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923B1 - 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 - Google Patents

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923B1
KR101290923B1 KR1020110064978A KR20110064978A KR101290923B1 KR 101290923 B1 KR101290923 B1 KR 101290923B1 KR 1020110064978 A KR1020110064978 A KR 1020110064978A KR 20110064978 A KR20110064978 A KR 20110064978A KR 101290923 B1 KR101290923 B1 KR 101290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ipe
water filter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3563A (en
Inventor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영훈
Priority to KR102011006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923B1/en
Priority to CN201110364709.6A priority patent/CN102853194B/en
Publication of KR2013000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 단부에 연결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보조정수필터가 내장된 조인트 본체, 상기 조인트 본체의 일단 연결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이웃한 정수필터를 이음 연결하되, 이웃한 정수필터와의 거리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음관, 상기 조인트 본체의 타단 연결부에 결합되고, 내경의 반경방향으로 인서트판이 인서팅되는 콜레트 및 상기 조인트 본체의 타단 연결부 내측 및 콜레트의 안쪽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으로 구성되어 정수필터의 포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제공한다.
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포트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에 이웃 정수필터와의 연결을 위한 이음관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튜브관 및 이음관 측의 콜레트, 오링 등의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원가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따르면, 이를 통과하는 원수를 간단하게 재정수시키고, 정수된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따르면, 이음관의 길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정수필터 간의 이격 거리와 상관없이 정수필터 간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간단한 조립구조로 인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at both ends, the joint main body having a built-in auxiliary water filter inside, extends integrally from one end connection portion of the joint body to connect the adjacent water filter,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water filter The joint is adjustable in length,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the collet is inserted into the insert plat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diameter and the O-ring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and the inside of the collet to prevent leakage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joint-piece join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ort of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this joint-integrated joint, a joint that is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by a one-touch method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joint for connection with a neighboring water filter, so that a separate tube tube, a joint, or an o-ring, etc. Reduce the number of parts, reduce the cost of the cost of par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ne-piece joint joint,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it is simply re-repaired, and the purified water is not reversed to improve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joint-piece joint, the length of the joint can be adjusted, irrespective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water filters, the connection between the water filters is very easy and simple assembly structure improve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Description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

본 발명은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정수필터의 포트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고 이웃한 정수필터와 간단하게 연결되는 새로운 구조의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piece joi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joint-piece joint of a new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a port of a water filter in a one-touch manner and is simply connected to a neighboring water filt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생수 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 (原水)라 함)를 정화 또는 여과하는 장치로서, 원수(原水)를 다양한 종류의 필터링 (filtering) 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for purifying or filtering natural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w water) such as tap water, bottled water, or weak water, and the raw water is included in raw water by passing through various kinds of filtering means. It is a device that provides drinking water containing only substance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by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or harmful substances.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가 여러 단계의 정수필터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여 원수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 세균, 중금속 등을 여과시키는 단순 정화기능만을 갖는 일반 정수기와, 일반 정수기에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부가하여 원수를 정수함과 동시에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냉, 온수 정수기로 분류된다.Such a water purifier has a general water purifier having a simple purification function to filter raw impurities, bacteria, heavy metals, etc. included in raw water by passing raw water through several stages of water filters, and a cooling device and a heating device are added to the general water purifier. It is classified as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at provides cooling water or hot water by simultaneously cooling or heating wa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정수기의 정수필터는 세디멘트필터(1)(sediment filter), 프리카본필터(2)(pre-carbon filter),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3)(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필터(4)(post-carbon fil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water filter of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includes a sediment filter 1, a pre-carbon filter 2,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3, and a post. It comprises a carbon filter 4 (post-carbon filter).

세디멘트필터(1)는 수도꼭지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原水)중에 포함된 녹, 흙, 모래, 부유되는 고형물 등의 매크로사이즈의 이물질을 부직포에 의해 제거한다. The sediment filter 1 removes, by a nonwoven fabric, macro-sized foreign substances such as rust, soil, sand,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a hose connected to a faucet.

프리카본필터(2)는 콜의 광물질 또는 야자수 나무를 고온에서 태워서 만든 활성탄의 흡착방식에 의해 수중에 잔류되는 염소성분(트리할로메탄 등), 유기화학물질 등을 제거한다.The precarbon filter 2 removes chlorine components (trihalomethane, etc.), organic chemicals, etc. remaining in the water by the adsorption method of activated carbon made by burning minerals or palm trees at high temperatures.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3)는 폴리아마이드 복합막에 의해 0.0001미크론 크기의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수중의 세균, 무기물질, 중금속,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여과되는 불순물(농축수)는 조절밸브(5)를 통해 외부의 지정된 장소로 배출된다.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3 removes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bacteria, inorganic substances, heavy metals, carcinogens and bacteria in the water through micropores having a size of 0.0001 micron by using a polyamide composite membrane. Here, the impurities (concentrated water) to be filtered are discharged to the designated place outside through the control valve (5).

