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05B1 - Temporary bridge - Google Patents

Temporary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05B1
KR101290605B1 KR1020120120971A KR20120120971A KR101290605B1 KR 101290605 B1 KR101290605 B1 KR 101290605B1 KR 1020120120971 A KR1020120120971 A KR 1020120120971A KR 20120120971 A KR20120120971 A KR 20120120971A KR 101290605 B1 KR101290605 B1 KR 101290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upward force
vent
force generating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비산업
Priority to KR102012012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temporary bridge is provided to construct a long span temporary bridge by generating an upward force in a girder and extending a distance between bents. CONSTITUTION: A temporary bridge (100) comprises a bent (10), a girder (40), an upward force generation part (30), and a lining board (50). A plurality of bents is offse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gap and is fixed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girders is installed in the top of the bent to interconnect the bents. The upward force generation part is downwardly curved and generates an upward force in the girder. The center of the upward force generation part is fixed to the bent in the bottom. Both curved ends of the upward force generation part are movably fixed to the girder.

Description

가설 교량{TEMPORARY BRIDGE}Temporary bridges {TEMPORARY BRIDGE}

본 발명은 가설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벤트와 거더 사이에 상향력을 갖는 부재를 삽입하여 거더에 상향력을 발생시키므로 지간 거리를 더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가설 교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mporary bridge in which an upward force is generated by inserting a member having an upward force between the vent and the girder of the bridge to further extend the distance between the girders. .

가설 교량이란 영구적인 본 교량을 설치하기 위해서 임시로 설치되는 교량을 일컷는 것으로서, 그 위로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이 가설 교량이 도로 공사 시에 우회 도로로 사용되기도 하고, 본 교량의 보수공사 시에 차량의 우회 횡단에 사용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통행량이 많은 도로의 횡단 육교나, 항만 시설에 따른 작업용 교량 등 다양한 용도로 확대되어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Temporary bridges are temporary bridges that are temporarily installed to provide permanent bridges. Vehicles and people can pass on them. Recently, this temporary bridge has been used as a detour at the time of road construction, and has been used as a detour crossing of vehicles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this bridge. In addition, it is expanded and installed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ross-section overpasses on high-traffic roads and bridges for work according to port facilities.

이러한 가설 교량은 일반적으로 벤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반 또는 하상에 설치하고, 벤트 사이에 거더를 설치한 후, 거더의 상면에 복공판 등을 고정시켜서 완성된다.Such a temporary bridge is generally completed by installing vents on the ground or bottom at regular intervals, and installing girders between the vents, and then fixing a perforated plate or the lik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s.

종래 기술에 의한 가설 교량은 단순히 거더로써 H-빔이나 I-빔을 사용하고 그 위에 복공판을 설치함으로서 지간 거리가 짧아지고, 따라서 벤트의 숫자가 늘어나므로 복잡한 형상에 공사비의 지출이 과다해지게 된다. 또한, 공사기간의 장기화로 인해서 시공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장마나 폭우 시에는 지간이 짧은 가설 교량에 부유 물질이 걸려서 강이 범람할 우려가 있으며 빠른 유속으로 인해 벤트에 과다한 횡하중이 걸리게 되면 교량 자체가 전도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지간이 넓게 설치되어 위와 같은 문제들로부터 자유로운 가설 교량이 요구되고 있다. The construction of the conventional bridge is shortened by the use of H-beams or I-beams as girders and by the installation of a perforated plate thereon. .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prolonged construction period. In addition, during the rainy season or heavy rains, the temporary bridges with short spans may be suspended and the rivers may overflow, and the bridges may be inverted if excessive lateral loads are applied to the vents due to the high flow rate.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temporary bridge that is widely installed and free from the above problems.

현재 장지간을 구현하기 위한 몇 가지 공법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에 H-빔에 수직 및 수평 보강재와, H-빔 하부 중앙에 편향부를 부착하고, 양 끝단에 정착구를 설치한 후, 강봉이나 강선을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Several methods are currently proposed to implement long spans, among which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ements are attached to the H-beams, deflections ar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H-beams underneath, and anchorages are installed at both ends, followed by steel bars or steel wires. A method of introducing pre-stress using is used.

