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833B1 -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 - Google Patents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833B1
KR101289833B1 KR1020110123190A KR20110123190A KR101289833B1 KR 101289833 B1 KR101289833 B1 KR 101289833B1 KR 1020110123190 A KR1020110123190 A KR 1020110123190A KR 20110123190 A KR20110123190 A KR 20110123190A KR 101289833 B1 KR101289833 B1 KR 10128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ranch
door
weft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336A (ko
Inventor
박선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쎈지
Priority to KR102011012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8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5Pape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8Paper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종이를 일정크기로 말아서 지사로 형성하고, 이를 날실과 씨실로 하여 페브릭을 형성하되, 볼륨감이 풍부하고 튼튼하게 형성되는 페브릭 및 이를 도어의 통풍구로 활용하여 형성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에 의하면, 지사의 종이를 넓게 하여 말아서 형성하기 때문에 지사가 튼튼하여 조밀하지 않아도 마음대로 문양을 낼 수 있고, 지사의 굵기가 굵기 때문에 볼륨감이 쉽게 형성되어 제품을 구성했을 때 심미감이 뛰어나며, 페브릭으로 도어의 가운데를 막음으로써 통풍이 잘 되고, 도어의 내부에 보관된 제품의 습기조절이 좋은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FABRIC USING PAPER THREAD AND DOOR USING THIS FABRIC}
본 발명은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종이를 일정크기로 말아서 지사로 형성하고, 이를 날실과 씨실로 하여 페브릭을 형성하되, 볼륨감이 풍부하고 튼튼하게 형성되는 페브릭 및 이를 도어의 통풍구로 활용하여 형성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페브릭(fabric)은 직물을 말하는 것으로, 다수가닥의 실을 날실(세로방향에 놓인실) 과 씨실(가로방향에 놓인실)로 직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페브릭에 사용되는 실은 다양한 재료에서 뽑아내는데, 목화에서 뽑은 실로 만든 페브릭을 면, 누에고치에서 뽑은 실로 만든 페브릭을 비단 또는 합성수지등에서 뽑은 실로 만든 페브릭을 나일론 등 많은 재료로 실을 뽑아내어서 페브릭을 형성한다.
상기 실 중에서 얇은 종이를 길이방향으로 말아서 서로 연결하여 실을 만드는 지사가 개발되어 사용되는데, 지사는 최초 종이의 폭과 두께에 의해서 강도가 정해진다.
상기 지사의 생산장치 및 생산벙법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760872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도어(door)는 가구 등의 전면에 위치하여 내용물을 차폐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가구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도어는 목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지사를 이용한 페브릭 및 일반적인 가구용 도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지사가 약해서 매우 조밀한 조직으로 짜야 한다.
(2) 단순히 지사의 색깔만으로 문양을 이루기 때문에 볼륨감이 없다.
(3) 가구용 도어에는 통풍이 잘 되지 않아 가구 내부에 습기가 많이 발생한다.
(4) 가구용 도어의 외관이 단조롭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씨실과 날실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페브릭에 있어서,
7~9mm 폭으로 자른 종이를 폭방향으로 말아서 지사를 형성하고, 상기 지사 두가닥씩을 나란하게 하여 각각 씨실과 날실로 형성하되,
상기 씨실은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가닥들이 날실의 홀수번째 가닥들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실은 홀수번째 가닥들이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짝수번째 가닥들이 씨실의 홀수번째 가닥들의 외측과 씨실의 짝수번째 가닥들의 외측을 각각 접하도록 물결무늬로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브릭을 활용한 가구용 도어는 하단에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의 내주연에 페브릭이 고정되되,
상기 페브릭의 주연부가 고정된 본체프레임의 상단에는 좌우측면프레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면프레임의 사이에는 각각 상하단프레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지사의 종이를 넓게 하여 말아서 형성하기 때문에 지사가 튼튼하여 조밀하지 않아도 마음대로 문양을 낼 수 있다.
(2) 지사의 굵기가 굵기 때문에 볼륨감이 쉽게 형성되어 제품을 구성했을 때 심미감이 뛰어나다.
