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267B1 - Washer for oral cavity - Google Patents

Washer for oral cav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267B1
KR100625267B1 KR1020050075313A KR20050075313A KR100625267B1 KR 100625267 B1 KR100625267 B1 KR 100625267B1 KR 1020050075313 A KR1020050075313 A KR 1020050075313A KR 20050075313 A KR20050075313 A KR 20050075313A KR 100625267 B1 KR100625267 B1 KR 10062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ip
handle
supply pip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문
Original Assignee
금호오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오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오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2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2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손잡이; 상기 손잡이 내에 삽입되어 호스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개폐 및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노브;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팁의 탈착 및 세척수의 유출 방향을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에 탈착되고 이중관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팁이 포함되어 구강 내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의 양 및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구강내 조건이나 용도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강도 및 형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thwash, comprising a handle consisting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 supply pipe inserted into the handl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hose; A control knob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An operation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to manipulate a detachment of the tip and an out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a tip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ration means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and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oral cavity, including a tip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ouble tube, and the spraying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user's oral cavity condition or use. And form can be selected.

구강, 세척기, 세척수, 치아, 팁 Oral, Dishwasher, Washing Water, Teeth, Tip

Description

구강 세척기{Washer for Oral Cavity}Mouthwasher {Washer for Oral Cav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구강 세척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rrig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에 구비된 유량조절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control pip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 및 유량조절관에 관한 것으로, 도 3a는 공급관을 통하여 세척수가 오프된 상태이고, 도 3b는 슬라이더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1단 상태이고, 3c는 슬라이더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2단 상태이며, 도 3d는 슬라이더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3단 상태이고, 도 3e는 슬라이더 몸체에 형성된 통공의 형상이며, 도 3f는 조절노브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relates to a slider and a flow control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the washing water off state through the supply pipe, Figure 3b is the first stage of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lider, 3c is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slider 3d is a three-stage state in which wa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lider, and FIG. 3e is a shape of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lider body, and FIG. 3f is a view showing a plane of the adjusting knob.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팁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팁의 외관 또는 내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5a는 팁의 외관을 통하여 물을 공급하는 상태의 단면이고, 도 5b는 팁의 내관을 통하여 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5 is to be able to selectively spray water through the outer tube or the inner tube of the t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upplying water through the outer appearance of the tip, Figure 5b through the inner tube of the tip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the state supplying wat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수단의 일측으로 팁이 삽입 및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tip is inser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구강 세척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공급관에 구비된 개폐관을 나타낸 단면도로, 도 8a는 작동버튼을 눌렀을 때에 공급관이 개방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상태이고, 도 8b는 작동버튼을 놓았을 때에 공급관이 폐쇄되어 세척수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of Figure 7, Figure 8a is a state in which the supply pipe is opened when the operating button is pressed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Figure 8b is the supply pipe is closed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released wash water Indicates a blocked stat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손잡이 12: 상부 케이스10: handle 12: upper case

14: 작동버튼 16: 하부 케이스14: Operation Button 16: Lower Case

18: 조절노브 22: 호스18: adjusting knob 22: hose

24: 연결부재 30: 공급관24: connecting member 30: supply pipe

32: 개폐관 34: 개폐부재32: opening and closing tube 34: opening and closing member

35, 55: 탄성부재 37: 유량조절관35, 55: elastic member 37: flow control pipe

38: 슬라이더 39: 작동바38: Slider 39: Operation Bar

40: 조작수단 41: 조작 케이스40: operation means 41: operation case

44: 회전노브 46: 지지부재44: rotary knob 46: support member

50: 작동부재 53: 캡50: operating member 53: cap

54, 63: 스토퍼 60: 팁54, 63: stopper 60: tip

61: 내관 62: 외관61: inner tube 62: appearance

65: 노즐 P: 배관65: nozzle P: piping

본 발명은 구강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구강, 즉 치아 및 잇몸을 비롯하여 입안 전체를 세척하거나 마사지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washing the oral cav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al irrigator for washing or massaging the entire mouth, including teeth and gums,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통상적으로 치아 및 혀 등은 칫솔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의 칫솔질을 통하여 세척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칫솔질로는 치아 사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치실이나 이쑤시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였지만, 이러한 도구의 사용은 치아 사이를 벌어지게 하거나 잇몸을 상하게 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는 못했다.Typically, teeth and tongue were cleaned by brushing for a period of time using a toothbrush. However, brushing did not completely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between teeth. Therefore, the use of tools such as floss or toothpick, but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the use of these tools did not become a fundamental countermeasure such as the gap between the teeth or hurt the gums.

이와 같이 칫솔질이나 기구 등을 이용하는 경우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치과 의료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구강 세척기가 보편화되었다.Thu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using a brush or a device such as a dental mouthwash is mainly used for dental medical treatment.

상기 구강 세척기는 일정 압력 이상의 수압을 갖는 물을 분사하여 치아의 표면 및 치아 사이, 그리고 잇몸이나 혀를 포함한 입안 전체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oral irrigator is to spray water having a water pressure of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o wash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between the teeth and the entire mouth including the gum or tongue.

그러나 종래의 구강 세척기는 별도의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하거나 수도꼭지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로 인하여 구강 세척기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세기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uthwasher was used to connect the hose or the like to the water spray or using a separate pressurizing means. Because of this, it was not easy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of the oral irrigator.

더욱이 물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작노브 등이 구비된 경우가 있지만, 조작의 불편함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딱딱한 재 질로 이루어져 있어 구강 세척기를 사용하는 중에 잇몸이나 혀 또는 입안의 내벽에 상처를 줄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there are cases in which a separate operation knob or the like is provided to adjust the strength of water, but inconvenience of operation is inherent. In addition, since the nozzle for spraying water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um or tongue or the inner wall of the mouth may be damaged while using the oral irrigato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스를 통하여 송수된 세척수의 개폐와 세기 조절, 그리고 분사 방식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구강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irrigator includ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strength control, and a spray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수도 배관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수돗물의 수압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water pipe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by the water pressure.

