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533B1 - Method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533B1
KR101290533B1 KR1020110105890A KR20110105890A KR101290533B1 KR 101290533 B1 KR101290533 B1 KR 101290533B1 KR 1020110105890 A KR1020110105890 A KR 1020110105890A KR 20110105890 A KR20110105890 A KR 20110105890A KR 101290533 B1 KR101290533 B1 KR 10129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year
cost
quantitative
fci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2382A (en
Inventor
박태근
이춘경
Original Assignee
(주)엘씨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씨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엘씨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10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533B1/en
Publication of KR2013006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5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유지관리에 있어 정량적 시설상태지수에 관한 것으로, LCC 분석에 의한 미래 예측 비용을 산출하고 실제 투입비용에 대한 비율 비교를 통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도록 한다.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는 여러 항목의 조합에 의해 시설물의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정량적 시설상태지수(FCIQ: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는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LCC 분석결과 값을 이용한 미래예측비용 대비 실제 투입비용에 대한 비율 비교를 통해 정량적 부분에 대한 시설 상태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의하여, 특정시점에 대해 시설 상태 정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한정된 자원 투입의 우선순위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in building maintenance, to calculate the future prediction cost by the LCC analysis and to perform a quantitative evaluation by comparing the ratio of the actual input cost.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is designed considering that the evaluation of the facility can be made by a combination of several items.
The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CIQ) is defined as a value that represents the degree of facility status for the quantitative part by comparing the ratio of future input costs to actual input costs using the LCC analysis result valu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tatus of the facility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to establish the priority of limited resource input.

Description

건축물 유지 관리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METHODS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를 이용하여 정략적 평가를 수행하여 시설, 건축물 등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inten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deriving priorities for maintaining a facility, a building, etc. by performing a quantitative evaluation using a quantitative facility state index.

건축물의 구조 및 안전진단체계 부재에 따른 심각한 건축물 재난 발생률이 증가함에 따라 건축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건축물의 운영유지 관리를 위한 비용은 건물의 생애주기 동안 건설비용의 약 5배가 소요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이를 소홀히 하는 경우 삼풍백화점이나 성수대교 붕괴와 같은 큰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어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건축물의 유지관리비용 중 에너지 비용이 약 40%를 차지하며 건축물을 이루는 구성 부품의 열화나 마모를 방치한 상태로 운영하는 경우 성능저하, 고장, 수명단축 등의 원인이 되므로 건축물의 구성 부품들의 상태를 미리 평가, 예측하고 유지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As the incidence of serious building disasters increase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the absence of a safety diagnosis system,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uilding maintenance and inspection is increasing. The cost of maintaining and maintaining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is expected to be about 5 times the construction cost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but neglecting it can lead to big disasters such as the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and Seongsu Bridge. . Energy costs account for about 40% of the building's maintenance costs. When operating without deterioration or abrasion of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building, it can cause performance degradation, failure, and shorten the lifespan. It is very important to assess, predict and maintain the system in advance.

이를 위한 기존 건축물 운영유지 관리 시스템은 수집된 데이터를 단순히 제어 또는 감시용으로만 사용하며 관리 또한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에 대한 이력조사 및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순한 데이터 제시로 인해 건축물 설비의 조정, 수선 또는 교체는 현장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데이터들에 대한 전문가의 정확한 평가가 부재하고 미리 예측하여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관리 부재의 문제가 있다.Existing building operation maintenance system for this purpose is that the collected data is used only for control or monitoring, and the management is also performed offline so that the history survey and evaluation of the building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In addition, due to the simple data presentation, the adjustment,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building facilities is mostly made at the site manager's judgment.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of a lack of management that can accurately predict the data and eliminate the risk by predicting in advance.

종래 기술로 건축물의 운영유지관리를 위해 LCC (Life Cycle Cost) 분석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LCC 분석 방법에 의한 건축물 운영유지 관리를 위한 특허와 논문으로 주요 관련 기술의 현황을 보여준다. In the prior art, a life cycle cost (LCC) analysis method has been proposed for the operation maintenance of a building. Figures 1a to 1c shows the current state of the major related technologies as patents and papers for building operation maintenance management by the conventional LCC analysis method.

