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831B1 -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micropile and truss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Google Patents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micropile and truss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831B1 KR101288831B1 KR1020110061763A KR20110061763A KR101288831B1 KR 101288831 B1 KR101288831 B1 KR 101288831B1 KR 1020110061763 A KR1020110061763 A KR 1020110061763A KR 20110061763 A KR20110061763 A KR 20110061763A KR 101288831 B1 KR101288831 B1 KR 101288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wall
- small diameter
- new
- found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은 존치벽체에 근접 시공된 신설기둥의 하중을 일렬배치된 소구경 말뚝으로 편심을 최소화하며 균등하게 전달하는 하중전이프레임이 제한된 기초의 춤과 폭 내에 설치되고, 존치벽체의 기초와 신설기초 간의 작용하중 변화에 의한 처짐을 제어하는 버퍼패드(Buffer Pad)가 신설기초 하부에 설치되며, 신증축 건물의 고정하중에 의한 침하가 완료된 후 존치벽체와 신설기둥이 Delay Joint를 두고 결합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 기둥 등을 통하여 전해지는 상부하중을 효과적으로 하부의 다수개의 일렬말뚝기초에 균등하게 전달 가능하여 신축된 부분이 기존 벽체 및 기존 기초에 추가되는 하중을 부담시키지 않으며, 기초구조 및 주위구조물과 인접한 곳에서 시공 가능하여 문화재적 보존 가치가 우수한 벽면이나 건축물 리모델링시 기존 벽체를 유지하면서 벽면 또는 벽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replacement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the small-diameter pile and the load transfer frame is based on the limited load-transfer frame that transfers the load of the new column constructed close to the zone wall to the small-diameter pile arranged in a line and minimizes the eccentricity. It is installed within the dance and the width of the building, and a buffer pad is installed under the new foundation to control the deflection due to the change in the working load between the foundation wall and the new foundation, and the settlement of the new extension building is completed. The post wall and the new column are combined with the Delay Joint, so that the upper loads transmitted through the columns in the narrow space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multiple rows of pile foundations in the lower part. It does not bear the load added to the structure and can be installed near the basic structure and surrounding structures Because while the fire preservation value of maintaining good wall or building upon existing wall remodeling can be constructed without damaging the wall or walls is an excellent workability, and is very valuable economic ef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외벽을 존치한 상태에서 최대한 근접하여 건물을 신축, 증축하면서도 신설구조물의 하중을 분리하여 기초를 형성함으로서 건축 계획적인 공간 사용의 극대화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모델링 공법으로, 존치벽체에 근접 시공된 신설기둥의 하중을 일렬배치된 소구경 말뚝으로 편심을 최소화하며 균등하게 전달하는 하중전이프레임이 제한된 기초의 춤과 폭 내에 설치되고, 존치벽체의 기존기초와 신설기초 간의 상부하중에 의한 변화에 의한 처짐을 흡수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버퍼패드(Buffer Pad)가 신설기초 하부에 설치되며, 신증축 건물의 고정하중에 의한 침하가 완료된 후 존치벽체와 신설기둥이 Delay Joint를 두고 결합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modeling a wall-bearing building using a small-diameter pile and a load transfer frame, and more specifically, to separate and load a new structure while expanding and expanding a building as close as possible in the presence of an exterior wall of historical value. It is a remodeling method that can maximize the use of planned space and ensure the stability by forming the foundation.The load that transfers the load of the new column constructed close to the zone wall with the small-diameter pile arranged in line is minimized the eccentricity and is transmitted evenly. The transition frame is installed within the dance and the width of the limited foundation, and a buffer pad is installed below the new foundation to control the absorption of the sag caused by the change of the upper load between the existing foundation and the new foundation. After the settlement of the new extension building by the fixed load, the wall and the new column Delay Jo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replacement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small-diameter piles and load transfer frames coupled to nt.
기존 건물의 측부 외벽을 존치시키고 내부를 개축 리모델링 한 것으로, 존치벽체의 자립을 위하여 별도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기존 건물의 개축을 하였으며, 이와 같이 기존 건축물의 일부 벽체와 같이 문화적 가치를 갖는 외관을 보존하고 증축하거나 개축할 경우, 벽체의 자립과 신설부분의 고정하중 및 적재하중의 신규하중에 의해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을 극복하기 힘들었으며, 건축적인 공간계획이나 실(room)사용에도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The outer wall of the existing building was preserved and the interior was renovated and the interior was renovated by installing a separate support frame for the self-reliance of the wall. In this way, the exterior has the same cultural value as some walls of the existing building. In the case of preservation, extension or renovation, it is difficult to overcome various structural problems due to the independence of the wall, the fixed load of the new part, and the new load of the loaded part. There was a problem.
또한, 벽체존치 상태에서 하는 리모델링 공사는 기존 리모델링 공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지지프레임을 사용함에 따라 보존벽체(구조체)와 신설구조체 간의 일정한 공간을 이격하여 공사를 실시하고 있고, 이 때문에 공간적인 손실이 발생하여 향후 임대면적 감소에 따른 비용적 손실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emodeling work in the existing state of the wall is using a support frame that is frequently used in the existing remodeling method, so that the work is spaced apart from a certain space between the preservation wall (structure) and the new structure, which causes spatial loss. As a result, the cost loss due to the decrease of the lease area was very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역사적 가치가 있는 외벽을 존치한 상태에서 최대한 근접하여 건물을 신축, 증축하는 리모델링 공법으로, 존치벽체에 근접 시공된 신설기둥의 하중을 일렬배치된 소구경 말뚝으로 편심을 최소화하며 균등하게 전달하는 하중전이프레임이 제한된 기초의 춤과 폭 내에 설치되고, 존치벽체의 기초와 신설기초 간의 작용하중 변화에 의한 처짐을 제어하는 버퍼패드(Buffer Pad)가 신설기초 하부에 설치되며, 신증축 건물의 고정하중에 의한 침하가 완료된 후 존치벽체와 신설기둥이 Delay Joint를 두고 결합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modeling method to expand and expand the building as close as possible in the state of retaining the outer wall of historical value, the load of the new column construc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zone wall Load transfer frame that minimizes eccentricity and distributes evenly with small diameter piles is installed within the limited dance and width of foundation, and buffer pad controls the deflection caused by the change of working load between foundation and new foundation. It is installed under the new foundation, and provides the wall renov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small-diameter piles and load transition fram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zone wall and the new column Delay Joint after the settlement of the fixed load of the new extension building is completed. There is this.