포스트카본필터(4)는 코코넛껍질 등을 사용하여 수중의 냄새, 가스 성분과 같은 이물질을 정수처리하고, 은이온을 첨가하여 미생물 번식을 차단하며, 물맛을 좋게 한다.The post carbon filter 4 uses a coconut shell or the like to purify foreign substances such as odors and gas components in the water, and adds silver ions to block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improve the taste of water.

이러한 다수의 정수필터들은 필터카트리지 연결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These multiple water fil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lter cartridge connecting devic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연결장치는 직렬형으로 이음 연결되는 정수필터의 포트(6)에 결합되는 콜레트(7)가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웃한 정수필터(1,2)를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의 튜브관(11)이 결합되는 콜레트(8)가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엘보우형 조인트(10)가 사용된다. 여기서, 콜레트(7,8)는 사출성형시 인서팅되는 스테인레스스틸재의 인서트판의 역걸림턱(9)에 의해 포트(6) 및 튜브관(11)이 수압 또는 진동에 의해 결합되는 반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포트(6) 및 튜브관(11)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조이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filter cartridge connecting device for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collet 7 coupled to a port 6 of a water filter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thereof, and adjacent water An elbow-type joint 10 in which the collet 8 to which the tube tube 11 of the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coup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is used to connect the filters 1 and 2 to each other. Here, the collets 7 and 8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port 6 and the tube tube 11 are coupled by hydraulic pressure or vibration by the reverse catching jaw 9 of the insert plate of the stainless steel inserted during injection mol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rt 6 and the tube tube 11 is pressurized so as not to be separated.

일 예로서, 세디먼트필터(1)와 프리카본필터(2)의 포트(6)에 엘보우형 조인트(11)를 각각 결합시킨 상태에서 소정길이를 갖도록 절단되는 튜브관(11)을 각각의 엘보우형 조인트(10)에 원터치 방식으로 끼워 맞춘다. 이때, 튜브관(11)은 콜레트(8)의 역걸림턱(9)에 의해 콜레트(8)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조인트(10) 내에 구비되는 오링(12)에 의해 콜렉트(8) 사이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As an example, each elbow is cut through a tube tube 11 which is cut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the elbow joint 11 is coupled to the port 6 of the sediment filter 1 and the precarbon filter 2. It is fitted to the type joint 10 in a one-touch manner. At this time, the tube tube 1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llet 8 by the reverse catching jaw 9 of the collet 8, and between the collector 8 by the O-ring 12 provided in the joint 10. Leakage is prevented.

또한, 정수필터를 점검 또는 교체하기 위해 엘보우형 조인트(10)로부터 튜브관(11)을 분리시킬 경우, 콜레트(8)의 외측단을 축 방향으로 가압시키면 콜레트(8)의 탄성편(8a)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되고, 이로 인해 튜브관(11)에 대한 역걸림턱(9)의 가압력이 약해져 콜레트(8)로부터 튜브관(11)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separating the tube tube 11 from the elbow-type joint 10 to check or replace the water filter, when the outer end of the collet 8 is press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elastic piece 8a of the collet 8 This radial direction is expanded, which causes the pressing force of the reverse catching jaw 9 against the tube tube 11 to be weakened so that the tube tube 11 can be separated from the collet 8.

그러나, 종래 엘보우형 조인트는 양단에 각각 콜레트(7,8)가 결합됨으로 인하여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웃한 필터에 이음 연결할 수 있도록 콜레트(8)에 튜브관(11)을 끼움결합하고 분리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bow joint, the collet 7 and 8 are coupled to both ends thereof,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very complicated, and the tube tube 11 is fitted to the collet 8 so as to be connected to a neighboring 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paration operation is not easy.

또한, 오링(12), 콜레트(7,8), 튜브관(11) 등 결합부품이 많음으로 인해 원가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제품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며, 튜브관의 결합 및 분리작업시 튜브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large number of coupling parts such as O-rings 12, collets 7, 8, and tube tubes 11, the cost of the products is increased, and the completeness of the product is low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ube is damaged.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필터의 포트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와 이웃 정수필터와의 연결을 위한 이음관을 일체로 구비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간단한 조립구조로 연결 및 분리작업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며, 이웃한 정수필터와의 거리에 따라 이음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결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touch joint to the port of the water filter and a joint pipe for connecting the neighbor water filter integrally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so that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peration is very easy with a simple assembly structure.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jointed joint integral joi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connection work by allowing the length of the jointed pip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neighboring water filt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인트 내에 보조정수필터를 내장하고, 정수된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여 정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oint-integrated joint that has a built-in auxiliary water filter in the joint and improves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by preventing the purified water from flowing ba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는 내부에 보조정수필터가 내장되고, 타단부에 연결부가 구비되는 조인트 본체; 상기 조인트 본체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이웃한 정수필터를 이음 연결하되, 이웃한 정수필터와의 거리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음관; 상기 조인트 본체의 연결부에 결합되고, 내측면에 역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콜레트; 및 상기 조인트 본체의 연결부 내측 및 콜레트의 안쪽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으로 구성되어 정수필터의 포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Joint pipe integral typ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joint body having a secondary water filter is built therein,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A joint pipe extending integrally from one end of the joint body to jointly connect a neighboring water filter, the length of whic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neighboring water filter; A collet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joint body and having a reverse jaw protruding from an inner side thereof; And an O-ring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of the joint body and the inside of the collet to prevent leakage, and coupled to a port of the water filter.