그러나, 이러한 공법의 경우 30미터 이상으로 지간 거리를 넓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can not extend the distance between more than 30 mete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설 교량의 벤트와 거더 사이에 상향력을 갖는 부재를 설치하여 거더로 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거더에 상향력을 발생시키고, 이 상향력에 의해서 벤트 간의 거리를 더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member having an upward force between the vent and the girder of the temporary bridge to generate an upward force to the girder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girder, the distance between the vents by this upward force To provide a longer-term, hypothetical bridge that can be extended further.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반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벤트; 상기 벤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벤트와 벤트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거더; 중앙 부분이 아랫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상을 가지며, 윗쪽으로 휘어진 양단이 상기 거더를 지지하여 상기 거더에 상향력을 발생시키는 상향력 발생부; 및 상기 거더의 상부에서 거더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ypothetical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nts are fixed to the grou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girder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nt to connect the vent and the vent; A central portion having a convexly curved shape downward, an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upward force on the girder by supporting the girder at both ends bent upward; And a perforated plate installed transversely to the girder at the top of the gird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력 발생부는 상기 중앙 부분이 그 하부의 벤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ixed to the vent below 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력 발생부의 위쪽으로 휘어진 양단은 거더에 유격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both ends curved upward of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may be freely fixed to the gird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력 발생부는 탄성력을 갖는 강재(steel material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teel (steel materials) having an elastic for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력 발생부와 벤트 사이에는 패널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anel member is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and the vent.

본 발명에 따라서, 가설교량의 벤트와 거더 사이에 강재(steel)의 부분 원통 셀로 이루어지는 상향력 발생부를 설치하여 거더에 상향력을 발생시키므로, 장지간의 가설 교량을 건조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설치기간 및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consisting of a partial cylindrical cell of steel is installed between the vent and the girder of the temporary bridge, the upward force is generated in the girder, so that the temporary bridge between the long legs can be dried and has a simple structure. Therefore, the installation period and cost can be reduc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교량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교량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상향력 발생부가 하중을 받을 때 변형되어 상향력을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교량에서 상향력 발생부가 벤트와 거더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hape of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of the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when the load is applied to generate an upward forc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n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s fixed between a vent and a girder in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교량(100)은, 벤트(10), 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널 부재(20), 패널 부재(20) 상부에 설치되는 상향력 발생 부(30), 상향력 발생부(30) 상에 설치되어 벤트와 벤트를 연결하는 거더(40), 및 거더(40) 상에 배치되는 복공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temporary brid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ent 10, a panel member 2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nt, and an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nel member 20. 30, a girder 40 installed on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to connect the vent and the vent,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50 disposed on the girder 40.

도1에서 벤트(bent,10)는 지반 또는 하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교량의 교각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벤트(10)는 다수개의 H-빔 또는 I-빔을 수직으로 세우고 이들을 볼트-너트 결합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설치된다. 하나의 교량에서 이 벤트(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데, 이 벤트(10) 사이의 거리가 지간 거리가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교량(100)은 지간 거리가 종래에 비해서 더 길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벤트(10)와 벤트(10) 사이의 거리를 종래에 비해서 더 넓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벤트(10)와 벤트(1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면, 설치되는 벤트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공사 기간이 짧아지고,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In FIG. 1, the vent 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or under the ground, and performs the same role as the pier of the present bridge. In general, the vent 10 is installed by erecting a plurality of H-beams or I-beams vertically and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by bolt-nut coupling or the like. In one bridge, a plurality of events 10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vents 10 is a distance between them.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temporary bridg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an be installed longer than that of the related art, the distance between the vent 10 and the vent 10 can be wider than in the related art. As such,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vent 10 and the vent 10 is widened, the number of vents to be installed is reduced,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installation costs.

각 벤트(10)의 상부에는 패널 부재(20)가 설치된다. 이 패널 부재(20)는 벤트의 상면 전체를 덮거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패널 부재(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향력 발생부와 서로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 패널 부재(20)는 상향력 발생부(30)를 매개로 하여 상방의 거더(40)와도 연결되어 상향력 발생부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panel member 20 is installed above the vent 10. The panel member 20 may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an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nstalled on the panel member 20 by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vent or at least a part thereof. On the other hand, the panel member 2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upper girder 40 via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to allow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to maintain a predetermined position.

