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358B1 -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58B1
KR101288358B1 KR1020120026089A KR20120026089A KR101288358B1 KR 101288358 B1 KR101288358 B1 KR 101288358B1 KR 1020120026089 A KR1020120026089 A KR 1020120026089A KR 20120026089 A KR20120026089 A KR 20120026089A KR 101288358 B1 KR101288358 B1 KR 10128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progressive
memory
period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철
Original Assignee
유희철
홍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철, 홍승룡 filed Critical 유희철
Priority to KR102012002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실내에 설치가능한 디지털 전력 계량기로서,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변압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변류기; 상기 변압기의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제1 A-D 변환부; 상기 변류기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제2 A-D 변환부; 디지털 전력 계측을 위한 프로그램과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디지털 전력 계측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설정하며, 상기 제1 A-D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전압데이터와 제2 A-D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전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 전력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기간을 기반으로 총사용량,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 누진 잔여량 상태표시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진 잔여량은 상기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까지의 잔여 전력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Digital power meter having advaced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본 발명은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가능하여 기간별 전력 사용량, 누진 전기료 적용 사용량 알림기능 등 다양한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주거용 건물이나 상가건물의 인입선에는 전력량을 검침을 위한 전력 계량기가 설치된다. 종래의 전력 계량기는 통상 벽면에 부착 또는 매입되는 전기 계량기함에 차단기와 함께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계량기함에 장착되는 차단기는 부하용량에 따라 규격화되어 있으나, 전력 계량기, 특히 디지털 전력 계량기는 제작사마다 차이가 있어 변경의 여지가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지털 전력 계량기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전압 및 전류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다음,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전력량 데이터를 연산 및 저장하면서, 그 전력량 데이터를 표시소자를 통해 표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전력 계량기는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등 부가적 기능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유도형 전력 계량기에 비해 아주 작으므로 이를 장착하는 전기계량기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 계량기는 실외에 설치되어 있으며, 총사용량이 누적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실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불편하다. 총사용량의 누적으로 월단위 사용량의 파악이 불편하다. 각 소비자별 전기료 누진 적용 상황 파악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에 설치가능하며 수시로 전력 사용량의 확인이 가능하며 기간 단위 사용량의 파악과 각 소비자별 전기료 누진 적용 상황 파악이 가능한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실내에 설치가능한 디지털 전력 계량기로서,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변압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변류기; 상기 변압기의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제1 A-D 변환부; 상기 변류기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제2 A-D 변환부; 디지털 전력 계측을 위한 프로그램과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디지털 전력 계측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설정하며, 상기 제1 A-D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전압데이터와 제2 A-D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전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 전력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기간을 기반으로 총사용량,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 누진 잔여량 상태표시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진 잔여량은 상기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까지의 잔여 전력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까지의 전력 사용량과 설정된 기간내의 누진 설정치까지의 차이를 비교하여 누진 잔여량이 남아 있는 상태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누진 잔여량 상태표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월별, 주별, 일별 중 하나 이상의 기간별로 산출된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을 설정된 기간별로 해당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로테이션하면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기간별로 산출된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해놓았다가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시점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해놓은 이메일 계정이나 서버나 무선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설치가 가능하며 수시로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것이 가능하며, 월별 사용량 및 요금부과기간내 수시로 사용량 확인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료 누진적용 사용량의 알림기능로 전기 절약을 유도할 수 있으며, 범국가적인 에너지 절약 동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에서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는 변압기(201), 제1 A-D 변환부(202), 변류기(203), 제2 A-D 변환부(204), 제어부(210), 키입력부(220), 표시구동부(232), 표시부(234), 통신부(240), 리얼타임클럭(RTC:250), 및 메모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PT:201)는 일차측과 이차측의 권선비에 따라 전압을 다운시켜 전원선로(L1,L2)의 전압을 검출한다.
제1 A-D 변환부(202)는 변압기(201)의 아날로그 출력전압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에 전압데이터를 제공한다.
