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845B1 -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 Google Patents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845B1
KR101287845B1 KR1020110098403A KR20110098403A KR101287845B1 KR 101287845 B1 KR101287845 B1 KR 101287845B1 KR 1020110098403 A KR1020110098403 A KR 1020110098403A KR 20110098403 A KR20110098403 A KR 20110098403A KR 101287845 B1 KR101287845 B1 KR 10128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or
main body
baffle plate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416A (ko
Inventor
세르게이 니꼴라이비치 바옙
블라디미르 니꼴라이비치 쉐인
블라디미르 게나도비치 데미돕
Original Assignee
에포토스-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포토스-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포토스-케이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1009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8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6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containing gas-producing, chemically-re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산 및 보관 시설, 케이블 터널, 교통수단의 객실 및 기타 유사한 시설과 같은 폐쇄 및 반폐쇄 공간의 화재 진압을 위한 가스 에어로졸 연소 억제제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폐율이 낮은 공간에서 소화 효율, 가스에어로졸 온도 및 소화에어로졸 공급강도 지표의 최적의 조합을 갖춘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는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와, 케이스의 측벽에 의하여 형성된 혼합실과,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 가능성을 보장하여 제작되고,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냉각층과 발화장치 사이 및 발화장치와 본체의 측면 사이에 연소실의 역할을 하는 빈 공간을 추가로 형성하되, 본체의 구멍 난 밑면 및 배플판에 의하여 추진 에어로졸 실이 형성되고 밑면이 구멍 뚫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생기는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구의 단면적과 발화장치의 최초면적의 상관비율이 0.014-0.025의 범위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위쪽 뿐만 아니라 아래쪽의 위치에서도 에어로졸 공급강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Aerosol generator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화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 및 보관 시설, 케이블 터널, 교통수단의 객실 및 기타 유사한 시설과 같은 폐쇄 및 반폐쇄 공간의 화재 진압을 위한 가스 에어로졸 연소 억제제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수준으로부터 잘 알려진 일련의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는 에어로졸 조성 성분의 연소물질이 열흡수 물질로 이루어진 홈을 따라 지나가면서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치이며, 러시아연방특허 No.89963(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cl. A62C3/10, 2009년); No.89964(에어로졸 소화를 위한 장치, cl. A62C13/22, 2009년)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발생기는 본체의 열 차단이 잘 이루어짐으로써 본체 외부표면의 온도를 비교적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에어로졸 혼합물이 홈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석고질 단열막과의 열교환을 통해 에어로졸 혼합물의 온도를 허용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이때 본체의 단열과 함께 석고질에 포함된 수분(CaSO4·2H2O)이 가열되어 증발하고 에어로졸과 혼합되면서 본체를 냉각시킨다. 한편 에어로졸 입자는 용액이 염기성 반응을 하는 탄산칼륨 및 중탄산칼륨이 주를 이룬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용액이 소화대상물에 침투하는 경우 부식을 일으킨다. 반드시 언급해야 하는 것은 석고질 단열층이 형성됨에 있어 수분의 일부가 결정질 수화물 형태가 아닌 자유 상태로 남아있어 증발시 발생기 내부에 100%에 가까운 습도를 형성하여 에어로졸 조성제 및 발생기 전체의 기능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따라서 습기의 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특허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 커버의 사용을 제안(러시아연방특허 No.89964)하고 있는데 이는 구조물을 복잡하게 만들고 폴리에틸렌 커버 연소시 독성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장치의 단점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발생기 구조가 에어로졸 혼합물의 공급 강도가 매우 낮을 때 작동된다는 점이다. 잘 알려진 장치에서 이는 카트리지 연소작용이 전체 면이 아닌 끝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조작함으로써 해결된다.
에어로졸 혼합물의 공급강도가 낮음으로 인해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의 적용분야가 크게 축소되고 밀폐율이 낮은 장소에서의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러시아연방특허 No.49455(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cl. A62C 3/00, 2005년)의 발명자들 역시 에어로졸 혼합물이 양방향으로 흐르는 구조를 사용하지만, 이때 에어로졸 조성제의 연소가 전체 면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에어로졸 혼합물의 공급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배플판(baffle plate)에 있는 냉각물질과 에어로졸 혼합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에어로졸 혼합물 온도가 일부 하락한다.
