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135B1 - 클램프 도어락 - Google Patents

클램프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135B1
KR101291135B1 KR1020110127387A KR20110127387A KR101291135B1 KR 101291135 B1 KR101291135 B1 KR 101291135B1 KR 1020110127387 A KR1020110127387 A KR 1020110127387A KR 20110127387 A KR20110127387 A KR 20110127387A KR 101291135 B1 KR101291135 B1 KR 10129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lock
bolt
doo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022A (ko
Inventor
박근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이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이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이엠아이
Priority to KR1020110127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1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와 체결되거나 또는 클램프 후크로부터 탈거되는 클램프 락을 핸들 조작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클램프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클램프 볼트; 상기 클램프 볼트를 감싼 상태로 상기 클램프 볼트와 체결되는 클램프 너트; 상기 클램프 너트와 상기 클램프 볼트가 관통되어 있고, 일측 끝단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를 통해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와 체결되는 클램프 락; 및 상기 클램프 너트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가 부착되어 있는 벽면에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램프 도어락{CLAMP DOOR ROCK}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산업용 기계의 도어(DOOR) 및 맨홀(MANHOLE) 뚜껑의 개폐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클램프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클램프 도어락은 산업용 기계의 도어 또는 맨홀의 뚜껑을 고정하거나 또는 개폐시키기 위해 산업용 기계 또는 맨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손잡이가 있고, 스프링이 손잡이 밑에 달려 있으며, 그 아래에 클램프 뭉치가 결합되어 있다.
종래의 클램프 도어락을 이용하여 도어 또는 뚜껑을 개폐시키는 경우, 클램프 뭉치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도어 또는 뚜껑을 개폐시키며, 특히, 스프링의 힘으로 클램프 도어락이 열린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 도어락은, 도어 또는 맨홀의 장착 또는 탈거시 클램프 뭉치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클램프 뭉치를 움직여야 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클램프 뭉치의 스프링 등에 끼워지는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 도어락은,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에 먼지가 끼는 등의 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클램프 도어락은 오염방지를 위한 설비가 요구되는 산업분야, 예를 들어, 반도체 관련 산업분야 등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와 체결되거나 또는 클램프 후크로부터 탈거되는 클램프 락을 핸들 조작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클램프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클램프 볼트; 상기 클램프 볼트를 감싼 상태로 상기 클램프 볼트와 체결되는 클램프 너트; 상기 클램프 너트와 상기 클램프 볼트가 관통되어 있고, 일측 끝단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를 통해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와 체결되는 클램프 락; 및 상기 클램프 너트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가 부착되어 있는 벽면에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와 체결되거나 또는 클램프 후크로부터 탈거되는 클램프 락을 핸들 조작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클램프 락이 클램프 후크에 체결되거나 또는 클램프 후크로부터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클램프 락을 핸들의 움직임에 연동시킴으로써, 핸들 조작만으로도 쉽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낄 수 있는 오염 요소들을 제거시킴으로써, 반도체 구조물 등과 같이 오염 방지가 요구되는 구조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클램프 도어락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킬 때, 클램프 뭉치를 손으로 고정시키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손이 클램프 뭉치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에 적용되는 보스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에 적용되는 클램프 락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을 이용하여 도어를 벽면에 밀착 고정시킨 후 다시 개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클램프 락(7)과 클램프 후크(15)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에 적용되는 보스(3)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에 적용되는 클램프 락(7)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13),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클램프 볼트(Clamp Bolt)(5), 상기 클램프 볼트를 감싼 상태로 상기 클램프 볼트와 체결되는 클램프 너트(Clamp Nut)(6), 상기 클램프 너트(6)와 상기 클램프 볼트(5)가 관통되어 있고 일측 끝단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72)를 통해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Clamp Hook)(15)와 체결되는 클램프 락(Clamp Lock)(7) 및 상기 클램프 너트(6)를 지지하며 벽면(31)에 장착되는 브라켓(8,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핸들부(1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클램프 볼트(5)의 일측 끝단이 내재될 수 있도록 클램프 볼트 홈(55)이 형성되어 있는 보스(Boss)(3), 상기 보스와 연결되어 있는 아암(Arm)(2), 상기 아암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Handle)(1) 및 상기 클램프 볼트(5)를 상기 클램프 볼트 홈(55)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보스(3)에 삽입되는 세트 스크류(Set Screw)(11)를 포함하고 있다.