패널 부재(20)는 상부의 거더(40) 및 복공판(5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벤트(10)로 다시 전달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강재(steel) 등을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panel member 20 transfer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girder 40 and the perforated plate 50 back to the vent 10. Preferably, steel or the like may be used as a material.

패널 부재(20)를 벤트(10) 상부에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도, 벤트(10)의 상부 구조를 변형하여 벤트(10)가 패널 부재(20)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벤트(10)의 상부 구조를, 단순히 빔을 연결하여 빔과 빔 사이에 큰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이 아니고, 벤트의 상면 프레임을 이루는 빔들 사이에 몇 개의 빔을 추가로 연결하여 그 상부에 상향력 발생부(3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때, 추가되는 빔은 거더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벤트의 상판을 이루는 프레임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Without forming the panel member 20 separately on the vent 10, the upper structure of the vent 10 may be modified to allow the vent 10 to serve as the panel member 20. That is, the upper structure of the vent 10 is not a shape in which a lar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eam by simply connecting the beams, and a few beams are additionally connected between the beams forming the upper frame of the vent.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may be disposed. At this time, the added beam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rame forming the upper plate of the vent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이와는 달리, 일반적인 벤트(10)의 구조 위에 상향력 발생부(30)를 직접 설치 및 고정시킬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may be directly installed and fixed on the structure of the general vent 10.

다음으로, 상향력 발생부(30)는, 그 바닥면이 패널 부재(20)에 첩촉하여 배치되며 그 상면은 거더(40)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거더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향력 발생부(30)가 하나의 패널로서, 중앙 부분이 아랫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며, 윗쪽으로 휘어진 양단이 상기 거더를 지지하여 상기 거더에 상향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을 갖다. 예를들면, 상향력 발생부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부분 원통 셀(partial cylindrucak shell)로서 이 부분 원통 셀의 둥근 외측면이 하방을 향하여 패널 부재(20) 및 벤트(10)에 고정되며, 오목한 부분의 상측 끝단은 거더(40)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 부분 원통 셀의 둥근 외측면은 평탄화시켜서 그 하부의 패널 부재에 안정되게 접촉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Next, in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panel member 20, and the top surface thereof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40 to support the load of the girder. In this embodiment,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is a panel, the center portion is convexly curved downward, and both ends bent upward to support the girder to have a shape that generates an upward force on the girder. For example,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is a partial cylindrucak shell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is fixed downward to the panel member 20 and the vent 10, and concave. The upper end of th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40.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is partial cylindrical cell can be flattened so that it can be stably contacted and fixed to the panel member beneath it.

상향력 발생부(30)는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분 원통 셀을 두 개 사용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 원통 셀을 오목한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부분 원통 셀을 사용하되 오목한 부분이 하나 걸러서 상부를 향하도록 교차하여 나란히 설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향력 발생부를 원통을 사용하되, 이 원통을 하나 또는 복수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upward force generator 30 may be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at. For example, two partial cylindrical cells may be u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or one or a plurality of partial cylindrical cells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concave portion faces downward.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rtial cylindrical cells may be used, but the concave portions may be alternately installed so as to cross each other so as to face upwards. In addition,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using a cylind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e or a plurality of the cylinder.

다음으로, 거더(40)는 상향력 발생 부재(30)의 상부에서 벤트와 벤트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놓이는 구성요소이다. 이 거더(40)에 의하여 벤트(10) 사이가 연결되어 교량 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거더(40)는 일반적으로 H-빔 또는 I-빔 등의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거더(3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긴 거더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Next, the girder 40 is a component placed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vent and the vent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ward force generating member 30. The girders 40 are connected between the vents 10 to form a bridge structure. This girder 40 may generally be made of steel, such as an H-beam or an I-beam. Although the girder 30 may be made of one member, as shown in FIG. 1, it is common that a plurality of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long girder.