상기 장치의 단점으로 반드시 지적해야 할 것은 발생기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 혼합물의 온도가 높고, 고온의 에어로졸 혼합물과 접촉하는 본체(실린더형 케이스)의 온도가 비교적 높다는 점이다.
동축으로 평행하게 위치한 발화장치(pyrotechnic charge)가 있는 본체 및 추진제(ejector) 혼합실을 포함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또한 잘 알려져 있다. 러시아연방특허 No.2140310(cl.A62C13/22, 1999년), No.2205673(cl.A62C13/22, 2010년). 상기 발생기는 본체 내부에 발화장치(pyrotechnic charge) 및 추진 가스실(리시버)이 동축으로 위치하고 이들은 본체 내면 전체를 따라 이루어진 석고 단열층으로 둘러싸여있다. 본체는 점화제(액티베이터)를 포함하는 커버로 덮여있다. 커버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있다. 본체와 동축으로 실린더형 몸체가 위치하는데, 이는 본체보다 지름이 크고 유도공기 및 유도공기 혼합실(냉각실)을 위한 환상 공기갭(annular air-gap)을 형성하며 본체와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 No.2140310의 <에어로졸 소화를 위한 장치>에 따른 발생기는 본체 내부에 발화장치 및 추진 가스실(리시버)이 동축으로 위치하고, 이들은 본체 내면 전체를 따라 이루어진 석고 단열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본체는 점화제(액티베이터)를 포함하는 커버로 덮여있다. 커버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와 동축으로 실린더형 케이스가 위치하는데, 이는 본체보다 지름이 크고 유도공기 및 유도공기 혼합실(냉각실)을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며 본체와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상기 장치의 단점으로 언급할 수 있는 것은 추진류 및 유도류 혼합지대가 상당히 확장된다는 것인데, 이는 한편으로 추진 노즐과 에어로졸 조성제를 포함하는 발생기가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과 관련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고온 추진류의 규모로 인해 혼합량이 상당히 크게 때문이다. 상기 발생기는 에어로졸 조성제의 연소가 끝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조작되어 에어로졸 공급강도가 0.5g/s·m3 이하가 되도록 하고, 본체 열차단을 위하여 상당량의 수분이 함유된 건설용 석고질을 이용하며, 이는 발명자 자신들이 언급하는 것처럼 연소물질의 냉각을 원활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 보증기간이 현저히 짧아진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조성제의 밀폐를 위한 특수조치가 요구된다.
주요한 특징 및 달성되는 기술적 결과의 총체적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과 가장 유사한 기술적 장치는 러시아연방특허 No.2140310에 따른 <에어로졸 소화를 위한 장치>로서 이를 프로토타입으로 선정하였다.
RU 89963(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cl. A62C3/10, 2009년) RU 89964(에어로졸 소화를 위한 장치, cl. A62C13/22, 2009년) RU 49455(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cl. A62C 3/00, 2005년) RU 2140310(에어로졸 소화를 위한 장치, cl. A62C13/22, 1999년) RU 2205673(cl. A62C13/22, 2010년)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폐율이 낮은 공간에서 소화 효율, 가스에어로졸 온도 및 소화에어로졸 공급강도 지표의 최적의 조합을 갖춘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로졸 조성제 질량 대비 화학 냉각제 분량을 감소시키고, 추진 계수 증가와 동시에 추진류 혼합량을 구조적으로 감소함으로써(동축 배치 및 베플판 구비) 발생기 배출구의 에어로졸 혼합물 온도 하락을 가능하게 하며, 에어로졸 조성제가 전체 표면에서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위쪽 뿐만 아니라 아래쪽 위치에서의 에어로졸 공급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는,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와, 케이스의 측벽에 의하여 형성된 혼합실과,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 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 가능성을 보장하여 제작되고,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냉각층과 발화장치 사이 및 발화장치와 본체 측면 사이에 연소실의 역할을 하는 빈 공간을 추가로 형성하되, 본체의 구멍 난 밑면 및 배플판에 의하여 추진 에어로졸 실이 형성되고, 밑면이 구멍 뚫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생기는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구의 단면적과 발화장치의 최초면적의 상관비율이 0.014-0.025의 범위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위쪽 뿐만 아니라 아래쪽의 위치에서도 에어로졸 공급강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다.