본 발명은 기존 구조물의 존치벽체를 남겨둔 채로 내부 구조물을 철거하는 기존구조물철거단계; 존치벽체의 기존기초에 블록아웃하여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일정간격의 관통홀을 일렬로 다수개 천공하는 관통홀천공단계; 천공된 관통홀에 소구경말뚝을 압입하여 설치하고 상단부를 절단한 후 소구경말뚝의 상단부에 캡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소구경말뚝설치단계; 상부의 하중을 일렬배치된 다수개의 소구경말뚝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강재로 제작된 하중전이프레임을 소구경말뚝의 상부에 설치하는 하중전이프레임설치단계; 소구경말뚝의 캡플레이트의 하부면과 기존기초의 상부면 사이에 버퍼패드를 구성하고, 기존기초의 측면에 분리막을 설치하는 버퍼패드설치단계; 홈에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설기초를 형성하는 신설기초형성단계; 하중전이프레임의 상부에 철골기둥을 설치하는 철골기둥설치단계; 존치벽체와 신설기둥사이의 공간을 일정간격 떨어뜨려 놓는 딜레이조인트를 구성하여 신설기둥을 타설하고, 보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설구조물을 설치하는 신설구조물설치단계; 신설구조물의 침하가 완료된 이후에 딜레이조인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존치벽체와 신설기둥을 결합하는 구조물결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isting structure demolition step of demolishing the internal structure while leaving the existing wall of the existing structure; A through-hole drilling step of forming a groove by blocking out the existing foundation of the zone wall and drill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in a line in the groove; A small diameter pile installation step of pressing and installing a small diameter pile into the perforated through hole, cutting the upper end, and then installing a cap plate at the upper end of the small diameter pile; A load transfer fram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load transfer frame made of stee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pile so as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upper portion evenly to the plurality of small diameter piles arranged in a row; A buffer pad installation step of constructing a buffer pad between a lower surface of a cap plate of a small diameter pile and an upper surface of an existing foundation, and installing a separator on the side of the existing foundation; A new foundation forming step of forming a new foundation by assembling reinforcing bars in the groove and placing concrete; Steel pilla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steel pilla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 transfer frame; A new structur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new column by constructing a delay joint for dropping the space between the zone wall and the new colum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stalling the new structure by placing boconcrete; After the settlement of the new structure is completed, the concrete joining step of placing the concrete on the delay joint to combine the existing wall and the new pillar; To provide a wall reconstruction structure renovation method using small diameter pile and load transition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do.
또한, 버퍼패드는 천연고무판 또는 고감쇠고무판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철판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pad is composed of a natural rubber plate or a high damping rubber plate, to provide a wall reconstructed building renovation method using a small diameter pile and a load transition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lat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또한, 소구경말뚝설치단계는 관통홀에 합성수지관 또는 강관으로 형성된 슬리브관을 설치하고 소구경말뚝을 압입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small diameter pile installation step provides a wall pre-construction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a small diameter pile and a load transf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ve pip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pipe or steel pipe in the through-hole and press-fitted the small diameter pile. I would like to.
또한, 하중전이프레임은 상부에 구성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load transfer frame is the wall plate using a small diameter pile and load transf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race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configured at the bottom,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onfigured at the top To provide a building remodeling method.
본 발명의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은 존치벽체에 근접한 신설기둥의 하중을 일렬배치된 소구경말뚝으로 균등하게 전달하도록 하중전이프레임을 사용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기둥 등을 통하여 전해지는 상부하중을 효과적으로 하부의 다수개의 일렬말뚝기초에 균등하게 전달 가능하여 신축된 부분이 기존 벽체 및 기존 기초에 추가되는 하중을 부담시키지 않으며, 기초구조 및 주위구조물과 인접한 곳에서 시공 가능하여 외벽을 존치한 상태에서 최대한 근접하여 건물을 신축, 증축하면서도 신설구조물의 하중을 분리하여 기초를 형성함으로서 건축 계획적인 공간 사용의 극대화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Wall relocation building renovation method using small diameter pile and load transf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oad transition frame to evenly transfer the load of the new column adjacent to the zone wall to the small diameter pile arranged in a row. Efficiently transmits the upper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ple rows of pile foundations in the lower part so that the stretched part does not bear the load added to the existing wall and the existing foundation, and can be installed near the foundation and surrounding structures. As the building is constructed and expand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exterior wall, the foundation can be formed by separating the load of the newly constructed structure to form the foundation, thereby maximizing the use of planned space and securing stability.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써,
도 3a는 기존구조물철거단계 설명도,
도 3b는 관통홀천공단계 설명도,
도 3c는 소구경말뚝설치단계 설명도,
도 3d는 하중전이프레임설치단계 설명도,
도 3e는 버퍼패드설치단계 설명도,
도 3f는 신설기초형성단계 설명도,
도 3g는 철골기둥설치단계 설명도,
