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42B1 - Curtain wall apparatus united flowerpot - Google Patents

Curtain wall apparatus united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42B1
KR101290642B1 KR1020120158176A KR20120158176A KR101290642B1 KR 101290642 B1 KR101290642 B1 KR 101290642B1 KR 1020120158176 A KR1020120158176 A KR 1020120158176A KR 20120158176 A KR20120158176 A KR 20120158176A KR 101290642 B1 KR101290642 B1 KR 10129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wall
water
wall support
water supply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강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희 filed Critical 강성희
Priority to KR102012015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URPOSE: A flowerpot integrated curtain wall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 by obtaining air cleaning effects and aesthetic properties using plants. CONSTITUTION: A flowerpot integrated curtain wall system (1) comprises a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a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a glass panel unit (30), a flowerpot part (40), and a water supply part (50).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is arrang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t a predetermined gap.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laterally connects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s by being formed on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glass panel uni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each curtain wall support. The flowerpot part is formed inside the opened upper surface part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The water supply part adheres to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Description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curtain wall apparatus united flowerpot}Curtain wall unit united flowerpot

본 발명은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로부터 공기청정 효과와 함께 미감을 향상시켜 실내 환경이 개선된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tted curtain device with improved indoor environment by improving the aesthetics with an air-cleaning effect from plants.

일반적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가 지지하고,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구실로 공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시공되는 벽체구조인 커튼월이 현대 건축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vertical loads and horizontal loads caused by wind or earthquake are supported by the pillars and beams, which are the main structures of the building, and the walls simply block the spaces by acting as curtains to divide the spaces. Curtain wall, a structure, is widely used in modern architecture.

이러한 커튼월은 건물의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건물의 기둥이나 보의 굵기에 영향이 작도록 자체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가벼운 재료가 사용된다.The curtain wall serves as a role of preventing rain or win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blocking noise or heat, and a light material is used to reduce its own weigh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illar or beam of the building is small.

따라서,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금속으로 수직기둥(멀리언 또는 수직프레임)과 수평기둥(트란솜 또는 수평프레임)의 교차결합구조가 이루는 벽체 칸막이에 유리, 판넬 및 창호 등의 패널로 마감하는 형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Therefore, it is common to finish the wall partition formed by the cross-coupling structure of the vertical column (mulion or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column (transom or horizontal frame) with a light metal such as aluminum with panels such as glass, panel and windows. Used as

한편, 현대생활에서는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화초나 섭취용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화분이나 화단을 창가나 베란다 및 옥상 등에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활동은 여가생활이나 취미로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해소함에 따라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modern life, potted plants and flower beds are planted in windows, verandas and rooftops to cultivate plants for indoor or ornamental plants. These cultivation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leisure and hobbies, and mental health is maintained especially when stress is relieved.

더욱이, 도시생활에서 사무실 등에서는 관상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정화 및 심리적 안정감을 위해 사무실 내부 특히, 창틀과 같이 햇빛이 잘 드는 공간에 다수개의 화분을 배치하여 재배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ity, in the office, etc., a large number of potted plants are placed in the interior of the office, especially in a sunny room such as a window frame, for indoor air purific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그러나, 화분이나 간단히 설치되는 화단은 식물 재배를 위한 충분한 영양분을 포함하지 못해 물과 함께 별도의 영양액이나 비료를 주기적으로 공급해야하고 특히, 물은 하측으로 일부가 배출됨에 따라 배수 도는 저수시설이 동반되어 일정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potted plants or flowerbeds that are simply installed do not contain enough nutrients for plant cultivation, so they must be supplied with a separate nutrient solution or fertilizer periodically, and especially water is drained or drained as part of it is discharged downward. There was a problem that uses a certain spac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틀에 별도의 걸이 또는 지지장치를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지만, 진동이나 강풍 등에 상기 걸이 또는 지지장치에 배치된 화분이 하측으로 낙하하거나 공급된 물이 별도의 저수시설 없이 낙하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은 물론, 낙하된 물에 의해 얼룩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hanger or support device i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to cultivate the plant, but the potted plants disposed on the hanger or support device fall down to the lower side or the like due to vibration or strong wind, As it falls, not only safety accidents occur,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stains caused by the dropped water.

