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974B1 -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974B1
KR101288974B1 KR1020110068353A KR20110068353A KR101288974B1 KR 101288974 B1 KR101288974 B1 KR 101288974B1 KR 1020110068353 A KR1020110068353 A KR 1020110068353A KR 20110068353 A KR20110068353 A KR 20110068353A KR 101288974 B1 KR101288974 B1 KR 10128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up
disposable
insertion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800A (ko
Inventor
박성철
김성란
Original Assignee
김성란
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란, 박성철 filed Critical 김성란
Priority to KR1020110068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9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빨대컵에 일체로 구비된 빨대 대신 일회용 빨대를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고, 일회용 빨대가 삽입되는 홀 내측에 패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다소 크기가 작은 빨대라 하더라도 삽입공 내측에서 유동되어 빠지거나 컵 본체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되는 빨대의 크기에 따라 삽입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은 내측에 음료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와, 상기 덮개 상에 관통 형성되며 그 테두리 측에 패킹부재가 마련되는 빨대 삽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은 내측에 음료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덮여지며 단계적으로 확장되는 다수의 빨대 삽입공이 그 둘레를 따라 차례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빨대 삽입공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CUP CAN USE DISPOSABLE STRAW}
본 발명은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빨대컵에 일체로 구비된 빨대 대신 일회용 빨대를 사용함으로써 컵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일회용 빨대가 삽입되는 홀 내측에 패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빨대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빨대가 유동되어 빠지거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빨대의 크기에 따라 삽입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에 관한 것이다.
보통 3세 미만의 영, 유아들은 음료를 흘리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성 때문에 컵을 이용해 음료를 마시기 어려워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빨대컵을 통해 두유나 보리차와 같은 음료를 마시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빨대컵에 일체로 구비된 빨대의 경우 영, 유아들이 사용하는 만큼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별도의 솔 기구를 이용해 내부를 세척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깔끔한 세척과 위생적인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식혜나 과일쥬스와 같이 건더기가 일부 포함된 음료를 기존의 빨대컵을 이용해 마실 경우 건더기에 의해 빨대가 폐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빨대컵에 일체로 구비된 빨대 대신 일회용 빨대를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빨대가 삽입되는 홀 내측에 패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다소 크기가 작은 빨대라 하더라도 삽입공 내측에서 유동되어 빠지거나 컵 본체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되는 빨대의 크기에 따라 삽입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내측에 음료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와, 상기 덮개 상에 관통 형성되며 그 테두리 측에 패킹부재가 마련되는 빨대 삽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내측에 음료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덮여지며 단계적으로 확장되는 다수의 빨대 삽입공이 그 둘레를 따라 차례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빨대 삽입공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빨대 삽입공의 테두리 측에는 상기 빨대 삽입공 내에 삽입된 일회용 빨대의 유동 및 음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은 첫째, 기존의 빨대컵에 일체로 구비된 빨대 대신 일회용 빨대를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일회용 빨대가 삽입되는 홀 내측에 패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다소 크기가 작은 빨대라 하더라도 삽입공 내측에서 유동되어 빠지거나 컵 본체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다양한 크기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되는 빨대의 크기에 따라 삽입공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사용상태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50)의 사용이 가능한 컵(1)은 내측에 음료의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컵본체(10)와, 상기 컵본체(1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덮여지는 덮개(20)와, 상기 덮개(20) 상에 관통 형성되며 그 테두리 측에 패킹부재(31)가 마련되는 빨대 삽입공(30)을 포함한다.
여기 컵본체(10)는 내측에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에 전술한 수용공간(11)과 통하는 입구가 형성되는데,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으로 변경 형성되며 재질 또한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컵본체(10)의 상측 입구에는 덮개(20)가 탈착 가능하게 덮여지는데, 이 덮개(20)는 내측에 수용된 음료가 쏟아지지 않게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빨대 삽입공(30)이 형성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구와는 나사결합, 압입결합 등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결합방법에 의해서 날착 가능하게 덮여지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덮개(20)의 내주연 상에는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패킹이 구비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필요할 경우 손잡이(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컵본체(10)의 크기와 디자인 및 재질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덮개(20) 상에는 빨대 삽입공(30)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빨대 삽입공(30)은 컵본체(10)의 내측에 수용된 음료를 마시기 위한 일회용 빨대(50)가 삽입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빨대 삽입공(30)의 테두리 측에 패킹부재(31)가 마련되는데 이 패킹부재(31)는 빨대 삽입공(30)보다 작은 직경의 빨대가 삽입된다 하더라도 빨대가 빨대 삽입공(30)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컵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전술한 패킹부재(31)는 빨대의 외주연 측에 밀실하게 밀착 가능한 합성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50)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50)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50)의 사용이 가능한 컵의 사용상태 단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과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50)의 사용이 가능한 컵(1')은 내측에 음료의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컵본체(10)와, 상기 컵본체(1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덮여지며 단계적으로 확장되는 다수의 빨대 삽입공(30)이 그 둘레를 따라 차례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20)와, 상기 덮개(2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빨대 삽입공(30)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개방구(41)가 형성되는 회전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빨대 삽입공(30)의 테두리 측에는 상기 빨대 삽입공(30) 내에 삽입된 일회용 빨대(50)의 유동 및 음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부재(31)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50)의 사용이 가능한 컵(1')은 덮개(20)에 빨대 삽입공(30)이 하나가 아니라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고, 그 상측에 빨대 삽입공(30)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회전부재(40)가 구비된다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 각각의 구성부재 및 전체작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50)의 사용이 가능한 컵(1)과 동일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 :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10 : 컵본체
11 : 수용공간 20 : 덮개
21 : 손잡이 30 : 빨대 삽입공
31 : 패킹부재 40 : 회전부재
41 : 개방구 50 : 일회용 빨대