상기 이음관에는 이웃하는 정수필터와의 거리에 따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절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join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groov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us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neighboring water filter.

또한, 상기 이음관은 이웃하는 정수필터와의 거리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측관과 내측관이 단계적으로 삽입 또는 전개되는 안테나식 다단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join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is made of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is inserted or deployed step by step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neighboring water filter.

또한, 상기 이음관에는 이웃하는 정수필터와의 거리에 따라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적층 결합이 가능한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mber capable of continuously stacking coupling is coupled to extend the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to the neighboring water filter.

그리고, 상기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는 이음관과 이웃 정수필터 포트에 결합되는 타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의 이음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관연결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joint pipe integral j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ip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joint pipe of the joint pipe joint and the joint joint of the joint pipe joint with the adjacent water filter port.

그리고, 상기 조인트 본체의 일단부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one end of the join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n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s inserted.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측에는 정수된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join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is further provided so that purified water does not flow back.

본 발명의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포트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에 이웃 정수필터와의 연결을 위한 이음관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튜브관 및 이음관 측의 콜레트, 오링 등의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원가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joint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is connected to the port of the water filter in a one-touch manner by integrally provided with a joint pipe for connection with the neighboring water filter, separate tube tube and joint pipe side, collet, O-ring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such as cost reduction due to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parts.

또한,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따르면, 이를 통과하는 원수를 간단하게 재정수시키고, 정수된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joint-piece join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by simply re-refining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it, and preventing the purified water from flowing back.

또한,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따르면, 이음관의 길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정수필터 간의 이격 거리와 상관없이 정수필터 간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간단한 조립구조로 인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joint of the joint structure, the length of the joint can be adjusted, irrespective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water filters, the connection between the water filters is very easy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venience of work is improved due to the simple assembly structure.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정수필터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엘보우 조인트와 튜브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서 이음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서 이음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가 사용되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가 사용되는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state of use of a water filter of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igure 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elbow joint and tube tub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int integral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integral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of a joint of a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am pipe in the seam joint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a seam pipe in the seam joint of FIG. 1;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joint-piece joi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joint-piec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부분을 나타낸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joint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s of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part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서 이음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서 이음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integral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integral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integral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joint pipe in the joint pipe joint of Figure 3,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joint pipe in the joint pipe joint of Figure 3;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는 조인트 본체(110), 이음관(120), 콜레트(130), 오링(1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3 to 5,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oint body 110, a joint pipe 120, a collet 130, and an o-ring 140.

조인트 본체(110)는 정수필터의 설치방향 또는 배관의 구성방향에 따라‘ㄱ자형’또는‘―자형’형상의 중공 관으로 이루어지고, 중공 관의 타단부에 연결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공관의 중앙에는 보조정수필터(111)가 내장된다. The joint main body 110 is formed of a hollow tube of "a" or "-shaped" shap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water filter or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 the connection portion 11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And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is built in the center of the hollow tube.

여기서, 보조정수필터(111)는 세디멘트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필터(post-carbon filter) 중 어느 하나의 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is any one of a sediment filter, a pre-carbon filter,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and a post-carbon filter. Is preferably used.

그리고, 조인트 본체(110)의 내측에는 보조정수필터(111)에 의해 정수된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보조정수필터(111)의 후방에 역류방지판(11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류방지판(114)은 보조정수필터(111)에 의해 정수된 물의 수압에 의해 개방되고, 정수된 물이 역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역류방지판(114)은 정수필터의 설치방향 또는 배관의 구성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ckflow preventing plate 114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so that the water purified by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does not flow back inside the joint body 110. The non-return plate 114 is open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purified by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and prevents the purified water from flowing backward. Here, the non-return plate 114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water filter or the configuration direction of the pipe.