핸들(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3)는 클램프 볼트(5)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보스(3)의 중심에는 클램프 볼트(5)가 내재될 수 있는 클램프 볼트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3)에는 보스의 외부로부터 클램프 볼트 홈(55)으로 관통되어 있는 세트 스크류 홀(54)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2)은 핸들(1)과 보스(3)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트 스크류(11)는 보스(3)에 형성되어 있는 세트 스크류 홀(54)을 통해 클램프 볼트 홈(55)으로 삽입되어, 클램프 볼트 홈(55)에 내재되어 있는 클램프 볼트(5)와 체결된다. 이를 위해 클램프 볼트(5) 중 클램프 볼트 홈(55)에 내재되는 부분에는 세트 스크류(11)가 체결될 수 있는 세트 스크류 삽입홈(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핸들부(13)는 아암(2)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에서는, 원형 형태의 핸들(1)이 아암(2)을 통해 보스(3)에 연결되어 있으나, 아암(2)과 같은 형태의 핸들(1)이 직접 보스(3)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핸들(1)은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을 이룰 필요가 없으며, 보스(3)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잡기 편한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 클램프 볼트(Clamp Bolt)(5)는 핸들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핸들부(1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클램프 너트(6)를 따라 직선운동을 한다. 즉, 클램프 볼트(5)는 핸들(3)과 고정되어 있으며, 클램프 너트(6)와 체결되어 핸들(3)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클램프 볼트(5)의 일측 끝단은 보스(3)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볼트 홈(55)으로 삽입되며, 보스(3)에 형성되어 있는 세트 스크류 홀(54)을 통해 클램프 볼트 홈(55)으로 삽입된 세트 스크류(11)와 세트 스크류 삽입홈(53)을 통해 체결된다. 즉, 클램프 볼트(5)의 일측 끝단이 핸들부(13)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부(13)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 볼트(5) 역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1)이 아암(2)과 연결되어 있고, 아암(2)이 보스(3)와 연결되어 있으며, 클램프 볼트(5)의 일측 끝단이 보스(3)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볼트 홈(55)에서 세트 스크류(11)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1)의 회전력은 클램프 볼트(5)에 인가될 수 있다.
클램프 볼트(5)의 외주면에는 클램프 너트(6)와 맞물려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부(1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클램프 볼트(5)는 클램프 너트(6)를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음, 클램프 너트(Clamp Nut)(6)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 볼트(5)를 가이드하여, 클램프 볼트(5)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클램프 너트(6)의 내주면에는 클램프 볼트(5)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예로서, 핸들(1)이 좌(우)로 회전하면, 클램프 볼트(5)는 클램프 너트(6)의 내주면을 따라 직선 전진(후진)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핸들(1)이 우(좌)로 회전하면, 클램프 볼트(5)는 클램프 너트(6)의 내주면을 따라 직선 후진(전진)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음, 클램프 락(Clamp Lock)(7)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락(7)의 내부로는 클램프 너트(6)와 상기 클램프 볼트(5)가 관통하고 있다. 클램프 볼트(5)를 감싸고 있는 클램프 너트(6)가 클램프 락(7)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클램프 락(7)은 클램프 볼트(5)와 클램프 너트(6)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클램프 락(7)의 개방된 양쪽 끝단 중 일측 끝단은, 핸들부(13)와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쉬(Bush)(4)에 의해 핸들부(13)의 보스(3)와 연결되어 있다. 