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708B1 -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708B1
KR101289708B1 KR1020110102830A KR20110102830A KR101289708B1 KR 101289708 B1 KR101289708 B1 KR 101289708B1 KR 1020110102830 A KR1020110102830 A KR 1020110102830A KR 20110102830 A KR20110102830 A KR 20110102830A KR 101289708 B1 KR101289708 B1 KR 10128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door
assembly
st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462A (ko
Inventor
우정민
정유나
변수현
Original Assignee
우정민
변수현
정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민, 변수현, 정유나 filed Critical 우정민
Priority to KR102011010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7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용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선반과 제2 선반; 및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선반이 상기 제2 선반의 상방에 위치한 제1 상태와 상기 제1 선반이 상기 제2 선반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2 위치 간에 전환되도록 안내하는, 전환 안내 유닛을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TRAY ASSEMBLY FOR ACCOMODATING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물품, 주로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냉각방식에 따라 전기 냉장고·가스 냉장고·얼음 냉장고·전자 냉장고 등이 있으며, 전기 냉장고가 가장 많이 보급되어있다.
냉장고에 보관되는 물품은 용기에 수납된 식품, 야채, 과일, 생선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에서 식품으로서는, 다양한 종류의 반찬이 용기에 담긴 채로 냉장고에 보관된다.
반찬의 종류가 다양하다 보니, 위의 용기 또한 복수 개가 된다. 이는 식사 시 마다 복수의 용기들을 꺼내고 다시 넣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복수 개의 용기를 냉장고에서 꺼내거나 넣다 보면, 냉장고의 도어를 오랜 시간 동안 열고 있어야 한다. 이는 냉장고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용기를 한 번에 운반할 수 있으며 수납 상태와 활용 상태 간에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는, 냉장고용 용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선반과 제2 선반; 및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선반이 상기 제2 선반의 상방에 위치한 제1 상태와 상기 제1 선반이 상기 제2 선반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2 위치 간에 전환되도록 안내하는, 전환 안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은 각각,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환 안내 유닛은,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의 이웃한 일 측면들을 연결하는 제1 링크 유닛; 및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의 이웃한 다른 측면들을 연결하는 제2 링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링크 유닛과 상기 제2 링크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에서 각각 절곡되어 연장하며, 상기 제1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링크 유닛과 상기 제2 링크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링크 유닛과 상기 제2 링크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상의 선형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선형 링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과 연결되는 위치는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과 연결되는 위치보다 높은 레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은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안내 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관통홀들을 관통하도록 연장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부의 상기 베이스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되는 단부 측에 설치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개방부의 하측에서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항에 따른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어의 내면은 상기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롤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면과 상기 내면에 연속적으로 연장하도록 리세스되게 형성되며, 상기 롤러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사이즈를 갖는 레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상기 내면에서 상기 저면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저장 공간을 한정하는 고와, 상기 고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2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에 의하면, 2개의 선반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수의 용기를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2개의 선반 간의 관계를 전환시키는 전환 안내 유닛이 채용됨에 따라서는, 냉장고에 보관하기 위한 수납 상태와 식사 시 식탁에 놓이는 활용 상태 간에 전환이 이루어져서, 용기를 선반 어셈블리에서 꺼낼 필요가 없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100)의 수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100)가 활용 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200)의 수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200)가 활용 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각각 냉장고(300)에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100)가 수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100)의 수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100)가 활용 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100)는, 제1 선반(110)과, 제2 선반(120)과, 전환 안내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반(110)과 제2 선반(120)은 용기(C)를 지지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선반(120)은 상기 지지하는 면인 바닥부(121)와, 바닥부(121)의 둘레에서 돌출된 측벽부(123)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121)의 사이즈는 지지하고자 하는 용기(C)의 사이즈 및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 중에서 선반 어셈블리(100)가 수용될 공간의 사이즈도 고려하여, 바닥부(121)의 사이즈가 결정될 것이다. 