또한 본 발명은 탈착이 가능하고 세척수를 공급하는 팁을 내관 및 외관의 이중관으로 형성하고, 내관 및 외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내관과 연결된 팁의 종단에 연질의 노즐을 구비한 구강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and the tip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form a double tube of the inner tube and the exterior, and to select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inner tube and the exterior, the mouth having a soft nozzle at the end of the tip connected to the inner tub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wash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기는,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ral irrig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손잡이;A handle consisting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상기 손잡이 내에 삽입되어 호스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A supply pipe inserted into the handl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hose;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개폐 및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노브;A control knob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팁의 탈착 및 세척수의 유출 방향을 조작하 는 조작수단; 및An operation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to manipulate a detachment of the tip and an out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상기 조작수단에 탈착되고 이중관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Detachable to the operation means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ip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ouble pip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척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기의 분리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ral irrig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손잡이(10)는 상부 케이스(12) 및 하부 케이스(16)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the han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per case 12 and a lower case 16.

상기 손잡이(10)의 상부 케이스(12) 내측에는 자력으로 외부의 금속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그네트(19)이 장착된다. 즉 마그네트(19)는 손잡이(10)를 욕실의 벽면 등에 구비된 금속판에 자력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그네트(19)는 손잡이(10) 내측의 공간부를 활용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더욱이 고정 고리 등을 손잡이(10)의 일측에 구비하여 걸어 둘 수도 있을 것이다. 손잡이(10)의 하부 케이스(16)에는 세척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노브(18)가 구비되어 있다.Inside the upper case 12 of the handle 10 is mounted a magnet 19 for fixing to an external metal surface by magnetic force. That is, the magnet 19 is for magnetically fixing the handle 10 to the metal plate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The magnet 19 may be positioned by utilizing the space part inside the handle 10. Furthermore, a fixed ring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10 to hang. The lower case 16 of the handle 10 is provided with an adjusting knob 18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호스(2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길이의 연신을 위하여 호스(22)가 코일 형태로 감겨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호스(22)의 일단은 연결부재(24)에 연결되고, 연결부재(24)의 양단에는 배관(P), 즉 세척수를 공급하는 수도 배관(P) 등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좋다. 연결부재(24)는 T자관 형태가 바람직하고, T자관 의 측면에는 필터(23)를 결합한다. 필터(23)는 배관(P)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필터(23)의 일단에는 호스(22)가 결합되도록 한다.The hose 2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se 22 is wound in a coil form for stretching the length. One end of the hose 2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24,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24 may be screwed to the pipe P, that is, the water pipe P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he connection member 24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T-tube, and the filter 23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T-tube. The filter 23 is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P). And the hose 22 is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lter (23).

상기 손잡이(10)의 상부 케이스(12) 및 하부 케이스(16) 사이에는 호스(22)로부터 유입된 세척수의 개폐 및 흐름을 조절하는 공급관(30)이 삽입되고, 공급관(30)의 일단은 호스(22)의 일단과 연결되고, 공급관(30)의 타단은 조작수단(40)과 연결된다.A supply pipe 3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case 12 and the lower case 16 of the handle 1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hose 22, and one end of the supply pipe 30 is a hose.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22,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3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ans (4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에 구비된 유량조절관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급관(30)에는 하부 케이스(16)에 구비된 조절노브(18)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공급관(30)을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의 개폐 및 세기를 조절하는 슬라이더(38)가 장착된 유량조절관(37)이 구비되어 있다. 유량조절관(37)에는 공급관(30)이 결합되는 위치에 세척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이 형성되어 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control pip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water to the supply pipe 30 by the sliding of the control knob 18 provided in the lower case 16 along the supply pipe 30 It is provided with a flow control pipe 37 is equipped with a slider 38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e flow rate control pipe 37 is formed with an inlet hole 37a and an outlet hole 37b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upply pipe 30 is coupled.

상기 조절노브(18)는 하부 케이스(16)에 형성된 관통공(17)을 통해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16)의 내측으로 복수의 돌기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노브(18)의 돌기부(20) 사이에 슬라이더(38)의 작동바(39)가 삽입되어 있어 조절노브(18)의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더(38)의 몸체부(38a)가 유량조절관(37) 내에서 회전되도록 된 것이다. 몸체부(38a)에는 통공(38b)(38c)이 형성되어 있어 공급관(30)을 통해 유출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조절노브(18)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하여 몸체부(38a)에 형성된 통공(38b)(38c)과 공급관(30)에 연결된 유량조절관(37)에 형성된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의 관통 정도 에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의 세기를 달라진다. 상기 슬라이더(38)의 몸체부(38a)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복수의 고무링 등이 결합될 수 있다.The adjusting knob 18 is coupled through the through hole 17 formed in the lower case 16,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20 are formed inside the lower case 16. An operation bar 39 of the slider 38 is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s 20 of the adjustment knob 18, so that the body portion 38a of the slider 38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of the adjustment knob 18. 37) to be rotated within. The through hole 38b and 38c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38a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 and out through the supply pipe 30. The inflow hole 37a and the discharge hole 37b formed in the flow control pipe 37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0 and the through-holes 38b and 38c formed in the body portion 38a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adjustment knob 18. The intensity of the wash water supplied depends on the degree of penetration. A plurality of rubber rings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8a of the slider 38.

조작수단(40)은 상기 손잡이(10)의 일측에 장착되어 팁(60)의 탈착 및 세척수의 유출 방향을 조작하는 것으로, 조작수단(40)의 외측에는 조작 케이스(41)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 케이스(41)의 가압에 의하여 팁(60)의 탈착을 도모하고, 조작 케이스(41)의 회전에 의하여 세척수의 방향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 케이스(41)의 내측에는 공간부(43)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결합된 팁(60)의 무단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각형의 통공(42)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개방된 상태이다.The operation means 4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10 to manipulate the detachment of the tip 60 and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operation case 41 is provided outside the operation means 40. By pressing the operation case 41, the tip 60 is detached and the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can be manipula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case 41. A space portion 43 is formed inside the operation case 41, and a polygonal through hole 42 is formed at one end to prevent the endless rotation of the coupled tip 60, and the other end is in an open state.

