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206B1 - 헤어기구 - Google Patents

헤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206B1
KR101290206B1 KR1020110088055A KR20110088055A KR101290206B1 KR 101290206 B1 KR101290206 B1 KR 101290206B1 KR 1020110088055 A KR1020110088055 A KR 1020110088055A KR 20110088055 A KR20110088055 A KR 20110088055A KR 101290206 B1 KR101290206 B1 KR 10129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heat generating
hair
gripping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544A (ko
Inventor
이슬아
Original Assignee
이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슬아 filed Critical 이슬아
Priority to KR102011008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2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1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with a rotatable handle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single heated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어아이론은 사람의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열퍼머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에는 작업부에 설치되는 발열봉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발열부가 전원부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부는 글로브와, 상기 글로브에 고정 연결되는 발열봉과, 글로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글로브 조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로브와 상기 발열봉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발열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에 상기 작업부를 연결하면 상기 발열부가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글로브와 발열봉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기구{Hair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열퍼머와 고데 등에 사용되는 헤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헤어스타일링 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굵기를 가지는 발열체로 교체할 수 있는, 헤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경제적으로 윤택해지고 서구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면서 개인주의가 점차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개인주의가 확대되면 일반인들을 다른 사람과의 차별성을 내세우기 위해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에는 성형수술, 독특한 의복, 그리고 독특한 헤어스타일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독특한 헤어스타일이고, 이러한 헤어스타일을 만드는 방식에서는 가위로 이루어지는 커팅과, 머리카락에 색깔을 입히는 컬러작업과, 모발의 변형을 이용하는 퍼머와, 일시적 셋팅, 즉 고데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퍼머와 고데가 자기 표현의 방식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퍼머는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고데기 또는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모발을 퍼머하는 일시적 퍼머와, 약제와 롯드를 사용하는 롯드 퍼머와, 열기구를 이용하는 열퍼머가 있다.
일반적으로 롯드를 이용하는 롯드 퍼머는, 제1약제를 사용하여 모발구조의 중간층인 코덱스층의 시스틴결합(측쇄결합)을 절단하고 롯드를 사용하여 모발을 와인딩하여 컬을 형성하고, 제2약제를 도포하여 절다된 시스틴결합을 연결시킴으로써 웨이브, 즉 컬을 형성하는 것이다.
열퍼머는 제1약제를 사용하여 모발의 시스틴결합을 절단한 다음, 모발로붜 제1약제를 세척하고 모발에 수분이 약간 남아 있는 상태에서 열퍼머 기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모발을 와인딩하여 컬을 형성한 다음에 모발이 건조되면 제2약제를 도포하여 최종 컬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열퍼머는 롯드퍼머에 비해 컬형태의 유지력이 길고 모발 손질이 편하며 또한 모발에 탄력에 좋아 얇아진 모발을 가진 중년 여성들에게는 매우 매력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열을 이용하여 퍼머를 수행하기 때문에 모발을 손상시키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최고의 기술과 경험을 가지는 전문가만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열퍼머를 수행하기 위해, 열퍼머에 사용되는 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와, 손잡이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열퍼머를 위해 모발을 와인딩하는데 사용되는 발열봉(2)과, 상기 발열봉에 와인딩되는 모발을 압박하는 글러브(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열퍼머 기구를 사용하여 열퍼머를 수행하는 방법은 손잡이부에 있는 글러브 조작부(1'1)를 눌러 글러브(3)를 발열봉(2)으로부터 떨어지게 한 다음 발열봉에 모발을 위치시키고 글러브를 다시 원위치시켜 모발을 압박하도록 한 다음에 전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퍼머를 수행하여 볼륨감이 풍부한 웨이브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모발에 조건에 따라서 그리고 웨이브의 형태에 따라서 열퍼머 기구의 발열봉(2)의 굵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열퍼머 기구를 이용하여 열퍼머를 시술하는 전문가들은 다양한 굵기의 발열봉을 가지는 다수의 열퍼머 기구를 비치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열퍼머를 