도 3h는 신설구조물설치단계 설명도,
도 3i는 구조물결합단계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중전이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도 5는 4지점과 5지점이 형성된 하중전이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6은 4지점과 5지점이 형성된 하중전이프레임의 개략적인 하중전이 흐름을 도시한 설명도,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ll existing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a small diameter pile and load transf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dure of the wall-standing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a small diameter pile and a load transition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xisting structure removal step;
Figure 3b is a through hole drilling step explanatory diagram,
Figure 3c is a small diameter pile installation step explanatory diagram,
Figure 3d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load transition frame installation step,
Figure 3e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buffer pad installation step,
3f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new basic formation step;
Figure 3g is an illustration of the steel pillar installation step,
Figure 3h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installation step of the new structure,
3i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structure coupling step;
4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load transf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ad transition frame formed of four points and five points,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load transition flow of a load transfer frame in which four points and five points are formed;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은 기존 구조물의 존치벽체(10)를 남겨둔 채로 외벽에 자립용트러스(11)를 설치하고 내부 구조물을 철거하는 기존구조물철거단계(S1); 존치벽체(10)의 기존기초(20)에 블록아웃하여 홈(22)을 형성하고 상기 홈(22)에 일정간격의 관통홀(21)을 일렬로 다수개 천공하는 관통홀천공단계(S2); 천공된 관통홀(21)에 소구경말뚝(200)을 압입하여 설치하고 상단부를 절단한 후 소구경말뚝(200)의 상단부에 캡플레이트(210)를 설치하는 소구경말뚝설치단계(S3); 상부의 하중을 일렬배치된 다수개의 소구경말뚝(200)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강재로 제작된 하중전이프레임(300)을 소구경말뚝(200)의 상부에 설치하는 하중전이프레임설치단계(S4); 소구경말뚝(200)의 캡플레이트(210)의 하부면과 기존기초(20)의 상부면 사이에 버퍼패드(100)를 구성하고, 기존기초(20)의 측면에 분리막(23)을 설치하는 버퍼패드설치단계(S5); 홈(22)에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설기초(40)를 형성하는 신설기초형성단계(S6); 하중전이프레임(300)의 상부에 철골기둥(31)을 설치하는 철골기둥설치단계(S7); 존치벽체와 신설기둥사이의 공간을 일정간격 떨어뜨려 놓는 딜레이조인트(400)를 구성하여 신설기둥(30)을 타설하고, 보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신설구조물(60)을 설치하는 신설구조물설치단계(S8); 신설구조물(60)의 침하가 완료된 이후에 딜레이조인트(4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을 결합하는 구조물결합단계(S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all retaining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a small diameter pile and load transf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self-supporting truss (11) on the outer wall leaving the retaining wall (10) of the existing structure and the existing structure demolition step ( S1); A through-hole drilling step (S2) for forming a
기존구조물철거단계(S1)는 존치벽체(10)를 남겨둔 상태로 기존구조물을 철거하는 단계이다. 존치벽체(10)의 외벽에 자립용트러스(11)를 설치하여 내부 구조물을 철거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기한다.Existing structure demolition step (S1) is a step of dismantling the existing structure with the
존치벽체(10)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외벽을 존치한 상태에서 최대한 근접하여 건물을 리모델링하기 위하여 존치시키고, 내부의 기존구조물을 철거하여 존치벽체(10)의 내부에 신설구조물(60)을 설치하기 위해서이다.The
공사의 시작과 동시에 보존되는 존치벽체(10)는 외벽에 자립용트러스(11)를 설치하여 지지되며,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신설구조물(60)과 결합되어 지지된다.The
관통홀천공단계(S2)는 존치벽체(10)의 기존기초(20)에 블록아웃하여 홈(22)을 형성하고 상기 홈(22)에 일정간격의 관통홀(21)을 일렬로 다수개 천공하는 단계이다.The through hole drilling step (S2) blocks out the exist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심지 리모델링은 기존기초(20)와의 간섭과 더불어 기초보강을 위하여 기존기초(20)를 블록아웃(block out)하여 홈(22)을 형성하는 데, 이때 기존기초(20)에서 홈(22)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폭(L)과 춤(D)이 제한되기 때문에 소구경말뚝(200)을 일렬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urban remodeling blocks out the existing
존치벽체(10)에 최대한 근접하여 시공한 경우 구조물 내부의 가용면적을 전부 활용 가능하여 공간활용도가 매우 높게 되지만, 근접시공이 불가능하다면 가용면적 중 상당부분을 활용하지 못하여 공간활용도가 낮게 된다. 만약, 소구경말뚝(200) 기초를 기존기초(20) 내부에 다열배치 할 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여 일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경제성 있는 말뚝설계를 위하여 소구경말뚝(200)을 일렬로 배치하는 것이다.When construc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소구경말뚝(200)을 구성하기 위해서 기존기초(20)에 홈(22)을 형성하고 상기 홈(22)이 형성된 부분의 소구경말뚝(200)이 배치될 자리에 미리 관통홀(21)을 일렬로 천공하여 소구경말뚝(200)이 일렬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form the
소구경말뚝설치단계(S3)는 천공된 관통홀(21)에 소구경말뚝(200)을 압입하여 설치하고 상단부를 절단한 후 소구경말뚝(200)의 상단부에 캡플레이트(21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Small diameter pile installation step (S3) is installed by pressing the
관통홀(21)이 기존기초(20)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구경말뚝(200)도 기존기초(20)에 일렬로 배치되게 된다.Since the through holes 21 are arranged in a row on the existing
이와 같이 소구경말뚝(200)이 일렬로 배치되는 것은 도심지 리모델링은 기존기초(20)와의 간섭과 더불어 기초보강을 위한 폭(L)과 춤(D)이 제한되고, 기존 건물과 최대한 근접해서 시공하기 위해서 소구경말뚝을 일렬로 배치하여 사용한다. In this way, the
소구경말뚝(200) 기초를 기존기초(20) 내부에 다열 배치할 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여 일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경제성 있는 말뚝설계를 위하여 소구경말뚝(200)을 일렬로 배치하는 것이다.When the
관통홀(21)에 소구경말뚝(200)에 압입하여 인입한 후 머리를 절단하고, 말뚝내 나사강봉과 그라우팅을 실시한 후 소구경말뚝(200)의 머리를 정리하고 캡플레이트(210)를 설치한다.After inserting the small hole (200) into the through hole (21), the head is cut and the head is cut, and the head of the small diameter stake (200) is cleaned and the cap plate (210) is installed. do.