도 5a에서, 상기 조작 케이스(41)의 회전에 의하여 정역 회전하는 회전노브(44)가 조작 케이스(41) 내측에 결합되어 있다. 회전노브(44)는 일측에 팁(6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재(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노브(44)의 내측 일부분에는 암나사(47)로 이루어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노브(44)의 외주연에는 조작 케이스(41)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돌출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노브(44)의 외주연에는 돌출부(48a)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복수의 장홈(48b)이 형성되어 있고, 장홈(48b)은 상기 회전노브(44)의 외주연에 조작 케이스(41)의 승하강 및 회전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노브(44)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돌기(48c)는 손잡이(10)의 상부 케이스(12) 및 하부 케이스(16)의 일측 내부에 형성된 요홈(12a)(16a)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In FIG. 5A, the rotary knob 44 which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case 41 is coupled inside the operation case 41. The rotary knob 44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46 for fixing the tip 60 on one side, and a screw thread formed of a female screw 47 is formed on an inner portion of the rotary knob 44. .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knob 44, a protrusion 48a is formed to prevent the operation case 41 from being separated and to maintain the engagement. A plurality of long grooves 48b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knob 4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otrusion 48a, and the long grooves 48b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knob 44 of the operation case 41. To support lifting and lowering.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48c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ry knob 44 is for coupling with the grooves 12a and 16a formed in one side of the upper case 12 and the lower case 16 of the handle 10. .

상기 회전노브(44)에 형성된 암나사(47)와 나사 결합되는 작동부재(50)가 회전노브(44)의 내측에 결합된다. 작동부재(50)는 회전노브(44)의 회전에 의한 진퇴 되면서 공급관(30)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복수의 유통공(52)을 통하여 팁(60)의 내관(61) 또는 외관(62)으로 유통시키는 것이다. 작동부재(50)의 일단은 개방되어 공급관(30)이 삽입되어 있고, 타단은 폐쇄된 상태이며, 작동부재(50)의 외주연에 복수의 유통공(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부재(50)의 외주연에는 회전노브(44)의 암나사(47)와 나사 결합을 위한 수나사(51)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재(50)에는 공급관(30)이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지만, 공급관(30)의 외주를 따라 작동부재(50)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ng member 50 which is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47 formed on the rotary knob 44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otary knob 44. The operation member 50 is the inner tube 61 or the exterior 62 of the tip 60 through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52 to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while being advanc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44 To distribute. One end of the operation member 50 is opened, the supply pipe 30 is insert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52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on member 5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on member 50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47 of the rotary knob 44 and a male screw 51 for screwing. Although the supply pipe 3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peration member 50,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member 50 slid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ly pipe 30.

캡(53)은 회전노브(44) 내에 구비되고, 작동부재(50)의 외주에 결합된 것으로, 캡(53)은 팁(60)의 외관(62)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분출로(t1)와, 팁(60)의 내관(61)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분출로(t2)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캡(53)의 일측은 진퇴되는 작동부재(50)의 외주를 감싸듯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팁(60)의 내관(61)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다.Cap 53 is provided in the rotary knob 44,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perating member 50, the cap 53 is a first jet passag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exterior (62) of the tip (60) t1) and a second jet passage t2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inner tube 61 of the tip 60. That is, one side of the cap 53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on member 50 to be advanced,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61 of the tip (60).

상기 조작 케이스(41)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54)와 회전노브(44)의 단턱 사이에는 탄성부재(55)가 삽입되어 회전노브(44)로부터 조작 케이스(41)가 탄성에 의하여 지지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An elastic member 55 is inserted between the stopper 54 formed inside the operation case 41 and the stepped portion of the rotary knob 44 so that the operation case 4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otary knob 44. It is.

도 4에서, 팁(60)은 상기 조작수단(40)에 탈착되고 이중관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상기 팁(60)은 공급되는 세척수를 방사상으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공(67)이 형성된 외관(62)과, 상기 외관(62)의 내측에 구비되어 종단에 결합된 노즐(65)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내관(61)이 구성된 것이다. 팁(60)의 내관(61)을 통해서 노즐(65)의 분사공(66)으로부터 세척수가 한줄기의 직사(直射) 형태로 분사 되고, 팁(60)의 외관(62)을 통해서는 복수의 분사공(67)으로부터 세척수가 방사(放射) 형태로 분사된다. 즉 직사는 치아 사이나 치아의 표면에 직접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고, 방사는 입안 전체를 세척수로 샤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팁(60)의 일측 외주연에는 조작수단(40)과의 탈착을 위한 고정홈(64)이 형성되어 있으며, 팁(60)의 외주연에는 스토퍼(63)가 구비되어 있다.In FIG. 4, the tip 60 is detached to the operation means 40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ouble pipe, and the tip 60 ha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67 for radially spraying the supplied washing water. The outer tube 62 and the inner tube 61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nozzle 65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shell 62 and coupled to the end is configured. Washing water is injected in a straight line form of a straight line from the injection hole 66 of the nozzle 65 through the inner tube 61 of the tip 60, and a plurality of minutes through the exterior 62 of the tip 60. Washing water is sprayed in the form of radiation from the hole 67. That is, the direct weaving is to be sprayed directly between the teeth or the surface of the teeth, the radiation is to shower the whole mouth with the washing water. And one side outer periphery of the tip 6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64 for detachment from the operation means 40, the outer periphery of the tip 60 is provided with a stopper 63.