시술하는 전문가 입장에서는 굵기에 따른 다수의 열퍼머 기구를 구입하여야만 해 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열퍼머를 수행할 때 모든 굵기의 열퍼머 기구를 비치하게 되어 작업대가 어지럽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발열봉으로 모발을 와인딩할 때 발열봉에 면상에 모발이 고르게 배치되지 못해 모발에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지 못해 원활한 열퍼머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발열봉에 접촉하는 모발의 면적이 작아 모발에 전달되는 열이 적어 원활한 열퍼머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0-0037468(2010.04.22) 호를 통해 발열봉을 교체할 수 있는 헤어아이론을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출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가능한 발열봉(30)과 발열봉의 굵기에 따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글로브조작부(50)의 체결홈(53)에 결합되는 글로브(4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한 크기의 발열봉(30)을 선택하여 글로브조작부(50)에 체결하고, 또한 선택된 발열봉의 굵기에 대응하는 글로브(40)를 선택하여 글로브조작부에 체결하여 열퍼머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에 따른 헤어아이론에서 발열봉을 교체할 때마다, 발열봉의 크기에 따라 글로브(40)을 선택하여 글로브조작부에 설치하여야 하고,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특허출원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구성이 복잡해진다고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웨이브를 짧은 시간 내에 형성하는, 열을 발산하는 머리빗을 포함한 일시적 셋팅기구 등도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발의 길이에 따른 다양한 셋팅형태, 예컨대 강한컬, 굵은컬, 스트레이트 등을 한 가지 기구로 작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라 많은 셋팅기구등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셋팅기구를 많이 구입하게 됨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고 또한 헤어스타일링 작업을 위해 많은 기구를 휴대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헤어스타일 작업환경에 따라 원하는 발열봉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한 헤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헤어스타일링 작업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굵기를 가지는 발열체로 교체할 수 있는 한편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한 헤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기구는 사람의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열을 이용한 헤어스타일링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에는 작업부에 설치되는 발열봉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발열부가 전원부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부는 글로브와, 상기 글로브에 고정 연결되는 발열봉과, 글로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글로브 조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로브와 상기 발열봉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발열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에 상기 작업부를 연결하면 상기 발열부가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글로브와 발열봉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기구에서, 상기 파지부에 상기 작업부를 연결하였을 때 상기 작업부를 파지부에 흔들림이 없이 고정을 위해 상기 파지부의 발열부가 설치되는 발열부 설치면에 두 개의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와 결합시 상기 발열부 설치면에 대응하는 상기 글로브의 일면에 상기 고정홈과 정합하는 두 개의 고정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상기 발열봉의 외면에는 열퍼머시에 모발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모발들이 발열봉 전체에 걸쳐 고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상기 발열봉에 형성되는 홈들은 "V", "U" 또는 "凹"형 단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상기 글로브와 상기 발열봉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발열부가 삽입되는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또한 발열부의 끝단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발열봉 외부로 돌출하였을 때 상기 숫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상기 발열부의 끝단에 체결함으로써 작업부가 파지부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상기 작업부는 몸체와, 몸체 외면에 설치되는 빗살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 내측에 파지부의 발열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머리빗이다.
본 발명에서는 헤어기구의 파지부와 작업부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여, 헤어스타일링 작업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발열봉 또는 머리빗을 가지는 작업부를 파지부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헤어스타일링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 되는 한편, 헤어스타일링 환경에 따라 다양한 헤어기구를 구입해야만 하는 단점을 해결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헤어아이론.
