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891B1 -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 Google Patents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891B1
KR101290891B1 KR1020110118892A KR20110118892A KR101290891B1 KR 101290891 B1 KR101290891 B1 KR 101290891B1 KR 1020110118892 A KR1020110118892 A KR 1020110118892A KR 20110118892 A KR20110118892 A KR 20110118892A KR 101290891 B1 KR101290891 B1 KR 10129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outlet
cleaning nozzle
filt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3231A (en
Inventor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영훈
Priority to KR102011011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891B1/en
Publication of KR2013005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s positioned between valve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유로의 유출구가 중심선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세정기 본체; 상기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제 1 유로의 유출구를 잇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며, 회전에 따라 제 1 유로의 유출구를 단계적으로 개폐하여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조절노브; 상기 조절노브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으로 세정노즐이 삽입되어 걸림되며, 외측면을 누르면 휨이 발생하여 세정노즐의 걸림력을 약하게 만드는 분리버튼부; 상기 분리버튼부 및 조절노브에 구비되어 제 1유로의 개폐 여부에 따라 분리버튼부의 누름 동작을 제어하는 로킹부; 상기 분리버튼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분리버튼부의 중앙으로 삽입된 세정노즐을 지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의 중앙으로 삽입되어 분리버튼부에 걸림되고, 제 1 유로의 개폐 여부 및 분리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지는 세정노즐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세정기의 세정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고 있는 도중에는 세정노즐을 분리시키는 분리버튼이 눌림되지 않아 세정노즐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세정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분리버튼이 눌림되어 세정노즐의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구강을 세정하는 도중 세정노즐이 분리되어 튕겨나가는 문제를 해결하게 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in which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provided therein is eccentrically formed to one side of the center line; A control knob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and having a second flow passage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ssage therein, and controll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ssage in steps according to the rotation. ; A separation button part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rol knob and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leaning nozzle to be locked, and pressing the outer surface to cause bending to weaken the locking force of the cleaning nozzle; A locking part provided in the release button part and the control knob to control a pressing operation of the release button part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flow path is opened or closed; A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button part to support a cleaning nozzl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button part; And a cleaning nozzl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ap to be locked to the separation button unit and detachable by opening or closing the first flow path and pressing the separation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shing water is being sprayed through the washing nozzle of the oral irrigator, the separating button for separating the washing nozzle is not pressed, so that the washing nozzle is not separated, and the washing water is not sprayed through the washing nozzle. As the separation button is pressed and the cleaning nozzle is separated, the cleaning nozzle is separated and bounced off during the cleaning of the oral cavity, thereby improving safety.

Description

구강 세정기 및 구강 세정 시스템{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Oral Cleaner and Oral Cleaning System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구강 세정기 및 구강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세정수의 분사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세정수가 분사되는 도중에는 세정노즐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구강 세정기 및 구강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irrigator and an oral irrig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n oral irrigator which can easily adjust the spraying amount of the washing water and improves stability and convenience by preventing the washing nozzle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washing water is being injected. An oral cleaning system.

일반적으로 구강 세정기는 치아와 잇몸에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치아와 잇몸 사이에 누적되는 치석 또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제거하거나,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기에 달라붙은 이물질 등을 제거하거나 잇몸 마사지를 위해 사용된다. In general, the oral irrigator is sprayed with a high-pressure cleaning water to the teeth and gum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he teeth and teeth, to remove tartar or harmful bacteria that accumulate between the teeth and gums, or to correct the teeth Used to remove sticky foreign objects and massage gums.

이러한 구강 세정기는 세정기 본체와 세정노즐이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되는데, 분리형의 경우, 세정노즐이 세정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분리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세정노즐이 세정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oral irrigator is composed of a scrubber main body and a cleaning nozzle in one piece or a separate type. In the case of the split type, the cleaning nozz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crubber main body and the cleaning nozzle is separated from the scrubber main body by pressing a release button. have.

그러나, 종래의 구강 세정기는 세정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분리버튼이 눌러지게 되면 분사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하여 세정노즐이 세정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서 튕겨나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구강을 세정하고 있는 사용자의 입안이나 안면에 상처를 입히기도 하고, 사방으로 분사되는 세정수에 옷을 적시기도 하며, 튕겨나간 세정노즐이 바닥에 떨어지면서 깨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oral irrigator, when the separation button is pressed due to a user's mistake while the washing water is being sprayed through the washing nozzle, the washing nozzle is separated from the washing machine body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spraying water.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be injured in the mouth or face of the user who is cleaning the oral cavity, wet the clothes sprayed in all directions, and the cleaning nozzle that is thrown out may fall and fall to the floor. .

