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525B1 -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 - Google Patents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525B1
KR101288525B1 KR1020110040286A KR20110040286A KR101288525B1 KR 101288525 B1 KR101288525 B1 KR 101288525B1 KR 1020110040286 A KR1020110040286 A KR 1020110040286A KR 20110040286 A KR20110040286 A KR 20110040286A KR 101288525 B1 KR101288525 B1 KR 101288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expansion
membrane
air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235A (ko
Inventor
남택진
박영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4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52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이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팽창을 이용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공기 주입/배출에 따라 팽창/축소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는 팽창막; 상기 팽창막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팽창막이 외부로 팽창될 수 있도록, 제 1 영역이 개방된 상부덮개; 상기 팽창막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이 개방되며, 또한 상기 팽창막이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밀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호스; 및 상기 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막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공기 주입/배출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덥개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일 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부재로의 공기 주입에 따라 상기 팽창막은 상기 덮개의 제 1 영역을 통하여 상기 일 면 상으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방법은 원거리 소통 상황에서도 인간의 터치를 최대한 모사, 전달할 수 있는 가역적인 팽창수단을 인터렉션 장치에 의하여 상대방과의 감성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mobile devices enabling delivery of touch and information using inflation ove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으로 가역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터치 세기와 같은 물리적 정보의 전달과 입력, 물리적 정보의 시각화 등이 가능하여, 감성적인 인터렉션이 가능한,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는 단순한 통신수단이 아닌 사회적인 수단으로써 인간의 생각이나 감정을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주며, 보다 친밀하고 비형식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통한 감성 인터렉션 방법은 HCI(Human-Computer Interface)와 같은 학술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존기술은 사용자의 감정 인식, 터치와 촉감 피드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인터렉션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에서의 감성 인터렉션에만 초점을 맞출 뿐 전화 혹은 문자 메시지와 같은 주 커뮤니케이션 기능에서의 인간 터치 모사를 통한 감성적 인터렉션은 간과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을 사용한 상대방과의 소통에 기인하여, 인간 터치를 모사하여 터치행위/감성 전달 및 휴대폰의 비 실시간 문자메시지, 부재중 통화 수와 같은 정보 표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은 아직 개시되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화 중 상황에서도 인간의 터치와 같은 부드러운 촉감을 팽창을 이용 전달 받음으로써 감성적인 소통을 가능한 모바일 기기용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물리적 수단의 가역적 팽창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팽창을 이용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공기 주입/배출에 따라 팽창/축소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는 팽창막; 상기 팽창막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팽창막이 외부로 팽창될 수 있도록, 제 1 영역이 개방된 상부덮개; 상기 팽창막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이 개방되며, 또한 상기 팽창막이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밀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호스; 및 상기 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막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공기 주입/배출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일 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부재로의 공기 주입에 따라 상기 팽창막은 상기 덮개의 제 1 영역을 통하여 상기 일 면 상으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렉션 장치는 상기 팽창막에 대한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압력센싱부를 상기 하부부재 내에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팽창 장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신호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팽창막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수신된 타 모바일 기기의 터치강도에 대한 신호이며, 상기 공기 주입/배출 수단은 상기 팽창막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펌프; 및 상기 팽창막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공기펌프 및 솔레이노이드 밸브는 상기 하부부재에 연결된 호스 각각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강도 또는 상기 팽창막에서 센싱된 압력을 타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인터렉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타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촉감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촉감 정보에 따라 상기 팽창막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양의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막이 팽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촉감 