도 2는 다른 선행기술에 따른 헤어아이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파지부와 작업부의 다른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파지부와 작업부의 또 다른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봉을 교체할 수 있는 헤어기구는, 퍼머를 실행하는 시술자의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100)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열퍼머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200)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00)가 열퍼머나 고데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지부(100)에는 작업부(200)에 설치되는 발열봉에 퍼머작업을 위한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부(200)는 글로브(210)와, 발열봉(220)과, 글로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글로브 조작부(230)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봉(220)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부(100)의 발열부(110)가 삽입되는 통공(H)이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00)에 상기 작업부(200)를 연결하면 상기 발열부(110)가 상기 통공(H)을 통과하여 상기 글로브(210)와 발열봉(22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통공(H)의 직경은 상기 발열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발열부(110)를 상기 글로브와 발열봉 내측에 설치하였을 때 발열부가 상기 글로브와 발열봉 내측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기구에서, 상기 파지부에 상기 작업부를 연결하였을 때 상기 작업부를 파지부에 흔들림이 없이 고정을 위해 상기 파지부의 발열부가 설치되는 발열부 설치면에 두 개의 고정핀(111)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와 결합시 상기 발열부 설치면에 대응하는 상기 글로브의 일면에 상기 고정홈과 정합하는 두 개의 고정홈(21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 상기 고정홈들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핀들도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고정홈과 고정핀의 설치 위치는 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또한 고정홈과 고정핀의 숫자들을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상기 발열봉(220)의 외면에는 열퍼머시에 모발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221)이 형성되어 모발들이 발열봉 전체에 걸쳐 고르게 배치되게 된다. 상기 발열봉에 형성되는 홈들은 "V", "U" 또는 "凹"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작업부를 열퍼머나 또는 고데 등에 사용하는 장치로 설명하였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부(200')는 몸체(210')와 몸체 외면 둘레에 설치되는 다수의 빗살(211')로 이루어지는 머리빗 일 수 있다 . 상기 몸체 (210') 에는 상기 파지부의 발열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에 상기 작업부를 연결하면 상기 발열부가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글로브와 발열봉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통공의 직경은 상기 발열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발열부를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하였을 때 발열부가 상기 몸체와 발열봉 내측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파지부(100)와 작업부(200)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작업부가 글로브(210)와, 발열봉(220)과, 글로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글로브 조작부(230)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작업부(200')가 머리빗인 경우에는 단지 몸체 외면에 빗살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은 작업부(200)와 동일하다.
도 4에서 선 M-M'을 따라 절취한 파지부(100)의 단면도와, 선 L-L'을 따라 절취한 작업부(20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 5의 (a)와 (b)를 참조하면, 상기 파지부(100)와 작업부(200) 간의 결합은 도 5에 도시하였듯이, 작업부와 결합하는 파지부(100)의 일단의 외면 둘레에 단턱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120) 외면 둘레에 숫나사산(121)을 형성하고, 작업부(200)의 일단에 단턱부의 직경(D)에 대응하는 크기의 요홈(V)을 형성한 다음 요홈의 내면 둘레에 암나사산(240) 형성하여, 상기 파지부의 숫나사산과 작업부의 암나사산을 결합하여 파지부와 작업부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암나사산과 숫나사산을 이용하여 파지부와 작업부를 결합하는 경우는, 발열부 설치면에 두 개의 고정핀(111)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또한 상기 글로브의 일면에 상기 고정핀과 정합하는 두 개의 고정홈(211)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면에서, 파지부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작업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파지부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작업부에 숫나사산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 선 M-M'을 따라 절취한 파지부(100)의 단면도와, 선 L-L'을 따라 절취한 작업부(20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 6의 (a)와 (b)를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파지부의 상기 일단의 단턱부 외면의 소정 위치에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1만곡부(130)를 일단 외면 둘레에 형성하고, 작업부의 일단의 요홈 내면에 내측으로 만곡하여 상기 제1만곡부와 정합하는 제2만곡부(250)를 형성하여, 상기 파지부의 단턱부를 상기 작업부의 요홈에 압입하여 상기 제1만곡부가 제2만곡부 내측에 끼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와 요홈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내열성의 탄성소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만곡부를 작업부의 요홈의 내면에 형성하고, 제2만곡부를 파지부의 단턱부 외면 둘레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는 파지부와 작업부가 결합되었을 때, 작업부에 대해 파지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2개 이상 형성할 때, 제1만곡부들이 등간격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만곡부 역시 제1만곡부들의 갯수와 위치들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도 4에서 선 M-M'을 따라 절취한 파지부(100)의 단면도와, 선 L-L'을 따라 절취한 작업부(20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 6의 (a)와 (b)를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파지부의 상기 일단의 단턱부 외면의 소정 위치에 스프링수단(S)으로 탄지되는 볼(B)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부의 상기 일단의 요홈 내면에서 상기 볼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만곡하여 상기 볼과 정합하는 볼 수용구(260)를 설치한다. 따라서, 파지부와 작업부를 결합하면, 스프링수단(S)의 탄성력에 의해 볼(B)이 볼 수용구(260) 내측에 수용되어 파지부와 작업부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가 결합되었을 때, 파지부와 작업부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턱부 외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볼(B)들은 2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는 파지부와 작업부가 결합되었을 때, 작업부에 대해 파지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2개 이상 형성할 때, 제1만곡부들이 등간격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만곡부 역시 제1만곡부들의 갯수와 위치들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도 6와 도 7에서 파지부와 작업부가 결합할 때, 고정핀과 고정홈 역시 결합하게 됨으로써 파지부와 작업부가 결합되면 파지부나 작업부가 회전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파지부(100)의 발열부(110)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서 작업부(200)의 발열봉(220)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와 같은 경우에는 발열부(110)에서 발열부(220)로 열전도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충분한 열이 전달되지 못할 수 있어서 원활한 퍼머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00)의 발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110'1)을 설치하고, 상기 발열부(110) 위에 위치하게 되는 발열봉(220) 외면에, 상기 슬롯(1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롯과 정합하는 다수의 슬롯 정합핀(220'1)을 설치한다.
