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040B1 -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040B1
KR101286040B1 KR1020120107236A KR20120107236A KR101286040B1 KR 101286040 B1 KR101286040 B1 KR 101286040B1 KR 1020120107236 A KR1020120107236 A KR 1020120107236A KR 20120107236 A KR20120107236 A KR 20120107236A KR 101286040 B1 KR101286040 B1 KR 10128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toilet seat
plate
bu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144A (ko
Inventor
한치영
Original Assignee
(주)휴먼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케어 filed Critical (주)휴먼케어
Priority to KR102012010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0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형 좌변기의 물통에 직접 부착됨으로써 등받이 날개와 좌변기 시트 후단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등받이 날개의 각도가 좌변기에서 둔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증진시킨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는 인체의 좌측 및 우측의 허리와 등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등받이 날개; 상기 등받이 날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을 지지한 채로 좌변기 물통에 부착되는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수직 방향으로 곧추서서 물통에 직접 접촉되어 부착되는 물통 부착판 및 상기 물통 부착판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판스프링을 좌변기 시트면에 대해 둔각(θ)으로 각도조절 및 거리조절후 고정하는 스프링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통 부착판은 등받이 지지체가 좌변기의 좌대에 직접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펼쳐진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물통 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A back device of chair in a toilet}
본 발명은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통에 저장된 물을 용수로 사용하는 물통형 좌변기에 적용되어 안정성과 편리함을 향상시킨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특히 장애인 화장실 좌변기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등을 받쳐주는, 디귿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평 부위가 쿠션 재질로 에워싸인 수평 바(bar) 형태의 등받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수평 바 형태의 등받이는 사용자가 등을 수평의 직선으로만 지지하기 때문에 등받이에 기댈 때 충격이 그대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쿠션감이 적고 등받이 설치 위치에 따른 거리 차이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된 등받이가 제안되어 있는바, 도 1은 종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등받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는 인체의 좌측 및 우측의 허리와 등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등받이 날개(100)가 파이프(110)에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에 따르면, 등받이 날개(100)가 좌변기 후방 벽면에 고정되어 등받이 날개(100)를 지지하는 디귿자형 파이프(110)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하게 등을 받혀주는 역할만 가능할 뿐 용변 중에 등을 편안하게 감싸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겨울철이나 추운 날씨에 사용할 때 차갑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좌변기는 크게 물통에 저장된 물을 용수로 사용하는 물통형 좌변기와 물통을 채택함이 없이 수도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물을 용수로 사용하는 직수형 좌변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물통형 좌변기는 수돗물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반면에 직수형 좌변기는 수돗물 수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물통형 좌변기의 경우에 물통의 두께(depth)가 20 ~ 30㎝의 범위 내에서 제각각이고 또한 좌변기(물통)와 후방 벽면 간의 거리가 화장실마다 다르기 때문에 종래 각각의 화장실에 적합한 등받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물통의 크기 및 물통과 후방 벽면 사이의 거리에 맞추어 디귿자형 파이프의 깊이(길이)를 주문제작 해야 했고, 이에 따라 설치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2012년 특허출원 제27880호(출원일: 2012. 03. 19)로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를 제안한바 있다.
도 3은 선행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판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등받이 장치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선행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는 각각 좌측 및 우측 등과 허리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등받이 날개(205), 등받이 날개(205)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등받이(200)에 기댈 때 충격을 흡수하는 판스프링(300) 및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기를 공급해주는 전원부(215)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한 쌍의 등받이 날개(205)는 외피로 기능하며 충격을 흡수하고 보온성을 겸비한 합성수지(예를 들어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소재)의 완충제(240), 등받이 날개(205)의 내측에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기능을 수행하는 필름히터(230), 등받이 날개(205)의 하부에 위치하여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부(215) 및 등받이 날개(20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용 전선(220)이 삽입되는 커넥터(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넥터(210)는 제 1 커넥터(212)와 제 2 커넥터(214)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등받이 날개(205)의 하부에 한 개 이상(본 실시예에서는 2개)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212)는 내부에 삽입된 필름히터(230)의 하나의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전원부(215)와 결합하여 하나의 등받이 날개(205)에 전기를 공급한다. 제 2 커넥터(214)는 내부에 삽입된 필름히터(230)의 나머지 하나의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양 단에 암 또는 수 커넥터(미도시)로 이루어진 연결용 전선(220)과 결합하여 전원부(215)와 결합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등받이 날개(205)에 전기를 공급한다.