또한, 조인트 본체(110)의 일단부 즉, 후술되는 이음관(120)이 연장되는 단부 내측에는 안착부(113)가 마련되고, 안착부(113)에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거름망(115)이 장착된다. 여기서, 거름망(115)은 보조정수필터(111)의 전방에 위치되어 이음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보조정수필터(111)를 거치기 전에 이물질을 먼저 걸러내도록 함으로써 보조정수필터(111)의 정화기능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a seating portion 11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joint body 110, that is, at an inner 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joint pipe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trainer 115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matters from the seating portion 113. Is fitted. Here, the strainer 115 is located in front of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so th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joint pipe 120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befor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Improves the cleansing function of

이음관(120)은 조인트 본체(110)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길게 연장되어 이웃한 정수필터(103)를 연결하며, 이웃한 정수필터(103)와의 거리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The joint pipe 120 is integrally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joint body 110 to connect the neighboring water filter 103, and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neighboring water filter 103.

여기서, 이음관(120)의 길이 조절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를 길게 형성한 이음관(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절개홈(121)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정수필터(103)와의 거리에 따라 이음관(120)을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절개홈(121)의 깊이는 이음관(120) 두께의 1/2 정도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방식에 따라 이음관(120)의 단부 및 절개홈(121)의 후방에는 고정홈(127)이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이음관(120)의 절개홈(121)을 절단하여 길이를 단축시키더라도 이음관 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Here, the length of the fitting pipe 120 is adjusted to form a cut groove 1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ipe 120 formed with a long length as shown in Figures 3 to 5 adjacent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103 to be able to use the cut pipe 120.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incision groove 121 is preferably to form a groove about 1/2 of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120). 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127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t the end of the joint pipe 120 and the rear of the cutting groove 121 according to the coupling method. This is to cut the cutting groove 121 of the fitting pipe 120 to shorten the length so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tting pipe to facilitate the coupling.

또한, 이음관(120)의 길이조절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관(120)을 외측관(122)과 내측관(123)이 단계적으로 삽입 또는 전개되는 안테나식 다단구조로 형성하여 이웃하는 정수필터(103)와의 거리에 따라 다단의 이음관(120)을 전개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6(a)는 다단의 이음관(120)이 전개되어 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다단의 이음관(120)이 삽입되어 길이가 단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외측관(122)과 내측관(123) 사이에는 오링(124)이 삽입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joint pipe 120 is formed by the antenna-type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pipe 122 and the inner pipe 122 and the inner pipe 123 are stepwise inserted or deployed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by expanding the joint pipe 120 of the multi-stage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water filter 103. Here, Figure 6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multi-stage joint pipe 120 is deployed and extended, Figure 6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multi-stage joint pipe 120 is inserted and shortened. It is shown. At this time, the O-ring 124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tube 122 and the inner tube 123 to prevent the leakage occurs.

또한, 이음관(120)의 길이조절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관(120)이 기본 이음관(120-1)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위 이음관(120-2)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본 이음관(120-1)은 조인트 본체(11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일단의 외측면에 원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합홈(120-1a)이 형성된다. 단위 이음관(120-2)은 기본 이음관(120-1)의 결합홈(120-1a)에 삽입되는 내향 플랜지(120-2b)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향 플랜지(120-2b) 반대 쪽의 타단에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결합관(120-2a)이 형성되되, 이러한 결합관(120-2a)의 선단에 외향 플랜지(120-2c)가 형성되어 외향 플랜지(120-2c)와 관 본체의 사이에 내향 플랜지(120-2b)의 결합홈(120-2d)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위 이음관(120-2)이 기본 이음관(120-1)에 연결되는 첫 번째 단위 이음관(120-2)을 시작으로 일렬로 서로 연결되어 그 수의 조절을 통해 이음관(1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이음관(120-1)의 내면 및 단위 이음관(120-2)의 외면 사이 그리고 단위 이음관(120-2)의 내면 및 인접하여 연결되는 다른 단위 이음관(120-2)의 외향 플랜지(120-2c) 사이에 개별적으로 오링(126)이 설치되며, 이러한 오링(126)은 누수 방지 기능을 한다.
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tting pipe 120 is a shape in which the fitting pipe 120 includes a basic fitting pipe 120-1 and one or more unit fitting pipes 120-2 as shown in FIG. 7. It can be made by. That is, the basic joint pipe 120-1 i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joint body 110, and the coupling groove 120-1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unit joint pipe 120-2 has an inward flange 120-2b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0-1a of the basic joint pipe 120-1 at one end thereof, and is opposite to the inward flange 120-2b.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ipe 120-2a having a reduced diameter is formed is formed, the outward flange (120-2c)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upling pipe (120-2a) and the outward flange (120-2c) Coupling grooves 120-2d of inward flanges 120-2b are formed between the tube bodies.
Accordingly, the unit fitting pipe 120-2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w, starting with the first unit fitting pipe 120-2 connected to the basic fitting pipe 120-1, an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number of joint pipes ( 120) can adjust the overall length.
An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basic joint pipe 120-1 and an outer surface of the unit joint pipe 120-2, and an outer side of the other unit joint pipe 120-2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joint pipe 120-2 and adjacent thereto. O-rings 126 are separately installed between the flanges 120-2c, and these o-rings 126 serve to prevent leakage.