따라서, 파지부(100)와 작업부(200)를 체결하면, 작업부(200)의 발열봉(220) 외면에 설치된 슬롯 정합핀(220'1)들이 상기 파지부(100)의 발열부(110)에 형성된 슬롯(110'1)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파지부의 발열부에서 생성되는 열이 슬롯과 결합한 슬롯 정합핀(220'1)을 통해 발열봉(220)으로 원활하게 전달되어 퍼머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슬롯과 슬롯 정합핀을 사용하는 경우에, 파지부와 작업부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도 6와 도 7을 통해 설명한 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파지부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작업부에 요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파지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작업부에 단턱부를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에서는 파지부(100)에 발열부(110)을 설치하고 작업부(200)에 상기 발열부(110) 상측에 설치되는 발열봉(220)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작업부에 발열부(110)와 발열봉(220)을 일체로 형성한 다음, 작업부(200)를 파지부(100)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9에서 선 N-N'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파지부(100)의 일단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두 개의 전원공급홈(150)을 형성하고, 작업부(200)의 일단에는 상기 전원공급홈(150)에 삽입되는 두 개의 전원공급핀(250)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전원공급핀은 발열부(110)와 연결되게 된다.
파지부에 형성되는 전원공급홈은 파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선이 연결되고, 상기 작업부의 전원공급핀(250) 역시 발열부(110)에 연결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아주 자명한 것이어서 도면에서는 이의 연결구성에 대해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도 9의 도면에서는 발열부(110)와 발열봉(220)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열봉으로 더 잘 전달하기 위하여 도 8의 구성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파지부와 작업부의 체결방법 이외에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100)와 작업부(200)의 연결이 가능하다.
도 10의 (a)는 작업부(200)가 글로브(210)와, 발열봉(220)과, 글로브 조작부(230)로 이루어진 것에 관한 것으로서, 파지부(100)의 발열부(110)의 끝단에 숫나사산(112)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부(110)가 통과하여 발열부의 끝단이 발열봉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글로브와 발열봉의 중앙부에는 관통공(H')을 형성한다. 그리고, 관통공을 통과한 발열부(110)을 작업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열봉의 외부로 돌출한 발열부(110)에 끝단에 캡(C)을 설치한다. 상기 캡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산이 형성되어 숫나사산과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도 10의 (b)는 작업부(200')가 몸체(210')와 몸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빗살(211')로 구성되는 머리빗에 대한 것으로서, 도 10의 (a)와 마찬가지로 몸체(21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발열부(110)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H')이 형성되고, 상기 도 10의 (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부(200')가 파지부(100)에 연결되게 된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100)의 발열부(110)의 끝단이 몸체(210')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설치한 다음, 암나사산이 형성된 캡(C)을 회전시킴으로써 파지부에 작업부(200')을 설치하거나 또는 파지부로부터 작업부를 해체할 수 있게 된다. 파지부와 작업부(200')가 캡(C)에 의해 결합되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파지부와 작업부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여, 퍼머 작업의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발열봉(220) 또는 머리빗을 가지는 작업부를 파지부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퍼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즉, 작은 웨이브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굵기가 작은 발열봉 또는 머리빗이 설치된 작업부를 파지부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보다 큰, 즉 풍부한 웨이브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다 굵은 발열봉 또는 머리빗이 설치된 작업부를 파지부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작업 환경에 따라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 놓기 보다는, 하나의 파지부에 다양한 굵기의 발열봉 또는 머리빗을 가지는 다수의 작업부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헤어스타일리 작업에 따라서 별도의 헤어기구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되고, 또한 장치의 구입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5)

  1. 파지부(100)와, 상기 파지부(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부(200)는, 글로브(210), 발열봉(220) 및, 상기 글로브(21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글로브 조작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100)에는 열 공급을 위한 발열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봉(2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발열부(110)가 삽입되는 통공(H)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100)와 작업부(200)를 결합하면, 상기 작업부(200) 내측의 발열부(1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작업부(200)에 전달되게 된 헤어기구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00)의 발열부(110)가 설치되는 발열부 설치면에 두 개의 고정핀(111)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100)와 결합시 상기 발열부 설치면에 대응하는 글로브(210)의 일면에 상기 고정핀(111)과 정합하는 두 개의 고정홈(211)을 설치하여, 상기 파지부(100)와 작업부(200)의 결합시에 상기 고정홈(211) 내측에 고정핀(111)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된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기구.
