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647B1 -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647B1
KR101285647B1 KR1020120020914A KR20120020914A KR101285647B1 KR 101285647 B1 KR101285647 B1 KR 101285647B1 KR 1020120020914 A KR1020120020914 A KR 1020120020914A KR 20120020914 A KR20120020914 A KR 20120020914A KR 101285647 B1 KR101285647 B1 KR 10128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data
signal
charge
sens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엘아이
Priority to KR102012002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4Modifications for compensating variations of physical values, e.g.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는 게이팅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전송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아날로그 성분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라인; 상기 센싱 라인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는 데이터 판독 유닛; 및 상기 게이팅 신호의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센싱 라인의 커플링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게이팅 신호에 상응하는 타이밍으로 동작하는 전하 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 라인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동되는 노이즈 보상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데이터 전송 시에 센싱 라인에 발생될 수 있는 커플링 노이즈가 노이즈 보상 유닛에 의하여 보상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 의하면,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판독 능력이 향상되어 데이터 판독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에서도,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판독 능력이 향상되며, 그 결과, 전체적인 판독 속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Data Read Out Circuit with compensating Noise in sensing line and Data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 판독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여 데이터의 판독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판독 회로는 아날로그 성분의 데이터를 감지하여 디지털 성분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회로로서, 터치 감지 시스템, 이미지 스캐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의 종래의 데이터 판독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판독 회로(PROT)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의 제어 패널(CONPAN) 등으로부터 센싱 라인(LSEN)을 통하여, 제공되는 아날로그 성분의 센싱 데이터(ADAT)를 수신한다. 예로서, 게이팅 신호(GN)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 패널(CONPAN)에서 특정되는 감지 소자(DSEN)의 전송 트랜지스터(TG)가 게이팅되며, 센싱 셀(SNS)의 센싱 데이터(ADAT)가 센싱 라인(LSEN)에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 라인(LSEN)에 수신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ADAT)에 따른 전하가 전하 집적부(10)에 의하여 집적되며, 집적된 전하에 따른 전압 레벨이 전하 집적 라인(LCA)에 발생된다.
이후, 샘플링 홀딩 신호(SAH)에 따라,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의 전압 레벨이 전하 측정부(20)에 의하여 감지되며, 이에 따른 디지털 성분의 디지털 데이터(DDAT)가 발생된다.
그런데, 전송 트랜지스터(TG)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TG)의 게이트 단자와 접속 사이에는, 기생 캐패시턴스(CGS, CGD)가 비의도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싱 라인(LSEN)에는, 상기 게이팅 신호(GN)에 의한 커플링 노이즈가 발생된다.
그 결과, 종래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데이터의 판독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참고로, 도 1에서, 참조부호 CGS 및 CGD는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GN)의 게이트 단자와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GN)의 접속단자 사이에 발생되는 기생 캐패시턴스를 모델링한 것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RST'는, 리셋 구간에서, 상기 센싱 라인(LSEN)과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가 기준 전압(VREF)으로 리셋시키는 '리셋 신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여 데이터의 판독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데이터 판독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는 게이팅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전송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아날로그 성분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라인; 상기 센싱 라인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출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데이터 판독 유닛; 및 상기 게이팅 신호의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센싱 라인의 커플링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하여, 전하 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 라인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동되는 노이즈 보상 유닛으로서, 상기 전하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팅 신호에 상응하는 타이밍으로 동작하는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은 일단자가 상기 센싱 라인에 커플링되고, 다른 일단자에는 드라이빙 신호가 인가되는 전하 보상 캐패시터로서, 상기 드라이빙 신호는 상기 전하 보상 신호에 따른 논리상태를 가지되, 상기 게이팅 신호에 대하여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데이터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감지 시스템은 게이트 라인들과 센싱 라인들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감지 소자들을 포함하는 제어 패널로서, 상기 감지 소자들 각각은 전송 트랜지스터 및 센싱 셀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특정하여 구동하는 게이팅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어, 상기 센싱 셀의 데이터를 대응하는 상기 센싱 라인에 센싱 데이터로 제공하되, 상기 센싱 데이터는 외부의 지정 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제어 패널; 상기 게이팅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블락; 및 대응하는 상기 센싱 라인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판독 블락으로서, 상기 데이터 판독 회로는 상기 게이팅 신호의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센싱 라인의 커플링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게이팅 신호에 상응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센싱 라인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동되는 상기 데이터 판독 블락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데이터 전송 시에 센싱 라인에 발생될 수 있는 커플링 노이즈가 노이즈 보상 유닛에 의하여 보상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 의하면,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판독 능력이 향상되어 데이터 판독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에서도,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판독 능력이 향상되며, 그 결과, 전체적인 판독 속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의 종래의 데이터 판독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판독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의 노이즈 보상 유닛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판독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가 이용될 수 있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의 제어 패널(CONPAN)의 일부가 함께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NROT)는 센싱 라인(LSEN), 데이터 판독 유닛(100) 및 노이즈 보상 유닛(200)을 구비한다.