도 1a는 특허문헌 1에서 제시한 건축물 운영유지를 위한 비용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들을 이용해 LCC 분석을 거쳐 예상되는 결과값을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수집된 데이터들로부터 LCC 분석에 의한 결과값만을 보고하고 있어 각 건축물마다 필요로 하는 다양한 평가값 및 항목별 가중치 요인의 반영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Figure 1a relates to a cost analysis system for maintaining the building operation prop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to report the expected result through the LCC analysis using the data. However, since only the results of LCC analysis are reported from the collected data, it is difficult to reflect various evaluation values and weight factors for each building.

도 1b는 특허문헌 2에서 제시한 공동주택용 LCC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항목에 대한 값들을 분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항목별 분석값의 최종 평가지수 부재하며 적용범위를 공동주택으로 한정하여 건축물 또는 시설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평가 요인 및 가중치의 반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Figure 1b relates to the LCC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multi-unit housing proposed in Patent Document 2, it is to analyze the values for the various items expect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evaluation factors and weights that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building or facility by limiting the final evaluation index of the analysis value for each item and limiting the scope of application to apartments.

도 1c는 비특허문헌 1에서 제시한 LCC 분석 방식과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여 이를 슬러지 모델 선정 방식에 적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각 평가 요인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하는 구성과 요인별 평가결과를 조합하여 반영하는 최종 평가지수에 대한 제안이나 제시를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그 적용범위를 슬러지 수집기로 한정하고 있어 건축물마다 다르게 설정해야하는 항목별 가중치 반영 구성이 부재하다.1C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LCC analysis method an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presented in the non-patent document 1 and applying it to the sludge model selection method.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propose or present a final evaluation index that combines the composition of setting weights for each evaluation factor and the evaluation results for each factor. In addi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is limited to the sludge collector, so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reflect the weight for each item that must be set differently for each building.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주요 기술들은 대체적으로 건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 산출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으나 이를 위한 정확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며 예상되는 각종 요인들에 대한 가중치 평가 및 항목별 평가값을 조합하여 나타내는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대부분 단순한 LCC 분석을 반영한 평가시스템만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실제 투입비용을 반영한 정확한 평가 방법이 시급히 요구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lated arts generally agree with the necessity of calculating the cost for the maintenance of the building, but it does not provide an accurate evaluation method for this, and combines the weighted evaluation and the itemized evaluation values for various expected factors. It does not suggest the evaluation method which is shown. Also, most of them propose only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simple LCC analysis. Therefore, accurate evaluation method that reflects actual input cost is urgently needed.

한편, 단순한 건축물의 운영유지 관리를 위한 데이터 산출이나 평가 외에 한정된 운영유지를 위한 예산의 수립 및 집행에 있어서의 우선순위 도출은 한정된 자원과 재원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건축물을 운영유지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건축물 운영유지관리에 관한 종래기술들은 한정된 자원이나 재원을 고려한 우선순위 도출에 대한 어떠한 제안도 하고 있지 못하다.On the other hand, deriving priorities in establishing and executing budgets for limited operational maintenance, in addition to calculating or evaluating data for simpl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is essential to stably maintain and operate buildings under limited resources and resources. However, existing techniques related to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buildings do not make any suggestions for prioritization considering limited resources or resources.