상기 노즐(65)은 연질의 재질로서, 내관(61)과 일체로 형성되지만, 별도로 탈착되는 형태이어도 좋다. 노즐(65)은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zzle 65 is a soft material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tube 61, but may be separately detach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nozzle 65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강 세척기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oral irrig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먼저, 본 발명의 구강 세척기는 세척수의 공급을 위하여 수도 배관(P) 사이에 연결부재(24)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수도 배관(P)은 욕실 내에 세면대, 변기 또는 샤워기 등으로 각종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 배관(P) 사이에 연결된다. 즉 연결부재(24)의 상단 및 하단에 수돗물이 송수되는 수도 배관(P)이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부재(24)로서 T자관이 적용된 경우에 있어서, 수도 배관(P)으로부터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T자관의 일측에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유출공에는 필터(23)를 통해 세척수가 걸러지도록 한다. 필터(23)는 수돗물, 즉 세척수에 포함된 각종의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에 호스(22)로 배출시킨다. 상기 호스(22)를 연결부재(24)의 유출공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First, the oral irrig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member 24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P) for the supply of the wash water. Water pipe (P) is connected between the pipe (P) installed to supply a variety of tap water to the sink, toilet or shower in the bathroom. That is, the water pipe (P) through which the tap water is deliver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24 is connected. In the case where the T-shaped tube is applied as the connecting member 24, an outflow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shaped tube so that tap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P, and the outflow hole filters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filter 23. . The filter 23 filters the various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tap water, that is, the wash water, and then discharges it to the hose 22. The coupling part should be provided to couple the hose 22 to the outlet hole of the connection member 24.

이와 같이 수도 배관(P) 사이에 결합된 연결부재(24) 및 필터(23)를 거쳐 필터링된 세척수(수돗물)가 호스(22)를 따라 송수된다. 호스(22)를 따라 송수된 세척수는 상부 케이스(12) 및 하부 케이스(16)가 결합된 손잡이(10) 내의 공급관(30)으로 공급된다.Thus, the washing water (tap water) filter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4 and the filter 23 coupled between the water pipes (P) is delivered along the hose (22). The washing water passed along the hose 22 is supplied to the supply pipe 30 in the handle 10 to which the upper case 12 and the lower case 16 are coupled.

이때, 사용자가 구강 세척기의 사용을 위하여 조절노브(18)을 조작하게 된다. 조절노브(18)의 조작은 도 3f에서, 조절노브(18)을 오프위치로부터 1단 내지 3단의 위치까지 선택할 수 있다. 조절노브(18)을 작동시키면 조절노브(18)의 돌기(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더(38)의 작동바(39)가 동시에 작동된다. 작동바(39)의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더(38)의 몸체부(38a)는 회전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user manipulates the adjusting knob 18 for the use of the mouthwash.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knob 18 can select the adjusting knob 18 from the off position to the position of one to three stages in FIG. 3F. Operating the adjusting knob 18 simultaneously activates the operating bar 39 of the slider 38 located between the projections 20 of the adjusting knob 18.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ar 39, the body portion 38a of the slider 38 is rotated.

먼저, 조절노브(18)을 오프위치에 위치시키면, 도 3a와 같이, 유량조절관(37)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더(38)의 몸체부(38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38b) 및 (38c)과 유량조절관(37)에 형성된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은 소통상태가 아닌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공급관(30)을 통해서 세척수가 유통되지 않는다.First, when the adjustment knob 18 is placed in the off position, as shown in FIG. 3A, the through holes 38b and the holes 38b formed in the body portion 38a of the slider 38 inserted inside the flow control tube 37 are formed. 38c) and the inlet hole 37a and the outlet hole 37b formed in the flow control tube 37 ar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rather than communicating, and the washing water is not circulat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그리고 도 3b와 같이, 조절노브(18)을 1단으로 위치시킨 경우로서, 슬라이더(38)의 몸체부(38a)가 오프 위치보다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이고, 몸체부(38a)의 통공(38b)(38c)이 유량조절관(37)의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과 다소 겹쳐진 상태가 되어 공급관(30)을 통해서 소량의 세척수가 유통된다. 이는 도 3e에서, 슬라이더(38) 몸체부(38a)에 형성된 통공(38b)(38c)의 형상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모양이므로 조절노브(18)을 1단으로 위치시킨 경우에 유량조절관 (37)의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을 통해 소량의 세척수가 소통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B, when the adjusting knob 18 is positioned in one stage, the body portion 38a of the slider 38 is rotated at an angle from the off position, and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38a is formed. 38b) and 38c overlap with the inflow hole 37a and the outflow hole 37b of the flow control pipe 37, and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flows through the supply pipe 30. In FIG. 3E, since the diameters of the through holes 38b and 38c formed in the body 38a of the slider 38 become larger in diameter from left to right, the flow rate when the adjustment knob 18 is positioned in one stage.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s in a communication state through the inlet hole 37a and the outlet hole 37b of the control tube 37.

또한, 도 3c에서, 조절노브(18)을 2단으로 위치시킨 경우로서, 슬라이더(38)의 몸체부(38a)가 1단 위치보다 일정 각도로 더 회전된 상태이고, 몸체부(38a)의 통공(38b)(38c)이 유량조절관(37)의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과 소통 상태가 되어 공급관(30)을 통해서 일정량의 세척수가 유통된다. 이는 도 3e의 통공(38b)에서 중간 직경 부분이 유량조절관(37)의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과 일치되는 순간이다.In addition, in FIG. 3C, when the adjusting knob 18 is positioned in two stages, the body portion 38a of the slider 38 is rotated more at an angle than the first stage position. The through holes 38b and 38c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low hole 37a and the outlet hole 37b of the flow control tube 37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ing water is distribut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This is the moment when the middle diameter portion in the through hole 38b of FIG. 3E coincides with the inlet hole 37a and the outlet hole 37b of the flow control tube 37.