상기 센싱 라인(LSEN)은, 예로서, 데이터 감지 시스템의 제어 패널(CONPAN)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성분의 센싱 데이터(ADAT)를 수신한다. 자세히 기술하자면, 상기 제어 패널(CONPAN)에서 특정되는 감지 소자(DSEN)의 게이팅 신호(GN)가 활성화되면, 상기 감지 소자(DSEN)의 전송 트랜지스터(TG)가 게이팅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 소자(DESN)의 센싱 셀(SNS)의 상기 센싱 데이터(ADAT)가 센싱 라인(LSEN)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TG)의 게이트 단자와 접속 사이에 형성되는 비의도적인 기생 캐패시턴스(CGS, CGD)에 의하여, 상기 게이팅 신호(GN)의 동작에 따라 커플링 노이즈가 상기 센싱 라인(LSEN)에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판독 유닛(100)은 상기 센싱 라인(LSEN)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ADAT)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디지털 성분의 출력 데이터(DDAT)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판독 유닛(100)은 구체적으로 전하 집적부(110) 및 전하 측정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전하 집적부(110)는 상기 센싱 라인(LSEN)과 전하 집적 라인(LCA)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라인(LSEN)에 수신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ADAT)에 따른 전압을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에 발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하 집적부(110)는 축전 캐패시터(111), 리셋 스위치(113) 및 증폭기(115)을 구비한다.
상기 축전 캐패시터(111)는 상기 센싱 라인(LSEN)과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리셋 스위치(113)는 리셋 구간(P_RS, 도 4 참조) 동안에 활성화되는 상기 리셋 신호(RST)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라인(LSEN)과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동된다. 이때, 상기 센싱 라인(LSEN)과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은 기준 전압(VREF)으로 리셋된다.
상기 증폭기(115)는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의 전압으로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증폭기(115)는 반전 입력단(-)에 상기 센싱 라인(LSEN)이 인가되고, 비반전 입력단(+)에 상기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며, 출력단이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이 연결되는 연산 증폭기이다.
상기 전하 측정부(120)는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의 전압을 측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하 측정부(120)는 샘플링 홀딩 신호(SAH)에 응답하여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의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DDIG)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200)은 상기 게이팅 신호(GN)의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커플링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게이팅 신호(GN)에 상응하는 타이밍으로 동작하는 전하 보상 신호(XSQ)에 따라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전하 보상 신호(XSQ)는 상기 게이팅 신호(GN)와 동일한 타이밍 및 위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200)에 의하여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커플링 노이즈가 보상될 수 있음을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팅 신호(GN)가 "L"에서 "H"로 천이하는 타이밍에서는,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전압이 상기 게이팅 신호(GN)와의 커플링 노이즈에 의하여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200)은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전압을 하강시키도록 제어되어, 상기 게이팅 신호(GN)와의 커플링 노이즈에 의한 전압의 상승을 완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게이팅 신호(GN)가 "H"에서 "L"로 천이하는 타이밍에서는,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전압이 상기 게이팅 신호(GN)와의 커플링 노이즈에 의하여 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200)은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제어되어, 상기 게이팅 신호(GN)와의 커플링 노이즈에 의한 전압의 하강을 완화시킨다.
도 3a는 도 2의 노이즈 보상 유닛(200)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200)은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 및 드라이빙 수단(210)을 구비한다.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는 일단자가 상기 센싱 라인(LSEN)에 커플링되고, 다른 일단자에는 상기 전하 보상 신호(XSQ)의 동작에 따른 전압 레벨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빙 수단(210)은 드라이빙 신호(XDR)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하 보상 신호(XSQ)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드라이빙 신호(XDR)는 상기 전하 보상 신호(XSQ)에 따른 논리상태를 가지되, 상기 게이팅 신호(GN)에 대하여 반대의 위상을 가지며,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의 다른 일단자에 인가된다.
도 3a에서, 상기 드라이빙 수단(210)은 인버터(21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인버터(211)는 상기 전하 보상 신호(XSQ)를 반전시켜 상기 드라이빙 신호(XDR)로 제공한다.
도 3a와 같이,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 및 상기 드라이빙 수단(210)을 구비하는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200)에 의하여, 상기 게이팅 신호(GN)의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커플링 노이즈가 보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라인(LSEN)에 발생되는 커플링 노이즈의 전송은,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자체 저항 및 기생 캐패시턴스에 의하여,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지연을 고려하여,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200)은 보상 조절 수단(23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이즈 조절 수단(230)은 상기 센싱 라인(LSEN)과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의 일단자 사이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노이즈 조절 수단(230)은 조절 캐패시터(231) 및 조절 저항(233)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조절 캐패시터(231)는 일단자가 상기 센싱 라인(LSEN)에 접속되며, 다른 일단자는 접지전압(VSS)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 저항(233)은 상기 센싱 라인(LSEN)과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의 일단자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노이즈 조절 수단(230)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판독 유닛(100)의 입력단에서 상기 커플링 노이즈가 적절히 보상될 수 있다.
도 3b는 도 2의 노이즈 보상 유닛(200)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200)은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 및 드라이빙 수단(210')을 구비하며, 보상 조절 수단(230)을 더 구비한다.