하중전이프레임설치단계(S4)는 상부의 하중을 일렬배치된 다수개의 소구경말뚝(200)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강재로 제작된 하중전이프레임(300)을 소구경말뚝(200)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이다.The load transition frame installation step (S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공간적 제약 때문에 소구경말뚝(200)이 일렬배치되는데, 신설구조물(60)의 하중이 소구경말뚝(2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때 그 크기가 각기 달라 소구경말뚝(200)이 받을 수 있는 하중의 능력을 제대로 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부의 신설기둥(30)에서 하중을 전달받아 소구경말뚝(200)으로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하중전이프레임(300)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Due to the space constraints, the
하중전이프레임(300)은 존치벽체(10)에 신설기둥(30)을 근접시공함에 따라 추가로 발생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소구경말뚝(200)에 균등하게 하중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소구경의 말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균등한 하중의 분배를 위하여 하중을 전이할 수 있는 프레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하는 것이다.The
소구경말뚝(200)의 지지하중이 작기 때문에 균등하게 하중을 분배하게 하기 위하여, 하중전이프레임(300)을 구성하여 다수개의 소구경말뚝(200)의 상단부를 지점으로 균등하게 하중을 분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중전이프레임(300)은 트러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distribute the load evenly because the support load of the
예를 들어 200ton의 상부하중을 소구경 말뚝에 전달한다고 가정, 소구경말뚝의 용량은 50ton으로 가정해보면 편심을 고려하지 않은 집중하중은 중앙부에 집중되고 소구경말뚝의 용량의 50ton을 초과한다. 중앙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말뚝의 용량을 초과하는 만큼 말뚝수량을 증가시켜야 하며, 상대적으로 하중을 덜 받는 외곽부에도 소구경말뚝이 배치되어야 한다. 즉 하중을 균등하게 분배가 가능하다면 소구경말뚝 각각 지지할 수 있는 하중에 대해 최대능력을 발휘하여 50ton 씩 4개면 가능하지만, 불가능한 경우 중앙부에 4개, 외곽부에 2개 총 6개의 소구경말뚝수량이 요구되므로 공사기간이나 경제성에도 불리하기 때문에, 하중을 다수개의 소구경말뚝(200)의 상부로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하중전이프레임(300)이 구성되는 것이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200 tons of upper load is transferred to small diameter piles, assuming that the capacity of small diameter piles is 50 tons, the concentrated load without eccentricity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and exceeds 50 tons of capacity of small diameter piles. To support the load concentrated in the center, pile capacity should be increased by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pile, and small-diameter piles should be arranged in the less-loaded perimeter. In other words, if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load evenly, it is possible to have 4 tons of 50 tons by showing the maximum capacity for the load that can support each of the small-diameter piles. Since a quantity is required,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nstruction period or economic feasibility, so that the
소구경말뚝(200) 위에 하중전이프레임(300)을 설치할 때는 소구경말뚝(200)과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중전이프레임(300)과 소구경말뚝(200)과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설치한다.When the
하중전이프레임(300)을 설치한 후에는 콘크리트타설 및 후속작업의 진동에 의해 하중전이프레임(300)이 레벨링과 각 지점과 소구경말뚝(200)의 중심부와 일치하도록 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하는데, 하중전이프레임(300)은 강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용접작업을 통하여 소구경말뚝(200)과 결합을 한다.After the
버퍼패드설치단계(S5)는 소구경말뚝(200)의 캡플레이트(210)의 하부면과 기존기초(20)의 상부면 사이에 버퍼패드(100)를 구성하고, 기존기초(20)의 측면에 분리막(23)을 설치하는 단계이다.Buffer pad installation step (S5) comprises a
기존기초(20)와 신설구조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캡플레이트(210)의 하부면과 기존기초(20)의 상부면 사이에 버퍼패드(100)를 삽입한다.The
소구경말뚝설치단계(S3)에 소구경말뚝(200)의 상단부에 캡플레이트(210)를 설치시에는 기존기초(20)의 상부면에 캡플레이트(210)의 하부면이 밀착될 수 없고 일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캡플레이트(210)가 구성된다. 따라서, 소구경말뚝(200)의 캡플레이트(210)의 하부면과 기존기초(20)의 상부면 사이에 버퍼패드(100)를 끼워서 구성한다.
존치벽체(10)와 기존기초(20)는 장기간 존재하고 안정화되어 있는데, 개축에 따른 신설기둥(30)의 하중이 작용하면 존치벽체(10)의 기초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지반 지내력이 확보되지 못하였다면 기초의 침하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신설기둥(30)은 존치벽체(10)의 기존기초(2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분리되어 시공되어야 하고, 상부 신축구조물(60)(미도시)이 완공되어야만 고정하중에 의한 신설기초(40)의 지반 안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축물 완공시까지 기존기초(20)와 신설기초(40)간의 간격을 두어 신설구조물(60)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하중에 의하여 신설기초(40)가 침하가 발생하더라도 기존기초(20)에 영향이 없도록 버퍼패드(100)를 설치하는 것이다.When the
The
신설기초(40)의 하면과 기존기초(20)의 상면간에 작용축하중(시공중 신설건물의 하중) 차이에서 오는 소구경말뚝의 단기침하를 고려하여 상하 변위를 흡수하기 위한 버퍼패드(10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버퍼패드(100)의 설치두께는 예상침하량의 1.5배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thickness of the
외부에 존치벽체(10)가 있는 상태에서 내부 구조체의 시공 상태에 따라 신설기둥(30)이 부담하는 하중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상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신설기둥(30)에 처짐이 발생하고, 이 처짐은 하중전이프레임(300)으로 이어진다. 이는 하중전이프레임(300)과 소구경말뚝(200)의 캡플레이트(210)가 기존기초(20)의 상부면과 맞닿아 있다면, 신설구조물(60)에 발생한 처짐이 기존기초(20)에는 하중으로 작용하여 존치벽체(10)와 기존기초(20)가 예상치 못한 거동이 발생할 수 있다. 신설기둥(30)의 시공이 완료되어 존치벽체(10)와 긴결되기 전에 발생하는 하중 전달은 기존기초(20)의 성능한계를 야기할 수 있다. 즉, 신설기둥(30)의 침하는 하중전이프레임(300)의 침하로 이어지고, 다시 기존기초(20)에 가력을 하게되며 이는 존치벽체(10)의 이상거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The load that the