또한, 도 3d에서, 조절노브(18)을 3단으로 위치시킨 경우로서, 슬라이더(38)의 몸체부(38a)가 2단 위치보다 일정 각도로 더 회전된 상태이고, 몸체부(38a)의 통공(38b)(38c)이 유량조절관(37)의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과 완전 소통 상태가 되어 공급관(30)을 통해서 일정 압력의 세척수가 유통된다. 이는 도 3e의 통공(38b)에서 가장 큰 직경 부분이 유량조절관(37)의 유입공(37a) 및 유출공(37b)과 일치되는 순간이다.In addition, in FIG. 3D, when the adjusting knob 18 is positioned in three stages, the body portion 38a of the slider 38 is rotated more by a predetermined angle than the two-stage position, and the The through-holes 38b and 38c are in complete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37a and the outlet 37b of the flow control tube 37, and the washing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is distribut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This is the moment when the largest diameter portion in the through hole 38b of FIG. 3E coincides with the inlet hole 37a and the outlet hole 37b of the flow control tube 37.

이와 같이 조절노브(18)의 조작에 의하여 공급관(30)을 통하여 송수되는 세척수의 차폐 및 세기와 흐름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elding, the strength and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deliver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may be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knob 18.

한편, 손잡이(10)의 일단에 결합된 조작수단(40)에는 팁(60)이 착탈됨과 동시에 팁(60)의 내관(61) 또는 외관(62)으로 세척수의 공급을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ans (40)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10, while the tip 60 is detached and at the same time can be selected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inner tube 61 or the exterior 62 of the tip (60).

도 6에서, 상기 조작수단(40)으로 팁(60)을 착탈시키기 위하여, 조작수단(40)의 조작 케이스(41)를 누른 후에 팁(60)을 조작 케이스(41)의 관통공(42)을 통 하여 삽입한다. 이때 조작 케이스(41)를 누르면 탄성부재(55)가 압축되고, 탄성부재(55)가 압축된 상태에서 팁(60)을 삽입하면 팁(60)은 복수의 지지부재(46)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삽입이 이루어진다. 팁(60)이 조작 케이스(4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팁(60)의 내관 내벽이 캡(53)의 돌출부(53a)에 삽입되고, 팁(60)의 외관이 회전노브(44)의 내측벽에 삽입되면서 지지된다. 그리고 눌렀던 조작 케이스(41)를 놓으면 탄성부재(55)의 탄성에 의하여 조작 케이스(41)는 회전노브(44)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조작 케이스(41)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54)가 지지부재(46)를 밀게 되고, 지지부재(46)의 돌기(46a)가 팁(60)의 고정홈(64)에 밀착되어 팁(60)을 고정시킨다. 팁(60)을 조작수단(4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조작 케이스(41)를 누르면 탄성부재(55)가 압축되고, 지지부재(46)의 배면에서 지지부재(46)를 고정시키던 스토퍼(54)가 후퇴하면서 지지부재(46)가 자유로워지므로 팁(60)을 뽑아내면 지지부재(46)의 탄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46)의 탄성은 도 5b에서, 스토퍼(54)에 의하여 고정 및 자유로울 수 있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지지부재(46)의 탄성은 팁(60)의 고정홈(64) 및 지지부재(46)의 돌기(46a)의 결합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FIG. 6, in order to detach the tip 60 with the operation means 40, the tip 60 is pushed through the operation hole 41 of the operation case 41 after pressing the operation case 41 of the operation means 40. Insert through.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case 41 is pressed, the elastic member 55 is compressed, and when the tip 60 is inserted while the elastic member 55 is compressed, the tip 60 pushes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46 outward. Insertion is made while giving out. As the tip 60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case 41, the inner tube inner wall of the tip 6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53a of the cap 53, and the appearance of the tip 60 is the inner wall of the rotary knob 44. It is suppo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When the pressed operation case 41 is released, the operation case 41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knob 44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55. Accordingly, the stopper 54 formed inside the operation case 41 pushes the support member 46, and the protrusions 46a of the support member 46 adhere to the fixing groove 64 of the tip 60 so that the tip ( 60). In order to separate the tip 60 from the operation means 40, pressing the operation case 41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55, and the stopper 54 which fixes the support member 46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6. Since the support member 46 is freed while retreating,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the elasticity of the support member 46 by pulling out the tip 60. The elasticity of the support member 46 preferably has a predetermined range ?? in FIG. 5B, which can be fixed and freed by the stopper 54, and the elasticity of the support member 46 is determined by the tip 60.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epth of engagement of the projection 46a of the fixing groove 64 and the support member 46.

더욱이 상기 조작수단(40)의 조작 케이스(41)를 정역회전시키면 팁(60)의 내관(61) 또는 외관(62)을 통하여 세척수의 분출을 선택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operation case 41 of the operation means 40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the jet of the washing water can be selected through the inner tube 61 or the exterior 62 of the tip 60.

도 5a 및 도 5b에서, 즉 팁(60)의 외관(62) 종단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공(67)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팁(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 케이스(41)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케이스(4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노 브(44)가 회전된다. 회전노브(44)의 회전은 조작 케이스(41)의 일단이 장홈(48b)에 결합되어 있어 조작 케이스(41)의 회전을 따라 회전노브(44)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장홈(48b)은 조작 케이스(41)의 진퇴를 위한 가이드 기능과 회전노브(44)의 동시 회전을 위한 것이다.5A and 5B, that is, the operation case 41 is mounted with the tip 60 coupled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be ej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67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rior 62 of the tip 60. When rotating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the rotary knob 4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case 41. Rotation of the rotary knob 44, one end of the operation case 41 is coupled to the long groove (48b), the rotation knob 44 is also rotated at the same time alo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case 41. The long groove 48b is for the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rotary knob 44 and the guide function for advancing and returning the operation case 41.