(3) 페브릭으로 도어의 가운데를 막음으로써 통풍이 잘 되고, 도어의 내부에 보관된 제품의 습기조절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에 사용되는 지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의 씨실과 날실의 직조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의 씨실과 날실의 직조모양(홀수번째 날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을 이용한 도어의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을 이용한 도어의 분리 저면도.
본 발명은 씨실과 날실을 직조하여 형성하는 일반적인 페브릭에 있어서,
7~9mm 폭으로 자른 종이를 폭방향으로 말아서 지사(10)를 형성하고, 상기 지사 두가닥씩을 나란하게 하여 각각 씨실(11)과 날실(12)로 직조하되,
상기 씨실(11)은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가닥들이 날실(12)의 홀수번째 가닥들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실(12)은 홀수번째 가닥들이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짝수번째 가닥들이 씨실(11)의 홀수번째 가닥들의 외측과 씨실(11)의 짝수번째 가닥들의 외측을 각각 접하도록 물결무늬로 직조한다.
상기 지사(10)는 7~9mm의 폭으로 자른 종이를 폭방향으로 말아서 형성한 것으로, 종래의 지사가 2~3mm 정도의 폭으로 자른 종이를 사용한 것과는 다른 볼륨감과 강도를 지닌다.
상기 수치한정은 종이의 폭이 7mm이하이면 볼륨감이 떨어지고, 9mm이상이면 유연성이 떨어져서 직조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임계치를 한정한 것이다.
상기 페브릭을 형성할 때, 도 2와 같이, 씨실(11)과 날실(12)을 형성하는데, 지사(10) 두 가닥이 한 쌍으로 형성되는 씨실(11)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되, 날실(12)의 홀수번째 가닥들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날실(12)의 짝수번째 가닥들이 씨실(11)의 외측들을 교차하도록 물결무늬로 형성한다.
즉, 상기 날실(12)의 홀수번째 가닥들은 씨실(11)의 홀수번째 가닥들과 짝수번째 가닥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날실(12)의 짝수번째 가닥들이 교차하면서 씨실(11)을 붙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삭제
상기 씨실(11)의 홀수번째 가닥들과 씨실(11)의 짝수번째 가닥들의 색깔을 변경하면서 심미감이 더욱 좋도록 직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페브릭은 볼륨감이 뛰어나고, 튼튼하기 때문에 옷장, 붙박이장 등의 도어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브릭을 활용한 가구용 도어는 하단에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10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내주연에 페브릭(200)이 고정되되,
상기 페브릭(200)의 주연부가 고정된 본체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좌우측면프레임(110,1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면프레임(110,120)의 사이에는 각각 상하단프레임(130,140)이 형성된다.
상기 페브릭(200)은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형성된 것으로, 씨실(11)과 날실(12)로 형성된 것으로, 본체프레임(100)의 후방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가운데에 4각형상의 홈을 내고 전체적으로 일체로 가공되는 것이 적당한데, 본체프레임(100)을 일반 액자와 같이 모서리를 결합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후방에는 페브릭(200)이 올려진 후,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페브릭(200)의 후방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좌우측프레임(110,120)과 상하단프레임(130,140)을 부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의 생산방법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사(10)를 형성하기 위해서 7~9mm 폭으로 자른 종이를 폭방향으로 말아서 지사(10)로 형성한다.
이때, 폭방향으로 말아서 계속 연결하여서 길게 연속적으로 실이 되도록 한다.
상기 지사(10)를 한쌍씩 형성하여 씨실(11)과 날실(12)을 준비하고, 씨실(11)과 날실(12)을 직교하도록 직조하되, 날실(12)의 홀수번째 가닥은 일직선으로, 날실(12)의 짝수번째 가닥은 물결무늬로 씨실(11)의 홀수번째 가닥들과 짝수번째 가닥들의 각각 외측에 접하면서 직조한다.
상기와 같이 직조된 페브릭(200)은 본체프레임(100)의 후방에 위치시키고, 좌우측프레임(110,120) 및 상하단프레임(130,140)으로 고정한다.
