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183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183B1
KR101291183B1 KR1020117011536A KR20117011536A KR101291183B1 KR 101291183 B1 KR101291183 B1 KR 101291183B1 KR 1020117011536 A KR1020117011536 A KR 1020117011536A KR 20117011536 A KR20117011536 A KR 20117011536A KR 101291183 B1 KR101291183 B1 KR 101291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sp
nap
service provisioning
over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104A (ko
Inventor
구앙밍 칼 시
규천 이
스티븐 디. 쳉
이삭 타-얀 시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8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65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for initial activation of new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4Automatic deployment of services triggered by the service manager, e.g. service implementation by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첫 번째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처음의 NAP/NSP에 접속되는 동안 가능한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를 통해 서비스에 사인 업(sign up)하는 것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홈 NAP/NSP과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PROVISIO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서비스 프로비저닝(service provisioning)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단말"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단말들의 예들은 셀룰러 폰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들,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무선 모뎀들, 랩톱 컴퓨터들, 개인용 컴퓨터(PC)들, PC 카드들 등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단말은 이동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가입자국, 원격국, 사용자 단말, 가입자 유닛, 사용자 장비 등이라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소정의 다른 용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업링크 (또는 역방향 링크)는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은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중 액세스 기법들이 알려져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동작에 관련된 향상된 방법들 및 장치에 의해 이점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open service provisioning) 방법이 기재된다. 상기 방법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첫 번째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처음의 NAP/NSP에 접속되는 동안 가능한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를 통해 서비스에 사인 업(sign up)하는 것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홈 NAP/NSP과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이 기재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들은 처음의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처음의 NAP/NSP에 접속되는 동안 가능한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를 통해 서비스에 사인 업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들은 상기 홈 NAP/NSP과의 접속을 설정하도록 추가적으로 실행가능할 수 있다.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이 기재된다. 상기 단말은 처음의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처음의 NAP/NSP에 접속되는 동안 가능한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를 통해 서비스에 사인 업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홈 NAP/NSP과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에 의한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기재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처음의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처음의 NAP/NSP에 접속되는 동안 가능한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를 통해 서비스에 사인 업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홈 NAP/NSP과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over-the-air service provisioning) 방법이 기재된다. 상기 방법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IP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될 수 있다.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이 기재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들은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IP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된 동작들은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될 수 있다.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이 기재된다. 상기 단말은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IP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된 동작들은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될 수 있다.
단말에 의한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기재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들은 IP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된 동작들은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에서 제시되는 방법들 및 장치들은 IEEE(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s) 802.16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다수의 기지국들 및 다수의 단말들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기지국 및 단말의 설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의 특정 양상들을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의 특정 추가 양상들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의 특정 추가 양상들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의 특정 추가 양상들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의 특정 추가 양상들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의 예를 예시한다.
도 9는 도 8의 방법에 대응하는 수단-플러스-기능(means-plus-function) 블록들을 예시한다.
도 10은 고객이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NAP) 및/또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SP)와의 계약에 서명한 이후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디-에어(over-the-air) 서비스 프로비저닝(over-the-air service provisioning)을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법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초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중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는 변조 기법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이용한다. 또한, 이러한 서브-캐리어들은 톤(tone)들, 빈(bin)들 이라 지칭될 수도 있다. OFDM을 통해,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포되는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할 인터리빙(interleave)된 FDMA(IFDMA),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블록 상에서 송신할 로컬화(localize)된 FDMA(LFDMA), 또는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록들 상에서 송신할 강화된 FDMA(EFDMA)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통해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A를 통해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도 1은 다수의 기지국(BS)들(102) 및 다수의 단말들(104)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기지국(102)은 단말들(104)과 통신하는 스테이션(station)이다. 기지국(102)은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이벌브드(evolved) 노드 B 등이라 지칭될 수도 있고, 이들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02)은 특정 지리적 영역(106)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용어 "셀"은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기지국(102)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106)을 지칭할 수 있다.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지국 커버리지 영역(106)은 다수의 더 작은 영역들 예를 들어, 3개의 더 작은 영역들(108a, 108b 및 108c)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더 작은 영역(108a, 108b, 108c)은 각각의 기지국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 BTS)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용어 "섹터"는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BTS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108)을 지칭할 수 있다. 섹터화된 셀에 대하여, 그 셀의 모든 섹터들에 대한 BTS들은 전형적으로 셀에 대한 기지국(102) 내에 공동-위치(co-locate)된다.