바닥부(121)는 금속판과 같은 것 또는 금속 막대들이 이격되게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측벽부(123)는 용기(C)가 바닥부(121)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한한다. 본 도면들에서는 제2 선반(120)에 대해서만 바닥부(121)와 측벽부(123)에 번호를 부여하였으나, 제1 선반(110) 또한 그와 유사하게 바닥부와 측벽부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전환 안내 유닛(130)은 제1 선반(110)과 제2 선반(120)을 연결하고, 제1 선반(110)과 제2 선반(120) 간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가 전환되도록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전환 안내 유닛(130)은 제1 선반(110)과 제2 선반(120)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선반(110)이 제2 선반(120)의 상방에 위치한 제1 상태(도 1의 상태)와, 제1 선반(110)이 제2 선반(120)의 측방에 위치한 제2 상태(도 2의 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환 안내 유닛(130)은, 제1 선반(110)과 제2 선반(120) 각각의 양 측면들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선반(110)과 제2 선반(120)의 이웃한 일 측면들을 연결하는 제1 링크 유닛(131)과, 제1 선반(110)과 제2 선반(120)의 이웃한 다른 측면들을 연결하는 제2 링크 유닛(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유닛(131)은, 구체적으로, 직선부(132)와, 직선부(132)의 양단부에서 각각 절곡되어 연장하는 한 쌍의 절곡부(133)를 가질 수 있다. 절곡부(133)는 제1 선반(110)에 개구된 관통홀(11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선반(120) 측에 위치하는 절곡부 역시 제2 선반(120)에 개구된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링크 유닛(136)의 구성은 제1 링크 유닛(131)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추가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제1 링크 유닛(131)은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선형 링크(134 및 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선형 링크(134 및 135)는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제1 상태 뿐만 아니라 제2 상태에서도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상태에서는, 선형 링크들 중에 상부 링크(134)가 하부 링크(135)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의해, 상부 링크(134)의 직선부(132)가 하부 링크(135)의 절곡부(133, 참조)에 걸리게 된다. 이는 제1 선반(1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된 후에, 추가로 회전되지 않게 제한하게 된다.
반대로, 제1 선반(110)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회전된 후에, 추가로 회전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제2 선반(120)의 측면에는 제한부(12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125)는 상부 링크(134)의 절곡부(133)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 링크(134)의 직선부(132)가 제1 상태를 벗어나서 반 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1 링크 유닛(131) 또는 제2 링크 유닛(136)이 한 쌍의 선형 링크(134 및 135)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는 경우라면, 한 쌍의 선형 링크(134 및 135)에 의한 회전 제한 효과를 거둘 수 없다. 그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선형 링크의 좌측 상방뿐만 아니라, 우측 하방에도 제한부(125, 참조)를 둘 수 있다. 그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선형 링크는 90°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선반 어셈블리(100)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 간에서만 전환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반 어셈블리(100)가 제2 상태를 이루는 경우에, 선반 어셈블리(100)를 잡기 쉽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127)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27)는 제1 선반(110) 또는 제2 선반(120)의 측벽부(123, 참조)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27)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 간의 전환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사이즈를 가지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위의 선반 어셈블리(100)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200)의 수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200)가 활용 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선반 어셈블리(200)는, 제1 선반(210)과, 제2 선반(220)과, 전환 안내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반(210)과 제2 선반(220)은, 앞선 실시예의 제1 선반(110) 및 제2 선반(120)과 유사하나, 각각 제1 연결부(211) 또는 제2 연결부(221)를 가진다. 제1 연결부(211)에는 제1 관통홀(212)이 개구되고, 제2 연결부(221)에는 제2 관통홀(222)이 개구된다. 이러한 제1 연결부(211)는 제1 선반(210)의 일 측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제2 연결부(221) 또한 제2 선반(220)의 일 측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전환 안내 유닛(230)은, 베이스(231)와, 관통홀(212 및 22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베이스(231)에서 연장하는 로드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31)는 관통홀(222) 보다 큰 면적을 가져서, 제2 연결부(221)가 전환 안내 유닛(2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로드부(233)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로드들은 낚시대와 같이 서로 인접한 로드들 간에 결합되어, 로드부(233)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로드부(233)의 자유단에는 손잡이(23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상태(도 3 참조)에서, 제1 선반(210)은 제2 선반(2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 선반(220)에 의해 지지된다. 베이스(231)가 제2 연결부(221)를 지지함에 의해, 손잡이(235)를 잡고서 선반 어셈블리(200)를 들 수 있게 된다.