부쉬(4)는 클램프 락(7)의 일측 끝단과 보스(3)의 끝단을 모두 연결시킬 수 있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클램프 락(7)이 부쉬(4)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보스(3)의 회전에 의해 부쉬(4)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클램프 락(7)은 회전되지 않는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클램프 락(7)이 부쉬(4)에 고정되어 있고, 부쉬(4)가 보스(3)에 고정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부쉬(4)가 보스(3)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스(3)가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클램프 락(7)이 회전되지는 않는다.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핸들(1)의 회전에 의해 보스(3) 및 클램프 볼트(5)가 회전되더라도, 클램프 락(7)은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클램프 락(7)이 부쉬(4)에 의해 클램프 볼트(5) 및 핸들부(13)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클램프 락(7)은 클램프 볼트(5)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둔턱(홈)에 구속되므로써, 핸들부(13) 및 클램프 볼트(5)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둔턱이란, 클램프 락(7)의 개방된 양쪽 끝단 중 일측 끝단이 체결되어 빠지지 않도록, 클램프 볼트(5)의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부쉬(4)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램프 락(7)을 클램프 볼트(5)와 핸들부(13)에 연결시키는 구성이 다른 구성들과 독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부쉬(4)라 하며, 클램프 볼트(5)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둔턱이라 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클램프 락(7)은 핸들(3)과 별개의 구성이지만, 클램프 볼트(5)에 있는 둔턱 또는 부쉬(4)에 구속됨으로써, 클램프 락(7)이 클램프 후크(15)와 체결이 풀린 후에도, 클램프 락(7)과 핸들(3)은 이격되지 않는다.
또한, 핸들(3)의 회전시 클램프 락(7)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래프 락(7)의 전면부에 장방향 렌치볼트 홀(71)을 파서 그 홀에 렌치 볼트(12)를 체결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렌치볼트(Lench Bolt)(12)는 클램프 락(7)의 표면에 형성되는 렌치볼트 홀(71)에 삽입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렌치볼트(12)는 고정자인 클램프 너트(6)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렌치볼트(12)는 클램프 락(7)의 전면부에 클램프 락(7)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치볼트 홀(71)에 걸려있다. 따라서, 회전부(13)가 회전되어 클램프 볼트(5)가 회전하면서 클램프 너트(6)를 따라 수직왕복 운동을 하더라도, 클램프 락(7)은 렌치볼트 홀(71)에 삽입되어 있는 렌치볼트(12)에 의해 회전될 수 없다. 즉, 클램프 락(7)은 렌치볼트(12)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클램프 볼트(5)를 따라 클램프 너트(6)의 표면에서 수직왕복 운동만 하게 된다.
클램프 락(7)의 표면에는 클램프 락 후크(Hook)(7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락 후크(72)는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Clamp Hook)(15)와 체결된다. 즉, 핸들(3)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 볼트(5)가 클램프 너트(6)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때, 클램프 락(7)이 함께 이동하면서, 클램프 락(7)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72)가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15)와 체결된다.
예를 들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 락(7)이 직선 전진 운동을 하면, 클램프 락(7)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72) 역시 직선으로 전진하게 되며, 이때,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15)에 클램프 락 후크(72)가 삽입됨으로써, 도어가 잠겨질 수 있다.