냉각제 질량과 발화제 질량의 상관비율이 0.5-0.7이 되도록 제작된 본 발명의 발생기는 발화제 질량에 대한 화학 냉각제 분량을 크게 감소시키고 동시에 본체 벽면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생기의 냉각층으로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 탄산염을 베이스로 하는 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생기 벽면 온도를 더욱 하강시키기 위하여 본체, 커버 및 배플판 내면을 단열 처리할 수 있는데, 단열재로는 실리콘 주입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발생기 작동의 안정성은 발화장치와 냉각층이 보완 스프링 및 스페이서에 의해 본체에 고정됨으로써 추가적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생기는 П자 형태의 꺽쇠 모양으로 이루어진 지지대가 구비되고 배플판은 케이스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하게 위치한 3개 이상의 지점에서 케이스와 단단하게 연결되어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효율적이다.
본체는 서로 정반대로 위치한 2개 점에서 패스너(이음쇠)에 의하여 케이스와 단단히 결합되고, 발생기가 지지대에 맞대어 회전되도록 본체가 지지대에 추가로 고정됨으로써 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 기류의 방향을 계획대로 보장할 수 있다.
이때 발생기가 지지대에 대해 다양한 각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스와 지지대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한 구조 중 하나는 본체 커버를 이음새 없이 연결하는 것, 예를 들어 비딩(beading)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는, 밀폐율이 낮은 공간에서 소화 효율, 가스에어로졸 온도 및 소화에어로졸 공급강도 지표의 최적의 조합을 갖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에어로졸 발생기에 의하면, 에어로졸 조성제 질량 대비 화학 냉각제 분량을 감소시키고, 추진 계수 증가와 동시에 추진류 혼합량을 구조적으로 감소함으로써(동축 배치 및 베플판 구비) 발생기 배출구의 에어로졸 혼합물 온도 하락을 가능하게 하며, 에어로졸 조성제가 전체 표면에서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위쪽 뿐만 아니라 아래쪽 위치에서의 에어로졸 공급강도를 강화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생기의 단면의 전체적인 모습이 도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2에는 본체, 케이스 및 지지대 고정부분이 도식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도 3에는 본체, 배플판 및 케이스의 고정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발생기의 구조는 커버(2)를 포함하는 본체(1) 및 구멍 뚫린 밑면(3)으로 되어있다. 본체(1)는 케이스(4)와 동축으로 고정되고 보호공간으로부터 유도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환상 공기갭(5)을 형성한다. 본체(1)와 케이스(4) 사이에 혼합실(6)이 형성된다.
본체(1) 커버(2)에는 액티베이터(7)를 구비한다. 본체(1) 내부에 발화장치(8)를 두고 이와 평행하게 냉각층(9)을 설치하는데, 이때 발화장치 측면(8)과 본체(1) 사이 및 발화장치 끝면(8)과 냉각층(9) 사이에 빈 공간 형태의 연소실(10)이 형성된다.
본체(1) 밑면(3) 아래 배플판(11)이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추진 에어로졸실(12)이 형성된다. 배플판(11)은 예를 들어 접시형태의 모양으로 제작되어 본체(1) 측면과 부분적으로 겹쳐지고 추진 에어로졸을 혼합실(6)로 방출하기 위한 환형 배출구(13)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1), 커버(1) 및 배플판(11)의 내면에 단열판(14)을 만들 수 있다.
구멍난 밑면(3)과 역시 구멍난 면(3) 사이에 구비된 냉각층(9)과 발화장치(8)는 압착 스프링(15) 및 스페이서(16)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발생기는 지지대(17)에 고정될 수 있다(도 2 참조).
배플판(11)은 본체(1) 및 케이스(4)에 고정되는데,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한 3개 점에서 볼트(18)로 고정된다(도 3 참조). 본체(1)와 케이스(4)는 발생기가 지지대(17)에 맞대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대(17)에 볼트 연결(19)로 고정된다. 패스너(이음쇠, 20)는 발생기가 지지대(17) 및 연소 발생지에 대해 필요한 각도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발생기(도 1)는 본체(1), 커버(2) 및 구멍 뚫린 밑면(3)을 포함한다. 본체(1)는 환상 공기갭(5)을 형성하며 케이스(4)와 동축으로 고정된다. 본체(1)와 케이스(4) 간에 혼합실(6)이 형성된다.