단말들(104)은 전형적으로 시스템(100)의 전반에 걸쳐 분산된다. 단말(104)은 이동국, 액세스 단말, 사용자 장비,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이라 지칭될 수도 있고, 이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4)은 셀룰러 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디바이스, 무선 모뎀,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단말(104)은 임의의 주어진 때에 다운링크(DL) 및/또는 업링크(UL) 상에서 0개, 1개 또는 다수개의 기지국들(104)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들(102)로부터 단말들(104)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 (또는 역방향 링크)는 단말들(104)로부터 기지국들(102)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중앙집중형 아키텍쳐(centralized architecture)에 대하여, 시스템 제어기(110)는 기지국들(102)에 커플링될 수 있고, 이러한 기지국들(102)에 대하여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10)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집합(collection)일 수 있다. 분산형 아키텍쳐에 대하여, 기지국들(102)은 필요에 따라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기지국들(102) 중 하나 및 단말들(104)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102) 및 단말(104)의 설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기지국(102)에서, 송신(TX) 데이터 및 제어 프로세서(212a)는 데이터 소스(미도시)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그리고/또는 제어기/프로세서(214a)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a)는 트래픽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포맷, 인코딩, 인터리빙 및 심볼 매핑)하여 변조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변조기(MOD)(216a)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한) 변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여 출력 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TMTR)(218a)는 출력 칩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안테나(220a)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단말(104)에서, 안테나(220b)는 기지국(102) 및 다른 기지국들(102)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기(RCVR)(222b)로 수신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222b)는 수신된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수신된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복조기(DEMOD)(224b)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한) 수신된 샘플들을 프로세싱하여 복조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RX) 데이터 및 제어 프로세서(226b)는 단말(104)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복조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심볼 디매핑,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단말(104)에서, 단말(104)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및 제어 정보는 TX 데이터 및 제어 프로세서(212b)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216b)에 의해 변조되며, 송신기(218b)에 의해 조정되고, 안테나(220b)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102)에서, 단말(104) 및 가능하게는 다른 단말들(104)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단말(104)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안테나(220a)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222a)에 의해 조정되며, 복조기(224a)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및 제어 프로세서(226a)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업링크 송신을 위한 프로세싱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프로세싱과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214a 및 214b)은 기지국(102) 및 단말(104)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228a 및 228b)은 기지국(102) 및 단말(104)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230)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을 위한 단말들(104)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시스템 자원들의 할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 및 장치는 광대역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 있다. 용어 "광대역 무선"은 주어진 영역 상에 무선, 음성, 인터넷 및/또는 데이터 액세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광대역 무선 액세스 표준들 상의 IEEE(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s) 802.16 워킹 그룹(Working Group)은 광대역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들의 글로벌 배치를 위한 형식적인 사양들을 준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802.16 표준 계열은 공식적으로 무선MAN이라 지칭되지만, 그것은 WiMAX 포럼이라 지칭되는 산업 그룹에 의해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의미하는) "WiMAX"라 지칭되었다. 따라서, 용어 "WiMAX"는 장거리들 상에서 높은-스루풋 광대역 접속들을 제공하는 표준-기반 광대역 무선 기술을 지칭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예들의 일부는 WiMAX 표준들에 따라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WiMAX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에 기초한다. OFDM은 최근에 다양한 높은-데이터-레이트 통신 네트워크에서 광범위한 채택(wide adoption)을 발견한 디지털 다중-캐리어 변조 기법이다. OFDM에 대하여, 송신 비트 스트림은 다수의 보다 낮은-레이트 서브스트림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서브스트림은 다중 직교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로 변조되고, 복수의 병렬 서브채널들 중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OFDMA는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 사용자들에게 서브캐리어들이 할당되는 다중 액세스 기법이다. OFDMA는 광범위하게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레이트들 및 서비스 품질 요건들로써 많은 사용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flexible) 다중-액세스 기법이다.
예시적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기존의 셀룰러 서비스 프로비저닝 모델에서, 고객은 단말 하드웨어를 수신하기 전에 먼저 서비스 제공자와의 계약에 서명한다. 그러나, 이것은 고객에게 오픈되지도 않고 유연하지도 않다. 서비스 제공자가 선택되면, 고객은 홈 서비스 제공자를 변경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어떠한 로밍 네트워크들 상에서 고객이 사용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완전한 제어를 가지는데, 그 이유는 단말로 서비스 제공자 자신의 관심에 따른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NAP) 기록 리스트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SP) 기록 리스트가 프로비저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WiMAX 네트워크들)에서, 2개의 상이한 타입들의 NAP/NSP 기록 리스트들 즉, 사용자-제어되는 리스트들 및 운용자-제어되는 리스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제어되는 리스트들은 운용자-제어되는 리스트들보다 우선시될 수 있다.