또한,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이 단지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통수하는 기능(on/off방식)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적당한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없으며,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었더라도 양손을 사용해야 하거나 또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거나, 또는 분사량을 조절하는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t does not have the function to control the amount of injec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only has the function of blocking or passing the washing water (on / off method), the user can not control the appropriate amount of washing water, opening and closing to control the amount of washing water injection Even if a means is provided, both hands must be used, or the structure thereof is very complicated, or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가 개방되어 세정수의 분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세정노즐 분리버튼이 눌러지지 않아 세정노즐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유로가 차단되어 세정수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세정노즐 분리버튼이 눌림되어 세정노즐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는 구강 세정기 및 구강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flow path is opened to spray the washing water, the cleaning nozzle separation button is not pressed and the washing nozzle is not separated, and when the flow path is blocked and the washing water is not spray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irrigator and an oral irrigator system in which safety is secured by allowing the cleaning nozzle release button to be pressed to separate the cleaning nozz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구강 내 조건이나 용도에 따라 세정수의 분사량 및 분사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구강 세정기 및 구강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irrigator and an oral irrigation system that can easily adjust the injection amount and the spraying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user's oral cavity conditions or applicati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구강 세정기는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유로의 유출구가 중심선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세정기 본체; 상기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제 1 유로의 유출구를 잇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며, 회전에 따라 제 1 유로의 유출구를 단계적으로 개폐하여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조절노브; 상기 조절노브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으로 세정노즐이 삽입되어 걸림되며, 외측면을 누르면 휨이 발생하여 세정노즐의 걸림력을 약하게 만드는 분리버튼부; 상기 분리버튼부 및 조절노브에 구비되어 제 1유로의 개폐 여부에 따라 분리버튼부의 누름 동작을 제어하는 로킹부; 상기 분리버튼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분리버튼부의 중앙으로 삽입된 세정노즐을 지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의 중앙으로 삽입되어 분리버튼부에 걸림되고, 제 1 유로의 개폐 여부 및 분리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지는 세정노즐을 포함한다.The oral irrig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crubber main body having an outlet of a first flow path provided therein eccentrically toward one side of a center line; A control knob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and having a second flow passage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ssage therein, and controll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ssage in steps according to the rotation. ; A separation button part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rol knob and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leaning nozzle to be locked, and pressing the outer surface to cause bending to weaken the locking force of the cleaning nozzle; A locking part provided in the release button part and the control knob to control a pressing operation of the release button part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flow path is opened or closed; A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button part to support a cleaning nozzl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button part; And a cleaning nozzl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ap to be engaged with the separating button part, and detaching is performed by opening or closing the first flow path and pressing the separating button part.

상기 조절노브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홈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세정기 본체의 상면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지지봉이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이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내됨에 따라 조절노브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kno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od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e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guides that the adjustment knob is rotated It features.

상기 조절노브의 제 2 유로는 조절노브의 중심선 상에 형성되되, 유입구가 상기 제 1 유로의 유출구와 대응되어 제 1 유로를 잇도록 중심선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flow path of the control knob is form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ontrol knob,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eccentrically formed to one side of the center line to correspond to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to connect the first flow path.

상기 분리버튼부는 세정노즐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탄성재질의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일측에 연결되어 누름시 걸림편에 휨을 발생시켜 걸림편의 내경 폭을 확장시키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를 지지하고 중앙에는 조절 노브의 제 2 유로를 잊는 제 3 유로가 형성되는 커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parating button part is a locking piece of the elastic material that is inserted into the cleaning nozzle, the button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cking piece to generate a warp on the locking piece when pressed to expand the inner diameter width of the locking piece, and supports the button part in the center And a cover body in which a third flow path for forgetting the second flow path of the adjustment knob is formed.

상기 로킹부는 분리버튼부의 저면에 일정길이 형성되는 로킹홈과, 조절레버의 상면에 구비되어 로킹홈에 삽입되고,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로킹홈 내에서 위치가 가변되어 분리버튼부의 누름동작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로킹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part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bottom of the separating button part,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Or to the locking bar to allow.

그리고, 상기 조절노브의 외측면에는 수압조절레버의 회전 및 수압조절이 용이하도록 요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kno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surface is formed to facilitate the rotation and hydraulic pressure adjustment of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lever.

본 발명의 구강 세정 시스템은 수전금구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호스; 상기 호스에 결합되어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 상기 필터조립체의 토출구에 원터치 결합되는 유입구를 갖고, 타측으로는 유입구에 선택적으로 유로가 연결되는 제 1 출구와 제 2 출구가 형성된 유로선택 밸브부재; 상기 유로선택 밸브부재의 제 1 출구에 원터치 결합되는 샤워기; 상기 유로선택 밸브부재의 제 2 출구에 원터치 결합되고,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되는 구강 세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ral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se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faucet; A filter assembly coupled to the hose to filt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having an inlet that is one-touch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filter assembly, and on the other side,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having a flow path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let; A shower one-touch coupled to the first outlet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one-touch coupled to the second outlet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and comprises an oral irrigator of any one of claims 1 to 4.

여기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lter assembly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one or a plurality.

상기 필터조립체는 일단부에 물이 입수되는 유입구와 타단부에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일측부로 개방된 결합부가 구비되며, 결합부의 중앙에는 필터연결구가 구비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필터연결구에 결합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커버하여 하우징본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유입구로 입수되는 물을 필터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유로와, 상기 필터에서 필터링된 물을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2 안내유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assembly is provided with an inlet for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upling part opened at one side in the center thereof, and a housing main body having a filter connector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A filter coupled to the filter connector of the main body, and a cas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housing main body to cover the filter, wherein the housing main body includes a first guide channel for guid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into the filter; A second guide passage for guiding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to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유로선택 밸브부재는 일측에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세정수가 배출되는 제 1, 제 2 출구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회전에 따라 유입구와 제 1 출구를 잇거나, 또는 유입구와 제 2 출구를 잇는 유로가 형성되는 스풀이 구비되며, 외측면에는 스풀을 회전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in one side, and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 the other side, and connects the inlet with the first outlet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r A spool having a flow path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second outlet is provided, and an outer side surface is provided with a lever for rotating the spool.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기 및 구강 세정 시스템에 따르면, 구강 세정기의 세정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고 있는 도중에는 세정노즐을 분리시키는 분리버튼이 눌림되지 않아 세정노즐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세정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분리버튼이 눌림되어 세정노즐의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구강을 세정하는 도중 세정노즐이 분리되어 튕겨나가는 문제를 해결하게 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oral irrigator and the oral irrig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washing water is being sprayed through the oral irrigator, the separation button for separating the cleaning nozzle is not pressed so that the cleaning nozzle is not separated. When the cleaning water is not sprayed through, the separation button is pressed to remove the cleaning nozzl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cleaning nozzle being separated and bounced while cleaning the oral cavity, thereby improving safety.