등받이 날개(205)의 내부 적소, 예를 들어 커넥터(210)의 인접 위치에는 내장된 필름히터(230)가 기준 온도를 초과할 때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써모스탯(235)이 포함될 수 있다.
판스프링(300)은 양 날개를 가진 나비 넥타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양 날개 부위에는 등받이 날개(205)의 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등받이 결합공(320)이 천공되고 그 중심 부위에는 지지대와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지지대 결합공(340)이 천공되어 있다. 판스프링(300)은 또한 양 날개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며 전후로 탄성 복원되도록 성형됨으로써 사용자가 판스프링(300)에 결합된 등받이 날개(205)에 기댔을 때 사용자의 등과 허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등받이 지지대는 지지파이프(400)와 지지고정구(410)로 이루어진다. 지지파이프(400)는 지지하는 등받이(200)가 전면을 향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성형되는데, 그 양단부에는 외주연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홀(425)이 천공되어 있다.
다음으로, 화장실 벽에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고정구(410)는 지지 파이프(400)의 양 단을 지지하여 고정하는데, 그 선단에는 외주연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거리 조절홀(427)이 간격을 두고 천공되어 있다.
지지파이프(400)의 고정홀(425)은 지지고정구(410)에 천공되어 있는 복수의 거리 조절홀(427)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나사 등에 의해 결합 되는데, 이로써 거리조절 공간(430)에 위치하는 물통의 크기에 맞춰 등받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거리조절 공간(430) 안에 위치하는 변기위치나 물통의 깊이에 따라 거리조절부(420)를 조절하여 등받이를 안정감 있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물통형 좌변기의 경우에 좌변기 시트의 후단에서 물통까지의 거리가 대략 10㎝ 내외이고, 지지파이프는 대략 3㎝의 직경을 갖는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데, 지지파이프(400)에 판스프링(300)과 등받이 날개(205)를 설치하는 경우에 지지파이프(400)가 물통 앞을 가로지르게 되고, 등받이 날개(205)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등의 간섭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등받이 날개(205)가 물통으로부터 앞으로 많이 돌출된다. 결과적으로 선행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좌변기 시트에 앉을 경우에 허리가 앞으로 숙여지거나 앉는 부분이 앞쪽으로 많이 밀려나게 되어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척추와 하체 등이 불편한 장애인의 편의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설치된 좌변기용 등받이가 되레 장애인에게 불편을 주는 상황이 전개되어 장애인이 철거를 요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에 따르면, 등받이가 디귿자형 파이프에 직각으로 설치되는데, 사람이 좌변기 시트에 앉아 있을 경우 엉덩이와 허리에 비하여 허리로부터 상부, 특히 가슴 뒤쪽 날개뼈 쪽이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더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등받이가 수직으로 곧추선 경우에 인체의 특성상 몸의 상부가 앞쪽으로 밀리면서 쏠리게 되어 자연스럽지 못한(불편한)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척추 장애인이나 하지 장애인 등에게 더욱 심하게 나타나서 장애인이 용변을 보다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쓰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통형 좌변기의 물통에 직접 부착됨으로써 등받이 날개와 좌변기 시트 후단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등받이 날개의 각도가 좌변기에서 둔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증진시킨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는 인체의 좌측 및 우측의 허리와 등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등받이 날개; 상기 등받이 날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을 지지한 채로 좌변기 물통에 부착되는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수직 방향으로 곧추서서 물통에 직접 접촉되어 부착되는 물통 부착판 및 상기 물통 부착판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판스프링을 좌변기 시트면에 대해 둔각(θ)으로 고정하는 스프링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통 부착판은 등받이 지지체가 좌변기의 좌대에 직접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펼쳐진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물통 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지지판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고정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스프링 지지판에 나사 결합할 때 작업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물통 부착판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상단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하부와 상기 물통 부착판을 연결하여 상기 스프링 지지판을 상기 물통 부착판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하단 수평 연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인체의 좌측 및 우측의 허리와 등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등받이 날개; 상기 등받이 날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을 지지한 채로 좌변기의 후방 벽면에 부착되는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좌변기 후방 벽면에 고정되는 물통 고정판 및 상기 물통 고정판에 대해 거리 조절 또는 등받이 날개의 젖혀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판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제 2 특징에서, 상기 스프링 지지판은 상기 판스프링에 나사 결합되는 스프링 부착판, 상기 스프링 부착판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후방으로 