정보는 상기 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강도이거나, 상기 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팽창막에 대한 압력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촉감 정보의 패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의 속도 및 주기가 결정되며, 상기 방법은 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상기 팽창막이 팽창 또는 수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팽창막의 팽창 또는 수축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타 모바일 기기 간에 통화중인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인터렉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소정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소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팽창막에 공기 주입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기의 주입에 따라 상기 팽창막이 팽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는 정량화할 수 있는 데이터 정보이며, 상기 데이터 정보의 양이 많을수록 상기 팽창막의 팽창 정도는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방법은 원거리 소통 상황에서도 인간의 터치를 최대한 모사, 전달할 수 있는 가역적인 팽창수단을 인터렉션 장치에 의하여 상대방과의 감성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즉, 기존의 진동이나 솔레노이드 방식과는 달리 본 발명은 터치를 전달함에 있어서 가역적으로 팽창할 수 있는 팽창수단의 부풀어오름 / 팽창을 이용함으로써, 인간의 터치에 보다 가까운 느낌을 모사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나 부재중 통화 등과 같은 정량적인 데이터 정보나, 비 실시간 소통 정보의 확인 등을 진동이나 소리가 아닌,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팽창수단의 팽창을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사적인 공간이나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인터렉션 장치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배출의 반복 및 지속 정도에 따른 촉감 패턴 전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팽창막 간의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는 팽창막-팽창막 간의 인터렉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방법에 따라 휴대폰 내의 메시지 수, 부재중 전화의 수가 팽창막 정도에 따라 표현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며,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되는 방식의 인터렉션 장치를 제공한다된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인터렉션 장치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외부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할 수 있는, 가요성(flexible)의 팽창막(110)이 개시된다. 상기 팽창막 물질은 일반적인 고무 멤브레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는 외부 공기에 주입에 따라 팽창막(110)의 일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상부 덮개(120) 및 상기 팽창막(110) 아래에서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키는 하부 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덮개(120)와 하부 부재(130) 사이에 팽창막(1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덮개의 일부 영역(제 1 영역, 121))은 개방된 상태로서, 상기 제 1 영역(121)을 통하여 상기 상부 덮개(120) 하부의 공기 주입 등에 의하여 팽창막(110)은 팽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덮개(120) 아래의 하부 부재(130)는 팽창막(110)을 경계로 접촉하며, 상기 상부 덮개의 제 1 영역(121)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제 2 영역, 131)이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21)과 제 2 영역(131) 사이에 팽창막(11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부 부재(130)는 추후 설명되는 호스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130)는 모바일 기기에 대응되는 사각 형태이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팽창막(110) 아래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부재(130)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호스(141, 142)가 연결되며, 상기 호스(140)에는 상기 팽창막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부재(130) 내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주입/배출 수단(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스는 공기 펌프(미도시)와 연결된 제 1 호스(141)와 솔레노이드와 같은 밸브가 구비된 제 2 호스(142)로 구성되며, 제 1 호스(141)을 통하여는 공기가 주입되고, 제 2 호스(142)를 통해서는 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 주입/배출 수단은 선택적으로 공기의 양이 조절되어 하부 부재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펌프/개방에 따라 하부 부재(130)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밸브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팽창막(110)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부부재(130)로 공기가 제 1 호스(141)를 통하여 주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부재(130) 내부의 압력은 증가하는데, 딱딱한 재질의 하부부재(130)는 이에 영향 받지 않으나, 가요성을 가지는 팽창막은 하부 부재(130)의 개방된 제 2 영역(131)을 통하여 증가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부재 내에서의 상기 압력증가에 따라 팽창막(110)은 상부 덮개(120)의 제 1 영역(121) 외부로 팽창하며, 풍선처럼 부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팽창막의 팽창 정도가 주입되는 공기 양에 따라 결정되는 점으로부터 효과적이고, 즉각적인 터치 인터렉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따라서 팽창막에 인가되는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압력센싱부(160)가 상기 하부부재 내에 구비되어, 팽창막에 대한 사용자 터치압력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는 팽창막의 팽창정도(즉, 팽창 볼륨)를 결정짓는 변수인 공기 주입 양을 상기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는 이를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방식에 따라 공기 주입 양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수신된 타 모바일 기기의 터치강도에 대한 신호일 수 있으며, 이때 통화하는 상대방의 터치스크린 터치 강도에 따라 팽창막의 팽창 정도는 달라진다. 