또한, 사용자의 구강 내 조건이나 용도에 따라 세정수의 분사량 및 분사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세정노즐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amount and the spraying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oral cavity condition or use, and the cleaning nozzle is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에서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에서 유로가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b),(c)는 유로의 개방시 로킹부의 로킹 및 로킹해제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 시스템에서 세정수가 샤워기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 시스템에서 세정수가 구강 세정기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in the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blocked in the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5B, and 5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locking and unlocking states of the locking portion when the flow path is open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shower in the ora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ral irrigator in the ora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강 세정기 및 구강 세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부분을 나타낸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n oral irrigator and an oral irrig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s of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part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에서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에서 유로가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의 (a),(b),(c)는 유로의 개방시 로킹부의 로킹 및 로킹해제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passage is opened in the oral irrigator,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passage is blocked in the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s of the locking portion when the flow path is opened.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기(500)는 세정기 본체(510)와, 조절노브(520)와, 분리버튼부(530)와, 로킹부(540)와, 캡(550)과, 세정노즐(56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ral irrigato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ubber main body 510, an adjustment knob 520, a release button part 530, a locking part 540, and a cap. 550 and a cleaning nozzle 560.

세정기 본체(510)는 내부의 중심선 상에 세정수가 통과하는 제 1 유로(511)가 형성되는데, 제 1 유로(511)의 유입구(512)에는 콜렛(512a)이 결합되어 세정호스(513)가 콜렛(512a)에 원터치 결합되고, 제 1 유로(511)의 유출구(514)는 중심선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유로의 유출구(514) 외측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오링(515)이 안착된다. 그리고, 세정기 본체(510)의 상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지지봉(516)이 구비된다.The cleaner main body 510 has a first flow path 511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passes, and a collet 512a is coupled to the inlet 512 of the first flow path 511 so that the cleaning hose 513 is provided. One-touch coupled to the collet 512a,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511 is eccentrically formed to one side of the center line. In addition, an O-ring 515 for preventing leakage is mounted outside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body 5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ods 516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조절노브(520)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홈(521)이 복수개 구비되어 세정기 본체(510)의 지지봉(516)에 삽입된다. The adjusting knob 5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521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rod 516 of the cleaner body 510.

여기서, 가이드홈(521)은 지지봉(516)이 일정구간 이동가능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다. 즉, 조절노브(520)는 지지봉(516)에 끼움되어 가이드홈(521)의 길이구간만큼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Here, the guide groove 521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upport bar 516 is movable for a certain section. That is, the adjustment knob 520 is fitted to the support rod 516 to enable left and right rotation by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521.

그리고, 조절노브(520)의 중앙에는 제 1 유로(511)를 잇는 제 2 유로(522)가 형성되는데 제 2 유로(522)의 유입구(523)가 중심선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제 1 유로의 유출구(514)와 맞대응된다. 즉, 제 2 유로의 유입구(523)가 제 1 유로의 유출구(514)와 맞대응되면서 유로를 잇게 된다. In addition, a second flow path 522 connecting the first flow path 5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djustment knob 520. Counterpart 514. That is, the inflow port 523 of the second flow path is connected with the outlet port 514 of the first flow path to connect the flow path.

그리고, 조절노브(520)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조절노브(520)의 회전에 따라 제 2 유로의 유입구(523)가 점차적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어 제 1 유로의 유출구(514)를 단계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제 1 유로 유출구(514)의 단계적인 개폐를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하게 된다.When the adjustment knob 520 rotates about the center line, the inlet 523 of the second flow path is gradual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rol knob 520 to move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Blocking step by step. That is,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njected through the stepwis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flow path outlet 514 is adjusted.

분리버튼부(530)는 조절노브(520)의 상부에 안착되며 버튼부(531)와 커버체(533)로 구성된다. Separation button portion 53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justment knob 520 is composed of a button portion 531 and the cover body 533.

여기서, 버튼부(531)에는 세정노즐(560)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중공형상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걸림편(532)이 일체로 구비되고, 걸림편(532)은 버튼부(531)의 누름시 휨이 발생하여 내경 폭이 확장된다. Here, the button portion 531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532 made of a hollow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cleaning nozzle 560 is inserted and locked, the locking piece 532 is pressed when the button portion 531 is pressed. Warpage occurs and the inner diameter width is expanded.

그리고, 커버체(533)는 버튼부(5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측벽이 개방되는 안착부(534)가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조절노브(520)의 제 2 유로(522)를 잊는 제 3 유로(53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3 유로(535)는 제 2 유로(522)의 내측에 삽입되고, 제 2 유로(522)와 제 3 유로(535) 사이에 오링(536)을 삽입하여 세정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ver 533 includes a seating portion 534 having sidewalls open so that the button portion 53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third portion that forgets the second flow path 522 of the adjustment knob 520 at an inner center thereof. The flow path 535 is formed. Here, the third flow path 535 is inserted inside the second flow path 522, and the O-ring 536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flow path 522 and the third flow path 535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leaking. desirable.

한편, 로킹부(540)는 분리버튼부(530)의 저면에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로킹홈(541)과, 조절레버(520)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로킹홈(541)에 삽입되는 로킹바(542)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portion 540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541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ng button portion 530, the locking lever 520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5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541. Bar 542.

여기서, 로킹홈(541)은 조절노브(520)의 최대 회전시 로킹바(542)가 버튼부(531)의 폭을 벗어날 수 있도록 버튼부(531)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Here, the locking groove 541 is formed in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utton portion 531 so that the locking bar 542 is out of the width of the button portion 531 at the maximum rotation of the adjustment knob 520.

따라서, 조절노브(520)의 회전에 따라 로킹바(542)가 로킹홈(541) 내에서 위치가 가변되는데 버튼부(531)의 폭 범위 내에 위치하면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을 차단하고, 버튼부(531)의 폭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면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을 허용하게 된다.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bar 542 is changed in the locking groove 54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knob 520, if the position within the width range of the button portion 531 block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portion 531 When positioned outside the width range of the button portion 531,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portion 531 is allowed.

