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363B1 - 풍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363B1
KR101291363B1 KR1020110090198A KR20110090198A KR101291363B1 KR 101291363 B1 KR101291363 B1 KR 101291363B1 KR 1020110090198 A KR1020110090198 A KR 1020110090198A KR 20110090198 A KR20110090198 A KR 20110090198A KR 101291363 B1 KR101291363 B1 KR 10129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blade
piezoelectric body
wind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802A (ko
Inventor
정재호
김기현
신상명
진정근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3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2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electrical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9Piezoelectr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 발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과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가 설치된 나셀과, 나셀을 지지하는 타워 및 타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변동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압전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 장치{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변동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발전이 가능한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의 규제 및 환경오염 억제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 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란, 태양열, 수력, 조력, 지열 및 풍력과 같은 자연 상태에서 만들어진 에너지를 말한다.
풍력 발전 장치는, 상기한 재생 에너지 중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근본적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자연에 존재하는 무한량의 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새로운 에너지 생산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인 풍력 발전 장치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풍력과 압전체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 압전 발전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6524호에는, 회전날개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압전체를 배치하고, 회전축의 외주에는 타격날개를 배치한 구성을 가진 풍력을 이용한 압전 발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날개가 풍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과 함께 타격날개가 회전하면서 각 압전체에 기계적 자극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압전체의 진동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타격날개가 회전하면서 압전체를 타격하게 되므로, 압전체가 지속적으로 충격을 받아서 조기에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은 풍력에 의한 압전체의 진동만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지, 풍력에 의한 블레이드의 회전력과 발전기를 이용하여 주된 전력을 생산하고, 압전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6524호 (2010. 04. 0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변동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발전이 가능하도록 타워의 외주면에 압전체를 설치한 구성을 가진 풍력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타워; 및 상기 타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체;를 구비하는 풍력 발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가 설치된 나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워는 상기 나셀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압전체는 상기 타워가 설치되는 지지면으로부터 Hmax(Hmax = Zhub - 0.2 x R) 내지 Hmin(Hmin = Zhub - 1.1 x R)인 영역 범위에 설치될 수 있다. (Zhub: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까지의 높이, R: 블레이드의 회전 반경)
상기 압전체는 상기 타워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전체는 압전 특성을 가진 PZT(Pb(Zr,Ti)03), Ba2TiO4, BaTi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압전체는 다수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에 의하면, 풍력에 의한 블레이드의 회전력과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변동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타워의 외주면에 설치된 압전체는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주기적인 변동에 의해 진동하게 되므로, 다른 물체로부터의 직접적인 기계적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변동을 압전체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게 되므로, 타워에 걸리는 피로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풍력 발전 장치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압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100)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110)와, 블레이드(1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122)과, 동력전달유닛(122)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26)가 설치된 나셀(nacelle, 120)과, 나셀(120)을 지지하는 타워(130)와, 타워(1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압전체(14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110)는 메인 샤프트(123)의 일단에 설치된 허브(112)에 결합된 상태로 풍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나셀(120) 내부에 설치된 동력전달유닛(122)은,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샤프트(123)와, 메인 샤프트(123)의 타단에 연결된 증속기(124)를 포함한다. 증속기(124)는 메인 샤프트(123)의 회전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기어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전기(126)는 증속기(124)의 출력축(125)에 연결되어 동력전달유닛(122)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타워(130)는 나셀(120)을 지지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하단은 지지면(10)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나셀(120)의 저면에 결합된다. 지지면(10)은 지표면일 수도 있으며, 풍력 발전 장치(100)가 설치되는 구조물에서 풍력 발전 장치(100)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표면일 수도 있다.
압전체(14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풍력 발전 장치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보면,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따라 풍력 발전 장치(100)의 타워(130)에 큰 압력장의 변화가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좌측 상단(1.7s)은 블레이드(110)가 타워(130)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의 압력장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블레이드(110)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타워(130)에 가해진 압력장이 약간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우측 상단(1.8s)과 같이 블레이드(110)가 회전하여 타워(130)에 접근함에 따라 타워(130)에 가해진 압력장은 높이가 높은 곳에서부터 먼저 낮아지고 점차 낮은 곳의 압력장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타워(130)가 회전하는 블레이드(110)의 흡입면(suction surface)을 마주 보고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10)의 코드(chord) 길이가 긴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곳이 먼저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2의 좌측 하단(1.9s)은 타워(130)와 블레이드(110)가 가장 근접한 순간의 압력장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타워(130)에 가해진 압력장이 1.7s와 1.8s의 순간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2의 우측 하단(2.0s)은 블레이드(110)가 타워(130)를 통과한 직후의 압력장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타워(130)에 가해진 압력장이 1.9s의 순간과 비교하여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의해 타워(130)에 가해지는 압력장은 주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이는 타워(130) 및 블레이드(110)의 진동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의해 타워(130)에 가해지는 압력장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타워(1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압전체(140)를 구비한다.
압전체(140)는, 압전 특성을 가진 세라믹, 폴리머 또는 이들의 복합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압전체(140)는, PZT(Pb(Zr,Ti)03), Ba2TiO4, BaTiO3 등과 같은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물질로 제조된 압전체(14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인가된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타워(130)의 외주면에 압전체(140)를 설치하게 되면,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의해 타워(130)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주기적인 변동으로 인해 압전체(140)가 진동, 변형되면서 전기가 발생되는 것이다.
압전체(140)는 타워(130)에서 압력장의 변동이 큰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타워(130)에 인가되는 압력장의 변동은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기인한 것이므로,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의해 간섭을 받는 부분이 큰 압력장의 변동을 보여준다. 따라서, 타워(130)에 있어서, 압전체(140)가 설치되는 영역의 범위를 블레이드(110)의 회전 반경(R)과 관련하여 아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Hmax = Zhub - 0.2 x R
Hmin = Zhub - 1.1 x R
위 식들에 있어서, Hmax는 지지면(10)으로부터 압전체(140)를 설치하는 타워(130)의 최대 높이, 즉 압전체(140) 설치 영역의 최고점을 말하고, Hmin은 지지면(10)으로부터 압전체(140)를 설치하는 타워(130)의 최소 높이, 즉 압전체(140) 설치 영역의 최저점을 말한다. 그리고, Zbub는 지지면(10)으로부터 블레이드(110)의 회전 중심, 즉 허브(112)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압전체(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영역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압전체(140)는, 상기 영역의 범위 내에서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압전체(140)를 이용하여 얻고자 하는 발전량과 설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압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전체(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타워(130)의 일정한 영역 범위 내에 설치되면서, 타워(1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체(140)는, 제조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해 다수로 분할되어 제조 및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압전체(140)는 타워(13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압전체(140)는 접착 방식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예컨대 나사, 볼트 등을 사용하여 타워(13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100)에 의하면, 풍력에 의한 블레이드(110)의 회전력과 발전기(126)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워(1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압전체(140)에 의해 추가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타워(1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압전체(140)는 타워(130)에 가해지는 압력장의 주기적인 변동에 의해 진동하게 되므로, 다른 물체로부터의 직접적인 기계적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워(130)에 가해지는 압력장을 압전체(140)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게 되므로, 타워(130)에 걸리는 피로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풍력 발전 장치 110...블레이드
112...허브 120...나셀
122...동력전달유닛 123...메인 샤프트
124...증속기 125...출력축
126...발전기 130...타워
140...압전체