만약, 상대방이 터치스크린을 강한 세기로 터치하는 경우 팽창막은 더 크게, 그 반대인 경우는 더 작게 팽창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원거리 소통 상황에서도 인간의 터치를 최대한 모사, 전달할 수 있는 가역적인 팽창수단을 인터렉션 장치에 구비시킴으로써 상대방과의 감성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500)는 터치스크린(510)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510)에 대한 터치 강도 또는 팽창막(520)에서 센싱된 압력을 타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530)를 포함한다. 즉, 부풀어 오른 팽창막(520)을 사용자가 강하게 터치하는 경우, 이는 하부부재(미도시) 내에 구비된 압력센싱부(미도시)에 의하여 그 압력이 센싱되고, 상기 센싱된 압력은 다시 전송부(530)를 통하여 타인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로써 터치스크린-팽창막 간에도 터치 패턴, 터치 강도 등이 서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 간의 다양하고 감성적인 인터렉션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와 달리 상기 터치스크린(510)이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팽창막 자체에 의한 사용자 터치가 상대방의 팽창막으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는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타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촉감 정보가 수신된다(S100). 여기에서 촉감 정보는 타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강도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에 구비된 팽창막에 대한 압력강도일 수 있다. 이후, 수신된 촉감 정보에 따라 상기 팽창막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 결정된다(S200). 상기 공기 주입양은 촉감 정보의 세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관계식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촉감 정보의 세기에 따라 결정된 양의 공기가 하부부재 내의 밀폐된 공간에 주입됨으로써 팽창막이 팽창된다(S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상기 촉감 정보의 패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의 속도 및 주기가 결정되며, 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상기 팽창막이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회의 연속하지 않은 촉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팽창막은 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공기를 주입/배출시킨다. 예를 들면, 1회 공기 주입 후 다시 공기를 배출하고, 다시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다시 공기 주입을 하는 경우, 팽창막은 2회 팽창하게 되며, 이는 비연속적인 2회의 터치 패턴을 모사하는 팽창 패턴이 된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배출의 반복 및 지속 정도에 따른 촉감 패턴 전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를, 톡톡톡 치는 행위는 상대방의 터치반복과 지속 정도에 따라 공기 주입과 배출을 짧게 3-4회 반복될 경우 이루어질 수 있고(도 7a 참조), 찌르는 행위는 공기 흡입이 길게 된 후 잠시 유지될 때 이루어질 수 있고(도 7b 참조), 찌르거나 살짝 치고 흔드는 행위는 공기 흡입 후 동시에 방출이 될 경우 진동과 같은 효과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도 7c 참조).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팽창막 간의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면, 상대방과의 통화 상황에서 터치스크린(810)을 약하게 눌렀을 때(도 8a), 터치스크린을 적당히 눌렀을 때(도 8b), 터치스크린을 강하게 눌렀을 때(도 8c), 터치강도에 따라 팽창막(820)이 상이한 크기로 팽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팽창 크기는 터치 강도에 비례하며, 팽창된 팽창막(820)은 상대방의 피부(830)에 터치가 된다. 이때 터치가 되는 신체부위는 (440) 주로 휴대폰이 놓여진 곳으로써, 뺨, 손가락, 손바닥, 허벅지 등이 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팽창막-팽창막 간의 인터렉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팽창막에 대한 터치 강도에 따라 타 모바일 기기의 팽창막 팽창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와 같이 팽창막이 약하게 터치되는 경우, 우측의 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팽창막은 약하게 팽창하며, 점차 팽창막 터치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타 모바일 기기의 팽창막의 팽창 크기는 더 증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소정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110); 상기 검출된 소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팽창막에 공기 주입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S210); 및 상기 결정된 공기의 주입에 따라 상기 팽창막이 팽창되는 단계(S31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인터렉션 방법은 정량화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정보(소정 정보)를 팽창막에 대한 공기 주입 양을 결정짓는 변수로 활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정보는 정량화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서 활용되는 임의의 모든 정보로서, 메시지, 메일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정보의 양이 많을수록 상기 팽창막의 팽창 정도는 증가한다.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방법에 따라 휴대폰 내의 메시지 수, 부재중 전화의 수가 팽창막 정도에 따라 표현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11c를 참조하면, 상대방으로부터 온 메시지의 수나 부재중 전화의 수(즉, 데이터 정보의 양)에 따라 팽창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모바일 기기의 일 면 상에 구비되고 개방된 제1 영역이 형성된 상부덮개;
    상기 상부덮개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개방된 제2 영역을 통해 개방된 내부 공간이 마련된 하부 부재;
    상기 상부덮개와 상기 하부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부재의 내부 공간이 밀폐 공간이 되도록 상기 제2 영역을 막으며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모바일 기기 외부로 노출되는 가요성 팽창막; 및