한국 등록특허 제10-0641806호 (2006.10.26)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41806 (2006.10.2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로부터 공기청정 효과와 함께 미감을 향상시켜 실내 환경이 개선된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pollen-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with an improved indoor environment by improving the aesthetics with the air cleaning effect from the plant as a problem.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배치되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수직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각 커튼월지지대의 전면에 유리패널부를 포함하는 커튼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의 개구된 상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화분부; 및 상기 화분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중공형 물공급부케이스와,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마개에 의해 밀폐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부와 상기 화분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분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관의 배출구가 잠기도록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물확산심지부가 구비되어 물을 흡습하는 재질의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며, 물의 배출에 따라 상기 물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에 따른 상기 배관의 배출구측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물의 배출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for connecting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curtain A curtain wall device comprising a glass panel part on a front surface of a wall support, the curtain wall device comprising: a flower pot part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And a hollow water supply unit cas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wer pot unit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and a water injection hole disposed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case and closed by a stopp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a pipe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water bottle to the lower part of the pot,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rt cas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of the pip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the water reservoir to store the water so that the outlet of the pipe is locked and the water diffusion to move the water in the reservoir space by the capillary phenomen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space The wick is provided and covered by a cover member made of moisture absorbing material,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water Provided with a potted curtain curtai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pipe in accordance with the vacuum pressure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to be balanced.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배치되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수직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각 커튼월지지대의 전면에 유리패널부를 포함하는 커튼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의 상면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별도의 용기로 구비되는 화분부; 및 상기 화분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중공형 물공급부케이스와,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마개에 의해 밀폐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부와 상기 화분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분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관의 배출구가 잠기도록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물확산심지부가 구비되어 물을 흡습하는 재질의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며, 물의 배출에 따라 상기 물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에 따른 상기 배관의 배출구측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물의 배출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for connecting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glass on the front of each curtain wall support A curtain wall device comprising a panel portion, comprising: a pot portion provided as a separate container seated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And a hollow water supply unit cas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wer pot unit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and a water injection hole disposed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case and closed by a stopp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a pipe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water bottle to the lower part of the pot,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rt cas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of the pip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the water reservoir to store the water so that the outlet of the pipe is locked and the water diffusion to move the water in the reservoir space by the capillary phenomen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space The wick is provided and covered by a cover member made of moisture absorbing material,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water Provided with a potted curtain curtai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pipe in accordance with the vacuum pressure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to be balanced.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케이스는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의 내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직결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외면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의 외면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동일한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water supply unit case is fastened and fastened directly by the fastening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is the same so as to form a continuous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ickn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ving means, the potted curtai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는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의 상부에 화분부가 구비되어 식재된 식물에 충분한 양의 햇빛이 공급되므로 생육환경이 현저히 개선되면서도 상기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화분부를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구비함으로써 화분부와 커튼월이 상호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어 외관상 일체감을 형성하여 고품격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potted curtain curtain device is provided with a potted plant on the top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is suppli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sunlight to the planted plant, so that the growth environment is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the curtain wall support and the potted plant is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By providing with the potted portion and the curtain wall to form a continuous profile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sense of unity in appearance can provide a high-quality appearance.

둘째, 상기 화분부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물공급부가 상기 커튼월장치에 상호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어 구비되되, 상기 물통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식물이 재배되는 상기 화분부에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는 양이 자동으로 일정량을 유지하여 공급되므로 식물재배에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뿐만 아니라 통일감 있는 외관을 제공하여 깔끔하고 고품격인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Second, the water supply portion provided to one side of the pot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tinuous profile to the curtain wall device,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potted plant planted by the vacuum pressure formed in the bucket Since the amount supplied is automatically maintained in a certain amount, the convenience for plant cultivation is remarkably improved, and a clean and high-quality indoor environment can be created by providing a uniform appearance.

셋째,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의 밀착면을 향하여 관통공을 형성한 후 볼트로 체결되므로 결합방법이 간소화되고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커튼월장치가 연속적이고 일체화된 외관으로 형성되므로 더욱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ird,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toward the close contact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and fastened with bolts, the coupling method is simplified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curtain wall device are formed in a continuous and integrated appearanc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more elegant aesthetic, and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2a의 A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pot 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and Figure 2b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plant pot 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A;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wer pot 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otted curtain wal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pot 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1)는 수직 커튼월지지대(10), 수평 커튼월지지대(20), 그리고 유리패널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튼월이란 건물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건축물의 바깥벽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과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장용 벽을 의미하며, 상기 커튼월을 이루는 각각의 커튼월지지대(10,20) 및 유리패널부(30)를 포함하여 상기 커튼월장치(1)라 한다.As shown in FIG. 1, another potted curtain wall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a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and a glass panel unit 30. Here, the curtain wall is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at does not support the building load means an exterior wall provided to prevent rain or wind from the outside and to block the noise and heat, each of which constitutes the curtain wall It includes the curtain wall support (10, 20) and the glass panel portion 30 is referred to as the curtain wall device (1).

상세히,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는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건축물의 외벽에 설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커튼월장치(1)의 수직 기둥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일정 높이마다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 역시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커튼월장치(1)의 수평 기둥역할을 한다.In detail,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s made of a light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paced apart at intervals se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erves as a vertical pillar of the curtain wall device (1). In addition,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is provided for each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to connect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is also made of a light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erves as a horizontal pillar of the curtain wall device (1).