수평 연장된 상단 수평 연장판과 하단 수평 연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 부착판에는 좌변기 시트면에 대한 상기 등받이 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상기 상단 수평 연장판과 상기 하단 수평 연장판에는 전후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통 고정판은 물통에 부착되는 물통 부착판, 상기 물통 부착판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상단 수평 연장판 및 하단 수평 연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통 고정판의 상기 상단 수평 연장판 및 상기 하단 수평 연장판에는 전후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 2 특징에서, 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두께는 상기 물통 고정판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특징 및 제 2 특징에 따른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에 사용되는 등받이 지지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에 따르면, 물통형 좌변기의 물통에 직접 부착됨으로써 등받이 날개와 좌변기 시트 후단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등받이 날개의 각도가 좌변기에서 둔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증진된다.
또한 좌변기와 좌변기 후방 벽면과의 거리가 가까운 화장실에 손쉽게 설치되어 등받이 날개의 높이, 각도 또는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판스프링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등받이 장치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등받이 지지체를 보인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12의 구조에 따른 등받이의 거리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수행한 결과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인바,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는 좌변기의 물통에 직접 부착되는데 크게 등받이 날개(205), 판스프링(300) 및 판스프링(300)을 지지한 채로 물통에 부착되는 등받이 지지체(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등받이 지지체(500)는 수직 방향으로 곧추서서 물통에 직접 접촉되어 부착되는 물통 부착판(510) 및 물통 부착판(510)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즉 등받이 날개(205), 즉 판스프링(300)을 좌변기 시트면에 대해 둔각(θ), 예를 들어 5 ~ 15˚정도 젖혀진 상태로 고정하는 스프링 지지판(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통 부착판(510)은 다시 등받이 지지체(500)가 좌변기의 좌대(좌변기 시트가 아니라 도기)의 후단에 직접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펼쳐진 복수의 다리부(502)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물통 부착부(5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프링 지지판(520)에는 판스프링(300)의 고정 높이, 즉 등받이 날개(205)의 고정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 결합공(525)이 상하로 형성,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씩 세 쌍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5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300)을 스프링 지지판(520)에 나사 결합할 때 작업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물통 부착판(510)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상단 수평 연장부를 나타내고, 540은 스프링 지지판(520)의 하단과 물통 부착판(510)을 연결하여 스프링 지지판(520)을 물통 부착판(51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하단 수평 연장부를 나타내는바, 스프링 지지판(520)이 좌변기 시트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기 때문에 하단 수평 연장부(540)는 당연히 상단 수평 연장부(530)보다 큰 길이를 가질 것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325는 등받이 날개(205)를 판스프링(300)에 고정하는 볼트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550은 물통 부착판(510), 즉 등받이 지지체(500)를 물통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와 도기용 접착제를 나타내는바, 이러한 양면 테이프(550)와 도기용 접착제 대신에 도기용 시멘트를 사용하여 등받이 지지체(500)를 물통에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등받이 지지체(500)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가공하고 성형하여 일체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등받이 지지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12의 구조에 따른 등받이의 거리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수행한 결과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의 등받이 지지체(500')는 젖혀짐 각도, 좌변기 시트면에서의 높이 및 좌변기 물통으로부터의 거리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크게 좌변기 물통에 고정되는 물통 고정판(570) 및 물통 고정판(570)에 대해 거리 조절 또는 등받이 날개의 젖혀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판스프링(300)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판(5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스프링 지지판(560)은 다시 판스프링(300)에 나사 결합되는 스프링 부착판(562), 스프링 부착판(562)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수평 연장된 상단 수평 연장판(564)과 하단 수평 연장판(56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스프링 부착판(562)은 소정 각도, 예를 들어 수직선을 기준으로 10°정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착판(562)에는 좌변기 시트면에 대한 등받이 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562a)이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좌우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판(560)의 