제2 상태(도 4 참조)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1 선반(210)을 잡고서 로드부(233)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된다. 그에 의해, 제1 선반(210)은 제2 선반(220)의 상방에서 제2 선반(220)의 측방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선반(210)의 제1 연결부(211)은 제2 선반(220)의 제2 연결부(221) 위에 놓이게 된다. 제1 선반(210)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선반(220)에 대해 180°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그와 달리 90°각도 등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는 용기(C)의 뚜껑을 열고 용기(C) 안의 반찬 등의 식품을 섭취하게 될 것이므로, 이때는 로드부(233)를 길이 방향으로 줄이는 것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다음으로, 처음의 선반 어셈블리(100)가 냉장고에 수납되는 과정을, 도 5 내지 도 8(및 도 1과 도 2)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8은 각각 냉장고(300)에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100)가 수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개념도이다.
먼저, 냉장고는 몸체(310)와, 제1 도어(320)와, 선반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저장 공간(S)을 가지는 고(311)와, 고(3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저장 공간(S)을 개폐하는 제2 도어(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공간(S) 중 개방부(311b)에 의해 전면이 개방된 공간은 수용 공간(R)이라 칭해질 수 있다. 여기서, 개방부(311b)는 제2 도어(315)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수용 공간(R)을 한정하는 고(311)의 일 면은 저면(311a)으로 칭해질 수 있다.
제1 도어(320)는 수용 공간(R)을 개폐하도록 개방부(311b)의 하측에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고(311)에 설치된다. 제1 도어(320)는 제2 도어(315)의 일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제2 도어(315)가 아닌 고(3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도어(320)의 내면(321)은, 제1 도어(320)가 열린 상태에서, 수용 공간(R)을 한정하는 저면(311a)과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선반 어셈블리(100)는 제1 도어(320)를 통하여 수용 공간(R)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반 어셈블리(100)는 제2 상태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선반(110)이 제2 선반(120)의 측방에 위치한 상태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제2 상태로서, 선반 어셈블리(100)를 제1 도어(320)의 내면(321)에 놓게 된다. 이때, 선반 어셈블리(100)의 하부, 구체적으로 제1 선반(110) 및 제2 선반(120)의 하부에는 롤러(140)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140)에 대응하여, 제1 도어(320)의 내면(321)에는 수용 공간(R)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레일(3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롤러(140)는 레일(323)에 수용되어, 레일(323)을 따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의 선반 어셈블리(100)의 이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롤러(140)가 수용되는 레일(323)은 내면(321)에서 저면(311a)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선반 어셈블리(100)를 수용 공간(R)을 향해 밀지 않더라도, 또는 약한 힘으로 밀더라도 선반 어셈블리(100)가 수용 공간(R) 내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도 6과 같이, 선반 어셈블리(100) 중 일부는 수용 공간(R)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제1 도어(3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도어(320)를 회전시켜 세워갈 수 있다. 이는 도 7에 예시된다.