1. 미국특허공보 제5,189,606호(1993. 2. 23.)1.U.S. Patent No. 5,189,606 (February 23, 1993) 2. 한국공개공보 제10-2002-0094090호(2002. 12. 18.)2. Korean Publication No. 10-2002-0094090 (December 18, 2002)

1. 이승훈 외, "LCC 분석에 의한 슬러지수집기 선정 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7권 제6호, pp.175-184, 2006. 12.1. Seunghun Lee et al., "Sludge Collector Selection Model by LCC Analysis",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7 No. 6, pp.175-184, 2006. 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LCC 분석 및 평가값과 함께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여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 산출의 정확성 및 유연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 산출방법을 제안하여 유지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도출을 도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flexibility of cost calculation for maintenance of buildings by performing quantitative evaluation together with LCC analysis and evaluation value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calculating a quantitative facility condition index for this purpose and aims to derive priority for maintenance.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LCC 분석에 의한 미래 예측 비용을 산출하고 실제 투입비용에 대한 비율 비교를 통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한다. For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future prediction cost by the LCC analysis and performs quantitative evaluation by comparing the ratio of the actual input cost.

이를 위해 먼저 정량적 시설상태지수를 정의하도록 한다.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는 여러 항목의 조합에 의해 시설물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To this end, first define a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is designed considering the assessment of the facility by a combination of several items.

정량적 시설상태지수(FCIQ.: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는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LCC 분석결과 값을 이용한 미래예측비용 대비 실제 투입비용에 대한 비율 비교를 통해 정량적 부분에 대한 시설 상태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의한다. The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CIQ) is a value that represents the degree of facility status for quantitative parts by comparing the ratio of future input costs to actual input costs using the LCC analysis result valu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define.

건축물 또는 시설의 노후화 진행 정도에 따라 그 비율이 상승하도록 설계되며, 비율 상승은 해당 시설의 개/대체 항목의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적정한 개/대체 작업의 불이행시 그 비용은 누적 상승된다.The ratio is design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aging progress of the building or facility,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ost of replacement / replacement items in the facility. In case of failure of proper replacement / replacement, the cost will increase cumula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량적 평가 방식은 시설물의 여러 개체/대체 항목의 조합이 가능하다는 점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설계하도록 한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is designed to reflect the fact that a combination of several individual / alternative items of the facility is designed as follows.

FCIQ = 100 × weight of x FCIQ = 100 × weight of x

x : 해당 시설의 개체/대체 항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설정년도(n)의 유지관리 비용을 설정년도(n)의 LCC 결과값으로 나눈 값x: Indicates the individual / replacement item of the facility, which is divided by the LCC result of the setting year (n)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setting year (n).

weight of x : x 항목에 대한 가중치weight of x: weight for item x

n : 시설물에 대한 설정년도n: Year established for facility

본 발명의 다른 일시 예로서, 모든 개/대체 항목에 대해 정량 평가를 실시하고, 요청 비용(예산요청안 기준으로)이 50% 이상의 개/대체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각 항목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을 기준으로 정량평가 값을 전체 조합항목의 값으로 설정하되, 요청비용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항목이 있는 경우 그 항목을 기준으로 정량평가 값을 구하여 이를 전체 조합항목의 값으로 설정한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ll the replacements / substitution items are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the request cost (based on the budget request) is 50% or more in the absence of replacement items, the weight of each item is considere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value is set as the value of all combination items based on the highest value, but if there is an item that occupies more than 50% of the request cos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value is calculated based on the item and set as the value of all the combination items.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정량적 평가 방식을 수행할 때 설정년도는 건축물 또는 시설의 특성에 따라 25년 또는 40년과 같이 1 내지 60년의 범위 내에서 1개 년도를 정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설정년도의 LCC 분석값은 미래예측비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the set year is set to set one year within the range of 1 to 60 years, such as 25 or 40 yea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or facility. The LCC analytical values for the set year represent future forecast cost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를 구하기 위한 각 개체/대체 업무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한다. 전체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값의 총점은 100점을 만점으로 설계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ight is applied to each entity / alternative task item to obtain a quantitative facility state index. The total score of the total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values is designed to be 100 points.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 시설상태지수는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미래예측비용 대비 실제투입비용의 비율 비교를 통해 시설 상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지수를 사용하여 좀 더 정확하고 자세한 현재의 건축물 또는 시설에 대한 상태 분석이 가능하다.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ndicate the degree of facility status by comparing the ratio of actual input costs to future prediction costs based on a specific point in time. Using these indices, more accurate and detailed status analysis of the current building or facility is possible.