회전노브(44)가 회전되면서 회전노브(44)의 내측에 암나사(47)와 나사 결합된 작동부재(50)의 수나사(51)가 회전노브(44)의 암나사(47)를 따라 후퇴하게 된다. 작동부재(50)가 후퇴하면서 작동부재(50)의 유통공(52)이 팁(60)의 외관(62)과 연통되어 있는 제1 분출공(t1)에 위치하게 되어 공급관(30)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제1 분출공(t1)을 통해 팁(60)의 외관(62)으로 공급된다.As the rotary knob 44 is rotated, the male screw 51 of the operating member 50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47 inside the rotary knob 44 retreats along the female screw 47 of the rotary knob 44. . As the operation member 50 is retracted, the distribution hole 52 of the operation member 50 is positioned in the first jetting hole t1 communicating with the exterior 62 of the tip 60, and is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30. The washed water is supplied to the exterior 62 of the tip 60 through the first jet hole t1.

그리고 팁(60)의 내관(61) 종단에 형성된 노즐(65)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조작 케이스(4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케이스(4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노브(44)가 회전된다. 회전노브(44)가 회전되면서 회전노브(44)의 내측에 나사 결합된 작동부재(50)를 전진시킨다. 작동부재(50)가 전진하면서 작동부재(50)의 유통공(52)이 팁(60)의 내관(61)과 연통되어 있는 제2 분출공(t2)에 위치하게 되어 공급관(30)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제2 분출공(t2)을 통해 팁(60)의 내관(61)으로 공급된다.Then, when the operation case 4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ejected through the nozzle 65 formed at the end of the inner tube 61 of the tip 60, the rotary knob 44 is rotated by the operation case 41. ) Is rotated. As the rotary knob 44 is rotated, the operating member 50 screwed inside the rotary knob 44 is advanced. As the operation member 50 is advanced, the distribution hole 52 of the operation member 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jet hole t2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tube 61 of the tip 60, and is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30. The wash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61 of the tip 60 through the second jet hole t2.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은 구강 세척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Nex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rrigator.

도 7은 공급관(30) 사이에 유량조절관(37) 및 개폐관(32)이 각각 결합된 상 태이다. 즉 손잡이(10)의 상부 케이스(12)에는 공급관(30)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스위치로서 작동버튼(14)이 구비되고, 유량조절관(37)에서는 세척수의 세기 및 흐름량 만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7 is a state in which the flow control pipe 37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ipe 32 are respectively coupled between the supply pipe 30. That is, the upper case 12 of the handle 1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14 as an opening and closing switch for supplying or block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the flow control pipe 37 and the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and Only the flow rate can be manipulated.

그리고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도 8에서, 상기 공급관(30)에는 손잡이(10)의 상부 케이스(12)에 구비된 작동버튼(14)의 작동으로 개폐부재(34)가 탄성부재(35)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공급관(30)을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개폐관(32)이 구성되어 있다. 작동버튼(14)은 합성수지나 고무 등과 같이 복원력이 좋은 연질의 재질이 적용된다. 상기 개폐부재(34)의 상단은 작동버튼(14)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몸체부(34b)는 개폐관(32) 내측으로 삽입된다. 개폐부재(34)의 몸체부(34b)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고무링(36a)(36b)이 복수로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34b)에는 세척수의 흐름을 도모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34c)가 형성되어 있다.And the embodiment of this configuration in Figure 8,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to the elastic member 35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14 provided in the upper case 12 of the handle 10 in the supply pipe (30). The opening and closing pipe 3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along the supply pipe 30 while lifting up and down is configured. The operation button 14 is applied to a soft material having good restoring force such as synthetic resin or rubber.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ration button 14, the body portion 34b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A plurality of rubber rings 36a and 36b are coupled to the body 34b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to maintain airtightness. The body portion 34b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34c which is recessed inwardly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그리고 개폐부재(34)의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34a)와 개폐관(32) 내측에 형성된 단턱 사이에 탄성부재(35)가 삽입되어 개폐부재(34)가 개폐관(32) 사이에서 승하강될 때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공급관(30) 사이에 구성된 개폐관(32)은 세척수가 유입되는 공급관(30a)과 세척수가 유출되는 공급관(30b)의 위치가 상이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는 개폐부재(34)의 몸체부(34b)에 형성된 장고 형상을 갖는 오목부(34c)의 길이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And the elastic member 35 is inserted between the head portion 34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and the stepped portion formed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is moved up and down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Provide elasticity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ipe 32 configured between the supply pipes 3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s of the supply pipe 30a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in and the supply pipe 30b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out differently.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concave portion 34c having a django shape formed in the body portion 34b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작동버튼의 작용을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with reference to Figure 8a and 8b.

도 8a에서, 손잡이(10)의 외측에 구비된 작동버튼(14)을 누르면 개폐관(32)에 삽입된 개폐부재(34)는 개방상태가 된다. 즉 작동버튼(14)을 누르면 개폐부재(34)의 몸체부(34b)가 개폐관(32) 내로 삽입되고, 이때 몸체부(34b)의 오목부(34c)가 공급관(30a) 및 공급관(30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관(32)에 삽입된 개폐부재(34)의 몸체부(34b)의 일측은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34c)가 형성되고, 오목부(34c)의 상하로는 기밀 유지를 위한 고무링(36a)(36b)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개폐관(32)의 통공(32a) 전단에 연결된 공급관(30a)은 개폐관(32)의 상단에 연결되고, 개폐관(32)의 통공(32b) 후단에 연결된 공급관(30b)은 개폐관(32)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폐관(32)의 전단에서 유입된 세척수는 개폐부재(34)가 개방된 상태로서 하부로 가압된 상태라면 몸체부(34b)에 오목부(34c)의 외주를 따라 개폐관(32)의 하단에 연결된 공급관(30b)을 통해 세척수가 유출된다.In FIG. 8A, when the operation button 14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andle 10 is presse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34 inserted into the opening / closing pipe 32 is opened. That is, when the operation button 14 is pressed, the body portion 34b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wherein the recessed portion 34c of the body portion 34b is the supply pipe 30a and the supply pipe 30b. Will be located between). Therefore,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4b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34c concave inward, and the rubber ring for maintaining the airtight up and down of the concave portion 34c 36a and 36b are respectively fixed, the supply pipe 30a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32a of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and the opening 32b of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is The supply pipe 30b connected to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so that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and the body part is pressurized downward. The washing water flows out through the supply pipe 30b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ipe 32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cess 34c in the 34b.