캡(550)은 분리버튼부(530)의 상부에 결합되어 분리버튼부(530)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세정노즐(560)을 지지한다. 여기서, 캡(550)과 분리버튼부(530)의 결합은 캡(550)의 하단부에 걸림턱(551)이 형성되고, 분리버튼부(530)의 상단부에는 걸림턱(551)이 걸림고정되는 걸림홈(537)이 형성되어 캡의 걸림턱(551)을 분리버튼부의 걸림홈(537)에 강제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cap 55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button portion 530 to support the cleaning nozzle 56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button portion 530. Here, the combination of the cap 550 and the release button portion 530 is a locking jaw 55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ap 550, the locking jaw 55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button portion 530 A locking groove 537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by forcibly fitting the locking jaw 551 of the cap to the locking groove 537 of the release button part.

그리고, 캡(550)의 중앙에는 세정노즐(560)이 삽입되는 관통공(552)이 형성되고, 관통공(552)으로 삽입되는 세정노즐(560)은 분리버튼부(530)의 걸림편(532) 내측에 걸림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552 through which the cleaning nozzle 56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p 550, and the cleaning nozzle 56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52 is a hooking portion of the separation button part 530. 532 is caught inside.

세정노즐(560)은 분리버튼부의 걸림편(532)에 걸림되도록 하단부 외주면에 결합홈(5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세정노즐(506)의 내부에는 세정수가 통과되어 외부로 분사되는 제 4 유로(562)가 형성되며, 제 4 유로(562)는 세정노즐의 끝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진다. 여기서, 세정노즐(560)의 제 4 유로(562)에는 통과하는 세정수가 와류를 일으키도록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cleaning nozzle 56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56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such that the cleaning nozzle 560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iece 532 of the separation button part. In addition, a fourth flow path 562 is formed inside the cleaning nozzle 506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fourth flow path 562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of the cleaning nozzle. Here, a spiral groove or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fourth flow path 562 of the cleaning nozzle 560 so that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causes the vortex.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강 세정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oral irrig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노브(520)에 형성된 제 2 유로의 유입구(523)가 세정기 본체(510)의 제 1 유로의 유출구(514)와 대응되어 제 1 유로(511)를 잇게 되면 세정수의 분사량이 최대가 되게 되고, 이때,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바(542)는 로킹홈(541) 내에서 분리버튼부(530)의 버튼부(531) 중앙에 위치하여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을 차단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 an inlet 523 of the second flow path formed in the adjustment knob 520 corresponds to an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of the cleaner body 510 to connect the first flow path 511. When the amount of washing water is maximized, the locking bar 542 as shown in (a) of FIG. 5 is the center of the button portion 531 of the separating button portion 530 in the locking groove 541. Located at to block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531.

그리고, 세정수의 분사량을 줄이고자 할 경우, 조절노브(5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노브(5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 2 유로의 유입구(523)가 회전되면서 제 1 유로의 유출구(514)를 단계적으로 차단하게 되며, 제 1 유로의 유출구 (514)차단 정도에 따라 분사량이 조절되게 된다. 이때,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바(542)는 조절노브(5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로킹홈(541) 내에서 버튼부(531) 폭 범위의 일측에 위치하게 되어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을 차단한다. And, in order to reduce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f the control knob 5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inlet 523 of the second flow path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ntrol knob 520,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Blocking the step 514, the injection amou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blocking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5, the locking bar 54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idth of the button portion 531 in the locking groove 541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adjustment knob 520 butto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nit 531 is blocked.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의 분사를 완전히 차단하고자 할 경우, 조절노브(520)를 일방향으로 끝까지 회전시키면, 조절노브(520)의 회전에 따라 제 2 유로의 유입구(523)가 제 1유로의 유출구(514)와 이격되어 제 1 유로의 유출구(514)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며, 이때,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바(542)는 로킹홈(541) 내에서 버튼부(531) 폭 범위를 벗어나 버튼부(53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을 허용한다.And, as shown in Figure 4, if you want to completely block the injection of the washing water, if the control knob 520 is rotated to the end in one direction, the inlet 523 of the second flow pa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trol knob 520 i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completely blocks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and as shown in (c) of FIG. 5, the locking bar 542 is in the locking groove 541. The outside of the width of the button portion 531 in the button portion 531 is positioned outside the button portion 531 to allow the push operation.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이 허용되면 세정노즐(560)을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가능상태가 된다. 즉, 세정노즐(560)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버튼부(531)를 누르면 걸림편(532)이 가압되어 휨이 발생되고, 걸림편(532)의 휨 발생으로 걸림편(532)의 내경이 확장되어 세정노즐(560)의 걸림력이 약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세정노즐(560)을 잡아당기면 세정노즐(56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If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531 is allowed, the cleaning nozzle 560 is detachable. That is, when the cleaning nozzle 560 is to be detached, pressing the button portion 531 causes the locking piece 532 to be pressurized to cause warpag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ing piece 532 is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locking piece 532. The expansion force is reduced so that the locking force of the cleaning nozzle 560 is weakened. In this state, when the cleaning nozzle 560 is pulled out, the cleaning nozzle 560 is easily sepa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세정기(500)는 세정노즐(560)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고 있는 도중에는 세정노즐(560)을 분리시키는 버튼부(531)가 눌림되지 않아 세정노즐(56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세정노즐(560)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버튼부(531)가 눌림되어 세정노즐(560)의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구강을 세정하는 도중 세정노즐(560)이 분리되어 튕겨나가는 문제를 해결하게 되고, 아울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세정노즐(56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ral irrigator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ess the button portion 531 for separating the cleaning nozzle 560 while the cleaning water is being sprayed through the cleaning nozzle 560, thereby separating the cleaning nozzle 560. When the washing water is not sprayed through the washing nozzle 560, the button unit 531 is pressed and the washing nozzle 560 is separated, so that the washing nozzle 560 is separated while washing the oral cavity. This solves the problem of bouncing and improves safety. In addition,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o be sprayed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detachment of the washing nozzle 560 is made eas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 시스템에서 세정수가 샤워기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 시스템에서 세정수가 구강 세정기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shower in the ora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ora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ral irrigator.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세정 시스템은 수전금구(10)의 토출구(11)에 결합되는 호스(100)와, 상기 호스(100)에 결합되어 토출구(11)에서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200)와, 상기 필터조립체(200)의 토출구에 원터치 결합되는 유입구(310)를 갖고, 타측으로는 유입구(310)에 선택적으로 유로가 연결되는 제 1 출구(320)와 제 2 출구(330)가 형성된 유로선택 밸브부재(300)와, 상기 유로선택 밸브부재(300)의 제 1 출구(320)에 원터치 결합되는 샤워기(400)와, 상기 유로선택 밸브부재(300)의 제 2 출구(330)에 원터치 결합되는 본 발명의 구강 세정기(5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ora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se 100 coupled to the outlet 11 of the faucet 10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1 coupled to the hose 100. The filter assembly 200 to filter, and the inlet 310 is one-touch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filter assembly 200, the other side of the first outlet 320 and the first passage 32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let 310 2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300 having the outlet 330, the shower 400 that is one-touch coupled to the first outlet 320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300, and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300. Mouthwash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touch coupled to the second outlet 330.