전기 액티베이터(7)에 전기 임펄스 공급시 에어로졸 조성제(8)의 점화가 이루어지고 연소실(10)은 equilibrium composition에 가까운 연소물질을 얻게 된다. 냉각층(9)을 통과한 연소물질은 배플판(11)과의 상호작용 후 추진 에어로졸 실(12)로 이동하고, 상기 실의 주어진 압력수준은 환형노즐(13)의 횡단면적의 일정한 크기에 의하여 보장된다. 환상 공기갭(5)을 통해 외부공기의 추진이 이루어지고 혼합실(6)에서 외부 공기와 에어로졸이 혼합된다. 이때 혼합실의 길이는 발생기 크기와 혼합실 배출구, 즉 발생기 배출구 온도간의 최적의 상관관계에 입각하여 결정된다.
실험과정에서 연소실 압력과 에어로졸 기류의 길이에 따른 온도 측정이 이루어졌는데 각 섹션마다 Chromel-Copel 식의 3개 열전대를 설치하여 이루어졌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나있다.
Figure 112011075840235-pat00001
발생기의 강도특성에 의거한 발생기의 허용압력수준(P)은 1.5atm 미만이다.
배출구 기류온도(T℃)는 안전규칙에 의하여 280-29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표의 기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 - 연소실 압력;
F1 - 추진 에어로졸의 환형노즐(13)의 단면적;
F2 - 유도 가스의 단면적;
Mзар. - 에어로졸조성제의 질량;
Mохл. - 냉각제 질량;
I - 에어로졸 기류 공급강도;
T - 발생기 배출구의 가스에어로졸 기류 온도
상/하 발생지 소화 - 에어로졸 기류가 위쪽 또는 아래쪽 위치에서 발생지에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을 포함하는 실시예(실시예 1-5)의 경우 모든 지표에 따라 언급된 기술적 결과가 달성되었음이 증명되었다.
언급된 주요특징 파라미터(실시예 6-10)에서 이탈하는 경우 기술적 결과의 달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즉, 실시예 6, 8, 10의 경우, 아래쪽 위치에서의 소화를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소화는 보장하나 본체의 압력이 위험하게 높거나(실시예 7), 발생기 배출구 기류의 온도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높은 상태(실시예 9)를 나타내었다.
또한, 프로토타입의 장치 또한 여기에서 제안하는 발생기와 같은 조건에서 실험이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프로토타입의 장치는 밀폐율 0.012 하에서 아래쪽으로부터(바닥으로부터) 에어로졸 기류가 공급되는 경우 소화를 보장하지 못한다.
상기 기술된 자료는 본 발명의 장치가 현행법에 따른 모든 안전성에 부합되고 명시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임을 증명한다.

Claims (12)

  1.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케이스 측벽에 혼합실을 형성하고,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고,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며,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밑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본체 둘레에 추진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으로 그 사이에 추가로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장치되고, 추진 에어로졸 실은 본체 밑면과 배플판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은 구멍이 뚫리도록 구성하되;
    상기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구의 단면적과 발화장치 최초면적의 상관비율은 0.014-0.025의 범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2. 삭제
  3. 삭제
  4.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케이스 측벽에 혼합실을 형성하고,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고,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며,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밑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본체 둘레에 추진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으로 그 사이에 추가로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장치되고, 추진 에어로졸 실은 본체 밑면과 배플판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은 구멍이 뚫리도록 구성하되;
    냉각층으로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 탄산염을 베이스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5.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케이스 측벽에 혼합실을 형성하고,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고,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며,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밑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본체 둘레에 추진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으로 그 사이에 추가로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장치되고, 추진 에어로졸 실은 본체 밑면과 배플판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은 구멍이 뚫리도록 구성하되;
    본체와 배플판의 내면이 단열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단열재로 실리콘 주입 금속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7.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케이스 측벽에 혼합실을 형성하고,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고,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며,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밑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본체 둘레에 추진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으로 그 사이에 추가로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장치되고, 추진 에어로졸 실은 본체 밑면과 배플판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은 구멍이 뚫리도록 구성하되;
    발화장치와 냉각층이 보완 스프링 및 스페이서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8.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케이스 측벽에 혼합실을 형성하고,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고,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며,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밑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본체 둘레에 추진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으로 그 사이에 추가로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장치되고, 추진 에어로졸 실은 본체 밑면과 배플판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은 구멍이 뚫리도록 구성하되;
    П자 형태의 꺽쇠 모양으로 이루어진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9.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케이스 측벽에 혼합실을 형성하고,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고,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며,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밑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본체 둘레에 추진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으로 그 사이에 추가로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장치되고, 추진 에어로졸 실은 본체 밑면과 배플판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은 구멍이 뚫리도록 구성하되;