또한, 각 항목별 가중치를 설계하여 현실성을 높이고 다양한 시설 및 건축물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량적 시설상태지수에 의해 노후화 진행정도에 따라 그 비율이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적정한 개체/대체 업무의 불이행시 그 비용이 누적되어 상승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weights for each item were designed to increase the reality and reflect the status of various facilities and buildings.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shows that the ratio increas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aging, and the costs accumulate and increase when the proper individual / replacement failure is performed.

따라서, 정량적 시설상태지수를 반영한 건축물 유지관리시스템은 정확한 시설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적정 개/대체 업무를 수행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Therefore, th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reflecting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can display the exact status of the facility and can be forced to perform the appropriate replacement / replacement work.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LCC 분석을 이용한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정량적 평가식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량적 평가 방법에 있어서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보이는 관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 산출 방법 순서도이다.
1a to 1c shows a building maintenance method using the LCC analysi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quantitative evaluation formula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lationship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quantitative facility state index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principle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을 할 때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는 정량평가, 정성평가 및 가중치 평가에 의하여 도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가는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FCIQ: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산출 모듈을 이용하여 시설상태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그 특징이 있다.When budgeting by evaluating the condition of facilities using th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budgeting priorities are derived by quantitative evaluation, qualitative evaluation and weight evaluation.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method of calculating a facility status index by using a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CIQ) calculation module.

본 발명의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데이터 입력 모듈, 이력관리 모듈, 평가 모듈 및 시설상태 지수산출 모듈 등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모듈은 설정년도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은 미래 예측 비용 산출 모듈 및 실제 투입 비용 산출 모듈 이고, 상기 시설상태 지수산출 모듈은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FCIQ) 산출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를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 입력모듈은 설정년도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이고, 상기 평가 모듈은 설정년도에 대한 LCC 분석 결과값(Result of LCC for n year)을 미래 예측 비용으로 산출하는 제1계산부, 설정년도에 대한 실제 유지관리 투입비용(Maintenance Cost for n year)을 산출하는 제2계산부, 개/대체 업무별 값을 상기 미래 예측비용과 실제 유지관리 투입비용의 비율로서 구하는 제3계산부 및 업무별 가중치 데이터베이스에서 개/대체 업무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FCIQ)를 100 × weight of x (x = Maintenance Cost for n year/Result of LCC for n year)로서 산출하는 제4계산부로 구성할 수 있다.
Th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input module, a history management module, an evaluation module, a facility state index calculation module, and the like, and a controller and a database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data input module may be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set year.
The evaluation module may be a future prediction cost calculation module and an actual input cost calculation module, and the facility status index calculation module may be a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FCIQ) calculation module.
It may also include a module for displaying the calculated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to the manager.
More specifically, the data input module is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set year, the evaluation module is a firs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result of LCC analysis result (Result of LCC for n year) for the set year, the future prediction cost, A secon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n actual maintenance cost for n year for a set year, a thir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values for individual / replacement tasks as a ratio of the future prediction cost and the actual maintenance input cost; and The fourth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FCIQ ) as 100 × weight of x (x = Maintenance Cost for n year / Result of LCC for n year) by applying the weight of individual / replacement tasks in the task-specific weight database. Can be configured.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정량적 평가식의 개념도이다.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LCC 분석 결과 값으로 구하는 미래예측비용 대비 개/대체 업무에 소요된 실제투입비용 비율은 노후화 진행정도에 따라 그 비율이 상승한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quantitative evaluation formula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ratio of the actual input cost spent on the replacement / replacement work compared to the future prediction cost obtained by the LCC analysis result value increases with the progress of aging.

이러한 비율을 정량적 시설상태지수로 정의한다. 시설물의 여러 개체/대체 항목의 조합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정량적 시설상태지수를 설계하였다. This ratio is defined as a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was designed as follows, reflecting the combination of several individual / alternative items of the facility.