Claims (3)

  1. 내측에 음료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컵본체;
    상기 컵본체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덮여지며 단계적으로 확장되는 다수의 빨대 삽입공이 그 둘레를 따라 차례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빨대 삽입공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빨대 삽입공의 테두리 측에는 상기 빨대 삽입공 내에 삽입된 일회용 빨대의 유동 및 음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2. 삭제
  3. 삭제
KR1020110068353A 2011-07-11 2011-07-11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KR10128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53A KR101288974B1 (ko) 2011-07-11 2011-07-11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53A KR101288974B1 (ko) 2011-07-11 2011-07-11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00A KR20130007800A (ko) 2013-01-21
KR101288974B1 true KR101288974B1 (ko) 2013-07-23

Family

ID=4783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353A KR101288974B1 (ko) 2011-07-11 2011-07-11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62Y1 (ko) * 2014-08-14 2015-12-11 이정모 다용도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853U (ko) * 1990-08-10 1992-04-09
KR940012538U (ko) * 1992-11-12 1994-06-18 조보행 음료수용기의 뚜껑
JP2006176142A (ja) * 2004-12-21 2006-07-06 Seitai Ri 流動物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853U (ko) * 1990-08-10 1992-04-09
KR940012538U (ko) * 1992-11-12 1994-06-18 조보행 음료수용기의 뚜껑
JP2006176142A (ja) * 2004-12-21 2006-07-06 Seitai Ri 流動物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62Y1 (ko) * 2014-08-14 2015-12-11 이정모 다용도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00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JP2011195198A (ja) 飲料ボトル用開口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ボトル
US20130319965A1 (en) Pacifiers and bottle nipples
TWM570062U (zh) Drink cup
ES2292357B1 (es) Exprimidor de citricos.
KR101288974B1 (ko)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컵
KR20130091922A (ko) 식품내장형벤딩스트로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200467504Y1 (ko) 간식의 흘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용기
CN103717504A (zh) 热饮料容器的组件、插件、及方法
JP3185488U (ja) 携帯用飲料容器
US9833089B2 (en) Weaning clip
KR200453033Y1 (ko) 음료병 홀더 기능을 가진 스트로 케이스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TWI695798B (zh) 水瓶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455718Y1 (ko) 리필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
KR101608768B1 (ko) 아이스텀블러 뚜껑
TWM580068U (zh) Eco-cup structure device without straw
KR20180001679U (ko) 일회용 포션팩
CN208425835U (zh) 一种具有防滑防漏功能的多用杯
KR200466728Y1 (ko) 유아용 다용도 컵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KR20170026989A (ko) 위생 빨대
TWM521930U (zh) 濾水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