NAP 기록 리스트는 우선순위의 순서로 NAP 기록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NAP 기록은 채널 정보(예를 들어, 대역 클래스, 주파수 할당 인덱스, 대역폭 등), NAP 식별자, NAP 버보스 이름(verbose na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NSP 기록 리스트는 우선순위의 순서로 NSP 기록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NSP 기록은 우선순위 정보, NSP 식별자, NSP 버보스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고객이 NAP들 및 NSP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NAP들 및 NSP들을 선택할 기회를 가진 이후, 단말로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리스트들 및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리스트들이 프로비저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NAP)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물리적 링크를 제공하는 엔티티를 지칭한다. 용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SP)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들(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3D 게임,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액세스,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VoIP(Voice over IP) 등)을 제공하는 엔티티를 지칭한다. 용어 "NAP/NSP"는 NAP 및 NSP 또는 NAP 및 NAP의 조합을 지칭한다. NAP 및 NSP는 동일한 엔티티 또는 상이한 엔티티들일 수 있다. 따라서, 용어 "NAP/NSP"는 단일 엔티티(예를 들어, NAP, NSP, 또는 NAP 및 NSP 모두로서 기능하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고, 용어 "NAP/NSP"는 다수의 엔티티들(예를 들어, NAP으로서 기능하는 하나의 엔티티 및 NSP로서 기능하는 다른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의 예를 예시한다. 여기에서 논의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은 IEEE(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s) 802.16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332)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IEEE 802.16에 제한되어서는 안되고, 여기에서 논의되는 기법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다른 타입들에서 사용가능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소매점에서 단말(332)을 구매할 시에, 단말(332)은 그 안에 프로그래밍되는 디바이스 식별자(334)(예를 들어, MAC 주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단말(332)은 NAP/NSP 기록 리스트들 또는 사인-온(sign-on) 신원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고객에게 인스톨러(installer)(336)가 제공될 수 있다. 인스톨러(336)는 단말(332)로부터 고객에게 별도로 제공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플래시 드라이브 등)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스톨러(336)는 단말(332) 자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고객이 단말(332)을 처음 사용할 때, 고객은 인스톨러(336)를 실행시킬 수 있다. 고객이 인스톨러(336)를 실행시키는 것에 대한 다양한 가능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인스톨러(336)가 설치 CD 상에서 제공되는 경우, 그리고 단말(332)이 개인용 컴퓨터(PC) 카드인 경우, PC 카드는 설치 CD가 실행될 수 있는 노트북 PC로 플러깅(plug)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332)이 스마트 폰인 경우, 스마트 폰은 통신 포트(예를 들어,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SB) 포트)를 통해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PC에 접속될 수 있고, 이후 설치 CD가 PC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스톨러(336)가 단말(332) 상에 위치되는 경우, 인스톨러(336)는 단말(332) 상에서 직접 실행될 수 있다. 도 3에서, 인스톨러(336)는 단말(332)과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컴퓨팅 디바이스(338) 상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인스톨러(336)는 단말(332)로 하여금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시도하게 할 수 있다. 처음에, 인스톨러(336)는 단말(332)로 하여금 이용가능한 NAP들 및 NSP들에 대한 정보(340)를 결정하게 즉, 어떠한 NAP들 및 NSP들이 단말(33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지를 식별하게 할 수 있다. 단말(332)은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340)를 디스플레이하고, 단말(332)이 처음 사용되는 시간 동안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NAP 및 NSP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프롬프트(prompt)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NAP 및 NSP는 처음의(first-time) NAP/NSP라고 지칭될 수 있다. 처음의 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342)은 단말(33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33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처음의 NAP/NSP(444)에 대한 고객의 선택(342)이 이루어진 경우, 단말(332)은 처음의 NAP/NSP(444)와의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처음의 NAP/NSP(444)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이러한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단말(332)은 처음의 NAP/NSP(444)로 하여금 인증을 바이패스(bypass)하게 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이 PKMv2(Privacy Key Management protocol, version 2)에 따라 수행되는 경우, 단말(332)은 인증을 위한 신원(448)을 제공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 인스톨러(336)는 신원(448)으로서 DeviceID@ReservedDomain.com을 사용하도록 단말(332)을 구성할 수 있고, 여기서 디바이스 ID는 디바이스 식별자(334)(예를 들어, 단말(332)에 대한 MAC 주소)이고, ReservedDomain은 처음의 NAP/NSP(444)로 하여금 처음의 로그-온(log-on)을 인식하고 인증을 바이패스하게 하는 예약된 도메인 이름이다. 사용될 수 있는 예약된 도메인 이름(450)의 일 예는 "초기화"이다. 사용되는 구체적인 예약된 도메인 이름(450)은 표준 기구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처음의 NAP/NSP(444)(예를 들어, 처음의 NAP의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ASN))가 인증 메시지(446)를 수신할 시에, 처음의 NAP/NSP(444)는 그것이 예약된 도메인 이름(450)을 검출할 경우 인증을 바이패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단말(332)은 등록 및 사전-프로비저닝된 서비스 플로우 생성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사전-프로비저닝된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한 이후, 단말(332)은 단말(33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가능한 NAP들 및 NSP들에 대한 정보(551)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551)는 NAP들/NSP들이 단말(33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현재 위치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폭 넓고 다양한 NAP들/NSP들에 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말(332) 상의 웹 브라우저(552)는 이러한 정보(55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들(554)에 접속할 수 있다. 처음의 NAP/NSP(444)는 하나 이상의 IP 네트워크들(556)을 통해 웹사이트들(554)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객은 정보(551)를 보고, 다양한 NAP들 및 NSP들을 비교할 수 있다.
가능한 NAP들 및 NSP들에 대한 정보(551)는 단말(33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전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고객은 홈 NAP/NSP에 대한 선택(558)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트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홈 NAP/NSP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선택(560)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트될 수도 있다.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562)은 홈 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558) 및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고객의 선택(56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단말(332)은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562)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NAP/NSP 리스트 생성 컴포넌트(564)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단말(332)은 인증 크리덴셜들(566)에 대하여 프롬프트하고, 홈 NAP/NSP를 통한 인증에 사용하기 위한 인증 크리덴셜들(566)을 고객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인증 크리덴셜들(566)은 사인-온 신원(예를 들어, 사용자이름)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332)은 지불 정보(568)(예를 들어, 신용 카드 번호, 빌링(billing)을 위한 컨택 정보 등)에 대하여 프롬프트하고, 고객으로부터 지불 정보(568)(예를 들어, 신용 카드 번호, 빌링을 위한 컨택 정보 등)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인스톨러(336)는 고객이 선택된 홈 NAP/NSP를 통해 서비스에 사인 업(sign up)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NAP/NSP 웹사이트들(554)로 인증 크리덴셜들(566) 및 지불 정보(568)와 같은 관련 사인-업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HTTPS)은 이러한 통신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홈 NAP/NSP(672)가 선택되고, 고객이 홈 NAP/NSP(672)로부터의 서비스에 사인 업한 이후의 일부 시점에서, 단말(332)은 홈 NAP/NSP(672)와의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332)이 홈 NAP/NSP(672)와의 접속을 설정하였을 시에, 단말(332)은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674)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674)은 홈 NAP/NSP(672)의 운용자가 어떠한 NAP/NSP 기록들이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674)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과 유사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논의되는 프로시저들에 따르면, 단말(332)은 초기에 처음의 NAP/NSP(444)를 통해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처음의 NAP/NSP(444)는 이러한 시간 동안 단말(332)에 의해 소비되었던 자원들에 대한 정보(776)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776)는 단말(332)이 처음의 NAP/NSP(444)에 접속되었던 시간의 양, 처음의 NAP/NSP(444)를 통해 단말(332)에 의해 송신되었던 데이터의 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비되었던 자원들에 대한 정보(776)는 단말(332)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자(334)(예를 들어, MAC 주소)와 연관될 수 있다.