본 발명의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에 의하면, 지사의 종이를 넓게 하여 말아서 형성하기 때문에 지사가 튼튼하여 조밀하지 않아도 마음대로 문양을 낼 수 있고, 지사의 굵기가 굵기 때문에 볼륨감이 쉽게 형성되어 제품을 구성했을 때 심미감이 뛰어나며, 페브릭으로 도어의 가운데를 막음으로써 통풍이 잘 되고, 도어의 내부에 보관된 제품의 습기조절이 좋은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지사 11 : 씨실
12 : 날실 100 : 본체프레임
110 : 좌측프레임 120 : 우측프레임
130 : 상단프레임 140 : 하단프레임
200 : 페브릭

Claims (2)

  1. 씨실과 날실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페브릭에 있어서,
    7~9mm 폭으로 자른 종이를 폭방향으로 말아서 지사를 형성하고, 상기 지사 두가닥씩을 나란하게 하여 각각 씨실과 날실로 형성하되,
    상기 씨실은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가닥들이 날실의 홀수번째 가닥들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실은 홀수번째 가닥들이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짝수번째 가닥들이 씨실의 홀수번째 가닥들의 외측과 씨실의 짝수번째 가닥들의 외측을 각각 접하도록 물결무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2.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주연에 제 1항의 페브릭이 고정되되,
    상기 페브릭의 주연부가 고정된 본체프레임의 상단에는 좌우측면프레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면프레임의 사이에는 각각 상하단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도어.
KR1020110123190A 2011-11-23 2011-11-23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 KR10128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90A KR101289833B1 (ko) 2011-11-23 2011-11-23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90A KR101289833B1 (ko) 2011-11-23 2011-11-23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36A KR20130057336A (ko) 2013-05-31
KR101289833B1 true KR101289833B1 (ko) 2013-07-26

Family

ID=4866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90A KR101289833B1 (ko) 2011-11-23 2011-11-23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8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114B1 (ko) 1998-01-24 2000-07-01 박종헌 히스톤을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조성물
KR20050084812A (ko) * 2002-12-02 2005-08-29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입체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8043B1 (ko) 2003-02-26 2005-09-29 김태년 절지포의 문양 표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114B1 (ko) 1998-01-24 2000-07-01 박종헌 히스톤을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조성물
KR20050084812A (ko) * 2002-12-02 2005-08-29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입체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8043B1 (ko) 2003-02-26 2005-09-29 김태년 절지포의 문양 표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36A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85504A1 (en)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NL2019359B1 (en) Ladder tape and window blind with the same
DE202015101672U1 (de) Schuh mit einem luftdurchlässigen und verschleissfesten gewebten Schuhoberteil
US20120149263A1 (en) Elastomeric Mesh Fabric
KR100907461B1 (ko) 트리플 블라인드지 및 제직방법
KR101289833B1 (ko) 지사로 형성된 페브릭 및 이를 이용한 도어
KR101373937B1 (ko) 블라인드 커튼지 및 그 제직방법
CN207619590U (zh) 一种双耳朵须边织带
USD931366S1 (en) Belt of a printing system
JP5982416B2 (ja) 伸縮性緯糸挿入経編み地の製造方法
CN110565252A (zh) 一种纬纱交叉网眼针织组织结构及其编织方法
KR100794400B1 (ko) 블라인드 타입 커튼지
US2037629A (en) Duplex curtain
US20100206493A1 (en) Slat for venetian blind
US20210355612A1 (en) Fabric, in particular for use as a privacy or anti-glare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invention
KR101173355B1 (ko) 이중직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JP2011231420A (ja) メッシュ織物
CN212563026U (zh) 一种罗马帘
KR101850762B1 (ko) 내구성이 우수한 방풍부재용 혼합섬유 모헤어
CN204969618U (zh) 吸湿排汗面料
CN218054292U (zh) 一种透气吸汗的坯布
KR20080004900U (ko) 장식용 원단
JPH0253535B2 (ko)
CN209794745U (zh) 一种防污渍环保窗帘布
KR101032855B1 (ko) 자카드직기로 제직되는 바 삽입형 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