여기서,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에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를 연결하여 고정하면 격자형의 사각 프레임이 형성되는데, 이 사각 프레임들의 전면에 상기 유리패널부(30)가 장착되어 상기 커튼월장치(1)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유리패널부(30) 외에 금속 또는 인조석 등으로 제작된 외벽 패널이 장착될 수도 있고, 각각의 상기 커튼월지지대(10,20)에는 단열재 및 방수제 등의 다양한 부재를 취부하여 상기 커튼월장치(1)를 완성할 수도 있다.Here, when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a grid-shaped square frame is formed, and the glass panel unit 3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quare frames. The curtain wall device 1 is formed. Of course, the outer wall panel made of metal or artificial stone in addition to the glass panel portion 30 may be mounted, and each curtain wall support (10, 20) by mounting a variety of members, such as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agent for the curtain wall The device 1 may also be completed.

한편, 종래의 사무실 등과 같은 건축물 실내에는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인테리어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내에 다수개의 관상용 화분을 구비하여 재배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ior of a building such as a conventional office is cultivated with a plurality of ornamental pots in the room to clean the interior air and improve the interior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user.

이러한 상기 관상용 화분은 햇빛이 잘 공급되는 창문 쪽에 주로 배치되어 재배되는데 창가의 바닥이나 창틀 위에 얹어 재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창틀 위에 상기 화분을 얹어 재배할 경우, 상기 화분이 상기 창틀 위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바닥으로 낙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화분이 파손되거나 낙하하는 상기 화분에 의해 주변 사람이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The ornamental flower pots are mainly placed and cultivated on the side of a well-lighted window, which is grown on the bottom of the window or on the window frame. However, when planting the potted plant on the window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potted plant is not firmly fixed on the window frame can fall to the floor, thereby causing the planter to be damaged or injured by the potted plant falling Safety accidents may occur.

또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상기 화분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화분에는 별도의 물공급장치가 없어 물공급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 화분 하단부의 배수공으로 물이 흘러나와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식물의 뿌리가 썩어 괴사하게 되고 반대로 물의 양이 적을 경우 식물이 말라죽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ater must be periodically supplied to the pots so that plants can grow well. Conventional flower pots do not have a separate water supply device, which is cumbersome to supply water, and when excessive amounts of water are supplied to the drain holes at the bottom of the pots. Water flows out and the surroundings become dirty, the roots of the plant decay and necrosis. On the contrary, when the amount of water is small, the plant may dry out.

이에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커튼월장치(1)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The curtain wall device (1)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us provides a structure for solving this problem.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a의 A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여기서, 화분 일체형이란 상기 화분이 상기 커튼월장치와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형성하여 일체감을 나타내는 외관을 형성함을 의미한다.Figure 2a and Figure 2b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potted curtain curtai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 of Figure 2a. Here, the planter integral means that the planter forms a continuous profile with the curtain wall device to form an appearance showing a sense of unity.

도 2a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1)는 화분부(40)와 물공급부(50)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2a to Figure 3, the flower pot 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1 is preferably provided including a potted portion 40 and the water supply 50.

상세히,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는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일정 높이마다 구비되어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에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를 연결 고정하면 격자형의 사각 프레임이 형성되는데, 상기 사각 프레임에 상기 유리패널부(30)가 고정되도록 유리패널 조인트부(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to connect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uch, when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a grid-shaped square frame is formed, and the glass panel joint 30 is fixed to the square frame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 21 is formed.

여기서, 상기 유리패널 조인트부(21)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사각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유리패널부(30)의 대응부 사이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끼움결합된 부위에 고무재질의 완충부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유리패널부(30)에 가해질 수 있는 바람 또는 비 등의 충격으로부터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패널부(30)는 도면에서와 같이 이중으로 구비되되,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고무재질의 완충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의 내부를 보호하고 단열재 기능을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glass panel joint portion 21 is fitted between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glass panel portion 30 that is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rectangular fra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rubber material buffered to the fitted portion An additional portion may reduce damage from an impact such as wind or rain that may be applied to the glass panel unit 30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glass panel portion 30 is provided as a double as shown in the figure, a rubber-like buffer between the pair of glass plate is formed to protect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o function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the interior temperature It may be provided to remain constant.

물론, 상기 유리패널부(30)와 상기 사각 프레임의 결합방법은 상술된 방법 외에도 통상적인 결합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방법은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f course, the method of coupling the glass panel unit 30 and the square frame may be connected by a conventional coupling metho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since such a connection method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는 상면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개구된 상면부의 내측에 화분부(4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분부(40)는 상면부가 개구된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에 식물(P)을 직접 식재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식물(P)이 식재된 용기를 상면부가 개구된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 내측으로 삽입하여 재배할 수도 있다. 이때, 내측으로 삽입되는 용기는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is provided with an upper surface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tted portion 40 is formed inside the opened upper surface. Here, the pot portion 40 may be directly planted with the plant (P) in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P) is plante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may be inserted into the cultivation. At this time, th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may be formed with a handle on one side to be detachable.