단말(332)의 서비스 프로비저닝이 완료된 이후의 소정의 시점에서, 처음의 NAP/NSP(444)는 홈 NAP/NSP(672)로 차지 요청(charge request)(778)을 전송할 수 있다. 차지 요청(778)은 단말(332)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자(334) 뿐만 아니라 서비스 차지(service charge)(780)(즉, 소비되었던 자원들에 대하여 처음의 NAP/NSP(444)가 차징하는 금액의 양)를 포함할 수 있다. 홈 NAP/NSP(672)는 고객으로부터의 서비스 차지(780)를 수집하고, 이후 처음의 NAP/NSP(444)로 이러한 지불을 포워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프로시저에 대안적으로, 처음의 NAP/NSP(444)는 고객으로 하여금 서비스 활성화에서 다음의 단계로 진행하게 하기 전에, 서비스 차지(780)에 대한 지불 정보(568)(예를 들어, 신용 카드 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처음의 NAP/NSP(444)는 서비스 차지(780)에 대하여 홈 NAP/NSP(672)로 빌링할 필요가 없다.
임의의 시점에서, 고객이 현재 홈 NAP/NSP(672)을 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고객은 홈 NAP/NSP(672)를 선택해제(de-select)하고, 새로운 홈 NAP/NSP(672)를 재-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인스톨러(336)를 실행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800)의 예를 예시한다. 방법(800)은 단말(3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고객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단말(332)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방법(80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소매점에서 단말(332)을 구입할 시에, 단말(332)은 그 안에 프로그래밍되는 디바이스 식별자(334)(예를 들어, MAC 주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단말(332)은 NAP/NSP 기록 리스트들(562, 674) 또는 사인-온(sign-on) 신원(448)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방법(800)은 단말(33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NAP들 및 NSP들에 대한 정보(340)를 결정하는 단계(802), 및 처음의 NAP/NSP(444)에 대한 고객의 선택(342)을 수신하는 단계(8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800)은 처음의 NAP/NSP(444)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8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처음의 NAP/NSP(444)에 접속하는 이러한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단말(332)은 처음의 NAP/NSP(444)로 하여금 인증을 바이패스하게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332)이 처음의 NAP/NSP(444)와의 접속을 설정하였을 시에(806), 단말(332)은 단말(33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가능한 NAP들 및 NSP들에 대한 정보(551)를 수신할 수 있다(808). 단말(332) 상의 웹 브라우저(552)는 이러한 정보(55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들(554)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551)는 고객으로 전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고객은 정보(551)를 보고, 다양한 NAP들 및 NSP들을 비교할 수 있다.
홈 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558)이 수신될 수 있다(810).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고객의 선택(560)이 수신될 수 있다(812).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562)은 홈 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558) 및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고객의 선택(56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814).
방법(800)은 고객이 선택된 홈 NAP/NSP(672)을 통해 서비스에 사인 업하는 것을 보조하는 단계(8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홈 NAP/NSP(672)에 대한 인증 크리덴셜들(566) 및 지불 정보(568)를 고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8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하나 이상의 NAP/NSP 웹사이트들(554)로 인증 크리덴셜들(566) 및 지불 정보(568)와 같은 관련 사인-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방법(800)은 홈 NAP/NSP(672)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8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674)은 홈 NAP/NSP(672)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822).
상기에서 설명되는 도 8의 방법(800)은 도 9에 예시되는 수단-플러스-기능(means-plus-function) 블록들(900)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8에 예시되는 블록들(802 내지 822)은 도 9에 예시되는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902 내지 922)에 대응한다.