변류기(CT:203)는 전원선로(L2)의 일차측에 흐르는 전류값에 대응하는 전류를 2차측에 흐르게 한 후 저항에 강하시켜 전원선로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제2 A-D 변환부(204)는 변류기(203)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로 변환시켜 전류 데이터를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제어부(210)는 롬(266)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키입력부(220)의 키조작에 따라 시간대 정보를 설정하거나 각종 표시기능을 제어하고, 제1 A-D 변환부(202)로부터 입력된 전압데이터와 제2 A-D 변환부(204)로부터 입력된 전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 전력량을 계측한다.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력 사용 정보를 산출한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을 누적하여 전력의 총 사용량을 산출한다.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을 설정된 기간별로 구분하여 기간별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기간별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기간 정보를 참조한다. 예컨대, 사용자에 설정될 수 있는 기간은 월별, 주별, 일별로 설정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월별 사용량이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기간 설정에 따라 월별 사용량, 주별 사용량, 일별 사용량을 산출한다. 제어부(210)는 기본적으로 월별 사용량을 산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에 기반하여 누진 잔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누진 잔여량은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까지의 잔여 전력량을 의미한다. 누진 설정치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설정될 수 도 있으며,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메모리(260)에 설정될 수 도 있다.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략을 기반으로 예상 전기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설정된 기간에 따른 예상 전기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기간이 월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월별 전기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기간이 주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별 전기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기간이 일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별 전기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기본적으로는 월별 전기 요금을 산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설정된 누진 설정치에 기반하여 누진 잔여량의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현재까지의 전력 사용량과 설정된 기간내의 누진 설정치까지의 차이를 비교하여 누진 잔여량이 남아 있는 상태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누진 잔여량이 안정적으로 많이 남아 있으면 안정 단계, 누진 잔여량이 누진 설정치에 근접하면 경고단계, 누진 잔여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초과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어부(210)는 3단계가 아닌 더 세분화된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각 기간별로 설정된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을 표시부(234)에 표시할 때 각 기간별로 로테이션하면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있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 요금을 표시할 때 5초를 주기로 하여 제1 주기에는 월별 기간 사용량, 월별 누진 잔여량, 월별 전기 요금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제2 주기에는 주별 기간 사용량, 주별 누진 잔여량, 주별 전기 요금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제3 주기에는 일별 기간 사용량, 주별 누진 잔여량, 일별 전기 요금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각 기간별로 산출된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을 메모리(260)에 저장해놓았다가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시점에 통신부(240)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해놓은 이메일 계정이나 서버나 무선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통신부(24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기간별 전력 산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키입력부(220)는 설정키, 업키, 다운키, 입력, 숫자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나 검침원이 디지털 계량기의 각종 데이터를 설정하거나 표시를 제어하고, 검침을 처리하게 한다. 설정키는 설정이나 검침시 사용될 수 있다. 업키는 설정시 데이터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운키는 설정시 데이터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입력키는 최종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숫자키는 각종 숫자키를 입력할 수 있다.
표시구동부(232)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234)에 계량값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234)는 액정표시장치(LCD)나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OELD), 세그먼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표시구동부(232)도 해당 표시장치의 드라이버로 구현된다.
통신부(240)는 제어부(210)에 연결되어 계량값을 무선이나 유선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외부장치로부터 각종 설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40)는 사용자가 메모리(2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얼타임클럭(250)은 제어부(210)에 현재시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260)는 DRAM이나 SRAM과 같이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는 램(RAM:262)과,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쓰고 지울 수 있는 이이피롬(EEPROM:264),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266)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정전등에 의해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요 데이터(설정 데이터, 계량값 등 )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264)에 저장되고, 프로그램은 롬(266)에 저장되며, 연산중에 필요한 임시 데이터는 램(262)에 저장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전력 계량기의 회로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더 부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부에는 정전중에도 회로소자가 동작할 수 있도록 배터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에서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234)는 총사용량,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 상태표시를 제공한다.
총사용량은 전체 전력 사용량을 누적하여 표시한다.
기간 사용량은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기간별 전력 사용량을 표시한다. 예컨대, 기간은 월별, 주별, 일별로 설정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월별 사용량이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누진 잔여량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까지의 잔여 전력량을 표시한다.
전기 요금은 예상 전기요금을 표시한다. 예컨대 기간이 월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월별 전기 요금이 표시된다. 기간이 주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별 전기 요금이 표시된다. 기간이 일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별 전기 요금이 표시된다. 기본적으로는 월별 전기 요금이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태 표시는 누진 잔여량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컨대, 누진 잔여량이 안정적으로 많이 남아 있으면 녹색, 누진 잔여량이 누진 설정치에 근접하면 노란색, 누진 잔여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숫자를 통하여 단계별로 표시할 수 도 있다. 3단계가 아닌 더 세분화된 단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메모리(260)에 설정된 기본 설정 정보를 읽어들인다(S1).
제어부(210)는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 변경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220)를 통해 설정 변경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된 설정 정보를 메모리(260)에 저장한다(S3).
제어부(210)는 제1 A-D 변환부(202)로부터 입력된 전압데이터와 제2 A-D 변환부(204)로부터 입력된 전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 전력량을 계측한다(S4).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을 누적하여 전력의 총 사용량을 산출한다(S5).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을 설정된 기간별로 구분하여 기간별 전력 사용량을 산출한다(S6).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에 기반하여 누진 잔여량을 산출한다(S7).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략을 기반으로 예상 전기요금을 산출한다(S8).