따라서, 버퍼패드(Buffer Pad)를 사용하면 하중전이프레임(300)과 소구경말뚝(200)의 캡플레이트(210)와 기존기초(20)의 상부면 사이가 이격되어 후술하는 신설구조물(60) 형성후에 신설구조물(60)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여도 기존기초(20)로의 하중 전가는 발생하지 않는다. Therefore, using the buffer pad (Buffer Pad) spaced between the
또한, 기존기초(20)의 측면에 분리막(23)을 설치하면, 후술하는 신설기초(40) 형성 후에는 신설기초(40)의 하중이 상부의 기존기초(20)로의 하중 전가를 방지한다. 기존기초(20)의 측면 즉 기존기초(20)의 블록아웃된 홈(22)의 측면에 수직으로 분리막(23)을 설치한다.In addition, if the
분리막(23)은 기존기초(20)와 신설기초(40)를 분리시켜, 신설구조물(60)의 단기침하시 신설기초(40)에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기존기초(20)로 절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분리막(23)은 비닐막재 또는 판재를 사용하거나 상기의 둘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신설기초형성단계(S6)는 홈(22)에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설기초(4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New foundation forming step (S6) is a step of forming a
신설기초(40)는 기존기초(20)를 블록아웃시켜 형성된 홈(22)에 버퍼패드(100), 소구경말뚝(200) 및 하중전이프레임(300)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한다.The
철골기둥설치단계(S7)는 하중전이프레임(300)의 상부에 철골기둥(31)을 설치하는 단계이다.Steel pillar installation step (S7) is a step of installing the
철골기둥(31)은 신설기둥(30)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로서, 하중전이프레임(300)의 수직상부에 신설기둥을 설치하기 위하여 철골기둥(31)을 설치한다.
신설구조물설치단계(S8)는 존치벽체와 신설기둥사이의 공간을 일정간격 떨어뜨려 놓는 딜레이조인트(400)를 구성하여 신설기둥(30)을 타설하고, 보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신설구조물(6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In the installation of the new structure (S8), the delay joint 400 is formed by dropping the space between the zone wall and the new pilla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딜레이조인트(delay joint)는 시공도중 콘크리트의 수축 및 정착이 다를 경우에 발생하는 응력을 배제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동안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방치 후 최종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료하는 부위를 말한다.Delay joint refers to the site where the final concrete is poured after completion without leaving concrete for a certain period in order to exclude stress caused when the shrinkage and fixation of the concrete are different during construction.
존치벽체(10)를 신설구조물에 직접 긴결하여 시공하여야 하는데, 기존기초(20)의 안정된 지반과 신설구조물의 신설기초(40)의 추가 고정하중이 작용하는 시점까지 분리되어 있다가 침하가 안정화되면 이때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의 연결을 시도하기 위하여 딜레이조인트(400)를 구성하는 것이다.When the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사이의 공간을 일정간격 떨어뜨려 딜레이조인트(400)를 구성하는 것은 존치벽체(10)와 신설구조물(60)의 반력이 다르기 때문에 침하정도 또한 다르게 되는데, 딜레이조인트(400)를 구성하지 않고 신설구조물(60)과 존치벽체(10)가 긴결되어 하나의 구조체로 거동하게 되면, 신설구조물의 단기침하시 존치벽체(10)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The delay joint 400 constituting the delay joint 400 by dropping the space between the
딜레이조인트(400)의 구간은 존치벽체(10)에서 다웰바(410)을 구성하거나,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에서 철근을 구성하여 이음할 수 있다.The section of the delay joint 400 may constitute a
철골기둥(31)에 신설기둥(30)을 설치하고, 보(50) 및 슬래브를 설치하여 신설구조물(60)을 시공하고, 다웰바(dowel bar)(410)를 존치벽체(10)에 설치한다.Install the
구조물결합단계(S9)는 신설구조물(60)의 침하가 완료된 이후에 딜레이조인트(4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Structural coupling step (S9) is a step of combining the
존치벽체(10)를 외부 가설물에 지지시켜 신설구조물(60)과 별개의 거동을 유도하고, 존치벽체(10)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정하중에 의한 신설구조물(60)의 단기침하가 완료된 이후에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 사이의 딜레이조인트(4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을 긴결시킨다.
기존기초(20)의 일측면을 블록아웃하여 홈(22)을 형성하고, 상기 홈(22)에 신설기초(40)를 형성하기 때문에, 신설기초(40)의 일측면과 하부면이 기존기초(20)의 블록아웃된 홈(22)에서의 기존기초(20)와 접하게 된다. 이때, 신설기초(40)의 하부면은 소구경말뚝(2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어, 신설기초(40)의 하중이 기존기초(20)로 전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설기초(40)와 기존기초(20)가 접하는 측면은 분리막(23)에 의하여 신설기초(40)의 하중이 기존기초(20)로 전가되는 것을 방지한다.In order to induce the behavior different from the new structure 60 by supporting the
Since one side of the existing
따라서, 신설기초(40) 상부에 신설구조물(60)이 완성이 되면 신설구조물(60)의 고정하중에 의하여 신설기초(40)는 버퍼패드(100)가 압착되면서 침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설구조물(60)의 침하가 완료된 이후에 딜레이조인트(4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을 결합한 후 분리막(23)이 설치된 부분을 그라우팅하여 마감하여 완성한다.Therefore, when the new structure 60 is completed on the
As such, after the settlement of the new structure 60 is completed,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delay joint 400 to combine the
또한, 버퍼패드(300)는 천연고무판 또는 고감쇠고무판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철판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버퍼패드(Buffer Pad)는 천연고무판 또는 고감쇠고무판으로 구성되며, 현장에서의 연직방향의 하중에 따른 한계이상의 변위의 조절을 위하여 천연고무판 또는 고감쇠고무판의 내부에 얇은 철판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연직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The buffer pad consists of a natural rubber sheet or a high damping rubber sheet, and a thin steel plate is installed inside the natural rubber sheet or the high damping rubber sheet at regular intervals to control the displacement beyond the limit according to the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site. Vertical displacement can be adjusted.