다음으로, 복공판(50)은 거더(40) 상부에서 거더(40)를 가로질러서 설치되어 거더의 빈 공간을 메우는 구성요소이다. 거더(40)는 그 구성 요소인 H-빔이나 I-빔이 상호 간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거더(40)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빈공간을 복공판(50)으로 막아서 교량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더 사이에 복공판(50)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거더 사이의 내부는 콘크리트 등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복공판(5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거더(40)에 고정될 수 있다.Next, the perforated plate 50 is a component that is installed across the girder 40 from the top of the girder 40 to fill the empty space of the girder. The girder 40 is provided with H-beams or I-beams, which are its compone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fore, an empty space is formed in the girder 40. The empty space is blocked by the double plate 50 to complete the bridge. As described above, it is common to use the perforated plate 50 between the girders, but the interior between the girders may be filled with concret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erforated plate 50 may be fixed to the girder 40 by various methods.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교량의 요부(A) 확대도이다.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A) of the temporary bridg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량의 교각에 해당하는 벤트(10) 상에 패널 부재(20)가 고정되어 있고, 패널 부재(20)와 거더(40) 사이에 상향력 발생부(3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panel member 20 is fixed on the vent 10 corresponding to the bridge pier, and the upward force generator 30 is inserted between the panel member 20 and the girder 40.

거더(40)는 H-빔 또는 I-빔으로 이루어져서 자체적으로도 상당한 중량이 나가지만, 거더(40) 상부에 복공판(50)이 놓이고 그 위를 차량이나 사람이 지나다니게 되므로, 가설 교량이 실제로 사용될 때 전체 하중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이 전체 하중이 각각의 벤트에 분산되어 가해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거더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벤트가 모두 지지하였다.The girder 40 is composed of H-beams or I-beams, which is a considerable weight on its own, but since the perforated plate 50 is placed on the girder 40 and a vehicle or a person passes over it, the hypothesis bridge It can be seen that when used in practice, the total load is significant. This total load is distributed and applied to each vent. Conventionally, all the loads applied from the girder are supported by the vent.

즉, 가설 교량의 이웃하는 두 개의 벤트(10) 사이에 거더 및 복공판이 설치되면, 그 전체 하중은 양쪽 벤트로 분산되어 가해지게 된다. 이때, 벤트(10)가 지반에 고정되어 하중을 지지하므로 벤트는 자신에게서 가까운 거더 부분에 더 강한 지지력을 전달하고, 벤트에서 멀어질수록 거더에는 약한 지지력이 전달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벤트와 벤트 사이의 거더 정중앙 부분에서 지지력이 가장 약해지고, 이 부분이 하방으로 늘어지게 된다. 복공판 상을 여러 대의 차량이 동시에 지나가게 될 때에는 거더의 중앙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 및/또는 충격은 더욱 커질 수 있다.That is, when a girder and a perforated plate are installed between two neighboring vents 10 of the temporary bridge, the entire load is distributed and applied to both vents. At this time, since the vent 10 is fixed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load, the vent delivers a stronger bearing force to the girder portion closer to itself, and the farther away from the vent, the weaker bear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girder. Therefore, the bearing capacity is weakest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irder between the vent and the vent, and this portion is stretched downward. The load and / or impact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girder can be greater when several vehicles pass simultaneously on the perforated plate.

본 발명에 따른 상향력 발생부(30)는, 이와 같이 거더(40) 및 복공판(50) 자체의 하중뿐 아니라 추가의 하중이 가해질 때 전체 하중을 어느 정도 분산해서 하부의 벤트로 전달하고, 하부로 충격이 가해질 때 이 충격을 흡수할 뿐 아니라 탄성력에 의해서 거더를 들어올리는 상향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거더의 중앙 부분이 아래로 늘어짐을 줄여서, 보다 더 긴 길이의 거더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서 벤트 사이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장지간 가설 교량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load of the girder 40 and the perforated plate 50 itself, and distributes the total load to some extent when the additional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vent, In addition to absorbing the impact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furnace, an upward force for lifting the girder by the elastic force is generated. Thus, the central part of the girders is reduced to a downward extent so that they can support longer girde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ong-term hypothetical bridge that can extend the length between the vents.