상기 설명되는 서비스 활성화 프로시저들은 알려져 있는 방식들에 관련된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되는 프로시저들은 고객으로 하여금 서비스 활성화 동안 홈 NAP/NSP(672)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되는 프로시저들은 고객으로 하여금 선택된 홈 NAP/NSP(672)를 통해 고객 어카운트(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포함함)를 세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되는 프로시저들은 홈 NAP/NSP(672)로 하여금 단말(332)이 홈 NAP/NSP(672)와의 접속을 처음 설정하는 때에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674)의 가장 최근의 버전으로 단말(332)을 구성시키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안되는 프로시저들은 고객으로 하여금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562)에 NAP(들)/NSP(들)을 용이하게 추가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안되는 프로시저들은 고객으로 하여금 유연성을 가지고 홈 NAP/NSP(672)를 변경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또한, 본 발명은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 프로비저닝은 고객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모바일 WiMAX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기 전의 전제 조건들 중 하나이다. 상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서비스 프로비저닝은 NAP 기록 리스트, NAP 기록 리스트, 다른 서비스-관련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IP 주소), (예를 들어, username@domainname.com의 포맷에서의) 사인-온 신원으로 단말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하나의 방식은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의 소매점 또는 판매점에서 단말을 구매할 시에 단말을 구성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유연하지도 않고 최적이지도 않다. NAP/NSP 기록 리스트들은 종종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은 고객이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시작할 시에 가장 최근의 버전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고객이 단말을 구매할 시에 IP 주소로 단말을 구성시키는 것은 고객이 IP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기 전에 IP 주소 자원들을 소모(waste)한다. 마지막으로, 고객은 사인-온 신원을 자유롭게 선택하기를 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이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고객이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기 위해서 단말을 처음 사용할 시에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구성시키도록 허용되는 것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하여금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단말로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 모두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그리고 고객으로 하여금 사인-온 신원을 선택하게 하기 위한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OTASP) 프로시저들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기법들은 IEEE(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s) 802.16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구성되는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IEEE 802.16에 제한되어서는 안되고, 여기에서 기재되는 기법들은 다른 타입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고객이 NAP 및/또는 NSP와의 계약에 서명한 이후 본 발명에 따라 단말(1032)이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고객이 계약 (또는 계약들)에 서명한 엔티티 (또는 엔티티들)이 홈 NAP/NSP라고 지칭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예를 들어, 홈 NAP/NSP의 소매점 또는 판매점에서) 단말(1032)을 구매하고, 홈 NAP/NSP와의 계약에 서명할 시에, 단말(1032)로 오직 정보의 최소 양만이 프로비저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32)로 NAP/NSP 기록 리스트들(1082)이 프로비저닝될 수 있지만, NAP/NSP 기록 리스트들(1082)은 오직 홈 NAP/NSP에 대한 기록(1072)만을 포함할 수 있다. NAP/NSP 기록 리스트들(1082)은 이러한 시점에서 임의의 다른 NAP들/NSP들에 대한 기록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1032)에는 디바이스 식별자(1034)(예를 들어, MAC 주소)가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32)에는 디폴트 사인-온 신원(1084)이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다. 디폴트 사인-온 신원(1084)은 홈 NAP/NSP에 대응하는 도메인 이름(1088) 및 익명의 사용자 이름(108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32)에는 인증 크리덴셜들(1066) 즉, 단말(1032) 및/또는 고객을 인증하기 위한 크리덴셜들이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32)에는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서버의 IP 주소(1090)가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다. TFTP 서버의 IP 주소(1090)는 아래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단말(103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TFTP 서버의 IP 주소(1090)가 프로비저닝되는 대신, 단말(1032)은 아래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다른 방식들로 TFTP 서버의 IP 주소(1090)를 획득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방법(1100)의 예를 예시한다. 방법(1100)은 단말(1032), 홈 NAP(1192) 및 홈 NSP(119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방법(1100)은 홈 NAP(1192)의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ASN) 및 홈 NSP(1194)의 접속성 서비스 네트워크(CS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1032)에는 초기에 홈 NAP/NSP(1192, 1194)에 대한 기록들(1072)이 프로비저닝될 수 있다. 고객이 단말(1032)을 처음 사용할 시에, 단말(1032)은 NAP/NSP 기록 리스트들(1082)로부터의 홈 NAP/NSP 기록들(1072)을 사용하여 홈 NAP/NSP(1192)에 대하여 스캔할 수 있다. 단말(1032)은 홈 NAP/NSP(1192, 1194)이 단말(1032)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경우, 홈 NAP/NSP(1192, 1194)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1032)은 단말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모든 가능한 NAP들/NSP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고객은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에 사용되는 NAP/NSP를 선택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NAP/NSP에 대한 선택 이후, 단말(1032)은 초기 네트워크 엔트리 프로시저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엔트리 프로시저들은 인증에 선행하는, 레인징(ranging) 및 가입자 기본 용량(SBC) 협상(negotiation)(1198)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32)에 프로비저닝된 디바이스 식별자(1034)(예를 들어, MAC 주소) 및 익명의 사용자 이름(1086)은 인증 동안 사용될 수 있다(1199).
인증(1197)은 PKMv2(Privacy Key Management protocol, version 2)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PKMv2 인증(1197) 동안, 인증을 위한 연장가능한 인증 프로토콜(EAP) 메시지들은 EAP 프로토콜에 따라 단말(1032)에 의해 제공되는 도메인 이름 정보(1088)에 기초하여 홈 NSP(1194)의 인증, 허가 및 어카운팅(AAA) 서버로 포워딩될 수 있다. 홈 NSP(1194)의 AAA 서버는 단말의 디바이스 식별자(1034)(예를 들어, MAC 주소)에 기초하여 단말(1032)과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성공적인 인증(1197) 이후, 홈 NAP/NSP(1192, 1194)는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시작할 수 있고, 빌링이 시작될 수 있다.