또한, 소구경말뚝설치단계(S3)는 관통홀(21)에 합성수지관 또는 강관으로 형성된 슬리브관(220)을 설치하고 소구경말뚝(200)을 압입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ll diameter pile installation step (S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21 is installed by the
슬리브(sleev)관(220)은 관통홀(21)을 천공한 후 설치하여 소구경말뚝(200)이 슬리브관(220)으로 인입되도록하여 소구경말뚝(200)과 기존기초(20)를 완벽하게 분리시킨다.The sleeve (sleev)
슬리브관(220)과 관통홀(21)의 사이는 몰탈 시공하여 메운다.Between the
또한, 하중전이프레임(300)은 상부에 구성된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플레이트(320),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새(330)로 이루어지는 삼각트러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신설기둥(30)이 존치벽체(10)와 근접해있으므로 기존기초(20)의 공간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신설기둥(3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부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소구경말뚝(200)이 일렬로 길게 배치되었고, 신설기둥(30)과 기존기초(20)의 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하중전이프레임(300)의 형상은 춤이 작고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으로 한정된다.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하중전이프레임(300)은 상부에 구성된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플레이트(320),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새(330)로 이루어지는 삼각트러스(Triangle Truss) 형상으로 구성된다.Therefore, the
가새(330)는 하부플레이트(320)에 각 지점을 이루어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310)에서 전달받은 하중을 가새(330)의 각 지점하부에 하부플레이트(320)를 두고 맞닿은 소구경말뚝(200)의 상단부에 균등하게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20)의 가새(330)가 형성하는 각지점간의 거리는 ℓ로 일정하고, 상부플레이트(310)에서 받는 하중을 각각 각 지점으로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각지점의 하부에 구성된 소구경말뚝(200)으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6,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formed by th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중전이프레임(300)은 상부에 구성된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플레이트(320),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새(330)로 이루어지며 4지점과 5지점을 갖는 삼각트러스(Triangle Truss) 형상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하였다.As shown in FIG. 6, the
1. 실험조건1. Experimental conditions
상부하중이 2,000 kN인 경우는 하부 소구경 말뚝기초 한 개의 설계하중을 500 kN으로 하여 4지점 삼각트러스(Triangle Truss) 형태로 설계하였다. 상부하중이 2,500 kN인 경우에는 5지점 삼각트러스 형태로 설계하였다. 4지점과 5지점 하중전이프레임은 대칭 구조(Symmetric Structure)로써 Half Model만 해석하였다.When the upper load is 2,000 kN, the design load of one lower diameter pile foundation is 500 kN, which is designed as a four-point triangular truss. If the upper load is 2,500 kN, it was designed as a 5 point triangular truss. The four- and five-point load transition frames were analyzed only by the Half Model as a symmetric structure.
2. 실험조건 결과2. Result of experimental condition
(1) 4지점 하중전이프레임 해석을 위한 3가지 가정(1) Three assumptions for four point load transition frame analysis
① 좌우대칭성을 고려하여 전체 구조의 반만 해석하였고, 단면의 수를 총 4개로 한정하였다.① Only half of the structure was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left and right symmetry, and the number of cross sections was limited to four.
② 하부에 연결되는 설계하중을 500 kN으로 설정된 소구경 말뚝기초의 직경이 Φ200 이므로 하중전이프레임과 말뚝기초의 접합 용이성을 고려하여 4번 요소(하현재)의 단면은 250㎜x40㎜ 로 제한하였다.② The cross section of element 4 (low chord) was limited to 250mmx40mm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joining the load transition frame and pile foundation because the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pile foundation set to 500 kN was Φ200. .
③ 제작되는 강판의 시공성을 고려하여 부재의 두께(t)를 40㎜, 60㎜, 80㎜ 3가지로 제한하였다.③ The thickness t of the member was limited to three types of 40 mm, 60 mm, and 80 mm in consideration of the workability of the steel sheet to be manufactured.
(2) 4지점 하중전이프레임 단면(2) 4 point load transfer frame section
① 두께(t1, t2, t3) 고정, 폭(b1, b2, b3)의 관계식 도출① Deriv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fixed thickness (t 1 , t 2 , t 3 ) and width (b 1 , b 2 , b 3 )
■하현재를 제외한 상부의 부재에 임의로 (1), (2), (3) 번호 부여(1), (2), (3) numbers are assigned randomly to upper parts except lower chords
■세 부재 모두 두께(t1, t2, t3)를 40㎜∼80㎜ 로 같게 고정하고, 폭(b1, b2, b3)의 관계식 도출All three members fix the thickness (t 1 , t 2 , t 3 ) equally from 40 mm to 80 mm and derive the relational expression of the width (b 1 , b 2 , b 3 )
■b1 < b2 = b3 의 관계식을 도출( b1이 250㎜ 이상 )Deriving a relation of b 1 <b 2 = b 3 (b 1 is 250mm or more)
■폭(b) 보다는 두께(t)의 변화가 필요Change in thickness (t) is required rather than width (b)
② 폭(b1, b2, b3) 고정, 두께(t1, t2, t3)의 관계식 도출② Deriv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fixed width (b1, b2, b3) and thickness (t1, t2, t3)
■t1 = 40㎜ , t2 = t3 = 80㎜ 의 값 산출Calculation of values of t 1 = 40 mm and t 2 = t 3 = 80 mm
산출된 단면을 부재1 : 150㎜x0㎜, 부재2 : 150㎜x80㎜, 부재3 : 150㎜x80㎜, 부재4 : 250㎜x40㎜ 로 결정.The calculated cross section was determined to be member 1: 150 mm × 0 mm, member 2: 150 mm × 80 mm, member 3: 150 mm × 80 mm, member 4: 250 mm × 40 mm.