    배플판은 케이스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하게 위치한 3개 이상의 지점에서 케이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10.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케이스 측벽에 혼합실을 형성하고,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고,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며,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밑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본체 둘레에 추진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으로 그 사이에 추가로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장치되고, 추진 에어로졸 실은 본체 밑면과 배플판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은 구멍이 뚫리도록 구성하되;
    본체가 서로 정반대로 위치한 2개 점에서 패스너에 의하여 케이스와 결합되고, 발생기가 지지대에 맞대어 회전되도록 패스너 결합부분에서 본체가 지지대에 추가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발생기가 지지대에 대해 다양한 각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스와 지지대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12.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유도공기를 위한 환상 공기갭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케이스 및 커버와 밑면을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로서, 케이스 측벽에 혼합실을 형성하고, 액티베이터 및 추진 에어로졸실 형성을 보장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발화장치와 본체 내부의 에어로졸 냉각층을 포함하고, 소화대상물에 대한 에어로졸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며, 실린더형 케이스 및 본체가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고, 발생기에 추가로 구비되는 배플판은 밑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본체의 측면과 겹쳐지고 본체 둘레에 추진 에어로졸 방출을 위한 환상 노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에어로졸 냉각층은 발화장치와 평행으로 그 사이에 추가로 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장치되고, 추진 에어로졸 실은 본체 밑면과 배플판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은 구멍이 뚫리도록 구성하되;
    커버가 본체와 이음새 없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KR1020110098403A 2011-09-28 2011-09-28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KR10128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03A KR101287845B1 (ko) 2011-09-28 2011-09-28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03A KR101287845B1 (ko) 2011-09-28 2011-09-28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16A KR20130034416A (ko) 2013-04-05
KR101287845B1 true KR101287845B1 (ko) 2013-07-18

Family

ID=4843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403A KR101287845B1 (ko) 2011-09-28 2011-09-28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8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98B1 (ko) * 2006-11-07 2009-12-16 고려화공 주식회사 소화에어로졸 발생기
KR101018268B1 (ko) * 2007-10-17 2011-03-04 "에포토스-인테프" 씨오. 엘티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98B1 (ko) * 2006-11-07 2009-12-16 고려화공 주식회사 소화에어로졸 발생기
KR101018268B1 (ko) * 2007-10-17 2011-03-04 "에포토스-인테프" 씨오. 엘티디. 소화에어로졸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16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0951B2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KR101562715B1 (ko) 신규 소화 방법
JP5350952B2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CN104797303B (zh) 通过化学抑制减轻蒸气云爆炸
KR101287845B1 (ko) 소화 에어로졸 발생기
RU66207U1 (ru) Генератор аэрозоля
RU2422178C1 (ru) Генератор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KR200452293Y1 (ko)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KR102314289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수소폭발 방지를 제공하는 방법
RU77166U1 (ru) Генератор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RU2483771C1 (ru) Метательное огнетуша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577772C1 (ru) Ручной генератор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RU76234U1 (ru) Безкорпусной генератор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RU1484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RU21648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ъемного аэрозольного тушения пожара
RU2485988C1 (ru) Модуль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144062U1 (ru) Автономное сред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112636U1 (ru) Генератор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RU2602484C1 (ru) Генератор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RU2471522C1 (ru) Генератор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RU21403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ъемного аэрозольного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RU2030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тушения пожара
RU211890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ъемного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RU25069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тушения пожара
RU2323757C1 (ru) Генератор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