  2. 삭제
  3. 파지부(100)와, 상기 파지부(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부(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부(220')는 몸체(210')와 몸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빗살(211')로 이루어지는 머리빗이고,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발열부(11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를 결합하면 상기 발열부가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여 발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몸체와 빗살에 전달되는 헤어기구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00)의 발열부(110)가 설치되는 발열부 설치면에 두 개의 고정핀(111)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100)와 결합시 상기 발열부 설치면에 대응하는 글로브(210)의 일면에 상기 고정핀(111)과 정합하는 두 개의 고정홈(211)을 설치하여, 상기 파지부(100)와 작업부(220')의 결합시에 상기 고정홈(211) 내측에 고정핀(111)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된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기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00)의 외면 둘레에 단턱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120)의 외면 둘레에 숫나사산(121)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부의 일단에 상기 단턱부(120)의 직경(D)에 대응하는 크기의 요홈(V)을 형성한 다음 요홈의 내면 둘레에 암나사산(240)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부의 숫나사산과 요홈의 암나나산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헤어기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00)와 작업부(200 또는 200') 들 중 하나의 외면 둘레에 단턱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120)의 소정 위치에 외측으로 만곡되는 두 개 이상의 제1만곡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 중 다른 하나의 일단에 상기 단턱부(120)의 직경(D)에 대응하는 크기의 요홈(V)을 형성한 다음 요홈의 소정 위치에 내측으로 만곡하는 한편 결합시에 상기 제1만곡부와 정합하게 되는 두 개 이상의 제2만곡부(250)를 형성하여,
    상기 제2만곡부(250)에 제1만곡부(130)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와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기구.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00)와 작업부(200)중 하나의 외면 둘레에 단턱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120)의 소정 위치에 스프링수단(S)에 의해 탄지되는 볼(B)을 두 개 이상의 설치하고,
    상기 파지부(100)와 작업부(200)중 다른 하나의 일단에 상기 단턱부(120)의 직경(D)에 대응하는 크기의 요홈(V)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의 소정 위치에 내측으로 만곡하는 한편 결합시에 상기 볼(B)이 정합하게 되는 두 개 이상의 볼 수용구(260)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수단의 탄성력에 상기 볼이 상기 볼 수용구 내측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와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기구.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00)의 발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슬롯(110'1)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부의 발열봉(220)의 내면에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슬롯과 정합하게 되는 다수의 슬롯 정합핀(220'2)을 설치하여,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의 결합시에 상기 슬롯이 슬롯 정합핀에 수용되게 되어 발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열봉에 전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기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파지부(100)와 상기 파지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부(200,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100)에는 열 공급을 위한 발열부(110)가 설치되고, 발열부의 끝단에는 숫나사산(112)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발열부(110)가 관통하여 발열부의 끝단이 그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관통공(H')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의 결합은, 상기 발열부(110)의 숫나사산(112) 부위가 작업부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숫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캡(C)을 작업부 외부로 돌출한 숫나사산에 나사결합함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부가 상기 작업부 내측에 위치하여 발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작업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200)는 글로브(210)와, 발열봉(220)과 상기 글로브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글로브 조작부(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로브와 상기 발열봉의 중앙부에는 발열부(11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관통공(H)이 형성되어, 상기 캡(C)을 이용하여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를 결합하면 상기 발열부가 상기 발열봉 내측에 위치하여 발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발열봉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220')는 몸체(210')와 몸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빗살(211')로 이루어지는 머리빗이고,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발열부(11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캡(C)을 이용하여 상기 파지부와 작업부를 결합하면 상기 발열부가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여 발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몸체와 빗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기구.