상기와 같이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 내측으로 탈착 가능한 용기형태로 구비되면 배지 등의 분갈이나 새로운 식물로 교체하여 식재시 더욱 손쉽고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When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work more easily and easily at the time of planting by replacing it with a branch or a new plant such as a medium, so that the user's ease of use may be remarkably improved. .

즉, 상기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1)는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의 상부에 상기 화분부(40)가 구비되어 식재된 식물(P)에 충분한 양의 햇빛이 공급되므로 생육환경이 현저히 개선되면서도 각각의 상기 커튼월지지대(10,20)와 상기 화분부(40)를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화분부(40)와 상기 커튼월장치가(1) 상호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어 외관상 일체감을 형성하여 고품격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potted curtain curtain device (1) is provided with the potted portion 4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is suppli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sunlight to the planted plant (P) growth environment is remarkably By improving each of the curtain wall support (10, 20) and the potted plant portion 40 with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while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potted portion 40 and the curtain wall device (1) in a continuous profile A sense of unity can be formed to provide a high quality appearance.

한편, 상기 화분부(40)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배치되는 상기 물공급부(50)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50)는 물공급부케이스(51), 물통(52), 배관(53) 그리고 개폐밸브(5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t portion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unit 50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Here, the water supply unit 50 is provided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case 51, the water tank 52, the pipe 5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54.

상세히,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는 상기 화분부(4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는데,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와 같은 가벼운 금속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는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1)의 외관이 일체감있게 형성되어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detail,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tted portion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light such as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ase 51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That is, since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and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and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may be formed in a continuous profile, so that the exterior of the flower pot 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1 is integrally formed. It can be provided with a luxurious aesthetic.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의 내측에는 상기 물통(52)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물통(52)은 식물(P)에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물통(52)에 상기 물 또는 양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52)의 상부에 마개(59)에 의해 개폐되는 물주입공(5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r 52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Here, the bucket 52 is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plant (P)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injection hole 55 is opened and closed by a stopper 59 on the top of the bucket 52 so as to replenish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in the bucket 52.

더불어,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의 일면에는 상기 물통(52)에 수용된 물 또는 양액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슬롯홀 형태의 수위확인부(58)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확인부(58)는 상기 물통(52)에 남은 물 또는 양액의 양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heck unit 58 in the form of a slot 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amount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bucket 52 can be visually confirmed. . The level check unit 58 can immediately check the amount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remaining in the bucket 52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ease of use.

한편, 상기 물통(52)에 수용된 상기 물 또는 양액은 상기 물통(52)의 하부에 연결된 배관(53)을 통해 상기 화분부(40)로 전해지는데, 상기 화분부(40)의 하부에는 상기 배관(53)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56)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56)의 상부는 물을 흡습하는 재질의 커버부재(57)에 의해 커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bucket 52 is delivered to the potted plant portion 40 through a pipe 53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52, the lower portion of the potted plant 40 A water storage space 56 is formed to stor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53,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space 56 is preferably covered by a cover member 57 made of a material that absorbs water.

상세히, 상기 물통(52)에 형성된 상기 물주입공(55)을 통해 물 또는 양액을 상기 물통(52)에 수용한 후, 상기 물주입공(55)을 상기 마개(59)로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52) 내부에 수용된 물 또는 양액은 상기 배관(53)을 통해 상기 화분부(40) 하부의 상기 저수공간(56)으로 이동하여 저수된다. 이때, 물 또는 양액이 상기 저수공간(56)과 연결된 상기 배관(53)의 배출구가 잠길 정도의 수위에 다다르면 상기 물통(5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물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저수공간(56)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은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after receiving the water or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bucket 52 through the water injection hole 55 formed in the bucket 52, the water injection hole 55 is sealed with the stopper 59. Then,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bucket 52 is moved to the storage space 56 below the potted portion 40 through the pipe 53 is stored. At this time, when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reaches a level such that the outlet of the pipe 53 connected to the reservoir space 56 is locked, the movement of water is limited by the vacuum pressu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52,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space 56 can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56) 상부에는 커버부재(57)가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재(57)는 상기 저수공간(56)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을 흡습하여 상기 화분부(40)로 확산할 수 있는 부직포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7)에는 상기 저수공간(56)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57)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물확산심지부(57a)가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cover member 57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56, and the cover member 57 absorbs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56 to diffuse into the potted portion 40. It is preferably formed by including a nonwoven material that can be.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57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diffusion core portion (57a) so that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reservoir space 56 can be moved to the cover member 57 by the capillary phenomenon. desirable.

