격되게 설치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a, 100b,…, 100n: 조명장치 200: 조광제어부
300: 전원부 400: 중앙전원장치
600: 전원장치 10a, 10b,…, 10n: 역률개선부
20a, 20b,…, 20n: 컨버터부 30a, 30b,…, 30n: 전류제어부
40a, 40b,…, 40n: LED

Claims (5)

  1. 교류전원에 대한 역률과 고조파왜율을 개선하고,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조명장치로 공급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원장치로부터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직류전원의 변화를 감지하여 LED를 구동하는 조명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전류제어부와, 다수의 LED만을 설치하며, 상기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압변화에 따라 군집별로 조광제어를 실행하며,
    상기 LED의 조광제어를 위한 별도의 신호선 없이 상기 직류전원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변화에 따라 조광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전원장치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직류전원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변화에 따라 상기 LED의 조광제어를 실행하는 전류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제어부는
    상기 LED를 군집별로 조광제어 하며,
    상기 LED의 조광제어를 위한 별도의 신호선 없이 상기 직류전원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변화에 따라 조광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삭제
KR1020110142632A 2011-12-26 2011-12-26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 KR10129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32A KR101292066B1 (ko) 2011-12-26 2011-12-26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32A KR101292066B1 (ko) 2011-12-26 2011-12-26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534A KR20130074534A (ko) 2013-07-04
KR101292066B1 true KR101292066B1 (ko) 2013-08-02

Family

ID=4898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632A KR101292066B1 (ko) 2011-12-26 2011-12-26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0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026A (ja) * 1994-12-05 1996-09-03 Hughes Aircraft Co ダイオード駆動電流源
JP2007189004A (ja) * 2006-01-12 2007-07-26 Hitachi Lighting Ltd 直流電源装置、発光ダイオード用電源、及び照明装置
JP2008178213A (ja) * 2007-01-18 2008-07-31 Stanley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KR100941509B1 (ko) * 2009-06-30 2010-02-10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기준 전압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이용하는 led 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026A (ja) * 1994-12-05 1996-09-03 Hughes Aircraft Co ダイオード駆動電流源
JP2007189004A (ja) * 2006-01-12 2007-07-26 Hitachi Lighting Ltd 直流電源装置、発光ダイオード用電源、及び照明装置
JP2008178213A (ja) * 2007-01-18 2008-07-31 Stanley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KR100941509B1 (ko) * 2009-06-30 2010-02-10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기준 전압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이용하는 led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534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614B2 (en) Illumination systems
JP3167927U (ja) 定電流ledランプ
Wu et al. A simple two-channel LED driver with automatic precise current sharing
JP2013016419A (ja) 点灯制御回路及びその点灯制御回路を用いた照明灯及びその照明灯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4524102A5 (ko)
CN102186291A (zh) 驱动电路结构
Esteki et al. LED systems applications and LED driver topologies: A review
KR101561067B1 (ko) Led조명등의 수명연장을 위한 전원공급장치
WO2016176526A1 (en) Reduced flicker driver circuit for led systems
JP2011142026A (ja) トンネルの照明装置
CN203039971U (zh) 一种新型灯具驱动电路
KR101292067B1 (ko) Led 조광 제어 시스템
KR101292066B1 (ko) 고출력 led 구동 시스템 및 조명장치
Liu et al. A valley-fill driver with current balancing for parallel LED strings used for high-frequency ac power distribution of vehicle
Pinto et al. Compact lamp using high-brightness LEDs
JP2013137913A (ja) 照明装置
Wang et al. General discussion on energy saving
KR101424420B1 (ko) Ac 초퍼와 밸런싱 변압기를 이용한 led 구동 장치
Cardesín et al. Low cost intelligent LED driver for public Lighting Smart Grids
CN205793498U (zh) 一种高压直流集中供电及控制系统
US20190208590A1 (en)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system with dimming function
CN104869711A (zh) 一种谐振型大功率多路输出led驱动电源
CN201114884Y (zh) 继电器并联控制的可控硅调光器
Bakliwal et al. A REVIEW ON PERFORMANCE OF LED DRIVING TOPOLOGIES FOR SOLID STATE LUMINARIES
CN108235486A (zh) 离线式照明驱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