도 8에서와 같이, 제1 도어(320)를 최종적으로 회전시켜 제2 도어(315)와 평행한 상태가 되게 하면, 선반 어셈블리(100)도 제1 도어(320)에 밀려서 제1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선반(110)이 제1 도어(320)에 밀려 제2 선반(120)의 상측에 놓이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대로 선반 어셈블리(100)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라면, 제1 도어(32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선반(110)은 제2 선반(12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측방에 위치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도 8에서 도 7의 상태를 거쳐서 도 6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선반 어셈블리(100)를 도 5와 같이 잡아당겨서, 수용 공간(R)에서 최종적으로 꺼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200: 선반 어셈블리 110,210: 제1 선반
120,220: 제2 선반 130,230: 전환 안내 유닛
C: 용기 S: 저장 공간
R: 수용 공간

Claims (17)

  1. 냉장고용 용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선반과 제2 선반; 및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선반이 상기 제2 선반의 상방에 위치한 제1 상태와 상기 제1 선반이 상기 제2 선반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2 위치 간에 전환되도록 안내하는, 전환 안내 유닛을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은 각각,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안내 유닛은,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의 이웃한 일 측면들을 연결하는 제1 링크 유닛; 및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의 이웃한 다른 측면들을 연결하는 제2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유닛과 상기 제2 링크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에서 각각 절곡되어 연장하며, 상기 제1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링크 유닛과 상기 제2 링크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유닛과 상기 제2 링크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상의 선형 링크를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형 링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과 연결되는 위치는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과 연결되는 위치보다 높은 레벨인,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은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안내 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관통홀들을 관통하도록 연장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의 상기 베이스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되는 단부 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12.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개방부의 하측에서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항에 따른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의 내면은 상기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과 상기 내면에 연속적으로 연장하도록 리세스되게 형성되며, 상기 롤러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사이즈를 갖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내면에서 상기 저면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저장 공간을 한정하는 고와, 상기 고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2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되는, 냉장고.
KR1020110102830A 2011-10-10 2011-10-10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KR10128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30A KR101289708B1 (ko) 2011-10-10 2011-10-10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30A KR101289708B1 (ko) 2011-10-10 2011-10-10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62A KR20130038462A (ko) 2013-04-18
KR101289708B1 true KR101289708B1 (ko) 2013-07-26

Family

ID=4843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30A KR101289708B1 (ko) 2011-10-10 2011-10-10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10B1 (ko) * 2020-09-24 2022-07-06 아이디피주식회사 수납 선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146A (ko) *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구조
KR20070081304A (ko) * 2006-02-10 2007-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바 도어의 개폐장치
KR100760403B1 (ko) 2006-09-07 2007-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뱅크 출납장치
JP2011085380A (ja) 2009-09-16 2011-04-2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146A (ko) *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구조
KR20070081304A (ko) * 2006-02-10 2007-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바 도어의 개폐장치
KR100760403B1 (ko) 2006-09-07 2007-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뱅크 출납장치
JP2011085380A (ja) 2009-09-16 2011-04-2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62A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0401B2 (en) Refrigerator
EP2314965B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KR101584808B1 (ko)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US7726753B2 (en) Drawer container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for the fresh food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or freezer
EP2594877B1 (en) Refrigerator
EP2594878B1 (en) Refrigerator
KR101644018B1 (ko) 냉장고
US8333447B2 (en) Basket kick-out
KR101289708B1 (ko) 용기 수납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KR20200088121A (ko) 냉장고
KR100782183B1 (ko) 냉장고 이중서랍
KR101892746B1 (ko) 냉장고
KR20100085249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용 선반
KR20130129793A (ko) 높이 조절식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20150001495A (ko) 저장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50016023A (ko) 냉장고
KR101495353B1 (ko) 냉장고
JP5270721B2 (ja) 鶏卵収納容器及びそれを備える冷蔵庫
KR102036281B1 (ko) 냉장고
KR20130055174A (ko) 냉장고
KR200421232Y1 (ko) 거치 수납구조를 갖는 냉장고
KR100514912B1 (ko) 냉장고
US20130088135A1 (en) Refrigerator
KR20110037474A (ko) 냉장고
KR200319652Y1 (ko) 반찬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