상단 수평 연장판(564)과 하단 수평 연장판(566)에는 전후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564a),(566a)이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좌우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물통 고정판(570)은 물통에 부착되는 물통 부착판(572), 물통 부착판(572)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상단 수평 연장판(574) 및 하단 수평 연장판(5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통 부착판(572)은 수직면을 가지는바, 그 후면에는 양면 테이프(580)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물통 고정판(570)의 상단 수평 연장판(574) 및 하단 수평 연장판(576)에도 역시 전후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574a),(576a)이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좌우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 지지판(560)의 두께는 등받이 날개의 젖혀짐 각도 조절시 휘어질 수 있을 정도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반면에 물통 고정판(570)의 두께는 스프링 지지판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판(560)을 물통 고정판(570)에 대해 원하는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등받이 날개와 좌변기 물통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판(560)을 물통 고정판(570)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스프링 지지판(560)의 상단 수평 연장판(564)과 하단 수평 연장판(566)의 물통 고정판(670)에의 중첩 길이를 다르게 하여 나사 결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등받이 날개와 좌변기 물통 사이의 젖혀짐 각도까지도 조절할 수가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장치는 물통형 좌변기뿐만 아니라 좌변기와 좌변기 후방 벽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직수형 좌변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복수의 나사 결합공들 대신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의 장공을 채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205: 등받이 날개, 300: 판스프링,
500, 500': 등받이 지지체, 510: 물통 부착판,
512: 다리부, 514: 물통 부착부,
520: 스프링 지지판, 525: 나사 결합공,
530: 상단 수평 연장부, 540: 하단 수평 연장부,
550: 양면 테이프,
560: 스프링 지지판, 562: 스프링 부착판,
564: 상단 수평 연장판, 566: 하단 수평 연장판,
570: 물통 고정판, 572: 물통 부착판,
574: 상단 수평 연장판, 576: 하단 수평 연장판

Claims (11)

  1. 삭제
  2. 인체의 좌측 및 우측의 허리와 등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등받이 날개;
    상기 등받이 날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을 지지한 채로 좌변기 물통에 부착되는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수직 방향으로 곧추서서 물통에 직접 접촉되어 부착되는 물통 부착판 및 상기 물통 부착판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판스프링을 좌변기 시트면에 대해 둔각(θ)으로 고정하는 스프링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부착판은 등받이 지지체가 좌변기의 좌대에 직접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펼쳐진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물통 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판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고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상기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물통 부착판을 연결하여 상기 스프링 지지판을 상기 물통 부착판에 견고하게 고정하며, 거리조절을 위한 상단 및 하단 수평 연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6. 인체의 좌측 및 우측의 허리와 등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등받이 날개;
    상기 등받이 날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을 지지한 채로 좌변기 물통에 부착되는 등받이 지지체 및
    상기 등받이 날개의 젖혀짐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는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날개와 좌변기 물통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8. 인체의 좌측 및 우측의 허리와 등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등받이 날개;
    상기 등받이 날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을 지지한 채로 좌변기의 후방 벽면에 부착되는 등받이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 지지체는 좌변기 후방 벽면에 고정되는 물통 고정판 및 상기 물통 고정판에 대해 거리 조절 또는 등받이 날개의 젖혀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판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판은 상기 판스프링에 나사 결합되는 스프링 부착판, 상기 스프링 부착판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후방으로 수평 연장된 상단 수평 연장판과 하단 수평 연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 부착판에는 좌변기 시트면에 대한 상기 등받이 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상기 상단 수평 연장판과 상기 하단 수평 연장판에는 전후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통 고정판은 물통에 부착되는 물통 부착판, 상기 물통 부착판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상단 수평 연장판 및 하단 수평 연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통 고정판의 상기 상단 수평 연장판 및 상기 하단 수평 연장판에는 전후로 복수의 나사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두께는 상기 물통 고정판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에 사용되는 등받이 지지체.