Claims (6)

  1.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타워; 및
    상기 타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타워에 가해지는 압력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압전체는 상기 타워가 설치되는 지지면으로부터 Hmax(Hmax = Zhub - 0.2 x R) 내지 Hmin(Hmin = Zhub - 1.1 x R)인 영역 범위에 설치되는 풍력 발전 장치.
    (Zhub: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까지의 높이, R: 블레이드의 회전 반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가 설치된 나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워는 상기 나셀을 지지하는 풍력 발전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타워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풍력 발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압전 특성을 가진 PZT(Pb(Zr,Ti)03), Ba2TiO4, BaTi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제조되는 풍력 발전 장치.
  6. 제 1항, 제 2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다수로 분할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KR1020110090198A 2011-09-06 2011-09-06 풍력 발전 장치 KR10129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198A KR101291363B1 (ko) 2011-09-06 2011-09-06 풍력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198A KR101291363B1 (ko) 2011-09-06 2011-09-06 풍력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802A KR20130026802A (ko) 2013-03-14
KR101291363B1 true KR101291363B1 (ko) 2013-07-30

Family

ID=4817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198A KR101291363B1 (ko) 2011-09-06 2011-09-06 풍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72A (ko) 2017-09-14 2019-03-22 남경훈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2445A (ja) * 2005-02-04 2006-11-30 E & E Kk 風力発電機
KR100701190B1 (ko) 2005-10-13 2007-03-29 주식회사 포스코 피에죠를 이용한 모멘트 저항골조의 발전장치
KR20100002062A (ko) * 2008-06-26 2010-01-06 김종서 탄성이 있는 회전축을 갖는 풍력발전기.
KR20100065465A (ko) * 2008-12-08 2010-06-17 전자부품연구원 압전 발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2445A (ja) * 2005-02-04 2006-11-30 E & E Kk 風力発電機
KR100701190B1 (ko) 2005-10-13 2007-03-29 주식회사 포스코 피에죠를 이용한 모멘트 저항골조의 발전장치
KR20100002062A (ko) * 2008-06-26 2010-01-06 김종서 탄성이 있는 회전축을 갖는 풍력발전기.
KR20100065465A (ko) * 2008-12-08 2010-06-17 전자부품연구원 압전 발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72A (ko) 2017-09-14 2019-03-22 남경훈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802A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07703B2 (en) Wind turbine
EP2561222B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101112492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전기
EP1957790A2 (en) Eolic converter
WO2008047238A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system
KR101143144B1 (ko) 다리우스형 풍력발전장치
KR20110010241A (ko) 편심축을 가진 멀티 사이클로이드 곡선 시스템을 구현하는 풍력발전장치
KR101291363B1 (ko) 풍력 발전 장치
Kekezoğlu et al. A new wind turbine concept: design and implementation
CN205876600U (zh) 一种螺旋型垂直轴风力发电机
CN109245610A (zh) 双晶扭振梁单元压电发电机
KR200454230Y1 (ko)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CN204805030U (zh) 一种双驱动风力发电装置
CN210509477U (zh) 一种帆叶式风力发电装置
KR101001812B1 (ko)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편
EP3857050A1 (en) Efficient wind energy convertor without gearbox or multi-pole generator
JP6047961B2 (ja) 風力発電装置
KR101226937B1 (ko) 블레이드 모듈화 풍력발전시스템
KR101842536B1 (ko) 풍력발전기의 고유진동수 조절장치
WO2014105097A1 (en) Maphbe turbine
KR20100002062A (ko) 탄성이 있는 회전축을 갖는 풍력발전기.
CN202381251U (zh) 带调节装置的风力发电机
RU2485345C1 (ru) Турбина дарье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ая
WO2012031547A1 (zh) 机械式转速控制装置和风力发电设备
Bozzetto Modelling, control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a wave energy converter equipped with an all-electric power take-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