이와는 반대로, 도 8b에서, 눌렀던 작동버튼(14)을 놓아 폐쇄상태로 전환시키면, 개폐부재(34)는 개폐관(32)을 폐쇄시킨다. 즉 개폐부재(34)의 머리부(34a)와 개폐관(32)의 단턱 사이에 위치해 있던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부재(34)는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개폐부재(34)가 상승하면서 몸체부(34b)의 오목부(34c)도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34c) 아래에 고정된 고무링(36b)이 상승하여 통공(32a) 및 (32b)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공급관(30a)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는 고무링(36b)에 의하여 차단상태가 되므로 통공(32b)을 통하여 공급관(30b)으로는 세척수가 유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in Fig. 8B, when the pressed operation button 14 is released and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That i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 located between the head 34a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and the step of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32,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is rais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 As it rises, the recessed part 34c of the body part 34b also raises. Therefore, the rubber ring 36b fixed below the recessed portion 34c is rais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hrough holes 32a and 32b so that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30a is blocked by the rubber ring 36b. Therefore, the washing water is not distributed to the supply pipe 30b through the through hole 32b.

이와 같이 작동버튼(14)의 조작에 의하여 공급관(30)을 통해 송수되는 세척수를 공급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14 can supply or block the washing water f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그리고 손잡이(10)에 구비된 조절노브(18)로 공급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세기, 즉 세척수의 흐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세척수의 흐름량 조절은 조절노브(18)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하여 가능해진다. 이때, 조절노브(18)는 1단 내지 3단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노브(18)는 구강 세척기의 조건에 따라 더 많은 단수를 두어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절노브(18)는 세척수를 완전히 차단시키지 않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that is, the flow rate of the wash water to the control knob 18 provided on the handle (10).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can be adjusted by sliding the adjustment knob 18. At this time, the adjustment knob 18 may adjust the intensity of the first to third stages. The adjusting knob 18 may be operated in more stag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oral irrigator. And the adjusting knob 18 is preferably a structure that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wash water.

상기 조절노브(18)의 조작 및 작동은 도 3b 내지 도 3d와 같이 구현될 수 있고, 도 3e와 같이 슬라이더(38)의 몸체부(38a)에 형성된 통공(38b)와 동일한 구조이며, 도 3f에서 오프(OFF) 위치가 생략된 상태가 될 것이다.Manipulation and operation of the adjustment knob 18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ures 3b to 3d, the same structure as the through-hole 38b formed in the body portion 38a of the slider 38, as shown in Figure 3e, Figure 3f OFF position will be omitted.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세척기는 구강 내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의 양 및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구강내 조건이나 용도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강도 및 형태를 선택할 수 있어 구강 내의 치아 표면 및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샤워 또는 헹굼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팁의 용이한 교환 등, 구강 세척기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세척수 선택의 편의성을 제공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al irrig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and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oral cavity, and can select the spraying strength and the shape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user's oral conditions or uses. Remove foreign bodies between the tooth surface and the teeth in the tooth, select a shower or rinse, etc., and improve the function of the oral irrigator, such as easy exchange of tips.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washing water selection.

Claims (7)

상부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손잡이;A handle consisting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상기 손잡이 내에 삽입되어 호스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A supply pipe inserted into the handl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hose;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개폐 및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노브;A control knob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팁의 탈착 및 세척수의 유출 방향을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An operation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to manipulate a detachment of the tip and an out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상기 조작수단에 탈착되고 이중관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팁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기.The oral irrigator is detached to the operation means and comprises a tip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ouble pi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호스의 일단에는 배관 사이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연결부재와,One end of the hose is coupled between the pipe and the connecting member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상기 연결부재와 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와,A filter coupled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hose to filter the washing water; 상기 손잡이 내측에 장착되어 자력으로 외부의 금속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그네틱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기.And a magnetic body mounted inside the handle and configured to magnetically fix to an external metal surface by magne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팁은 공급되는 세척수를 직사 또는 방사상으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외관과,The tip has an appearance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to directly or radially spray the supplied washing water; 상기 외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내관과,An inner tube provided inside the exterior to supply washing water; 상기 내관의 종단에 결합되어 분사공을 통해 세척수를 직사로 분사하는 노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기.Is coupled to the end of the inner tube oral irrig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zzle for injecting the washing water directly through the injec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노브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공급관을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의 개폐 및 세기를 조절하는 슬라이더가 장착된 유량조절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기.The oral irrigat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low control tube equipped with a slider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along the supply pipe by sliding the adjusting knob.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조작수단은 팁의 탈착 및 세척수의 방향을 조작하는 조작 케이스와,The operation means and the operation case for operating the direction of the removal of the tip and the wash water; 상기 조작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어 조작 케이스의 회전에 의하여 정역 회전하는 회전노브와,A rotary knob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ration case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rotation of the operation case; 상기 회전노브 내측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노브의 회전에 의한 진퇴되면서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유통공을 통하여 팁의 내관 또는 외관으로 유통시키는 작동부재와,An actuating member screwed into the rotary knob and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while being advanced and retrac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상기 작동부재의 외주에 결합되어 팁의 외관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분출로와 팁의 내관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분출로를 형성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기.And a cap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peration member to form a first jet passage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exterior of the tip and a second jet passage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inner tube of the tip.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조작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와 회전노브의 단턱 사이에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노브의 외주연에 조작 케이스의 승하강 및 회전을 지지하는 장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기.An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stopper formed inside the operation case and the stepped portion of the rotary knob, and a long groove for supporting the lifting and rotating of the operation cas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knob. 상부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손잡이;A handle consisting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상기 손잡이 내에 삽입되어 호스로부터 유입된 세척수의 개폐 및 흐름을 조절하는 공급관;A supply pipe inserted into the handl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hose;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세척수 공급을 개폐시키는 작동버튼;An operation button attached to the handle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water supply;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척수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노브;A control knob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팁의 탈착 및 세척수의 유출 방향을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An operation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to manipulate a detachment of the tip and an out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상기 조작수단에 탈착되고 이중관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팁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기.The oral irrigator is detached to the operation means and comprises a tip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ouble pipe.
KR1020050075313A 2005-08-17 2005-08-17 Washer for oral cavity KR100625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313A KR100625267B1 (en) 2005-08-17 2005-08-17 Washer for oral ca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313A KR100625267B1 (en) 2005-08-17 2005-08-17 Washer for oral cav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267B1 true KR100625267B1 (en) 2006-09-15