도2에서 볼 수 있듯이, 상향력 발생부(30)는 강재(steel)로 된 원통을 원통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 원통 셀을 사용하였다. 부분 원통 셀은 오목한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배치하여 위로 향하는 부분 원통 셀의 양 측면이 거더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부분 원통 셀의 볼록한 둥근 바닥면은 패널 부재에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30 used a partial cylindrical cell cu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ylinder cylinder made of steel (steel).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is arranged so that the concave portion faces upwar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upward partial cylindrical cell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and the convex round bottom surface of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panel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분 원통 셀의 볼록한 중앙 부분을 평탄화시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분 원통 셀을 변형없이 사용할 때에 비해서 패널 부재(20)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되고 따라서 패널 부재(20)상에 더욱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x center portion of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is used flattened. In this way, the contact area with the panel member 20 becomes larger as compared with when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is used without deformation, and thus it can be more stably arranged on the panel member 20.

또한, 도면에서 볼 때, 상향력 발생부의 가로 길이는 벤트의 가로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거더에서 벤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므로, 거더가 벤트와 벤트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하방으로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vent,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vent from the girder is distributed, thereby preventing the girder from sagging downward in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he vent and the vent. It becomes possible.

상향력 발생부(30)를 거더(40) 및 패널 부재(2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 상향력 발생부를 하부의 패널 부재에는 전혀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시키고, 상부의 거더에는 유격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In the method of fixing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to the girder 40 and the panel member 20,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s fixed so that there is no movement at all in the lower panel member, and the gap is fixed to the upper girder. Let's go.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향력 발생부(30)의 평탄화된 중앙 부분을 그 하측의 패널 부재(20)에 고정 장치(60)로 고정시킨다. 이 때, 하나 이상의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상향력 발생부(30)의 평탄화된 중앙 부분은 상향력 발생부(30)가 거더로 부터 하중을 받을 때 변형이 비교적 적게 발생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하부의 패널 부재에 고정할 때 안정된 구조를 갖을 수 있을 것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first, the flattened central portion of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is fixed to the lower panel member 20 with the fixing device 60. At this time, it can be firmly fixed by using one or more bolt-nuts. The flattened central portion of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30 is a portion in which the deformation is relatively less generated when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30 receives a load from the girder, so that it is stable when fixing the portion to the lower panel member. Will be able to have

또한, 상향력 발생부(30)를 거더(40)에 고정시킬 때에는, 도2에서 볼 수 있듯이, 상향력 발생부의 위로 휘어진 부분에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의 수직 상부의 거더에 홀을 형성하여 이 두개의 홀을 볼트-너트 등의 고정 장치로 이어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거더의 홀이나 상향력 발생부의 홀은 슬릿 형상으로 구성하여, 거더로부터 상향력 발생부에 하중이 가해져서 상향력 발생부에 변형이 일어나도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유격을 가지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fixing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30 to the girder 40, as shown in Figure 2, a hole is formed in the upper curved portion of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and a hole is formed in the girder of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is hole The two holes are then fixed with a fixing device such as a bolt-nut. At this time, the hole of the girder or the hole of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art is formed in a slit shape so that the load is applied to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art from the girder so that it can be fixed with a certain amount of space so as to accommodate it even if deformation occurs in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art. can do.

이처럼 구성되어 거더를 통해서 상향력 발생부에 하중이 전달될 때 상향력 발생부가 벤트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하중이나 추가로 하중이 발생하여 상향력 발생부에 변형이 일어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할지라도 상향력 발생부와 거더 사이의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through the girder,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s not released from the vent. In addition, the load or additional load is generated so that deformation occurs in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and is cau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Even if the return to the state of the up can be maintained a fixed state between the force generating section and the girder.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상향력 발생부가 하중을 받을 때 변형되어 상향력을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of the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when the load is applied to generate an upward force.