반대로, 핸들(1)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 락(7)이 직선 후진 운동을 하면, 클램프 락(7)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72) 역시 직선으로 후진하게 되며, 이때,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15)에 삽입되어 있던 클램프 락 후크(72)가 클램프 후크(15)로부터 탈거됨으로써,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즉, 클램프 락 후크(72)는 클램프 락(7)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운동을 하면서, 클램프 후크(15)에 삽입되거나 또는 클램프 후크(15)로부터 탈거되며, 이로 인해, 도어가 잠기거나 개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브라켓(Bracket)(8, 9, 10)은 제1브라켓(Bracket1)(8), 제2브라켓(Bracket2)(9) 및 핀(Pin)(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8)은 벽면(31)에 장착되어 있고, 두 개의 제2브라켓(9)이 제1브라켓의 상하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핀(10)의 양쪽 끝단은 두 개의 제2브라켓(9)에 물려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클램프 락(7)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72)가,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15)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 홈(15a)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사용자는 핸들부(13)를 왼쪽 방향으로 재끼게 되며, 이때, 클램프 너트(6)와 연결되어 있는 핀(10)이 두 개의 제2브라켓(9) 사이에서 회전됨으로써, 핸들(1)과 클램프 너트(6) 사이의 구성요소들이 도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모두 재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브라켓은 클램프 너트(6)의 일측 끝단을 지지하고 있으며, 구조물의 벽면(31)에 장착된다. 핸들부(13)에는 클램프 볼트(5)가 연결되어 있고, 클램프 락(7)은 핸들부(13)에 연결된 상태에서 클램프 볼트(5)와 클램프 너트(6)를 감싸고 있고, 클램프 볼트(5)는 클램프 너트(6)와 맞물려 회전하고 있으며, 클럼프 너트(6)는 브라켓(8,9)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핸들부(13), 클램프 락(7), 클램프 볼트(5) 및 클램프 너트(6) 모두가 브라켓(8, 9)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브라켓(8, 9, 10)은 구조물의 벽면에 다양한 체결수단,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구조물의 벽면(31)이란 도어(32)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은 다양한 종류의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건조기와 같은 구조물에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도어(32)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물에 장착되어, 구조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출입수단을 말하며, 벽면(31)이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자체를 말한다.
즉, 건조기와 같은 구조물은 외관을 형성하는 벽면(31)으로 구성되어 있고, 벽면(31) 중 어느 한 부분에는 벽면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에는 도어(32)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32)는 다양한 종류의 힌지를 통해 벽면(31)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어(3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클램프 후크(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후크(15)에 클램프 락 후크(7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이 벽면(31)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은, 핸들(1)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 락(7)을 클램프 너트(6)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진 시켜, 도어(32)를 벽면(31)에 탈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어(32)의 일측은 기본적으로 힌지 등을 통해 구조물의 벽면(31)에 연결되어 있으나, 나머지 측면들은 벽면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 도어(32)는 힌지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구조물의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구조물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32)의 또 다른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15)에, 구조물의 벽면(31)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의 클램프 락 후크(72)를 삽입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한 바와 같이 밀폐되어 있는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클램프 락 후크(72)를 클램프 후크(15)로부터 분리해 냄으로써, 도어(32)를 벽면(31)으로부터 분리시켜 개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을 이용하여 도어를 벽면에 밀착 고정시킨 후 다시 개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a)는 클램프 락(7)이 전진 이동하여 클램프 락 후크(72)가 클램프 후크(15)로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클램프 후크(15)와 클램프 락 후크(72)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클램프 락(7)이 후진 이동하여 클램프 락 후크(72)가 클램프 후크(15)로부터 탈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건조기 또는 반응기 등과 같은 구조물의 벽면(31)에는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어져 있는 개구부가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도어(32)가 개구부에 부착되어 있다. 즉, 도어(32)의 일측면은 힌지 등을 통해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면(31)에 장착되어 있어서 회전이 가능하다.
힌지가 연결되어 있는 일측면을 제외한 도어(32)의 나머지 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타측면)에는 클램프 후크(15)가 장착되어 있다.