KR1020110088055A 2011-08-31 2011-08-31 헤어기구 KR10129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55A KR101290206B1 (ko) 2011-08-31 2011-08-31 헤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55A KR101290206B1 (ko) 2011-08-31 2011-08-31 헤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544A KR20130024544A (ko) 2013-03-08
KR101290206B1 true KR101290206B1 (ko) 2013-07-30

Family

ID=4817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055A KR101290206B1 (ko) 2011-08-31 2011-08-31 헤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734A (zh) * 2016-08-30 2018-03-09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美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771B1 (ko) * 2014-10-07 2021-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어 세팅 장치
KR102279770B1 (ko) * 2014-10-07 2021-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어 세팅 장치
WO2018016693A1 (ko) * 2016-07-19 2018-01-25 주식회사 에스멜린 열 헤어롤의 본체 표면에 발열면 커버부를 형성하는 방법, 열 헤어롤용 롤 기구 및 열 헤어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972Y1 (ko) * 2003-01-28 2003-05-16 서순만 발열장치가 내장된 회전 브러쉬
KR20050072410A (ko) * 2005-05-19 2005-07-11 함기형 미용기구세트 및 그것을 사용한 퍼머넌트웨이브 방법
KR200394529Y1 (ko) * 2005-06-21 2005-09-02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발열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스타일링 아이론
JP2007054116A (ja) 2005-08-22 2007-03-08 Yodogawa Denki Seisakusho:Kk ヘアーアイロ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972Y1 (ko) * 2003-01-28 2003-05-16 서순만 발열장치가 내장된 회전 브러쉬
KR20050072410A (ko) * 2005-05-19 2005-07-11 함기형 미용기구세트 및 그것을 사용한 퍼머넌트웨이브 방법
KR200394529Y1 (ko) * 2005-06-21 2005-09-02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발열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스타일링 아이론
JP2007054116A (ja) 2005-08-22 2007-03-08 Yodogawa Denki Seisakusho:Kk ヘアーアイロ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734A (zh) * 2016-08-30 2018-03-09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美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544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0210T3 (es) Plancha de pelo provista de cubierta de prensa de plancha.
KR101166913B1 (ko) 헤어 컬링 브러쉬
KR101290206B1 (ko) 헤어기구
US20030024543A1 (en) Stress relieving gel handle tools for the salon and spa
EP2095736B1 (en) Hair shaping device
US8418700B2 (en) Hair styling assembly
KR100910102B1 (ko) 헤어 아이론
US20100031970A1 (en) Hair scruncher
CN107105858A (zh) 具有毛的理发附件和配备有这种附件的理发设备
US5515874A (en) Spherical hair curle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80199699A1 (en) Glove and hairbrush combination
KR100696596B1 (ko) 미용기구세트 및 그것을 사용한 퍼머넌트웨이브 방법
US20170086558A1 (en) Detachable heating curling apparatus
US20070107746A1 (en) 3-N-1 braid mending hot scissors
KR200432939Y1 (ko) 헤어컬링기
KR200460916Y1 (ko) 머리 미용기구
JP7278655B2 (ja) 多機能ヘアー演出用美容電熱機器
ES2709668T3 (es) Aparato de peinado multifunción del tipo cepillo giratorio
KR101208657B1 (ko) 헤어아이론
JP2013039346A (ja) ヘアーカールドライヤー
CN107105853B (zh) 具有优化加热机构的刷型理发设备
KR20140005734U (ko) 손잡이 분리형 컬링용 헤어 브러쉬
KR101701340B1 (ko) 머리카락 정발기
KR20160001322A (ko) 열 전달용 헤어 컬링 롤러
KR200282754Y1 (ko) 가열 건조기능을 갖는 헤어 컬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