단말(1032) 및 홈 NAP(1192)는 등록(1195)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32)은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을 사용하여 홈 NAP(1192)로부터 관리 IP 주소를 요청(1193)함으로써 관리를 위한 IP 접속성을 셋업할 수 있다. 단말(1032)은 홈 NAP(1192)의 부분일 수 있는 DHCP 서버로부터 TFTP 서버의 IP 주소(1090)를 수신할 수 있다(1191). DHCP 서버는 DHCPOFFER 또는 DHCPACK 패킷들 내의 DHCP 옵션 필드 내에 TFTP 서버의 IP 주소(109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32)은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홈 NSP(1194)의 부분일 수 있는 TFTP 서버에 컨택(1189)할 수 있다. 상기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1032)은 TFTP 서버의 IP 주소(1090)로 사전-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TFTP 서버의 IP 주소(1090)가 설명되는 바와 같이, DHCP 프로토콜 동안 획득될 수 있다. 단말(1032)이 다른 NAP들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로밍할 수 있으므로, 방문되는 NSP의 DHCP 서버는 단말(1032)에 의해 제공되는 도메인 이름 정보(1088)에 기초하여 홈 NSP(1194)의 TFTP 서버의 IP 주소(1090)를 전송하기 위해서 홈 NSP(1194)를 요청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단말(1032)이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한 이후(1187), 단말(1032)은 새로운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기 시작할 수 있다. 홈 NSP(1194)는 디바이스 식별자(1034)(예를 들어, MAC 주소)와 연관된 IP 주소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1185). TFTP 다운로드에서의 파일(들)은 완전한 NAP/NSP 기록 리스트들 및 IP 주소의 가장 최근의 버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32)은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고(1183), 새로운 IP 주소를 사용하여 IP 데이터 통신을 셋업할 수 있다. 새로운 IP 주소는 모바일 IP 주소, 단순한 IP 주소, IPv6 주소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단말(1032)은 고객으로 하여금 사용자 이름을 셋업(1181)하도록 프롬프트할 수 있다. 사용자 이름에 대한 고객의 선택이 수신되면, 단말(1032)은 디바이스 식별자(1034)(예를 들어, MAC 주소)와 연관된 새로운 사용자 이름을 전송하기 위해서 홈 NSP(1194)에 접속할 수 있다. 홈 NSP(1194)는 사용자 이름의 고유성(uniqueness)을 검증하고, 디바이스 식별자(1034)와 연관된 사용자 이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1179).
상기에서 설명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기법들은 알려져 있는 방식들과 관련한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기재되는 기법들은 유연성을 허용하기 위해서 NAP들/NSP들로 하여금 최소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단말에 프로비저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기재되는 기법들은 NAP들/NSP들로 하여금 고객이 네트워크에 처음 액세스하는 시간 동안 가장 최근의 그리고 가장 완전한 서비스 프로비저닝으로 단말을 구성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기재되는 기법들은 고객으로 하여금 고객이 네트워크에 처음 액세스하는 시간 동안 사용자 이름을 셋업하게 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단말(1232)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단말(1232)은 프로세서(12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14)는 범용 단일- 또는 다중-칩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ARM),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마이크로제어기,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214)는 중앙 처리 장치(CPU)라고 지칭될 수 있다. 단일 프로세서(1214)만이 도 12의 단말(1232)에 도시되지만, 대안적인 구성에서, (예를 들어, ARM 및 DSP와 같은) 프로세서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1232)은 메모리(1228)를 포함한다. 메모리(1228)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일 수 있다. 메모리(1228)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매체, 광학 스토리지 매체, RAM 내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프로세서와 함께 포함되는 온보드(onboard)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1277) 및 명령들(1275)은 메모리(1228)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들(1275)은 여기에서 기재되는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프로세서(1214)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명령들(1275)을 실행시키는 것은 메모리(1228)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1277)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32)은 단말(1232) 및 원격 위치 사이의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해서 송신기(1218) 및 수신기(12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1218) 및 수신기(1222)는 집합적으로 트랜시버(1273)라고 지칭될 수 있다. 안테나(1220)는 트랜시버(1273)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또한, 단말(1232)은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미도시).
단말(123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파워 버스(power bus), 제어 신호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서, 다양한 버스들이 버스 시스템(1271)으로서 도 12에 예시된다.
상기 설명에서, 참조 번호들은 때때로 다양한 용어들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용어가 참조 번호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되는 특정 엘리먼트를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가 참조 번호 없이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임의의 특정 도면으로 제한하지 않고 용어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 것"은 폭 넓고 다양한 동작들을 포괄하며, 이에 따라 "결정하는 것"은 계산하는 것, 컴퓨팅하는 것, 프로세싱하는 것, 유도하는 것, 조사하는 것, 검색하는 것(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검색하는 것), 확인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은 수신하는 것(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액세스하는 것(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은 해결하는 것, 선택하는 것, 선정하는 것, 설정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구 "기초하여"는 별도로 명백하게 표시되지 않는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어구 "기초하여"는 "~에만 기초하여" 그리고 "적어도 ~에 기초하여" 모두를 설명한다.
용어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일부 환경들 하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괄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PROM), 삭제가능한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PROM(EE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를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리고/또는 메모리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경우,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한다고 한다.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인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한다.