■4지점의 하중을 약 8%의 오차범위에서 균등한 하중분담 가능Load sharing evenly at 4 points of error within 8% error range
(3) 5지점 하중전이프레임 단면(3) 5 point load transfer frame section
① 4지점의 단면 적용①
부재1 : 150㎜x40㎜, 부재2 : 150㎜x40㎜, 부재3 : 150㎜x80㎜, 부재4 : 150㎜x80㎜, 부재5 : 250㎜x40㎜Member 1: 150 mm x 40 mm, Member 2: 150 mm x 40 mm, Member 3: 150 mm x 80 mm, Member 4: 150 mm x 80 mm, Member 5: 250 mm x 40 mm
② 부재2, 4의 기울기를 변화② Change inclination of
■부재4의 기울기 55°로 가정(하현재의 중앙부에서 부재3의 중앙부의 연결선상)Assuming the inclination of the
■부재2의 기울기를 90°~70° 사이에서 변화Change inclination of
■결과 : 부재4의 기울기 55°, 부재2의 기울기 77°를 이룰 때 5지점의 하중을 약 8%의 오차범위에서 균등한 하중분담 가능■ Results: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이상에서 결정된 4지점, 5지점의 부재단면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Table 1 shows the member sections of the four and five points determined above.
부재번호
■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 해석■ Analysi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4지점, 5지점 전이프레임에 관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각 모델별 하중제어/변위제어를 통하여 상부가력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검토와 반력 값의 분포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Four- and five-point transition frames were analyzed. Through the load control / displacement control for each model, the structural stability review and the distribution of reaction force values for the upper load were confirmed.
■ 지점반력의 측정위치■ Measurement position of point reaction
실제 소구경 말뚝기초 역할을 하기 위해 각 모델 하부에 소구경 말뚝기초의 φ200과 유사한 단면적을 가지는 직육면체 125x125x10(mm) 반력판 4개(4지점 전이프레임), 5개(5지점 전이프레임)를 설치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Four rectangular 125x125x10 (mm) reaction plates with four cross-sections (four point transition frame) and five (five point transition frame)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model to act as a small diameter pile foundation. The analysis was performed.
(5) 결과(5) Results
상부지점에 각 1,900kN, 2,400kN을 가력하였고, 각 반력부의 반력 값을 측정하여 균등한 반력분포를 확인하였다. 1,900kN and 2,400kN were applied to the upper points, and the reaction force value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even reaction force distribution.
두 모델 모두 현장재하하중시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구조거동을 살펴보면 두 모델 전부 현장재하 하중에 대하여 탄성범위안에 있으며, 변위 또한 미소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 표 2에 결과를 정리하였다. Both models secured stability during site loading. From the structural behavior, both models were found to be in the elastic range with respect to the field load and the displacement was also small. Table 2 summarizes the results.
(kN)Yield load
(kN)
(kN)Load
(kN)
/항복하중Field load
Yield
전이프레임4 points
Transition frame
탄성범위
(안정적)1,900kN load
Elastic range
(stable)
전이프레임5 points
Transition frame
탄성범위
(안정적)2,400kN load
Elastic range
(stable)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중앙부와 양단부의 반력 값의 증가율은 변화가 없고, 현장하중 작용 시 각 지점 반력부의 처짐량은 미소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4지점 전이프레임의 경우 중앙부와 양단부의 반력편차가 약 2%, 5지점 전이프레임의 경우 중앙부와 양단부의 반력편차가 약 3%정도로 각 지점으로 균등한 하중이 전이되었다. As the load increases, the rate of increase of reaction force values in the center and both ends does not change, and the deflection of the reaction force at each point is small when the field load is applied. In case of the four-point transition frame, the reaction force deviation of the center and both ends is about 2%, and in the five-point transition frame, the reaction force deviation of the center and both ends is about 3%.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 존치벽체 20 : 기존기초
21 : 관통홀 22 : 홈
23 : 분리막 30 : 신설기둥
31 : 철골기둥 40 : 신설기초
50 : 보콘크리트 60 : 신설구조물
100 : 버퍼패드 200 : 소구경말뚝
210 : 캡플레이트 220 : 슬리브관
300 : 하중전이프레임 310 : 상부플레이트
320 : 하부플레이트 330 : 가새
400 : 딜레이조인트
S1 : 기존구조물철거단계 S2 : 관통홀천공단계
S3 : 소구경말뚝설치단계
S4 : 하중전이프레임설치단계
S5 : 버퍼패드설치단계 S6 : 신설기초형성단계
S7 : 철골기둥설치단계 S8 : 신설구조물설치단계
S9 : 구조물결합단계10: Preservation Wall 20: Existing Foundation
21: through hole 22: groove
23: separator 30: new pillar
31: steel pillars 40: new foundation
50: bocon concrete 60: new structure
100: buffer pad 200: small diameter pile
210: cap plate 220: sleeve tube
300: load transition frame 310: upper plate
320: lower plate 330: brace
400: delay joint
S1: Demolition of existing structure S2: Drilling through hole
S3: Small diameter pile installation step
S4: Load transition frame installation step
S5: Buffer pad installation step S6: New basic formation step
S7: Installation stage of steel frame S8: Installation stage of new structure
S9: Structure combining step
Claims (4)
존치벽체(10)의 기존기초(20)에 블록아웃하여 홈(22)을 형성하고 상기 홈(22)에 일정간격의 관통홀(21)을 일렬로 다수개 천공하는 관통홀천공단계(S2);
천공된 관통홀(21)에 소구경말뚝(200)을 압입하여 설치하고 상단부를 절단한 후 소구경말뚝(200)의 상단부에 캡플레이트(210)를 설치하는 소구경말뚝설치단계(S3);
상부의 하중을 일렬배치된 다수개의 소구경말뚝(200)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강재로 제작된 하중전이프레임(300)을 소구경말뚝(200)의 상부에 설치하는 하중전이프레임설치단계(S4);
소구경말뚝(200)의 캡플레이트(210)의 하부면과 기존기초(20)의 상부면 사이에 버퍼패드(100)를 구성하고, 기존기초(20)의 측면에 분리막(23)을 설치하는 버퍼패드설치단계(S5);
홈(22)에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설기초(40)를 형성하는 신설기초형성단계(S6);
하중전이프레임(300)의 상부에 철골기둥(31)을 설치하는 철골기둥설치단계(S7);
존치벽체와 신설기둥사이의 공간을 일정간격 떨어뜨려 놓는 딜레이조인트(400)를 구성하여 신설기둥(30)을 타설하고, 보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신설구조물(60)을 설치하는 신설구조물설치단계(S8);
신설구조물(60)의 침하가 완료된 이후에 딜레이조인트(4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존치벽체(10)와 신설기둥(30)을 결합하는 구조물결합단계(S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An existing structure demolition step (S1) of dismantling the internal structure while leaving the residual wall 10 of the existing structure;
A through-hole drilling step (S2) for forming a groove 22 by blocking out the existing foundation 20 of the zone wall 10 and drill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1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roove 22 in a line. ;
Small diameter pile installation step (S3) for pressing and installing the small diameter pile 200 in the perforated through-hole 21 and cutting the upper end, and then installing the cap plate 210 on the upper end of the small diameter pile 200;
Load transition frame installation step (S4) to install a load transfer frame 300 made of steel to the top of the small diameter pile 200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upper portion even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small diameter pile 200 in a row ;
The buffer pad 10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210 of the small diameter pil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xisting foundation 2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23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xisting foundation 20. Buffer pad installation step (S5);
A new foundation forming step (S6) of assembling reinforcing bars in the grooves 22 and pouring concrete to form a new foundation 40;