FCIQ = 100 × weight of x FCIQ = 100 × weight of x

x : 해당 시설의 개체/대체 항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설정년도(n)의 유지관리 비용을 설정년도(n)의 LCC 결과값으로 나눈 값x: Indicates the individual / replacement item of the facility, which is divided by the LCC result of the setting year (n)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setting year (n).

weight of x : x 항목에 대한 가중치weight of x: weight for item x

n : 시설물에 대한 설정년도n: Year established for facility

시설물에 대한 설정년도는 건축물 또는 시설의 특성에 따라 1 내지 60년의 범위 내에서 1개 년도를 정하여 설정하도록 한다.The year of establishment for facilities shall be determined by establishing one year within the range of 1 to 60 yea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or facility.

모든 개/대체 항목에 대해 정량 평가를 실시하고, 요청 비용(예산요청안 기준으로)이 50% 이상의 개/대체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각 항목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을 기준으로 정량평가 값을 전체 조합항목의 값으로 설정하되, 요청비용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항목이 있는 경우 그 항목을 기준으로 정량평가값을 구하여 이를 전체 조합항목의 값으로 설정한다.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의 총점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산출한다.Quantitative evaluation is performed on all replacement items, and if there are no replacement items in the request cost (based on budget request) of 50% or mor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s based on the highest weight considering the weight of each item. Set the value to the value of all combination items, but if there is an item that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request cost, obtain a quantitative evaluation value based on that item and set it as the value of all the combination items. The total score of the Quantitative Facility Health Index is calculated based on a perfect score of 100.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설정년도 별 예상투입비용(미래예측비용, LCC분석결과값) 및 실제투입비용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특정 시점에서의 예상되는 투입비용 대비 실제 투입비용에 따라 누적 LCC 비용이 산출됨을 알 수 있고 이는 시점별로 막대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Figure 3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input cost (future prediction cost, LCC analysis result value) and the actual input cost for each specific set y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umulative LCC cost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ctual input cost compared to the expected input cos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which can be displayed in a bar graph form for each time point.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관리 주체는 어느 시점에서 실제 비용을 투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시점의 시설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calculates and displays a quantitative facility condition index, and the management body can determine at what point it is most effective to inject actual costs, and can also identify at a glance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본원 발명에 의한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에 따라 각 개/대체 항목의 중요도,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우선순위 도출이 가능하며 따라서 한정된 자원(물리적 자원 및 재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erive priorit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each individual / replacement item, and thus, it is possible to input limited resources (physical resources and resources) most effectively.

도 4는 본원 발명에 의한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 산출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초기 단계로 건축물의 운영 유지 관리를 위한 개/대체 항목을 설정하고 항목별 상태 정의를 통해 가중치를 할당하여 DB화 한다.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설정년도 할당 제1단계(S41); 설정년도에 대한 LCC 분석 결과값을 산출하는 제2단계(S42:Result of LCC for n year); 설정년도에 대한 실제 유지관리 투입비용을 산출하는 제3단계(S43:Maintenance Cost for n year); 개/대체 업무별 값을 수식(x = Maintenance Cost for n year/Result of LCC for n year)에 의해 산출하는 제4단계(S44); 초기단계에서 구축한 DB에서 개/대체 업무의 가중치를 조회적용하는 제5단계(S45) 및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를 FCIQ = 100 × weight of x로서 산출하는 제6단계(S46)를 포함하는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quantitative facility state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itial stage, it establishes individual / replacement items for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building, and assigns DBs by assigning weights through the status definition for each item. A first step of allocating a predetermined year for calculating a quantitative facility state index (S41); Calculating a result of the LCC analysis for the set year (S42: Result of LCC for n year); A third step (S43: Maintenance Cost for n year) of calculating the actual maintenance input cost for the set year; A fourth step (S44) of calculating a value per individual / replacement task by a formula (x = Maintenance Cost for n year / Result of LCC for n year); The fifth step (S45) of applying the weight of the individual / replacement task to the DB constructed in the initial stage and the sixth step of calculating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as FCIQ = 100 × weight of x with 100 points as the perfect score (S46).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calculation method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를 구하기 위한 각 개체/대체 업무 항목에 대한 가중치는 다음 표1과 같이 설정하도록 한다. 아울러 전체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값의 총점은 100점을 만점으로 설계한다. 본 발명에서는 100점을 만점으로 설계하지만 시설상태지수에 따라 변동 가능하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for each individual / replacement work item for obtaining a quantitative facility state index is set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total score of the total quantitative facility condition index values is designed to be 100 points out of 100 points.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points are designed to be perfect, but the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acility condition index.