콜레트(130)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를 정수필터(101)의 포트(102)에 원터치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조인트 본체(110)의 타단 연결부(112)에 결합되어 조인트 본체(110)와 정수필터의 포트(102)를 연결시킨다. 즉, 콜레트(130)의 외측면이 조인트 본체(110)의 타단 연결부(112)에 결합되고, 내측면으로 정수필터의 포트(102)가 끼움되어 연결된다. The collet 130 is for one-touch coupling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to the port 102 of the water filter 101. The collet 13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connecting portion 112 of the joint body 110 and the joint body 110. The port 102 of the water filter is connected.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collet 13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connecting portion 112 of the joint body 110, the port 102 of the water filt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is connected.

콜레트(130)는 길이방향으로 슬롯(131)이 형성된 탄성편(132)의 내경에 반경 방향으로 역걸림턱(133)이 형성되며, 역걸림턱(133)은 콜레트(130)의 내측으로 정수필터의 포트(102)가 끼움되면 포트(102)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정수필터(101)에 유입되는 정수의 압력 또는 외부로부터 정수필터(101)에 가해시는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해 정수필터의 포트(102)로부터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역걸림턱(133)은 콜레트(130)의 사출성형시 반경 방향으로 인터스판이 인서팅되어 형성된다. The collet 130 has a reverse catching jaw 133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elastic piece 132 having the slot 13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verse catching jaw 133 is purified to the inside of the collet 130. When the port 102 of the filter is fitte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rt 102 is fixed by pressing. This prevents the joint-type joint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rt 102 of the water filter due to the pressure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filter 101 or the impact and vibration applied to the water filter 101 from the outside. do. Here, the reverse catching jaw 133 is formed by inserting the interspan in the radial direction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collet 130.

오링(140)은 조인트 본체(110)의 타단 연결부(112) 내측에 구비되되, 콜레트(130)의 안쪽에 위치한다. 즉, 연결부(112)의 내측에 오링(140)이 구비된 상태에서 콜레트(130)가 결합되면 콜레트(130)와 연결부(112)의 상호 밀착에 의해 오링(140)이 탄성 변형되면서 연결부(112)와 콜레트(130), 콜레트(130)와 정수필터 포트(102)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O-ring 140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end connection portion 112 of the joint body 110, it is located inside the collet (130). That is, when the collet 130 is coupled while the O-ring 140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112, the O-ring 14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collet 130 and the connection part 112, and thus the connection part 112 is connected. ) And the leak between the collet 130, the collet 130, and the water filter port 102.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를 이용하여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연결의 사용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n example of using a filter cartridge connection for a water purifier using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가 사용되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정수필터(101)의 포트(102)에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의 콜레트(103) 측을 결합하고, 이웃하는 타측 정수필터(103)의 포트(104)에 다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의 콜레트(103) 측을 결합한 다음, 두 이음관(120)을 관연결구(150)로 연결시킴으로써 일측 정수필터(101)와 이웃하는 타측 정수필터(103)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8, the collet 103 side of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is coupled to the port 102 of the one side water filter 101, and to the port 104 of the neighboring other water filter 103. After coupling the collet 103 side of the other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and then connecting the two joint pipes 120 to the pipe connector 150 to connect the one side water filter 101 and the neighboring other water filter 103. You can do it.

여기서, 관연결구(150)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이음관(104)을 연결할 수 있는 통상의 관연결구는 모두 적용가능하며, 도시된 도면의 우측 상태와 같이 이음관(104)을 관연결구(150)에 밀어 끼우면 잠금링(151)이 돌출되면서 이음관(104)을 관연결구(150)에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잠금링(151)을 화살표방향으로 밀면 잠금이 해제되어 이음관(104)은 좌측의 상태와 같이 쉽게 빠질 수 있는 연결방식을 갖는 관연결구(15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ipe connector 150 is applicable to all of the conventional pipe connectors that can connect the pipe 104 without leaking, the pipe (104) as shown in the right state of the drawing shown in the pipe ( 150, the locking ring 151 protrudes and the fitting pipe 104 is fixed to the pipe connector 150, and in this state, the locking ring 151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release the lock, thereby connecting the fitting pipe 104. It is preferable to use a pipe connector 150 having a connection method that can be easily removed as shown in the left state.