이때, 상기 물확산심지부(57a)를 통해 상기 저수공간(56)에 저수된 물 또는 양액이 일정량 흡습되어 상기 커버부재(57)를 통해 상기 화분부(40)로 확산되면 상기 저수공간(56)의 물 또는 양액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물통(52) 내부의 압력이 변경되어 일정량의 물 또는 양액이 상기 저수공간(56)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한 물 또는 양액이 상기 배관(53)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화분부(40) 하부에 일정 수위 이상 공급되면, 상기 물통(52) 상부에 형성된 진공압과 상기 화분부(40) 하부에 일정 수위 이상 공급된 물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더 이상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자동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reservoir space 56 through the water diffusion core portion 57a is absorbed by a certain amount and diffused into the potted portion 40 through the cover member 57, the reservoir space 56 A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lowered,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which causes the pressure inside the bucket 52 to be changed to move a certain amount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to the reservoir 56. When the water or the nutrient solution moved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pipe 53 and is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tted portion 40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vacuum pressure formed on the water tank 52 and the potted portion 40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above a certain level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so that water is no longer discharged.

즉, 상기 마개(59)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상기 물통(52)에 수용되는 물 또는 양액 상기 물통(5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저수공간(56)에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저수될 수 있고, 상기 저수공간(56)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물확산심지부(57a)가 구비된 상기 커버부재(57)가 안착되어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이 상기 화분부(40)로 일정 양을 유지하여 공급될 수 있어 식물(P)의 재배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at is, by being closed by the stopper 59, the water contained in the bucket 52 or the nutrient solution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52 automatically by the vacuum pressure formed on the reservoir 52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Water can be stor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ater level, the cover member 57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water diffusion core portion (57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space 56 is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stored in the pot portion ( 40) can be supplied to maintain a certain amount so that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the plant (P)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배관(53)의 일측으로 상기 개폐밸브(54)가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54)는 상기 물통(52)에 물 또는 양액을 보충시 내부에 남은 소량의 물 또는 양액이 상기 저수공간(56)으로 급속히 이동되지 않도록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저수공간(56)에 저수되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5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53,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54 selectively blocks the flow path so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remaining therein does not move rapidly into the storage space 56 when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replenished in the bucket 52. The water stored in the 56 can be adjusted so as not to overflow.

상세히, 상기 물통(52)에 수용되는 물 또는 양액을 보충하기 위해서 상기 마개(59)를 분리한 후 상기 물주입구(55)를 통해 물 또는 양액을 주입하게 되는데, 상기 마개(59)가 분리되면 상기 물통(5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이 해제되어 상기 물통(52) 내부에 잔존하는 소량의 물이 상기 저수공간(56)으로 급속히 이동되거나 보충되는 물 또는 양액이 상기 배관(54)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56)으로 과량 유입될 수 있다. In detail, in order to replenish water or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bucket 52, the stopper 59 is separated and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injected through the water inlet 55. When the stopper 59 is separated, The vacuum or pressure gener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52 is released so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tank 52 is rapidly moved or replenish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56 or the nutrient solution is used to connect the pipe 54. Excess flow into the storage space 56 through.

이때, 상기 개폐밸브(54)를 잠궈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저수공간(56)으로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분부(40)로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y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54 to block the flow path can selectively block the supply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to the water storage space 56, the amount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potted portion 40 is always constant I can keep it.

즉, 상기 화분부(4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물공급부(50)가 상기 커튼월장치(1)에 상호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어 구비되되, 상기 물통(52)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식물(P)이 재배되는 상기 화분부(40)에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는 양이 자동으로 일정량을 유지하여 공급되므로 식물재배에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뿐만 아니라 통일감 있는 외관을 제공하여 깔끔하고 고품격인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supply unit 50 provided to one side of the potted part 40 is provided to form a continuous profile to the curtain wall device (1), by the vacuum pressure formed inside the bucket (52) Since the amount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potted portion 40 where the plant P is cultivated, the amount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automatically supplied, thereby greatly improving convenience in plant cultivation as well as providing a unified appearance and providing a clean and high-quality interior. You can create an environment.

한편,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는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고정되되,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의 일면이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내측면에 체결부재(59)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is formed and fixed with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thickness as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on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is the insid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t is preferably fixed by the fastening member 59 on the side.