구조물의 벽면(31) 중 타측면과 밀착될 수 있는 부분에는 클램프 후크(15)와 체결되거나 클램프 후크(15)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은 구조물의 벽면(31)에 장착되는, 핸들부(13), 클램프 볼트(5), 클램프 너트(6), 클램프 락(7), 브라켓(8, 9, 10)과, 구조물의 도어(32)에 장착되는 클램프 후크(15)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벽면(31)에 장착되는 핸들부(13), 클램프 볼트(5), 클램프 너트(6), 클램프 락(7) 및 브라켓(8, 9)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이 벽면(31)에 장착되는 핸들부(13), 클램프 볼트(5), 클램프 너트(6), 클램프 락(7) 및 브라켓(8, 9, 1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본 발명의 동작이 설명된다. 즉, 이하에서는, 벽면(31)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이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15)에 삽입되거나 또는 클램프 후크(15)로부터 탈거되는 동작이 설명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을 이용하여 도어(32)를 벽면(31)에 밀착 고정시키는 방법을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 도어락 및 클램프 후크(15)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클램프 도어락의 핸들(1)을 좌측(또는 우측) 방향(A)으로 회전하면, 핸들의 회전력이 보스(3)를 회전시키고, 보스(3)의 회전력이 클램프 볼트(5)에 인가되어 클램프 볼트(5)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B방향으로 회전한다.
클램프 볼트(5)는 회전하면서 클램프 너트(6)를 따라 벽면(31)에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8, 9, 10)) 방향(C)으로 전진 이동한다.
클램프 볼트(5)가 벽면(31)을 향한 C방향으로 전진 이동함에 따라, 클램프 볼트(5)에 연결되어 있는 클램프 락(7) 역시 벽면(31)을 향한 C방향으로 전진 이동한다.
클램프 락(7)이 벽면을 향한 C방향으로 전진이동함에 따라, 클램프 락(7)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72)가,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15)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 홈(15a)으로 삽입되기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 후크 홈(15a)에 클램프 락 후크(72)가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을 지속적으로 좌측(또는 우측) 방향(A)으로 회전시키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락 후크(72)가 클램프 후크 홈(15a)과 완전히 밀착되면서, 클램프 후크(15)를 벽면 방향(A)으로 밀착시킨다.
이로 인해, 클램프 후크(15)가 장착되어 있는 도어(32)가 벽면(31)에 밀착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도어락을 이용하여 벽면에 밀착 고정된 도어(32)를 벽면(3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을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 후크 홈(15a)에 클램프 락 후크(72)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우측(또는 좌측) 방향(X)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의 회전력이 보스(3)를 회전시키고, 보스(3)의 회전력이 클램프 볼트(5)에 인가되어 클램프 볼트(5)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Y방향으로 회전한다.
클램프 볼트(5)는 회전하면서 클램프 너트(6)를 따라 벽면(31에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8, 9, 10)과 반대되는 방향(Z)으로 후진 이동한다.
클램프 볼트(5)가 벽면(31)과 반대되는 C방향으로 후진 이동함에 따라, 클램프 볼트(5)에 연결되어 있는 클램프 락(7) 역시 벽면과 반대되는 C방향으로 후진 이동한다.
클램프 락(7)이 벽면과 반대되는 C방향으로 후진이동함에 따라, 클램프 락(7)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72)가, 도어(32)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15)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 홈(15a)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 후크 홈(15a)으로부터 클램프 락 후크(15)가 분리되기 시작한 상태에서, 핸들을 지속적으로 우측(또는 좌측) 방향(X)으로 회전시키면, 클램프 락 후크(72)가 클램프 후크(15)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서, 클램프 후크(15)가 장착되어 있던 도어(32)가 벽면(31)으로부터 분리돌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는 벽면으로부터 개방상태가 되며 사용자는 도어를 통해 구조물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핸들 2 : 아암
3 : 보스 4 : 부쉬
5 : 클램프 볼트 6 : 클램프 너트
7 : 클램프 락 71 : 렌치볼트 홀
72: 클램프 락 후크 8, 9, 10 : 브라켓
11 : 세트 스크류 12 : 렌치 볼트
13 : 핸들부 15 : 클램프 후크
15a : 클램프 후크 홈

Claims (6)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클램프 볼트;
    상기 클램프 볼트를 감싼 상태로 상기 클램프 볼트와 체결되는 클램프 너트;
    상기 클램프 너트와 상기 클램프 볼트가 관통되어 있고, 일측 끝단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락 후크를 통해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와 체결되는 클램프 락; 및
    상기 클램프 너트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가 부착되어 있는 벽면에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락의 표면에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시 상기 클램프 락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렌치볼트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치볼트 홀로는 렌치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 락은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으로 이동하는 상기 클램프 볼트와 함께 직선으로 이동하며, 상기 클램프 볼트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클램프 락 후크가 직선 이동을 하면서 상기 클램프 후크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후크 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클램프 후크 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도어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클램프 볼트의 일측 끝단이 내재될 수 있도록 클램프 볼트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스;
    상기 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 및
    상기 클램프 볼트를 상기 클램프 볼트 홈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보스에 삽입되는 세트 스크류를 포함하는 클램프 도어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락은,
    양쪽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 락의 내부로는 상기 클램프 너트와 상기 클램프 볼트가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클램프 락의 개방된 양쪽 끝단 중 일측 끝단은, 상기 핸들부가 회전하더라도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도어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락은,
    상기 핸들부와 상기 클램프 락 사이에 체결되는 부쉬에 의해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도어락.