용어들 "명령들" 및 "코드"는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어들 "명령들" 및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기능들, 프로시저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명령들" 및 "코드"는 단일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문 또는 많은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들 "명령들" 및 "코드"는 여기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용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를 지칭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는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 disc, 디지털 다목적 disc(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들은 레이저를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송신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송신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기재되는 방법들은 설명되는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설명되는 방법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10에 의해 예시되는 것과 같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이 다운로드되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은 스토리지 수단(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그 결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스토리지 수단을 커플링시키거나 제공할 시에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상기에서 예시되는 명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수정들, 방법들 및 변형들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8)

  1.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open service provisioning) 방법으로서,
    처음의(first-time)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오버 디 에어(over the air)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가능한 NAP들/NSP들 중 하나로의 서비스에 대한 사인 업(sign up)을 하기 전에, 상기 처음의 NAP/NSP와 상기 오버 디 에어 접속을 통해 상기 가능한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능한 NAP들/NSP들로부터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로의 서비스에 대한 사인 업을 보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홈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고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NAP/NSP로부터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NAP/NSP에 대한 인증 크리덴셜(authentication credential)들 및 지불 정보를 상기 고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음의 NAP/NSP에 접속하는 것은 상기 처음의 NAP/NSP로 하여금 인증을 바이패스(bypass)하게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음의 NAP/NSP로 하여금 인증을 바이패스하게 하는 정보는 예약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8.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처음의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오버 디 에어 접속을 설정하고;
    가능한 NAP들/NSP들 중 하나로의 서비스에 대한 사인 업을 하기 전에, 상기 처음의 NAP/NSP와 상기 오버 디 에어 접속을 통해 상기 가능한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능한 NAP들/NSP들로부터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로의 서비스에 대한 사인 업을 보조하고; 그리고
    상기 홈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고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생성하도록 실행가능한,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홈 NAP/NSP로부터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다운로드하도록 실행가능한,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홈 NAP/NSP에 대한 인증 크리덴셜들 및 지불 정보를 상기 고객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실행가능한,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음의 NAP/NSP에 접속하는 것은 상기 처음의 NAP/NSP로 하여금 인증을 바이패스하게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처음의 NAP/NSP로 하여금 인증을 바이패스하게 하는 정보는 예약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5.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로서,
    처음의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오버 디 에어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가능한 NAP들/NSP들 중 하나로의 서비스에 대한 사인 업을 하기 전에, 상기 처음의 NAP/NSP와 상기 오버 디 에어 접속을 통해 상기 가능한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가능한 NAP들/NSP들로부터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로의 서비스에 대한 사인 업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홈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고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홈 NAP/NSP로부터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홈 NAP/NSP에 대한 인증 크리덴셜들 및 지불 정보를 상기 고객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19. 명령들을 가지고, 단말에 의한 오픈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처음의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에 대한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처음의 NAP/NSP와의 오버 디 에어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
    가능한 NAP들/NSP들 중 하나로의 서비스에 대한 사인 업을 하기 전에, 상기 처음의 NAP/NSP와 상기 오버 디 에어 접속을 통해 상기 가능한 NAP들/NSP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NAP들/NSP들로부터 홈 NAP/NSP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고객이 상기 홈 NAP/NSP로의 서비스에 대한 사인 업을 보조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홈 NAP/NSP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고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홈 NAP/NSP로부터 운용자-제어되는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홈 NAP/NSP에 대한 인증 크리덴셜들 및 지불 정보를 상기 고객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3.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가능한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들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들의 리스트로부터, 홈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가 아닌,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NAP/NSP를 선택하는 단계;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선택된 상기 NAP/NSP와 초기 네트워크 엔트리 프로시저들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선택된 상기 NAP/NSP로부터 그리고 오버 디 에어로,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오버 디 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 및
    IP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로우가 생성된 이후, 상기 방법은,
    사용자 이름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이름에 대하여 홈 NAP/NSP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익명의 사용자 이름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는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는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방법.
  28.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단말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가능한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들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들의 리스트로부터, 홈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가 아닌,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NAP/NSP를 선택하고;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선택된 상기 NAP/NSP와 초기 네트워크 엔트리 프로시저들을 수행하고;
    상기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선택된 상기 NAP/NSP로부터 그리고 오버 디 에어로,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오버 디 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고;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고;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고; 그리고
    IP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명령들은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로우가 생성된 이후, 상기 명령들은 또한,
    사용자 이름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이름에 대하여 홈 NAP/NSP에 통보하도록 실행가능한,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익명의 사용자 이름으로 인증을 수행하도록 실행가능한,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는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는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33.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로서,
    상기 단말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가능한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들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들의 리스트로부터, 홈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가 아닌,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NAP/NSP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선택된 상기 NAP/NSP와 초기 네트워크 엔트리 프로시저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상기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선택된 상기 NAP/NSP로부터 그리고 오버 디 에어로,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오버 디 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 및
    IP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들은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동작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로우가 생성된 이후 사용자 이름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이름에 대하여 홈 NAP/NSP에 통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35. 제 33 항에 있어서,
    익명의 사용자 이름으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서 구성되는 단말.