    상기 밀폐 공간 내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주입/배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 공간 내의 공기압에 따라 상기 팽창막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장치는 상기 팽창막에 대한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압력센싱부를 상기 하부부재 내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장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신호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팽창막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수신된 타 모바일 기기의 터치강도에 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배출 수단은 상기 팽창막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펌프; 및
    상기 팽창막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공기펌프 및 솔레이노이드 밸브는 상기 하부부재에 연결된 호스 각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강도 또는 상기 팽창막에서 센싱된 압력을 타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타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촉감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촉감 정보에 따라 상기 팽창막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양의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막이 팽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정보는 상기 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정보는 상기 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팽창막에 대한 압력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정보의 패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의 속도 및 주기가 결정되며, 상기 방법은 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상기 팽창막이 팽창 또는 수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막의 팽창 또는 수축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타 모바일 기기 간에 통화중인 경우에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터렉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소정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소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팽창막에 공기 주입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기의 주입에 따라 상기 팽창막이 팽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정량화할 수 있는 데이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항에 있어서,
    데이터 정보의 양이 많을수록 상기 팽창막의 팽창 정도는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방법.
KR1020110040286A 2011-04-28 2011-04-28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 KR101288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86A KR101288525B1 (ko) 2011-04-28 2011-04-28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86A KR101288525B1 (ko) 2011-04-28 2011-04-28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35A KR20120122235A (ko) 2012-11-07
KR101288525B1 true KR101288525B1 (ko) 2013-07-26

Family

ID=4750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286A KR101288525B1 (ko) 2011-04-28 2011-04-28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73Y1 (ko) 2015-06-30 2015-12-07 티디에프 주식회사 방열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877A (ja) * 1996-05-15 1997-11-28 Susumu Nakatani 警報装置の制御方法及び警報装置
JP2010278681A (ja) 2009-05-27 2010-12-09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877A (ja) * 1996-05-15 1997-11-28 Susumu Nakatani 警報装置の制御方法及び警報装置
JP2010278681A (ja) 2009-05-27 2010-12-09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73Y1 (ko) 2015-06-30 2015-12-07 티디에프 주식회사 방열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35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8850B2 (en) Generating actions based on a user's mood
US8243038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user interface of a device
CN104272214B (zh) 电子设备、存储介质、程序以及显示方法
US20090115734A1 (en) Perceivable feedback
CN106155306A (zh) 模块化设备的触觉反馈的系统和方法
EP1528464A3 (en) Proactive user interface including evolving agent
CN10387016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7193448A (zh) 一种事务提醒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564451A (zh) 多部件电子装置的基于超声的配置检测
CN109815676B (zh) 一种隐私空间操作方法及终端设备
CN110038296A (zh) 一种游戏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224436A (zh) 基于游戏界面的虚拟按键定义方法、终端及存储介质
EP3455704A1 (en) Multimodal haptic effects
CN107908355A (zh) 移动终端的触控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288525B1 (ko) 팽창을 이용하여 터치 전달 및 정보표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인터렉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
CN109999494A (zh) 游戏操控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064037A1 (en) Wearable device with acoustic user input and method for same
EP3304253B1 (en) Techniques for simulated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users via their mobile computing devices
WO2011135492A1 (en) A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CN103793171B (zh) 一种移动终端触摸屏解锁方法及装置
CN109126127A (zh) 游戏控制方法、双屏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108082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5224224B (zh) 一种终端设备及模式切换的方法
CN108287627A (zh) 基于柔性屏的界面操作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58273A (zh) 音量调节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