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면, 일측 세디먼트 필터(101)의 포트(102)에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의 콜레트를 결합하고, 이웃하는 타측의 프리카본 필터(103)의 포트(104)에 다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의 콜레트를 결합한 다음, 두 이음관(120)을 관연결구(150)를 사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세디먼트 필터(101)와 프리카본 필터(103)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이음관(120)은 필터들(101,103) 간의 거리에 따라 길이조절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관연결구(15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For example, in other words, the joint of the joint of the pipe joints is coupled to the port 102 of the one side sediment filter 101, and the joint of the other joint is connected to the port 104 of the neighboring free carbon filter 103. After coupling the collet of the joint 100, the sediment filter 101 and the precarbon filter 103 are connected by connecting two joint pipes 120 using the pipe connector 150. At this time, the pipe 120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lters (101, 103)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pipe connector (150).

따라서, 수도꼭지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原水)는 세디먼트 필터(101)를 거치면서 원수 중에 포함된 녹, 흙, 모래, 부유되는 고형물 등이 걸러져 1차 정수가 이루어지고, 1차 정수가 이루어진 원수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의거름망(115) 및 보조정수필터(111)를 통과하면서 세디먼트 필터(101)에서 미처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이 걸러져 2차 정수가 이루어지며, 이음관(120)을 통과하여 타측의 다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로 안내되는 원수는 조인트 본체(110)내의 거름망(115) 및 보조정수필터(111)에 의해 3차 정수가 이루어진 다음 프리카본 필터(103)로 유입되며, 프리카본 필터(103)는 원수 중에 잔류되는 염소성분(트리할로메탄 등), 유기화학물질 등을 제거시킨다. Therefore,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hose connected to the faucet is filtered through the sediment filter 101, and rust, soil, sand, suspended solid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raw water are filtered to form a primary purified water. The raw water is made of a secondary filter is made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net 115 and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of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the foreign matter not filtered by the sediment filter 101 is filtered. The raw water guided to the other joint-integrated joint 100 on the other side through the 120 is made of a tertiary constant by the strainer 115 and the auxiliary water filter 111 in the joint body 110, and then the pre-carbon filter 103 ), The precarbon filter 103 removes chlorine components (trihalomethane, etc.), organic chemicals, etc. remaining in the raw water.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프리카본 필터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membrane filter), 그리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와, 포스트카본필터(post-carbon filter)등이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로 연결되어 정수가 이루어진다. In this manner, the pre-carbon filter,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the post-carbon filter,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to perform water purification.

각 필터들을 연결하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는 통과하는 원수를 간단하게 재정수시키고, 정수된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 한가지 구성을 각각의 정수필터 포트(102,104)에 결합하고 이음관(120)을 관연결구(150)로 연결시킴으로써, 각 정수필터(101,103)를 간단한 구성으로 이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별도의 튜브관 및 이음관 측의 콜레트, 오링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해당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원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 joint-integrated joint 100 connecting the respective filters simply improves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by simply re-refining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and preventing the purified water from flowing back. In addition, by coupling one component of the joint pipe 100 to each of the water filter ports 102 and 104 and connecting the pipe 120 to the pipe connector 150, the joints of each of the water filters 101 and 103 in a simple configuration In addition, it is unnecessary to use separate collet and o-rings on the tube and joint pipe sid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corresponding part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가 사용되는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joint-piec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정수필터(101)의 포트(102)에 종래의 엘보우 조인트(10)의 콜레트(7)를 결합하고, 이웃하는 타측 정수필터(103)의 포트(104)에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의 콜레트(130)를 결합한 다음,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의 이음관(120)을 종래 튜브관이 결합되었던 엘보우 조인트(10)의 콜레트(8)측에 결합하여 이음 연결한다. As shown in FIG. 9, the collet 7 of the conventional elbow joint 10 is coupled to the port 102 of the one side water filter 101, and connected to the port 104 of the neighboring other water filter 103. After joining the collet 130 of the one-piece joint 100, the joint pipe 120 of the one-piece joint 100 is coupled to the collet 8 side of the elbow joint 10 to which the conventional tube was joined Connect.

이때, 이음관(120) 단부의 외주연에는 엘보우 조인트 콜레트(8)의 역걸림턱(9)이 걸림될 수 있는 환형의 고정홈(127)을 형성하여 엘보우 조인트의 콜레트(8)로부터 이음관(12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joint pipe 120 forms an annular fixing groove 127 to which the reverse catching jaw 9 of the elbow joint collet 8 can be engaged, thereby forming the joint pipe from the collet 8 of the elbow joint. It is desirable that 120 is not separated.

따라서,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는 종래의 엘보우 조인트(10)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음에 따라 적용범위가 다양하고, 종래의 부품을 활용하면서도 불필요한 부품은 줄일 수 있어 교체비용 및 원가비용을 절감시키며, 이음관(120)의 길이조절 및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교체 및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Therefore,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may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elbow joint 10,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varied, and unnecessary parts can be reduced while utilizing the conventional parts, thereby reducing the replacement cost and the cost cost. , Due to the length adjustment and simple configuration of the pipe 120 is very easy to replace and install.