여기서, 호스(100)는 수전금구의 토출구(1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필터조립체(200)의 유입구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수전금구의 토출구(11)로 배출되는 물을 필터조립체(200)의 유입구로 안내한다.Here, the hose 1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utlet 11 of the fauce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ilter assembly 200 to discharge water discharged to the outlet 11 of the faucet. Guide to the inlet.

그리고, 필터조립체(200)는 하우징 본체(210)와, 필터(220)와, 케이스(230)로 구성된다.The filter assembly 200 includes a housing body 210, a filter 220, and a case 230.

하우징 본체(210)는 호스로부터 안내되는 물이 입수되는 유입구(211)가 일단부에 구비되고,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212)가 타단부에 구비되며, 유입구(211)와 토출구(212) 사이의 중앙 위치에는 일측부로 개방된 결합부(213)가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부(213)의 중앙에는 필터(220)가 결합되는 필터연결구(214)가 구비된다. The housing main body 210 has an inlet 211 through which water guided from a hose is received, and an outlet 212 at which water is discharge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between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The central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3 is opened to one side is provided. In addition, a filter connector 214 to which the filter 220 is couple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unit 213.

그리고, 하우징 본체(210)에는 유입구(211)로 입수되는 물을 필터(220)의 내측으로 안내하도록 필터연결구(214)와 유입구(211)를 연결하는 제 1 안내유로(215)와, 필터(220)에 필터링된 물을 토출구(212)로 안내하도록 토출구(212)와 필터연결구(214) 외주연을 관통하는 제 2 안내유로(216)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housing main body 210 has a first guide passage 215 connecting the filter connector 214 and the inlet 211 to guide the water received through the inlet 211 to the inside of the filter 220, and the filter ( A second guide flow passage 216 penetra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212 and the filter connector 214 is provided to guide the filtered water to the discharge port (212).

여기서, 필터(120)는 세라믹, 비타민, 은나노 등의 기능성 유효성분이 함유된 필터소재로 구비하거나 또는 아로마 등 향 발산물질이 함유된 필터소재로 구비하여 물속에 함유된 균을 살균하거나 물에서 향기가 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lter 120 is provided as a filter material containing a functional active ingredient, such as ceramics, vitamins, silver nano, or as a filter material containing a fragrance-emitting material such as aroma to sterilize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water or the fragrance in the water It is desirable to make it.

그리고, 결합부(213)에는 필터(120)를 커버하는 케이스(230)가 결합된다. 케이스(230)는 결합부(213)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일단부 외측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the case 230 covering the filter 1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13. The case 23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t one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30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coupling part 213.

이러한 필터조립체(200)는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하우징 본체의 유입구(211)와 토출구(212)에 암수의 나사산을 각각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필터조립체를 유입구를 토출구(212)에 연결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필터조립체(2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입구(211)에 콜렛을 결합하고, 토출구(212)에는 콜렛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복수 개의 필터조립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Only one such filter assembly 200 may be used, or a plurality of filter assemblies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male and female threads are formed at each of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of the housing main body, and the other filter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inlet to the outlet 212 so that the plurality of filter assemblies 200 can be connected and used. hav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llet may be coupled to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may be used to connect a plurality of filter assemblies by forming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collet.

필터조립체(200)의 토출구(212)에는 유로선택밸브(300)가 연결된다.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212 of the filter assembly 200.

유로선택밸브(300)는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10)가 구비되고 타측에 물이 배출되는 제 1, 제 2 출구(320,330)가 구비되되, 제 1 출구(320)는 유입구(310)와 수직의 동축으로 형성되고, 제 2 출구(330)는 유입구(3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유로선택밸브(300)의 내부에는‘┫’형의 유로가 형성되는 스풀(34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풀(340)의 회전축에는 유로선택밸브(300)를 관통하여 외측면에 구비되는 레버(350)가 연결된다. 즉, 레버(350)의 회전에 따라 스풀(340)의 유로가 유입구(310)와 제 1 출구(320)를 잇거나, 또는 유입구(310)와 제 2 출구(330)를 잇게 된다.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is provided with an inlet 310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one side and first and second outlets 320 and 330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outlet 320 is an inlet 310. It is formed coaxially perpendicular to the second outlet 330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let (310). In addition, a spool 340 in which a '에는' type flow pat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pool 340 through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The lever 350 provided is connected. That is, as the lever 350 rotates, the flow path of the spool 340 connects the inlet 310 and the first outlet 320 or the inlet 310 and the second outlet 330.

따라서, 필터조립체(200)의 토출구(212)를 통해 배출된 물은 유로선택밸브(300)의 유입구(310)로 입수되고 레버(350))의 조작에 따라 제 1 출구(320))로 배출되거나 또는 제 2 출구(330)로 배출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filter assembly 200 is received into the inlet 310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and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3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350. Or to a second outlet 330.