상세히,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는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밀착부는 볼트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물공급부(50)케이스(51) 내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밀착부로 향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상기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를 고정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and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s screwed by a bolt Can be fixed. That is, a through hole is form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water supply case 50 to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and the bolt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to the water supply case 51 and the vertical curtain. It is preferable to fix the lug support 10.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20)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밀착면을 향하여 관통공을 형성한 후 볼트로 체결되므로 결합방법이 간소화되고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물공급부(50)와 상기 커튼월장치(1)가 연속적이고 일체화된 외관으로 형성되므로 더욱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rough-holes are form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water supply part case 51 formed with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s 10 and 20 toward the close contact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Since it is fastened with bolts, the coupling method is simplified and easy to install, and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the curtain wall device 1 are formed in a continuous and integrated appearance so that a more elegant aesthetic can be provide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20)의 개구된 상면부에는 커버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는 식물(P)을 키우지 않을 경우 상기 개구된 상면부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면부가 개구된 수평 커튼월지지대(20)를 별도의 부재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ov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Since the cover may close the opened upper surface part when the plant P is not grown, the cover may be used even i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0 having the upper surface part is not replaced with a separate member.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분부와 수평 커튼월지지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ted curtai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potted curtai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potted portion and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분부(140)는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의 상면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별도의 용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4 to 5, the pot portion 14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ntainer that is sea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상세히,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는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건축물의 외벽에 설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커튼월장치(2)의 수직 기둥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일정 높이마다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 역시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커튼월장치(2)의 수평 기둥역할을 한다.In detail,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s made of a light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spaced apart at intervals se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serve as a vertical column of the curtain wall device (2). In addition,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is provided for each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to connect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is also made of a light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erves as a horizontal pillar of the curtain wall device (2).

그리고,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에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를 연결 고정하면 격자형의 사각 프레임이 형성되는데, 이 사각 프레임들의 전면에 상기 유리패널부(30)가 장착되어 상기 커튼월장치(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유리패널부(30) 외에 금속 또는 인조석 등으로 제작된 외벽 패널이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커튼월지지대(10,120)에는 단열재 및 방수제 등의 다양한 부재를 취부하여 상기 커튼월장치(2)를 완성할 수도 있다.When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a grid-shaped square frame is formed, and the glass panel unit 3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quare frames to the curtain. The wall device 2 is formed. Of course, the outer wall panel made of metal or artificial stone in addition to the glass panel unit 30 may be mounted, the curtain wall support (10, 120) by mounting a variety of members, such as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the curtain wall device (2) You can also complete

이때, 상기 커튼월장치(2)는 화분 일체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분 일체형이란 상기 화분이 상기 커튼월장치(2)와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형성하여 일체감을 나타내는 외관을 형성함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curtain wall device (2) is preferably formed in one pot. Here, the planter integral means that the planter forms a continuous profile with the curtain wall device 2 to form an appearance showing a sense of unity.

상세히,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화분부(140)가 구비되되, 상기 화분부(140)는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의 상면부에 별도의 용기로 구비되어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화분부(140)는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화분부(140)를 이루는 상기 용기가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2)의 외관이 일체감을 형성하여 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In detail, the flower pot part 140 is provided inside the square frame, and the flower pot part 14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separate contain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At this time, the pot portion 140 is more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That is, since the container constituting the potted part 1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to form a continuous profile, the appearance of the potted curtain unit 2 is By forming a sense of unity, the aesthetic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화분부(140)의 일측에 상기 물공급부(50)가 연결되되, 상기 물공급부(50)는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물공급부(50)는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 상기 물통(52), 상기 배관(53), 그리고 개폐밸브(54)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부(40)에 식재된 식물(P)의 뿌리부로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unit 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t 140, the water supply unit 50 is preferably disposed in close contac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n detail, the water supply unit 50 includes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the water tank 52, the pipe 53,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54, and the pollen unit 40 as described above. ) Will supply water or nutrient solution to the root of the plant (P) planted in.

여기서, 상기 물통(52)에 형성된 상기 물주입공(55)을 통해 물 또는 양액을 상기 물통(52)에 수용한 후, 상기 물주입공(55)을 상기 마개(59)로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52) 내부에 수용된 물 또는 양액은 상기 배관(53)을 통해 상기 화분부(140) 하부의 상기 저수공간(56)으로 이동하여 저수된다. 여기서, 물 또는 양액이 상기 저수공간(56)과 연결된 상기 배관(53)이 잠길 정도의 수위에 다다르면 상기 물통(5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물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저수공간(56)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은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Here, after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accommodated in the bucket 52 through the water injection hole 55 formed in the bucket 52, the water injection hole 55 is sealed with the stopper 59. In addition, the water or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bucket 52 is stored by moving to the storage space 56 below the pot portion 140 through the pipe 53. Here, when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reaches a level such that the pipe 53 connected to the reservoir space 56 is locked, the movement of water is limited by the vacuum pressur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52, and the reservoir space (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56 will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56) 상부에는 커버부재(57)가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재(57)는 상기 저수공간(56)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을 흡습하여 상기 화분부(140)로 확산할 수 있는 부직포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7)에는 상기 저수공간(56)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물확산심지부(57a)가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cover member 57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56, and the cover member 57 absorbs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56 to diffuse into the potted part 140. It is preferably formed by including a nonwoven material that can be.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57 is more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diffusion core portion (57a) so that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reservoir space 56 can be moved to the cover member by the capillary phenomenon.