또한,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는 종래의 엘보우 조인트(10)와 같이 사용하더라도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100)를 통과하는 원수를 간단하게 재정수시키고, 정수된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even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ventional elbow joint 10, simply re-refine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100, and purified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Will be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정수필터 102: 정수필터 포트 103: 이웃정수필터 104: 이웃정수필터 포트
100: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 110: 조인트 본체
111: 보조정수필터 112: 연결부
114: 역류방지판 115: 거름망
120: 이음관 121: 절개홈
122: 외측관 123: 내측관
124,126: 오링 125: 연결부재
127: 고정홈 130: 콜레트
131: 슬롯 132: 탄성편
133: 역걸림턱 140: 오링
150: 관연결구 151: 잠금링
101: water filter 102: water filter port 103: neighbor water filter 104: neighbor water filter port
100: one-piece joint 110: joint body
111: auxiliary water filter 112: connection
114: check valve 115: strainer
120: joint pipe 121: incision groove
122: outer tube 123: inner tube
124,126: O-ring 125: connecting member
127: fixing groove 130: collet
131: slot 132: elastic piece
133: reverse jaw 140: O-ring
150: connector 151: locking ring

Claims (7)

정수필터의 포트와 간접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보조정수필터가 내장되는 조인트 본체;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에 그 포트를 간접 연결하는 정수필터 및 이와 이웃한 다른 정수필터를 이음 연결하되 외측관 및 내측관이 단계적으로 삽입 또는 전개되는 안테나식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이음관;
상기 이음관에 다른 조인트 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이음관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상기 조인트 본체의 연결부에 그 외측면이 결합되고, 그 내측면에 정수필터의 포트가 끼움되어 연결되는 콜레트;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정수필터에 의해 정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보조정수필터를 지나 유입되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판;
상기 조인트 본체의 연결부 내면 및 상기 콜레트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
상기 조인트 본체의 상기 이음관과 연결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
A joint body having a connection part for indirect connection with a port of the water filter and having an auxiliary water filter built therein;
It i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joint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and the other water filter adjacent to the connection in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f an antenna-type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is inserted or deployed step by step Adjustable joint pipe;
A pipe connector for connecting a joint pipe extending integrally from another joint body to the joint pipe;
The outer sid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joint body, the inner side of the collet is connected to the port of the water filter is fitted;
A backflow prevention plate installed inside the joint body and open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purified by the auxiliary water filter, and preventing a back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auxiliary water filter;
An O-ring provid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joint of the joint body and the collet to prevent leakage;
An integrated joint structure including a strainer that is installed in the area connected to the joint pipe of the joint body to filter foreign mat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정수필터의 포트와 간접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는 조인트 본체, 상기 연결부에 그 포트를 간접 연결하는 정수필터 및 이와 이웃한 다른 정수필터를 이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이음관, 상기 조인트 본체의 연결부에 그 외측면이 결합되고 그 내측면에 정수필터의 포트가 끼움되어 연결되는 콜레트, 상기 조인트 본체의 연결부 내면 및 상기 콜레트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을 포함하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일단의 외측면에 원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기본 이음관;
상기 기본 이음관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내향 플랜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내향 플랜지 반대쪽의 타단에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결합관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관의 선단에 외향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외향 플랜지와 관 본체의 사이에 상기 내향 플랜지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위 이음관;
상기 기본 이음관의 내면 및 상기 단위 이음관의 외면 사이 그리고 상기 단위 이음관의 내면 및 인접하여 연결되는 다른 단위 이음관의 외향 플랜지 사이에 개별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을 포함하여
상기 단위 이음관이 상기 기본 이음관에 연결되는 첫 번째 단위 이음관을 시작으로 일렬로 서로 연결되어 연결되는 단위 이음관의 수 조절을 통해 이음관 전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
A joint body having a connection portion for indirect connection with a port of the water filter, a joint pipe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joint body for jointly connecting the water filter which indirectly connects the port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other adjacent water filter; A joint pipe including an O-ring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joint body and a collet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joint body by inserting a port of a water filter into the inner side of the joint body an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joint body of the joint body and the collet. In the one-piece joint,
The joint pipe is
A basic joint pipe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joint body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having a form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thereof;
The inward flange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basic joint pipe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pposite the inward flange is formed with a reduced diameter extending tube, the outward flang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upling pipe One or more unit joint pipes having coupling grooves of the inward flange formed between the outward flange and the tube body;
An o-ring that is separately install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basic pip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unit pipe an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unit pipe and an outward flange of another unit pipe connected adjacently
The joint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entire joint pip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unit joint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w, starting from the first unit joint pipe connected to the basic joint pipe. Joi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정수필터;
상기 단위 이음관의 연장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최전방의 단위 이음관에 다른 조인트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최전방 단위 이음관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정수필터에 의해 정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보조정수필터를 지나 유입되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판;
상기 조인트 본체의 상기 이음관과 연결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
5. The method of claim 4,
An auxiliary water filter installed inside the joint body;
A pip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oremost unit joint tube extending from another joint main body to the foremost unit joint tube whe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unit joint tube is set forward;
A backflow prevention plate installed inside the joint body and open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purified by the auxiliary water filter, and preventing a back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auxiliary water filter;
The joint pipe integrated joint further comprises a filter net installed in an area connected to the joint pipe of the joint body to filter foreign mat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64978A 2011-06-30 2011-06-30 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 KR101290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78A KR101290923B1 (en) 2011-06-30 2011-06-30 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
CN201110364709.6A CN102853194B (en) 2011-06-30 2011-11-11 Connecting pipe integrated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78A KR101290923B1 (en) 2011-06-30 2011-06-30 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63A KR20130003563A (en) 2013-01-09
KR101290923B1 true KR101290923B1 (en) 2013-07-29