유로선택밸브(300)의 제 1 출구(320)에는 샤워기(400)가 원터치 결합된다. 샤워기(400)는 제 1 출구에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샤워호스(410)와, 샤워호스(410)에 연결되는 샤워 헤드(420)로 구성되며, 유로선택 밸브(300)의 제 1 출구(320)로 배출되는 물이 샤워호스(410)를 통해 샤워 헤드(420)로 분사된다.The shower head 400 is one-touch coupled to the first outlet 320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The shower 400 includes a shower hose 410 coupled to the first outlet by a one-touch coupling method, and a shower head 420 connected to the shower hose 410, and includes a first outlet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Water discharged to 320 is sprayed to the shower head 420 through the shower hose 410.

그리고, 유로선택밸브(300)의 제 2 출구(330)에는 본 발명의 구강 세정기(500)가 원터치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oral irrigator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touch coupled to the second outlet 330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강 세정시스템은 샤워용 수전금구의 토출구(1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호스(100)를 통해 필터조립체(200)의 유입구(211)로 입수되어 제 1 안내유로(215)를 따라 필터(22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필터(220)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필터링되어 세정수가 된다. 이어 필터링된 세정수는 제 2 안내유로(216)를 따라 필터조립체(200)의 토출구(212)로 배출되고 유로선택밸브(300)의 레버(350) 조작에 따라 제 1 출구(320)와 제 2 출구(330)에 선택적으로 배출된다.In the oral cavity clean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 of the faucet for the shower is obtained through the hose 100 through the inlet 211 of the filter assembly 200 and the first guide passage 215. The filter is filtered while being introduced into the filter 22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220. Subsequently, the filtered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filter assembly 200 along the second guide passage 216, and the first outlet 320 and the first outlet 320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350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2 is discharged selectively to the outlet (330).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워기 사용시에는 유로선택밸브(300)의 레버(3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풀(340)의 유로가 필터조립체의 토출구(212)와 제 1 출구(320)를 잇게 함으로써 필터조립체의 토출구(212)로 배출된 세정수가 제 1 출구(320)로 배출되어 샤워기(400)로 분사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shower is used, the lever 350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flow path of the spool 340 connects the outlet 212 of the filter assembly with the first outlet 320.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filter assembly is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320 and sprayed to the shower 400.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 세정기(500) 사용시에는 유로선택밸브(300)의 레버(35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풀(340)의 유로가 필터조립체의 토출구(212)와 제 2 출구(330)를 잇게 함으로써 필터조립체의 토출구(212)로 배출되는 세정수가 제 2 출구(330)로 배출되며, 제 2 출구(330)로 배출된 세정수는 구강 세정기(500)의 세정호스(513) 거쳐 세정기 본체(510) 내의 제 1 유로(511)를 통해 유출구(514)로 배출된다. 제 1 유로의 유출구(514)로 배출되는 세정수는 제 2 유로(522) 및 제 3 유로(535)를 거치고 세정노즐(560)의 제 4유로(56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oral irrigator 500 is used, the lever 350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30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flow path of the spool 340 is discharge outlet 212 and the second of the filter assembly. By connecting the outlet 330,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filter assembly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330,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330 is a cleaning hose of the oral irrigator 500. 513 is discharged to the outlet 514 through the first flow path 511 in the cleaner body 510.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ssage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ssage 522 and the third flow passage 535 and is in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urth flow passage 562 of the cleaning nozzle 560.

이때, 조절노브(520)에 형성된 제 2 유로의 유입구(523)와 세정기 본체(100)의 제 1 유로의 유출구(514)가 일치하면 세정수의 분사량이 최대가 되게 되고, 로킹부(540)의 로킹바(542)는 로킹홈(541) 내에서 버튼부(531) 중앙에 위치하여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을 차단한다. At this time, when the inlet 523 of the second flow path formed in the adjusting knob 520 and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of the cleaner body 100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s maximized, and the locking unit 540 The locking bar 542 of the locking groove 541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utton unit 531 to block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531.

그리고, 세정수의 분사량을 줄이고자 할 경우, 조절노브(5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노브(5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 2 유로의 유입구(523)가 제 1 유로의 유출구(514)를 단계적으로 차단하게 되며, 제 1 유로의 유출구(514) 차단 정도에 따라 분사량이 조절되게 된다. 이때, 로킹부(540)의 로킹바(542)는 조절노브(5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로킹홈(541) 내에서 버튼부(531) 폭 범위의 일측에 위치하게 되어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을 차단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adjusting knob 5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inlet 523 of the second flow path is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knob 520. ) Is blocked step by step, and the injection amou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blocking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At this time, the locking bar 542 of the locking portion 54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idth of the button portion 531 in the locking groove 541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adjustment knob 520 of the button portion 531 Cut off the pressing action.

그리고, 세정수의 분사를 완전히 차단하고자 할 경우, 조절노브(520)를 일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시키면, 조절노브(520)의 회전에 따라 제 2 유로의 유입구(523)가 제 1유로의 유출구(514)와 이격되어 제 1 유로의 유출구(514)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며, 이때, 로킹부(540)의 로킹바(542)는 로킹홈(531) 내에서 버튼부(531) 폭 범위를 벗어나 버튼부(53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버튼부(531)의 누름 동작을 허용한다.And, if you want to completely block the injection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control knob 520 is rotated to the end in one direction, the inlet 523 of the second flow pa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trol knob 520 is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 The outlet 514 of the first flow path is completely blocked by 514, and the locking bar 542 of the locking part 540 is outside the width of the button part 531 in the locking groove 531. It is located outside the unit 531 to allow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531.