한편, 상기 화분부(140)는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화분부(140)와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의 밀착면을 볼트에 의해 나사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화분부(140)로부터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의 밀착부로 향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상기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화분부(140)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를 고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t portion 1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to be detachable and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Here, the fixing means may be fixed by screwi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potted part 140 and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with a bolt. That is, a through hole is formed from the flower pot part 140 toward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and the bolt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to connect the flower pot part 140 and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It may be fixed.

물론, 상기 화분부(140)와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는 상기 볼트체결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분부(140)의 일측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potted portion 140 and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may be fastened and fix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bolt fastening. For example, a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wer pot 140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to slide in correspondence with the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일측에 각각 후크돌기와 후크홈이 더 형성되어 클릭감을 부여하여 걸림 고정되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와 홈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되, 후크돌기와 후크홈에 의해 걸림 고정되면 상기 화분부(14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배지 등의 분갈이나 새로운 식물(P)로 교체시 더욱 편리하게 식재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a hook protrusion and a hook groove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may be selectively fixed.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s are slidably moved, but when the hooks and the hook grooves are fixed by the hooks, the planter 140 can be easily separated. As a result, the user's ease of us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물공급부(50)와 상기 화분부(140)는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와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가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측으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물공급부(50)와 상기 화분부(140)가 별도로 분리되어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와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12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는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10)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와 상기 화분부(140) 역시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the potted plant 140 is fixed integrally and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quare frame formed by connecting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and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Alternatively,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the flower pot unit 140 may be separately separated and fixed to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and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120 to be detachably attached thereto.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10,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and the potted part 140 is also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Do.

즉, 상기 각각의 커튼월지지대(10,120)와 상기 물공급부케이스(51), 그리고 상기 화분부(140)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2)의 외관이 일체감을 형성하여 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at is, since each of the curtain wall support (10,120), the water supply unit case 51, and the flower pot portion 14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can be formed in a continuous profile, the flower pot integrated curtain wall device The appearance of (2) forms a sense of unity, and the aesthetic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 커튼월장치 10 : 수직 커튼월지지대
20,120 : 수평 커튼월지지대 21 : 유리패널 조인트부
30 : 유리패널부 40,140 : 화분부
50 : 물공급부 51 : 물공급부케이스
52 : 물통 53 : 배관
54 : 개폐밸브 55 : 물주입공
56 : 저수공간 57 : 커버부
58 : 수위확인부 59 : 마개
60 : 체결부재
1,2: Curtain wall device 10: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20,120: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21: glass panel joint portion
30: glass panel part 40, 140: flower pot part
50: water supply unit 51: water supply unit case
52: bucket 53: piping
54: on-off valve 55: water injection hole
56: storage space 57: cover
58: level check unit 59: stopper
60: fastening member

Claims (5)

건축물의 외벽에 배치되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수직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각 커튼월지지대의 전면에 유리패널부를 포함하는 커튼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의 개구된 상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화분부; 및
상기 화분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중공형 물공급부케이스와,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마개에 의해 밀폐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부와 상기 화분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관의 배출구가 잠기도록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물확산심지부가 구비되어 물을 흡습하는 재질의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며, 물의 배출에 따라 상기 물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에 따른 상기 배관의 배출구측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물의 배출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for connecting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urtains including a glass panel on the front of each curtain wall support In the wall device,
A flower pot portion provided inside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And
The hollow water supply unit cas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pot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and the water inle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is sealed by a stopper at the top is formed in the water The water tank is accommodated, the pipe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of the pipe Including a water supply,
A water storage cor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otted portion so that water is stored so that the outlet of the pipe is lock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 water diffusion core for moving water in the reservoir space by capillary action. Covered by a cover member of the potted curta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of water is controlled by the balance between the vacuum pressure formed on the top of the bucket and the pressure of the outlet side of the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water Wall device.
건축물의 외벽에 배치되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수직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커튼월지지대와, 상기 각 커튼월지지대의 전면에 유리패널부를 포함하는 커튼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튼월지지대의 상면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별도의 용기로 구비되는 화분부; 및
상기 화분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중공형 물공급부케이스와,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마개에 의해 밀폐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부와 상기 화분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관의 배출구가 잠기도록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물확산심지부가 구비되어 물을 흡습하는 재질의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며, 물의 배출에 따라 상기 물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에 따른 상기 배관의 배출구측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물의 배출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for connecting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urtains including a glass panel on the front of each curtain wall support In the wall device,
Potted plant portion provided as a separate containe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horizontal curtain wall support; And
The hollow water supply unit cas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pot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and the water inle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is sealed by a stopper at the top is formed in the water The water tank is accommodated, the pipe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of the pipe Including a water supply,
A water storage cor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otted portion so that water is stored so that the outlet of the pipe is lock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 water diffusion core for moving water in the reservoir space by capillary action. Covered by a cover member of the potted curta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of water is controlled by the balance between the vacuum pressure formed on the top of the bucket and the pressure of the outlet side of the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water Wal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케이스는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의 내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직결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물공급부케이스의 외면은 상기 수직 커튼월지지대의 외면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동일한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ater supply unit case is fastened and fixed directly by the fastening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is a potted curtai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thickness to form a continuous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tain wall support.
KR1020120158176A 2012-12-31 2012-12-31 Curtain wall apparatus united flowerpot KR1012906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76A KR101290642B1 (en) 2012-12-31 2012-12-31 Curtain wall apparatus united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76A KR101290642B1 (en) 2012-12-31 2012-12-31 Curtain wall apparatus united flower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642B1 true KR101290642B1 (en) 2013-08-07