Steel pillar installation step (S7) for installing the steel pillars 3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 transfer frame (300);
Install new structure to construct new joint 30 by constructing delay joint 400 to drop the space between the precipitous wall and the new pillar by a certain distance, and install new structure 60 by placing boconcrete 50 Step S8;
After the submersion of the new structure 60 is completed,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delay joint 400, the structure coupling step (S9) for coupling the zone wall 10 and the new column 30; Small diameter consisting of Wall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and load transfer frame.
버퍼패드(300)는 천연고무판 또는 고감쇠고무판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철판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The method of claim 1,
The buffer pad 300 is composed of a natural rubber plate or a high attenuation rubber plate, the wall pre-existing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a small diameter pile and load transf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lat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소구경말뚝설치단계(S3)는 관통홀(21)에 합성수지관 또는 강관으로 형성된 슬리브관(220)을 설치하고 소구경말뚝(200)을 압입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The method of claim 1,
Small diameter pile installation step (S3) is a small diameter pile and loa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by installing the sleeve tube 220 formed of a synthetic resin tube or steel pipe in the through-hole 21 and press-fit the small diameter pile 200 Wall Relocation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Frame.
하중전이프레임(300)은 상부에 구성된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플레이트(320),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새(330)로 이루어지는 삼각트러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말뚝 및 하중전이프레임을 이용한 벽체존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oad transfer frame 300 includes a plurality of braces 33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310 configured at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late 320 configur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late 310 and the lower plate 320. Wall pre-existing building remodeling method using a small diameter pile and a load transition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truss shape ma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1763A KR101288831B1 (en) | 2011-06-24 | 2011-06-24 |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micropile and truss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1763A KR101288831B1 (en) | 2011-06-24 | 2011-06-24 |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micropile and truss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0939A KR20130000939A (en) | 2013-01-03 |
KR101288831B1 true KR101288831B1 (en) | 2013-07-23 |
Family
ID=4783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1763A KR101288831B1 (en) | 2011-06-24 | 2011-06-24 |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micropile and truss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83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5191A (en) | 2013-11-12 | 2015-05-21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Bottom enhancing type small diameter pile for ground reinforce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5374B1 (en) * | 2013-08-22 | 2014-08-2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of generator for wind genera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2958B1 (en) | 2011-05-18 | 2011-10-12 | 삼성물산 주식회사 |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micropile and tru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
2011
- 2011-06-24 KR KR1020110061763A patent/KR1012888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2958B1 (en) | 2011-05-18 | 2011-10-12 | 삼성물산 주식회사 |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micropile and tru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5191A (en) | 2013-11-12 | 2015-05-21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Bottom enhancing type small diameter pile for ground reinforc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0939A (en) | 2013-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652671A (en) | Prefabricated assembly-type concrete outer-hanging wallboard fix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 |
JP2016183539A (en) | Base-isolating structure, steel support structure and base-isolating construction method of existing steel support structure | |
CN102619331B (en) | Once molding construction method of beam-type conversion layer of high-rise building by steel pipe supporting and laminated pouring | |
WO2015011641A1 (en) | Semi rigid precast wall system | |
KR20200032316A (en) | Method for Forming Top-down-typed Underground Strucutre using Trus-typed Support | |
JP2017179997A (en) | Column-beam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20120085641A (en) | Assembling structure for beam a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sstructure using it | |
CN108240053A (en) | Assembled integral energy consumption frame panel wal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
CN104895221B (en) | Assembled shaped steel confined concrete shear wall structure | |
KR101288831B1 (en) |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micropile and truss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
JP6543077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 |
CN204645343U (en) | Prefabricated assembled concrete out-hung panel fastening devices | |
KR200372315Y1 (en) | Moving-fabricated supporting bracket structure of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 |
JP7009724B2 (en) | Column-beam frame repair method and repair column-beam frame | |
CN211499326U (en) | Synchronous construction structures of concrete infilled wall and cast-in-place structure | |
KR101072958B1 (en) |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micropile and tru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
EP1781865A1 (en) |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 |
EP1561874A1 (en) |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 |
KR102453791B1 (en) | PC double pannel using plate | |
KR101641837B1 (en) | Section formation method for weight reduction at section building of bridge lower structure | |
CN113653319A (en) | Integrated formwork erecting method for multi-stair section and rest platform | |
CN210439325U (en) | Column base node for modular building | |
CN209907886U (en) | Adjustable assembled stair construction platform | |
EP3187658A1 (en) | Form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22037522A (en) | Beam construction method, and beam formwork suppor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