버튼부(531)의 누름동작이 허용되면 세정노즐(560)을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가능상태가 된다. 즉, 세정노즐(560)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버튼부(531)를 누르면 걸림편(532)이 가압되어 휨이 발생되고, 걸림편(532)의 휨 발생으로 걸림편(532)의 내경이 확장되어 세정노즐(560)의 걸림력이 약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세정노즐(560)을 잡아당기면 세정노즐(56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If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portion 531 is allowed, the cleaning nozzle 560 is detachable. That is, when the cleaning nozzle 560 is to be detached, pressing the button portion 531 causes the locking piece 532 to be pressurized to cause warpag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ing piece 532 is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locking piece 532. The expansion force is reduced so that the locking force of the cleaning nozzle 560 is weakened. When the cleaning nozzle 560 is pulled in this state, the cleaning nozzle 560 is easily sepa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세정 시스템은 샤워용 수전금구(10)에 결합하여 샤워기(400)의 사용과 구강 세정기(500)의 사용을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전금구(10)의 범용적 사용이 가능하고, 구강 세정기(500) 사용의 편리함을 크게 증대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oral cavity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hower faucet 10 for use of the shower 400 and the use of the oral irrigator 50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faucet 10 universally. This is possible and greatly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oral irrigator 500.

또한, 구강 세정기의 사용시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고 있는 도중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버튼부(531)를 누르게 되더라도 세정수의 분사시에는 버튼부(531)가 눌러지지 않아 세정노즐(56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세정노즐(560)을 분리하고자할 경우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유로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버튼부(531)를 눌러 용이하게 분리시킴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even if the button unit 531 is pressed due to a mistake of the user while the mouth is being washed with the washing water when the oral irrigator is used, the button unit 531 is not pressed during the spraying of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washing nozzle 560 is separated. The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when the cleaning nozzle 560 is to be removed, the button part 531 is easily separated by pressing the button 531 while the flow path is blocked so that the cleaning water is not sprayed. Improve safety.

또한,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세정노즐(560)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o be injected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detachabl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leaning nozzle 560 is eas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0: 구강 세정기 510: 세정기 본체
511: 제 1 유로 512: 유입구
512a: 콜렛 513: 세정호스
514: 유출구 515: 오링
516: 지지봉 520: 조절노브
521: 가이드홈 522: 제 2 유로
523: 유입구 530: 분리버튼부
531: 버튼부 532: 걸림편
533: 커버체 534: 안착부
535: 제 3 유로 536: 오링
537: 걸림홈 540: 로킹부
541: 로킹홈 542: 로킹바
550: 캡 551: 걸림턱
552: 관통공 560: 세척노즐
561: 결합홈 562: 제 4 유로
10: 수전금구 11: 토출구
100: 호스 200: 필터조립체
210: 하우징 본체 211: 유입구
212: 토출구 213: 결합부
214: 필터연결구 215: 제 1 안내유로
216: 제 2 안내유로 220: 필터
230: 케이스 300: 유로선택밸브
310: 유입구 320: 제 1 출구
330: 제 2 출구 340: 스풀
350: 레버 400: 샤워기
500: mouthwasher 510: cleaner body
511: first flow path 512: inlet
512a: collet 513: cleaning hose
514: outlet 515: O-ring
516: support rod 520: adjustment knob
521: guide groove 522: the second flow path
523: inlet 530: release button portion
531: button portion 532: locking piece
533: cover body 534: seating portion
535: Third Euro 536: O-Ring
537: locking groove 540: locking portion
541: locking groove 542: locking bar
550: cap 551: jamming jaw
552: through hole 560: cleaning nozzle
561: coupling groove 562: the fourth euro
10: Faucet bracket 11: discharge port
100: hose 200: filter assembly
210: housing body 211: inlet
212: discharge port 213: coupling portion
214: filter connector 215: first guide flow path
216: second guide flow path 220: filter
230: case 300: flow path selection valve
310: inlet 320: first outlet
330: second outlet 340: spool
350: lever 400: shower