제어부(210)는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설정된 누진 설정치에 기반하여 누진 잔여량의 상태를 산출한다(S9).
제어부(210)는 표시구동부(232)를 제어하여 표시부(234)에 총사용량,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 상태표시를 표시한다(S10).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201: 변압기 202: 제1 A-D 변환부
203: 변류기 204: 제2 A-D 변환부
210: 제어부 220: 키입력부
232: 표시구동부 234: 표시부
240: 통신부 250: 리얼타임클럭부
260: 메모리

Claims (4)

  1. 실내에 설치가능한 디지털 전력 계량기로서,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변압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변류기;
    상기 변압기의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제1 A-D 변환부;
    상기 변류기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제2 A-D 변환부;
    디지털 전력 계측을 위한 프로그램과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디지털 전력 계측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설정하며, 상기 제1 A-D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전압데이터와 제2 A-D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전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 전력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기간을 기반으로 총사용량,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 누진 잔여량 상태표시를 산출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진 잔여량은 상기 계측된 사용 전력량과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누진 설정치까지의 잔여 전력량이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까지의 전력 사용량과 설정된 기간내의 누진 설정치까지의 차이를 비교하여 누진 잔여량이 남아 있는 상태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누진 잔여량 상태표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월별, 주별, 일별 중 하나 이상의 기간별로 산출된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을 설정된 기간별로 해당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로테이션하면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기간별로 산출된 기간 사용량, 누진 잔여량, 전기요금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해놓았다가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시점에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해놓은 이메일 계정이나 서버나 무선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KR1020120026089A 2012-03-14 2012-03-14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KR10128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089A KR101288358B1 (ko) 2012-03-14 2012-03-14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089A KR101288358B1 (ko) 2012-03-14 2012-03-14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358B1 true KR101288358B1 (ko) 2013-07-22

Family

ID=4899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089A KR101288358B1 (ko) 2012-03-14 2012-03-14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9807A (zh) * 2019-04-09 2020-05-1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844A (ja) * 1997-10-09 1999-04-30 Mt Technology Kk 電力使用状態表示装置、電力使用状態及び売電状態管理装置並びに電力使用状態管理方法
KR200240043Y1 (ko) * 2001-05-08 2001-10-1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전력소비량 절약유도 장치
KR20030035296A (ko) * 2001-10-31 2003-05-09 김영준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계량이 가능한 디지탈 전력량계
KR20100012822U (ko) * 2009-06-17 2010-1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자가발전 계량기능을 갖는 전자식 전력량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844A (ja) * 1997-10-09 1999-04-30 Mt Technology Kk 電力使用状態表示装置、電力使用状態及び売電状態管理装置並びに電力使用状態管理方法
KR200240043Y1 (ko) * 2001-05-08 2001-10-1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전력소비량 절약유도 장치
KR20030035296A (ko) * 2001-10-31 2003-05-09 김영준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계량이 가능한 디지탈 전력량계
KR20100012822U (ko) * 2009-06-17 2010-1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자가발전 계량기능을 갖는 전자식 전력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9807A (zh) * 2019-04-09 2020-05-1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3915B2 (en) Electric power control device and electric power control system using same
US20100318306A1 (en) Capacitive voltage sensor
EP3389162A1 (en) Power control device, operation plan planning method, and program
JP5842120B2 (ja) 電力使用監視装置、電力使用監視システム
EP2849302B1 (en) Energy management device, energ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1589329B1 (ko)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정보 저장 방법
JP6106904B2 (ja) 電力計測システム
KR101288358B1 (ko) 정보 제공 기능이 향상된 디지털 전력 계량기
RU161139U1 (ru)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ый электросчетчик, работающий с системой sap erp
US20120259566A1 (en) Device for measuring two phase power with single voltage input
US9714964B2 (en) Voltage-dependent meter
KR101423591B1 (ko) 전력 사용 요금 측정장치
KR20100037910A (ko) 전기요금이 표시되는 수배전반
KR100981156B1 (ko) 전력 사용자 전기 요금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
CN109494753A (zh) 智能电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4167103A (zh) 一种通过电水一体化精准计量装置
KR101203375B1 (ko) 데이터 수집 장치,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데이터 수집 방법
KR20030035296A (ko)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계량이 가능한 디지탈 전력량계
KR20140126003A (ko) 실시간 전력 사용량 계측용 디지털 전력량계
KR102047873B1 (ko) 절전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78426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전력량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30006845A (ko) 사용전력 관리형 전력량계
KR100516790B1 (ko) 심야 전력용 복합기능 일체형 저압 전자식 원격검침 전력량계
KR200260981Y1 (ko)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계량이 가능한 디지탈 전력량계
US200401248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onitoring energy u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