Family

ID=4740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978A KR101290923B1 (en) 2011-06-30 2011-06-30 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0923B1 (en)
CN (1) CN102853194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46B1 (en) * 2013-11-20 2015-04-20 주식회사 피코그램 fitting device purifing filter enable leng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2105A (en) * 2013-06-21 2013-09-11 苏州新区枫桥净化设备厂 Purifying water pipe conn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032U (en) * 1999-02-12 2000-09-25 김종열 valve
KR100527790B1 (en) * 2004-03-30 2005-11-15 김민식 Bottle for adhesive
KR20080084884A (en) * 2007-03-17 2008-09-22 한현수 Portable water purifier
KR20090111186A (en)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대경산업 Both derection type's pipe coupling device using expandable prominence
KR20100034798A (en) * 2008-09-25 2010-04-02 이영훈 Filter cartridge connecting device of water filter with complex elbow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5151B2 (en) * 1999-11-29 2005-06-0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Hose connector with filter
CN2646533Y (en) * 2003-08-15 2004-10-06 陈新贤 Filtering pipe joint
CN2760365Y (en) * 2004-08-27 2006-02-22 雷震霆 Single-way ducting fluid pipeline connector
US20100117352A1 (en) * 2007-06-18 2010-05-13 Weidmann Ltd. Connecting arrangement for a pipe union
CN201166231Y (en) * 2008-01-29 2008-12-17 武汉元丰汽车技术发展有限公司 Integral automobile hydraulic oil way right-angle filtering joint
CN201184477Y (en) * 2008-01-29 2009-01-21 武汉元丰汽车技术发展有限公司 Separating automobile hydraulic oil way right-angle filtering joi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032U (en) * 1999-02-12 2000-09-25 김종열 valve
KR100527790B1 (en) * 2004-03-30 2005-11-15 김민식 Bottle for adhesive
KR20080084884A (en) * 2007-03-17 2008-09-22 한현수 Portable water purifier
KR20090111186A (en)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대경산업 Both derection type's pipe coupling device using expandable prominence
KR20100034798A (en) * 2008-09-25 2010-04-02 이영훈 Filter cartridge connecting device of water filter with complex elbo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46B1 (en) * 2013-11-20 2015-04-20 주식회사 피코그램 fitting device purifing filter enable l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63A (en) 2013-01-09
CN102853194B (en) 2015-07-22
CN102853194A (en)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399B2 (en) Water purifier
US10173157B2 (en) Filter assembly
WO2016095400A1 (en) Composite filter cartridge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same
KR101000511B1 (en) filter cartridge connecting device of water filter with complex elbow
US10717047B1 (en) Reverse osmosis system
KR101290923B1 (en) Joint for Integrated Coupling Pipe
US20060000754A1 (en) Water shut-off device for a water purifier
CN206940566U (en) Filter water system
KR20100004228A (en) Purifing filter assembly of having hand
EP2930276B1 (en) Pressure tank for drinking water
KR20150004551U (en) Fitting apparatus for piping
KR101300365B1 (en) Fitting
KR200458153Y1 (en) Flow Control Apparatus of the water purifier
CN107754428A (en) Integrating water route plate and water purifier
CN209906496U (en) Integrated composite filter element
US20050224404A1 (en) Closed end reverse osmosis unit
KR20080107206A (en) A fitting device of a water purifier
JP4765874B2 (en) Membrane module cleaning method
JP3820416B2 (en) Water purifier connector
CN111217464A (en) Composite water purifying filter for water purifier
CN212790512U (en) Water purifier using stainless steel pipeline
KR200243062Y1 (en) multipurpose filter case
CN220467767U (en) Novel water purifier water course filtration
CN112028179A (en) Filter membrane double-water machine
CN201052975Y (en) 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reusing wast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