정량적 시설상태지수를 위한 변수 x의 항목별 가중치 값Item-weighted value of variable x for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구분division xx 가중치weight 정량점수Quantitative score 구분division xx 가중치weight 정량점수Quantitative score 1One 0.0≤x<0.20.0≤x <0.2 0.10.1 1010 66 1.0≤x<1.31.0≤x <1.3 0.60.6 6060 22 0.2≤x<0.40.2≤x <0.4 0.20.2 2020 77 1.3≤x<1.61.3≤x <1.6 0.70.7 7070 33 0.4≤x<0.60.4≤x <0.6 0.30.3 3030 88 1.6≤x<1.91.6≤x <1.9 0.80.8 8080 44 0.6≤x<0.80.6≤x <0.8 0.40.4 4040 99 1.9≤x<2.21.9≤x <2.2 0.90.9 9090 55 0.8≤x<1.00.8≤x <1.0 0.50.5 5050 1010 2.2≤x2.2≤x 1.01.0 1001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정량적 시설상태지수(FCIQ: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을 구하여 시설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LCC 분석결과에 따라 미래 예측 비용 산출 모듈에서 미래예측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실제 투입 비용 산출 모듈에서 개/대체 항목별 실제 투입비용 산출 단계;
FCIQ 산출 모듈에서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FCIQ를 하기의 수식으로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FCIQ = 100×weight of x (x = n설정연도의 유지관리비용/n설정연도의 LCC 분석 결과값)
상기 설정연도의 유지관리비용은 항목별 실제 투입비용이며, 설정연도의 LCC 분석 결과값은 LCC 분석결과에 따른 미래예측비용이며, x는 항목별 정량 평가값을 나타내고, weight of x는 항목별 가중치, 특정시점을 나타내는 n은 제1 내지 제60 중 1개 년도로 설정하며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값이 클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 평가 방법.
In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condition of a facility by obtaining a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CIQ) using a building maintenance system for evaluating the condition of a facility and prioritizing budgeting,
Calculating a future prediction cost in the future prediction cost calcul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LCC analysis result;
Calculating the actual input cost of the individual / replacement item in the actual input cost calculating module;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the FCIQ in the FCIQ calculation module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with the following formula,
FCIQ = 100 × weight of x (x = maintenance cost for n year / nCC LCC analysis result)
The maintenance cost of the set year is the actual input cost for each item, the LCC analysis result value of the set year is the future prediction cost according to the LCC analysis result, x represent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value for each item, and weight of x represents the weight of each item. , N, which represents a specific time point, is set to one year of the first to sixty years, and the higher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e index value, the higher the prior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CIQ 산출은 항목별 정량 평가 산출값 x가 전체 요청비용의 50% 이상인 항목이 있는 경우 이를 FCIQ의 전체 항목의 값으로 하고, 50% 이상인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항목별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을 기준으로 이를 FCIQ의 전체 항목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 평가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CIQ calculation is based on the value of all items of FCIQ when there is an item whose quantitative evaluation calculation value x is 50% or more of the total request cost, and the weight of each item is highest when there is no item that is 50% or more. Facility status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is is the value of the entire item of the FCIQ.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CIQ가 100점에 가까울수록 건축물 유지관리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nd determining that the building maintenance priority is higher as the FCIQ is close to 100 points.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 산출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년도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설정년도에 대한 LCC 분석 결과값(Result of LCC for n year)을 미래 예측 비용으로 산출하는 제1계산부;
설정년도에 대한 실제 유지관리 투입비용(Maintenance Cost for n year)을 산출하는 제2계산부;
개/대체 업무별 값을 상기 미래 예측비용과 실제 유지관리 투입비용의 비율로서 구하는 제3계산부; 및
업무별 가중치 데이터베이스에서 개/대체 업무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FCIQ)를 100 × weight of x (x = Maintenance Cost for n year/Result of LCC for n year)로서 산출하는 제4계산부를 포함하며, 설정년도는 1 내지 60중 1개 년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 산출 시스템.
In the quantitative facility condition index calculation system,
Input means for inputting a set year;
A first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 result of LCC analysis for a predetermined year as a future prediction cost;
A second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n actual maintenance cost for n year for a set year;
A third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value for each individual / replacement task as a ratio between the future prediction cost and the actual maintenance input cost; And
A fourth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FCIQ ) as 100 × weight of x (x = Maintenance Cost for n year / Result of LCC for n year) by applying the weight of individual / replacement tasks in the task-specific weight database. Including, the set year is 1 to 60 of the quantitative facility status index calc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ye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105890A 2011-10-17 2011-10-17 Method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 KR1012905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890A KR101290533B1 (en) 2011-10-17 2011-10-17 Method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890A KR101290533B1 (en) 2011-10-17 2011-10-17 Method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382A KR20130062382A (en) 2013-06-13
KR101290533B1 true KR101290533B1 (en) 2013-08-13