상향력 발생부(30)는 거더로 부터 하중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전달될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즉, 상향력 발생부(30)가 거더(40)와 접촉하는 부분인, 부분 원통 셀의 오목한 부분 양측벽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부분 원통 셀이 벌어지고, 양측벽이 약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향력 발생부(30)는 강재와 같은 재질로 되어 있고, 부분 원통 셀 고유의 형상으로 인해서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부분 원통 셀이 갖는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력을 갖게 되며 이 상향력이 거더에 전달된다.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is slightly deformed as shown in FIG. 3 when the load is transmitted downward from the girder as shown by the arrow ↓. That is,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is opened while both side walls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which is the portion where the upward force generator 30 is in contact with the girder 40,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s shown by a dotted line, and both side walls are formed. This will move slightly downward. On the other hand,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eel, and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due to the inherent shape of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Therefore, the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form of the partial cylindrical cell has an upward force as shown by the arrow (↑) and the upward force is transmitted to the girder.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교량에서 상향력 발생부가 벤트와 거더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n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s fixed between a vent and a girder in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거더(40)는 H-빔으로 이루어지며, 상향력 발생부(30)는 강재(steel)로 된 부분 원통 셀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상향력 발생부(30)는 상부의 거더(40) 및 하부의 패널 부재(20)에,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향력 발생부(30) 및 패널 부재(20)를 연결하는 고정 장치(60)가 한 쌍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H-빔의 반대편 쪽으로도 고정 장치(60)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향력 발생부(30)와 거더(40)를 연결하는 고정 장치(70)가 고정 장치(6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하나씩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H-빔의 반대편 쪽에도 고정 장치(70)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거더(40)의 상부에는 복공판(50)이 형성되지만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패널 부재(20)는 도면에서는 벤트의 상부를 모두 덮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향력 발생부(30)가 놓이는 부분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figure, the girder 40 is made of an H-beam, and the upward force generator 30 has the shape of a partial cylindrical cell made of steel. It can be seen that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is fixed to the upper girder 40 and the lower panel member 20 by bolt-nut coupling. In the drawing, the fixing device 60 connecting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and the panel member 20 is shown as a pair, but the fixing device 60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beam. . Meanwhile, although the fixing device 70 connecting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and the girder 40 is shown as being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device 60 one by one, the other side of the H-beam is also shown. The fixing device 70 may be formed identically. The upper perforated plate 50 is formed on the girder 40, but is not shown for convenience. In addition, although the panel member 20 is shown as covering all the upper part of the vent in the figure, if necessary, it may be formed only in the part in which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30 is placed.

또한, 도1, 2 및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향력 발생부의 횡방향 정중앙 상부에 이웃하는 두 개의 거더의 연결부분(80) 배치되도록 한다. 이 두 개의 이웃하는 거더는 서로 연결될 때 완전히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연결 부분(80)이 수평에 대해서 약간 하방으로 내려오고 양쪽 거더가 연결부분(80)을 중심으로 약간 V자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함으로써, 거더가 벤트들 사이에서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2 and 4, the connecting portion 80 of the two girders adjacent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orce generating portion is arranged. These two neighboring girders are not connected completely horizontally when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ut rather the connecting portion 80 is lowered slightly downward relative to the horizontal and both girders have a slightly V-shaped shape about the connecting portion 80. Can be. By such a shape, the girder can be prevented to be hit down downward between the vents to some extent.

이상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어도 이는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certa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should not be regard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herein.

100: 가설 교량
10: 벤트
20: 패널 부재
30: 상향력 발생부
40: 거더
50: 복공판
60, 70: 고정 장치
80: 연결부분
100: temporary bridge
10: vent
20: panel member
30: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40: girder
50: perforated plate
60, 70: fixing device
80: connecting part