KR1020120107236A 2012-09-26 2012-09-26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KR10128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36A KR101286040B1 (ko) 2012-09-26 2012-09-26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36A KR101286040B1 (ko) 2012-09-26 2012-09-26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144A KR20130038144A (ko) 2013-04-17
KR101286040B1 true KR101286040B1 (ko) 2013-07-19

Family

ID=4843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236A KR101286040B1 (ko) 2012-09-26 2012-09-26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0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391A (ja) * 1995-10-11 1997-04-22 Kojiro Ito 水洗便器の便座
JP2002172073A (ja) * 2000-12-06 2002-06-18 Om Kiki Corp 洋式腰掛便器用背もたれ装置
KR20050046953A (ko) * 2003-11-15 2005-05-19 주식회사 대신사무용가구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20090082162A (ko) * 2009-02-12 2009-07-29 김면식 복합 탄력 지지 허리받이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391A (ja) * 1995-10-11 1997-04-22 Kojiro Ito 水洗便器の便座
JP2002172073A (ja) * 2000-12-06 2002-06-18 Om Kiki Corp 洋式腰掛便器用背もたれ装置
KR20050046953A (ko) * 2003-11-15 2005-05-19 주식회사 대신사무용가구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20090082162A (ko) * 2009-02-12 2009-07-29 김면식 복합 탄력 지지 허리받이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144A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238B1 (ko)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DK1872689T3 (da) Stol med automatisk regulerbar lumbar støtte
KR101286040B1 (ko)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CN204654299U (zh) 一种电脑椅
CN210611575U (zh) 一种预防缓解颈椎病电脑病的电脑椅
KR101641892B1 (ko) 등받이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장애인 양변기용 등받이 장치
WO2022126994A1 (zh) 一种具有良好支撑效果的座椅靠背
JP4340508B2 (ja) シャワーユニット付き椅子
KR10160583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CN2920009Y (zh) 可调式电脑椅
CN203724447U (zh) 一种坐浴椅
CN202504774U (zh) 一种能转变为躺椅的椅子
CN109846244A (zh) 多功能办公椅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CN215820306U (zh) 一种舒适型的办公椅
CN209826464U (zh) 一种具有回弹扶手的洗澡间用辅助座椅
CN208129820U (zh) 一种新型环保藤编家具
CN214433070U (zh) 一种舒适座椅
CN218832606U (zh) 增强型亚克力耐磨浴缸
CN212972342U (zh) 一种调节高度的休闲椅
CN209252148U (zh) 一种悬挂在水池边管上的便携式坐椅
CN208228694U (zh) 一种多功能椅子
KR20120001290A (ko) 허리와 어깨 통증 방지 싱크대 보조구
CN205814037U (zh) 勾挂装置及含有其的靠枕系统
KR20110024988A (ko) 좌판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좌식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