Family

ID=4886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890A KR101290533B1 (en) 2011-10-17 2011-10-17 Method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5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266B1 (en) * 2019-10-21 2021-06-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KR102412343B1 (en) * 2020-07-31 2022-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housing welfare support index
KR102591283B1 (en) * 2023-05-24 2023-10-19 박철수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791A (en) * 2005-01-18 2006-07-21 정영한 Facility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791A (en) * 2005-01-18 2006-07-21 정영한 Facility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382A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9568B2 (en) Employing a dynamic lifecycle condition index (CI) to accommodate for changes in the expected service life of an item based on observance of the item and select extrinsic factors
CN104966141B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model used to generate an industrial asset health profile
KR101358673B1 (en) Facilities condition assessment method using smartphone and system thereof
Gattulli et al. Condition assessment by visual inspection for a bridge management system
KR101683256B1 (en)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apparatus
KR201801125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t management of power transformers
Van Horenbeek et al. Quantifying the added value of an imperfectly performing condition monitoring system—Application to a wind turbine gearbox
KR102355401B1 (en) Apparatus and method establishing maintenance plan based on health index of equipment asset
AU2021236564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environmental standard compliance
JP2016038657A (en) Diagnosis support system and diagnosis support method
KR101290533B1 (en) Method and System of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 for Building Management Priority calculation
Frangopol et al. Structural performance indicators for bridges
Grussing et al. Condition and reliability prediction models using the Weibull probability distribution
KR101049405B1 (en) Bridge asset management system
Esposito et al. Engineering risk-based methodology for stress testing of critical non-nuclear infrastructures (STREST Project)
Ongkowijoyo et al. Risk-based resilience assessment model focusing on urban infrastructure system restoration
Grussing et al. Building component lifecycle repair/replacement model for institutional facility management
KR101178063B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having preventive disaster module and method thereof
CN116993286B (en) Tes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est progress reverse project progress
GB2591772A (en) Asset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20166156A1 (en) Failure risk assessment system and failure risk assessment method
JP2010231376A (en) Equipment quality control method and equipment quality control system
Grussing Optimized building component assessment planning using a value of information model
Farhey Performance of bridge materials by structural deficiency analysis
Diamantidis et al. Obsolescence rate: Framework, analysis and influence on risk acceptance cri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