Family

ID=4921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176A KR101290642B1 (en) 2012-12-31 2012-12-31 Curtain wall apparatus united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4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3008A (en) * 2015-07-16 2015-10-28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Groove type double-surface plant glass curtain wall and machining method thereof
CN112227573A (en) * 2020-11-10 2021-01-15 曾祥瑞 Movable turnover type intelligent building curtain wall
CN113235763A (en) * 2021-03-31 2021-08-10 盐城工学院 Ecological green environmental protection wall body of planting
KR20220000896U (en) 2020-10-19 2022-04-26 고두헌 Curtain Device Using Green Stem Plants
CN116491330A (en) * 2023-04-21 2023-07-28 江苏城归设计有限公司 Greening curtain wall of green building
CN117052027A (en) * 2023-10-11 2023-11-14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ventilation curtain wall system for buil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340U (en) * 1987-01-27 1988-08-02
JPH0348454U (en) * 1989-09-13 1991-05-09
JP3045124U (en) * 1997-07-08 1998-01-23 洋二郎 泉谷 Window flowerpot fixture
JP2007295861A (en) 2006-05-01 2007-11-15 Kuu Design:Kk Plan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340U (en) * 1987-01-27 1988-08-02
JPH0348454U (en) * 1989-09-13 1991-05-09
JP3045124U (en) * 1997-07-08 1998-01-23 洋二郎 泉谷 Window flowerpot fixture
JP2007295861A (en) 2006-05-01 2007-11-15 Kuu Design:Kk Plant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3008A (en) * 2015-07-16 2015-10-28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Groove type double-surface plant glass curtain wall and machining method thereof
KR20220000896U (en) 2020-10-19 2022-04-26 고두헌 Curtain Device Using Green Stem Plants
CN112227573A (en) * 2020-11-10 2021-01-15 曾祥瑞 Movable turnover type intelligent building curtain wall
CN113235763A (en) * 2021-03-31 2021-08-10 盐城工学院 Ecological green environmental protection wall body of planting
CN116491330A (en) * 2023-04-21 2023-07-28 江苏城归设计有限公司 Greening curtain wall of green building
CN116491330B (en) * 2023-04-21 2023-11-07 江苏城归设计有限公司 Greening curtain wall of green building
CN117052027A (en) * 2023-10-11 2023-11-14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ventilation curtain wall system for building
CN117052027B (en) * 2023-10-11 2023-12-26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ventilation curtain wall system for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642B1 (en) Curtain wall apparatus united flowerpot
KR101135926B1 (en) Vegetation device for wall greening
CN202714001U (en) Plant planting tank
KR101466179B1 (en) Hydroponics apparatus with aquarium
KR100722371B1 (en) Water supplying device for flowerpot
CZ308191B6 (en) Vertical garden
KR20120128526A (en)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KR101425187B1 (en) Green wall system
KR101264143B1 (en) Flowerpot apparatus united window frame
JP2011097883A (en) Elevation surface greening panel unit
KR101914766B1 (en) Decorative flowerpots mounting type finishing equipment
KR20110122909A (en) Balustrade afforestation system
KR101216583B1 (en) The frame pot where Sprinkler is had
KR20070000806U (en) A flower pot provide with photo frame
KR20130131822A (en) Cultivation system
JP4657683B2 (en) Wall greening equipment
JP5231134B2 (en) Wall greening panel and wall greening structure using it
KR101252377B1 (en) Cultivating apparatus for easy drainage
TWM573565U (en) Watering-free planting equipment
KR20200086831A (en) A self watering flowerpot
JP3196710U (en) Greening system
KR101394115B1 (en) Fixable flowerpot apparatus for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217974960U (en) Energy-conserving curtain of architectural decoration
KR102666050B1 (en) Vertical pots that can water plants vertically
KR20100006674A (en) A flower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