Claims (5)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반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벤트;
상기 벤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벤트와 벤트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벤트 중앙에 이음부가 고정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거더;
중앙 부분이 아랫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상을 가지며, 윗쪽으로 휘어진 양단이 서로 연결된 상기 거더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거더에 상향력을 발생시키는 상향력 발생부; 및
상기 거더의 상부에서 거더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향력 발생부의 위쪽으로 휘어진 양단은 거더에 유격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A plurality of vents spaced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fixed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girder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nt to connect the vent and the vent, and having a joint fixed to the center of the vent;
An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having a central portion convexly curved downward, and supporting an central portion of the girde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ward curved portion to generate an upward force on the girder; And
It includes; a perforated plate installed across the gird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top of the girder;
Both ends curved upward of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is a temporary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y is fixed to the gi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력 발생부는 상기 중앙 부분이 그 하부의 벤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s a hypothesis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ixed to the bottom v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력 발생부는 탄성력을 갖는 강재(steel material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upward force generating unit is a temporary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teel (steel materials) having an elas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력 발생부와 벤트 사이에는 패널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orary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panel member between the upward force generating portion and the vent.
KR1020120120971A 2012-10-30 2012-10-30 Temporary bridge KR1012906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71A KR101290605B1 (en) 2012-10-30 2012-10-30 Temporary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71A KR101290605B1 (en) 2012-10-30 2012-10-30 Temporary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605B1 true KR101290605B1 (en) 2013-07-29

Family

ID=4899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971A KR101290605B1 (en) 2012-10-30 2012-10-30 Temporary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55B1 (en) * 2015-08-27 2016-04-07 표옥근 A bridge supported by iron strip girder and elastic p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969A (en) * 2004-11-17 2006-05-23 김준성 Construction structure of beam with apparatus for prestressing and the method
KR100729391B1 (en) 2006-11-20 2007-06-15 주식회사 누리플랜 A temporary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ting thereof
KR100776234B1 (en) 2007-09-10 2007-11-16 하진영 A main girder of temporary bridge using circle pipe
KR20090083501A (en) * 2008-01-30 2009-08-04 오태헌 Temporary b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969A (en) * 2004-11-17 2006-05-23 김준성 Construction structure of beam with apparatus for prestressing and the method
KR100729391B1 (en) 2006-11-20 2007-06-15 주식회사 누리플랜 A temporary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ting thereof
KR100776234B1 (en) 2007-09-10 2007-11-16 하진영 A main girder of temporary bridge using circle pipe
KR20090083501A (en) * 2008-01-30 2009-08-04 오태헌 Temporary b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55B1 (en) * 2015-08-27 2016-04-07 표옥근 A bridge supported by iron strip girder and elastic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5338A (en) Three-directional temporary tower and girder consolidation structure of large-span cable-stayed bridge
KR101260863B1 (en) Rhamen bridge hav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of arch-shap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27782B1 (en) Management and reverse displacement of composite bridge composite inclined support installation method
KR100876679B1 (en) Bridge soundproof structure and method of executing the same
CN104562944B (en) Long spa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cable-stayed bridge limit steel case anchoring temporarily system
CN203866711U (en) Large span cable-stayed bridge tower beam three-way temporary consolidation structure
KR102163560B1 (en) Girdir and bridge hav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KR101290605B1 (en) Temporary bridge
KR101656318B1 (en) Complex truss girder bridge structure
CN205711703U (en) A kind of bridge lateral anti-fall girder apparatus
KR20160113917A (en) Continuous bridge for bicycle
JP2004332478A (en)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for bridge
CN110424243A (en) A kind of Long span Tied-Arch Bridge Main Bridge jack-up system and jack-up construction method
KR102132338B1 (en) Steel Composite PSC Girder Including Arched Reinforcement
CN204530507U (en) Long spa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cable-stayed bridge limit steel case anchoring temporarily system
JP4901178B2 (en) Steel / concrete composite rigid frame bridge construction method
CN209741641U (en) Prefabricated assembled concrete structure leisure plank road
CN208379451U (en) End bay cast-in-place support
KR100572860B1 (en) A Long-distance-pier temporary bridge Using Cross Beam Having Through-holes
KR200200251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bridge by using truss members
KR102330324B1 (en) APC(Arched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KR200351452Y1 (en) Apparatus for decreasing negative moment and forming multiple supporting points with installed at the supporting point of Rahmen-type steel bridge
KR101319473B1 (en) bearing plate for resisting bearing stress and negative moment
KR20050002746A (en)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Long-distance-pier temporary bridge
CN219752975U (en) Large-span concrete continuous beam bridg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