  36. 명령들을 가지고, 단말에 의한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가능한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들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들의 리스트로부터, 홈 네트워크 액세스 제공자/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AP/NSP)가 아닌,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NAP/NSP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선택된 상기 NAP/NSP와 초기 네트워크 엔트리 프로시저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상기 오버-디-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선택된 상기 NAP/NSP로부터 그리고 오버 디 에어로,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오버 디 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NAP/NSP 기록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오버 디 에어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비저닝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코드; 및
    IP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고객이 상기 단말을 처음 사용하는 때에 수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서비스 플로우가 생성된 이후 사용자 이름에 대한 상기 고객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이름에 대하여 홈 NAP/NSP에 통보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익명의 사용자 이름으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117011536A 2008-10-20 2009-10-09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291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54,781 US9204292B2 (en) 2008-10-20 2008-10-20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provisio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2/254,781 2008-10-20
PCT/US2009/060222 WO2010047979A2 (en) 2008-10-20 2009-10-09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provisio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104A KR20110086104A (ko) 2011-07-27
KR101291183B1 true KR101291183B1 (ko) 2013-08-08

Family

ID=4153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536A KR101291183B1 (ko) 2008-10-20 2009-10-09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04292B2 (ko)
EP (2) EP2351433B1 (ko)
JP (1) JP5323942B2 (ko)
KR (1) KR101291183B1 (ko)
CN (2) CN102187717B (ko)
TW (1) TW201018295A (ko)
WO (1) WO20100479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07995A1 (en) * 2011-06-03 2012-12-06 Bellomo Michael A Efficient provisioning of services and equipment
GB201121814D0 (en) * 2011-12-19 2012-02-01 Eseye Ltd Lifecycle configuration of mobile subscrib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8439B1 (en) * 1999-08-06 2004-06-08 Accelerated Network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internet service providers from a workstation that is connected to a local area network
US20080151851A1 (en) * 2006-12-08 2008-06-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451B1 (en) * 1999-07-14 2003-09-23 Bell Atlantic Mobile, Inc. Preferred roaming list and system select feature
US7266371B1 (en) * 2000-02-22 2007-09-04 Cingular Wireless Ii, Llc Activation and remote modification of wireless services in a packet network context
US6591098B1 (en) * 2000-11-07 2003-07-08 At&T Wireless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temporary electronic serial number for over-the-air activation of a mobile device
US20030069965A1 (en) * 2001-10-05 2003-04-10 Adc Telecommunications, Inc. Provisioning per cable modem
US7363354B2 (en) 2001-11-29 2008-04-2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accessing network services
US7221935B2 (en) * 2002-02-28 2007-05-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ederated single sign-on services
MXPA05001699A (es) * 2002-08-16 2005-07-22 Togewa Holding Ag Metodo y sistema para autentificacion gsm al navegar en wlan.
US8174970B2 (en) 2003-05-15 2012-05-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of implementing dynamic QoS and/or bandwidth provisioning and related data networks, data service providers, routing gateway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7565141B2 (en) * 2003-10-08 2009-07-21 Macaluso Anthony G Over the air provisioning of mobile device settings
US7212810B2 (en) * 2003-10-17 2007-05-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selection for wireless data services
US7610057B2 (en) 2004-04-23 2009-10-27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ng a wireless networking technology on a device capable of carrying ou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via multiple wireless technologies
US20060035631A1 (en) 2004-08-13 2006-02-16 Christopher White Wireless device service activation from the wireless device
US8194839B2 (en) * 2004-12-14 2012-06-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visioning proces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00411480C (zh) 2005-06-29 2008-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网络服务提供商选择的方法
CN100452921C (zh) 2005-07-08 2009-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网络服务提供商发现的方法及相应装置
CN101080087A (zh) 2006-05-25 2007-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发现方法
US20080172381A1 (en) * 2007-01-17 2008-07-17 Paul Suh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service providers with service requestors
US8621540B2 (en) * 2007-01-24 2013-12-3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in a download-enabled system
JP4104160B1 (ja) 2007-02-27 2008-06-18 原化成工業株式会社 ソフトカー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8439B1 (en) * 1999-08-06 2004-06-08 Accelerated Network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internet service providers from a workstation that is connected to a local area network
US20080151851A1 (en) * 2006-12-08 2008-06-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9937B1 (en) 2018-05-02
CN104836684A (zh) 2015-08-12
CN102187717B (zh) 2015-05-13
KR20110086104A (ko) 2011-07-27
WO2010047979A2 (en) 2010-04-29
EP2351433B1 (en) 2016-09-21
EP2469937A1 (en) 2012-06-27
US9204292B2 (en) 2015-12-01
JP5323942B2 (ja) 2013-10-23
EP2351433A2 (en) 2011-08-03
WO2010047979A3 (en) 2010-08-12
JP2012506228A (ja) 2012-03-08
CN102187717A (zh) 2011-09-14
CN104836684B (zh) 2019-01-29
US20100098035A1 (en) 2010-04-22
TW201018295A (en) 201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9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eSIM profile for iSSP device
US202201828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CN113796111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提供移动边缘计算服务的装置和方法
EP36378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provisioning of mobile entities for peer-to-peer service
US80502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iloring device provisioning based on device capability information communicated to network
US20170164212A1 (en) Network slice management
CN111263334A (zh) 向移动无线设备配置电子用户身份模块
US20070245007A1 (en) Automatic selection of a home agent
EP30793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access information in using removable external modem
CN110771188A (zh) 用于提供运营商专用服务的设备和方法
WO2015133640A1 (en) Communication system
US82139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via a mobile internet protocol registration
US11871227B2 (en) Device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353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KR101291183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20230300596A1 (en) Remote subscription profile download
EP38276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esim profile for issp device
CN101330761B (zh) 一种wimax系统及其接入方法
KR2021014782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네트워크 액세스 정보를 이전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1487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 정책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