Family

ID=3763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313A KR100625267B1 (en) 2005-08-17 2005-08-17 Washer for oral cav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267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163B1 (en) 2007-06-01 2009-02-17 박표준 A nozzle of washer for oral cavity
KR100964838B1 (en) * 2008-09-05 2010-06-24 (주)교원클럽 Cleaner of inner mouse
KR200466351Y1 (en) 2013-01-03 2013-04-10 유기부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KR101263775B1 (en) 2011-06-22 2013-05-13 장병우 Oral washing device
KR101431802B1 (en) 2013-02-15 2014-08-19 (주)인일정공 Dental syringe control valve
KR101546898B1 (en) * 2014-11-17 2015-08-24 주식회사 갈렙 Irrigator for washing while surgery operation
KR101589282B1 (en) * 2014-11-13 2016-01-27 주식회사 갈렙 Irrigator for washing while surgery operation
KR20170033028A (en) 2015-09-16 2017-03-24 이노엘텍(주) disposable nozzles of Oral irrigator
KR102237060B1 (en) 2020-07-01 2021-04-06 조신복 Tongue Depressor
KR102277690B1 (en) 2021-03-23 2021-07-15 조신복 Tongue Depressor
KR20220117475A (en) 2021-02-17 2022-08-24 조신복 Disposable examination tongue depressor capable of self-sample coll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58A (en) * 1994-07-22 1996-02-06 Kazuo Nagira Water pressure type water toothpick
KR960004516B1 (en) * 1993-03-23 1996-04-06 김관현 Machine for showering teeth
KR19980078461A (en) * 1997-04-28 1998-11-16 김기철 Hot / cold water anal cleaner equipped with female washing machine and oral shower
KR200370915Y1 (en) 2004-09-07 2004-12-20 유일수 Oral wash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516B1 (en) * 1993-03-23 1996-04-06 김관현 Machine for showering teeth
JPH0833658A (en) * 1994-07-22 1996-02-06 Kazuo Nagira Water pressure type water toothpick
KR19980078461A (en) * 1997-04-28 1998-11-16 김기철 Hot / cold water anal cleaner equipped with female washing machine and oral shower
KR200370915Y1 (en) 2004-09-07 2004-12-20 유일수 Oral washing devic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163B1 (en) 2007-06-01 2009-02-17 박표준 A nozzle of washer for oral cavity
KR100964838B1 (en) * 2008-09-05 2010-06-24 (주)교원클럽 Cleaner of inner mouse
KR101263775B1 (en) 2011-06-22 2013-05-13 장병우 Oral washing device
KR200466351Y1 (en) 2013-01-03 2013-04-10 유기부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KR101431802B1 (en) 2013-02-15 2014-08-19 (주)인일정공 Dental syringe control valve
KR101589282B1 (en) * 2014-11-13 2016-01-27 주식회사 갈렙 Irrigator for washing while surgery operation
KR101546898B1 (en) * 2014-11-17 2015-08-24 주식회사 갈렙 Irrigator for washing while surgery operation
KR20170033028A (en) 2015-09-16 2017-03-24 이노엘텍(주) disposable nozzles of Oral irrigator
KR102237060B1 (en) 2020-07-01 2021-04-06 조신복 Tongue Depressor
KR20220117475A (en) 2021-02-17 2022-08-24 조신복 Disposable examination tongue depressor capable of self-sample collection
KR102277690B1 (en) 2021-03-23 2021-07-15 조신복 Tongue Depres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267B1 (en) Washer for oral cavity
KR101290864B1 (en) Oral Cleaner System
KR101571095B1 (en) Water jet type toothbrush
JP6361991B2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KR200448033Y1 (en) Water and drainage integrated mouthwash
KR100696069B1 (en) A combined shower head and waterpic
KR200478927Y1 (en) Cleaner of inner mouse with water shower
KR200490037Y1 (en) One touch type water spray head for bathroom cleaning
KR200466351Y1 (en)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KR100964839B1 (en) Cleaner of inner mouse
KR102342459B1 (en) Multipurpose shower head
KR100964838B1 (en) Cleaner of inner mouse
CN201384587Y (en) Mouth and teeth cleaner
KR101290891B1 (en)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System
KR102167980B1 (en) Apparatus for open and shut water pipe and functional washing device for mouth with the same
KR101337774B1 (en) Oral Cleaning System
KR20190050598A (en) Toothbrush with cleaning function
KR20120121507A (en) A cleaner for bathroom
KR200326536Y1 (en) Washing water jet
KR200348618Y1 (en) A cleaner of inner mouse
KR20100028231A (en) Oral irrigator
KR102036779B1 (en) Oral washable shower head
JP3786661B2 (en) Shower device having oral cleaning function
KR101764392B1 (en) disposable nozzles of Oral irrigator
KR101486489B1 (en) Tooth Washer for Fauc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