  5. 삭제
  6. 삭제
KR1020110127387A 2011-11-30 2011-11-30 클램프 도어락 KR101291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387A KR101291135B1 (ko) 2011-11-30 2011-11-30 클램프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387A KR101291135B1 (ko) 2011-11-30 2011-11-30 클램프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022A KR20130061022A (ko) 2013-06-10
KR101291135B1 true KR101291135B1 (ko) 2013-08-01

Family

ID=4885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387A KR101291135B1 (ko) 2011-11-30 2011-11-30 클램프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07B1 (ko) 2013-05-29 2014-12-3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072U (ko) * 1993-11-20 1995-06-16 차량의 스티어링 휠 고정장치
KR200173799Y1 (ko) * 1997-10-18 2000-04-01 심명주 열교환기용 게이트의 개폐장치
KR200382669Y1 (ko) * 2005-01-24 2005-04-22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가열로 게이트의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072U (ko) * 1993-11-20 1995-06-16 차량의 스티어링 휠 고정장치
KR200173799Y1 (ko) * 1997-10-18 2000-04-01 심명주 열교환기용 게이트의 개폐장치
KR200382669Y1 (ko) * 2005-01-24 2005-04-22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가열로 게이트의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022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680B1 (ko) 잠금 및 개방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JPH11278628A (ja) コンベア構造の改良
JP4942561B2 (ja) 間接活線工具
EP3098114A1 (en) Cargo support device
JP6013094B2 (ja) 索条保持具
KR101291135B1 (ko) 클램프 도어락
BR112015000806B1 (pt) Aparelho de fixação elétrico para apertar uma peça de trabalho através da rotação de um braço de fixação
CN105459052A (zh) 批头自由锁取装置
RU2622816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дв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корпус механизма привода
CN100567686C (zh) 一种车门外开手柄拉索的挂接机构
KR101949792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JP5937051B2 (ja) 施錠装置
JP6651659B2 (ja) 自動ドア装置のカバー開閉用ヒンジ部材、自動ドア装置、及び、自動ドア装置のメンテナンス時における作業方法
JP5937049B2 (ja) 施錠装置
CN202970217U (zh) 防自转门锁
KR200470408Y1 (ko) 스탠드 고정 작업이 개선된 레버형 문손잡이
CN210565689U (zh) 螺钉闭锁锁具
CN205423693U (zh) 一种便捷重载拖链
CN220580794U (zh) 一种锁具
KR101403116B1 (ko) 맞춤핀 제거기
KR20100102308A (ko) 차량의 러기지네트 걸이용 노출형 후크의 설치구조
CN105464515A (zh) 一种计算机机柜控制系统
KR101168917B1 (ko) 도어 잠금 장치
KR200476444Y1 (ko)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용 클램프
KR20170042396A (ko) 모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