Claims (10)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유로의 유출구가 중심선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세정기 본체;
상기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제 1 유로의 유출구를 잇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며, 회전에 따라 제 1 유로의 유출구를 단계적으로 개폐하여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조절노브;
상기 조절노브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으로 세정노즐이 삽입되어 걸림되며, 외측면을 누르면 휨이 발생하여 세정노즐의 걸림력을 약하게 만드는 분리버튼부;
상기 분리버튼부 및 조절노브에 구비되어 제 1 유로의 개폐 여부에 따라 분리버튼부의 누름 동작을 제어하는 로킹부;
상기 분리버튼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분리버튼부의 중앙으로 삽입된 세정노즐을 지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의 중앙으로 삽입되어 분리버튼부에 걸림되고, 제 1 유로의 개폐 여부 및 분리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지는 세정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분리버튼부의 저면에 일정길이 형성되는 로킹홈과, 조절노브의 상면에 구비되어 로킹홈에 삽입되고, 조절노브의 회전에 따라 로킹홈 내에서 위치가 가변되어 분리버튼부의 누름 동작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로킹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기.
A scrubber body in which an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provided therein is eccentrically formed to one side of the center line;
A control knob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and having a second flow passage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ssage therein, and controll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ssage in steps according to the rotation. ;
A separation button part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rol knob and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leaning nozzle to be locked, and pressing the outer surface to cause bending to weaken the locking force of the cleaning nozzle;
A locking part provided in the release button part and the adjusting knob to control a pressing operation of the release button part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flow path is opened or closed;
A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button part to support a cleaning nozzl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button part; And
And a cleaning nozzl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ap to be engaged with the separating button part, and being detached by opening or closing the first flow path and pressing the separating button part.
The locking part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bottom of the separating button part,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ing knob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d the position is changed in the locking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knob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Or mouth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ocking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홈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세정기 본체의 상면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지지봉이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이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내됨에 따라 조절노브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kno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od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e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guides that the adjustment knob is rotated An oral irrig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의 제 2 유로는 조절노브의 중심선 상에 형성되되, 유입구가 상기 제 1 유로의 유출구와 대응되어 제 1 유로를 잇도록 중심선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flow path of the control knob is form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ontrol knob, the inlet port is eccentrically formed to one side of the center line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connecting the first flow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버튼부는 세정노즐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탄성재질의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일측에 연결되어 누름시 걸림편에 휨을 발생시켜 걸림편의 내경 폭을 확장시키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를 지지하고 중앙에는 조절 노브의 제 2 유로를 잊는 제 3 유로가 형성되는 커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parating button part is a locking piece of the elastic material that is inserted into the cleaning nozzle, the button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cking piece to generate a warp on the locking piece when pressed to expand the inner diameter width of the locking piece, and supports the button part in the center And a cover body having a third flow path for forgetting the second flow path of the adjustment knob.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의 외측면에는 수압조절레버의 회전 및 수압조절이 용이하도록 요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knob oral irrig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surface is formed to facilitate the rotation and hydraulic pressure control of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lever.
수전금구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호스;
상기 호스에 결합되어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
상기 필터조립체의 토출구에 원터치 결합되는 유입구를 갖고, 타측으로는 유입구에 선택적으로 유로가 연결되는 제 1 출구와 제 2 출구가 형성된 유로선택 밸브부재;
상기 유로선택 밸브부재의 제 1 출구에 원터치 결합되는 샤워기;
상기 유로선택 밸브부재의 제 2 출구에 원터치 결합되고, 제 1 항 내지 제 4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되는 구강 세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 시스템.
A hose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power receiving bracket;
A filter assembly coupled to the hose to filt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having an inlet that is one-touch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filter assembly, and on the other side,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having a flow path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let;
A shower one-touch coupled to the first outlet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And an oral irrigator, which is one-touch coupled to the second outlet of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and comprises an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lter assembly is one or a plurality of oral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nec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일단부에 물이 입수되는 유입구와 타단부에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일측부로 개방된 결합부가 구비되며, 결합부의 중앙에는 필터연결구가 구비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필터연결구에 결합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커버하여 하우징본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유입구로 입수되는 물을 필터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유로와, 상기 필터에서 필터링된 물을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2 안내유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lter assembly is provided with an inlet for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upling part opened at one side in the center thereof, and a housing main body having a filter connector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A filter coupled to the filter connector of the main body, and a cas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housing main body to cover the filter, wherein the housing main body includes a first guide channel for guid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into the filter; And a second guide channel for guiding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to the discharge po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선택 밸브부재는 일측에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세정수가 배출되는 제 1, 제 2 출구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회전에 따라 유입구와 제 1 출구를 잇거나, 또는 유입구와 제 2 출구를 잇는 유로가 형성되는 스풀이 구비되며, 외측면에는 스풀을 회전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구강 세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low path selection valve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washing water flows in one side, and first and second outlets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 the other side, and connects the inlet and the first outlet therein according to rotation. And a spool in which a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outlet is formed, and an outer side surface is provided with a lever for rotating the spool.
KR1020110118892A 2011-11-15 2011-11-15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KR101290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92A KR101290891B1 (en) 2011-11-15 2011-11-15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92A KR101290891B1 (en) 2011-11-15 2011-11-15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231A KR20130053231A (en) 2013-05-23
KR101290891B1 true KR101290891B1 (en) 2013-07-29

Family

ID=4866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892A KR101290891B1 (en) 2011-11-15 2011-11-15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8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80Y1 (en) * 2013-08-08 2015-01-02 신지현 Spray nozzle for proces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KR20190016412A (en) 2017-08-08 2019-02-18 강봉수 One-piece Oral Cleaning Device with Shower
CN115227426A (en) * 2022-08-25 2022-10-25 无锡青禾小贝科技有限公司 Oral cavity cleaning device and oral cavity clean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719Y1 (en) 2004-10-04 2005-01-21 심종원 Tooth cleaning device
KR200414654Y1 (en) 2006-02-08 2006-04-21 윤성중 Oral Irrigator Attachable to Water Faucet
KR200420481Y1 (en) 2006-04-20 2006-07-04 전장봉 The water softener with oral washer
KR20090032903A (en) * 2007-09-28 2009-04-01 영 수 문 Oral irrig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719Y1 (en) 2004-10-04 2005-01-21 심종원 Tooth cleaning device
KR200414654Y1 (en) 2006-02-08 2006-04-21 윤성중 Oral Irrigator Attachable to Water Faucet
KR200420481Y1 (en) 2006-04-20 2006-07-04 전장봉 The water softener with oral washer
KR20090032903A (en) * 2007-09-28 2009-04-01 영 수 문 Oral irrig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231A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5578B1 (en) Oral irrigator for use with oral agent
US9039642B2 (en) Nozzle separating structure of oral irrigator
CN107714220B (en) Oral irrigator with sliding pause switch
KR101290864B1 (en) Oral Cleaner System
KR100625267B1 (en) Washer for oral cavity
US8308079B2 (en) Sanitary installation element with by-pass duct
KR101290891B1 (en)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BR112015002165B1 (en) shower
KR102308136B1 (en) Shower head with one-touch detachable structure
KR200478927Y1 (en) Cleaner of inner mouse with water shower
KR101337692B1 (en) Oral Cleaning Device
KR100964839B1 (en) Cleaner of inner mouse
KR100964838B1 (en) Cleaner of inner mouse
KR101337774B1 (en) Oral Cleaning System
KR200469653Y1 (en) Distribution of quantity adjustment means a device equipped with irrigation
KR20130005839U (en) gum shower
KR102395828B1 (en) Valve sturcture for supplying water
KR101431802B1 (en) Dental syringe control valve
KR102221967B1 (en) Fluid duct opening or closing apparatus of shower head
KR100924893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ooth cleaning nozzle to water supply means
KR960004516B1 (en) Machine for showering teeth
KR20140001850U (en) enema with a bidet function
KR20210048762A (en) Bidet fluid jet nozzles and bidets
KR20190131051A (en) Dental CLEANER FOR DENTAL USE
KR20190016412A (en) One-piece Oral Cleaning Device with Sh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