도 3b의 노이즈 보상 유닛(200)의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 및 보상 조절 수단(230)은 도 3a의 노이즈 보상 유닛(200)과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 및 보상 조절 수단(230)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도 3b의 드라이빙 수단(210')은 도 3a의 드라이빙 수단(210)과 약간의 차이점을 지닌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도 3b의 노이즈 보상 유닛(200)과 관련하여,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 및 보상 조절 수단(230)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되고, 도 3b의 드라이빙 수단(210')가 중점적으로 기술된다.
도 3b의 드라이빙 수단(210')도, 도 3a의 드라이빙 수단(210)과 마찬가지로, 상기 게이팅 신호(GN)에 대하여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드라이빙 신호(XDR)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하 보상 신호(XSQ)를 수신한다.
도 3b의 상기 드라이빙 수단(210')은 구체적으로 스위치(21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211')는 상기 전하 보상 신호(XSQ)에 따라, 상기 드라이빙 신호(XDR)를 고전압 단자(VHH) 및 저전압 단자(VLL)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게이팅 신호(GN)가 "L"에서 "H"로 천이하는 타이밍에서는, 상기 드라이빙 신호(XDR)는 상기 고전압 단자(VHH)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팅 신호(GN)가 "H"에서 "L"로 천이하는 타이밍에서는, 상기 드라이빙 신호(XDR)는 상기 저전압 단자(VLL)에 연결된다.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CQC) 및 상기 드라이빙 수단(210')을 구비하는 도 3b의 노이즈 보상 유닛(200)에 의해서도, 상기 게이팅 신호(GN)의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커플링 노이즈가 보상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의 효과가 기술된다. 참고로, 이해의 명확화를 위하여, 도 4의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에는, 상기 센싱 라인(LSEN)으로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ADAT)의 영향은 배제하여 도시됨에 유의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PA_1 및 PA_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게이팅 신호(GN)와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상기 전하 집적 라인(LCA)의 불안정성이 현저히 감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 의하면,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판독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상기 게이팅 신호(GN)가 활성화되는 데이터 전송 구간(P_TR)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하 측정기(120)를 제어하는 샘플링 홀딩 신호(SAH)의 활성화 시점(tSH)를 앞당길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 의하면, 전체적인 데이터 판독 속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는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가 이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감지 시스템은 제어 패널(CONPAN), 게이트 드라이버 블락(BKGD) 및 데이터 판독 블락(BKRD)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패널(CONPAN)은 게이트 라인들(LG1~n)과 센싱 라인들(LSEN1~n)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감지 소자(DSEN)들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 소자(DSEN)들 각각은 게이트 트랜지스터(TG) 및 센싱 셀(SN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 셀(SNS)의 데이터는,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LG1~n)을 특정하여 구동하는 게이팅 신호(GN1~n)의 활성화에 의하여, 대응하는 상기 센싱 라인(LSEN1~n)에 센싱 데이터(ADAT)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센싱 데이터(ADAT)는 외부의 접촉 등과 같은 외부의 지정 여부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지며, 이에 대한 구현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블락(BKGD)은 상기 게이트 라인(LG1~n)을 특정하여 구동하는 게이팅 신호(GN1~GNn)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판독 블락(BKRD)은 대응하는 상기 센싱 라인(LSEN1~n)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ADAT)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NROT1~n)들을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 판독 회로(NROT1~n)들 각각으로, 도 2 내지 도 3b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NROT)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판독 회로(NROT1~n)들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센싱 라인(LSEN1~n)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ADAT)를 판독하도록 구동된다. 이때, 상기 게이팅 신호(GN1~n)의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커플링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센싱 라인(LSEN)의 전압은 상기 게이팅 신호(GN1~n)에 상응하는 타이밍으로 제어된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트랜지스터(TG) 및 센싱 셀(SNS)은 도 2의 게이트 트랜지스터(TG) 및 센싱 셀(SNS)에 각각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신호들(GN1~n) 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상기 센싱 라인들(LSEN1~n) 중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도 도 2의 게이트 신호(GN) 및 센싱 라인(LSEN)에 각각 해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데이터 판독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센싱 데이터(ADAT)에 대한 판독 속도가 향상되어, 전체적으로 제어 속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데이터 판독 회로에 있어서,
    게이팅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전송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아날로그 성분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라인;
    상기 센싱 라인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출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데이터 판독 유닛; 및
    상기 게이팅 신호의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센싱 라인의 커플링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하여, 전하 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 라인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동되는 노이즈 보상 유닛으로서, 상기 전하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팅 신호에 상응하는 타이밍으로 동작하는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은
    일단자가 상기 센싱 라인에 커플링되고, 다른 일단자에는 드라이빙 신호가 인가되는 전하 보상 캐패시터로서, 상기 드라이빙 신호는 상기 전하 보상 신호에 따른 논리상태를 가지되, 상기 게이팅 신호에 대하여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판독 유닛은
    상기 센싱 라인과 전하 집적 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라인에 수신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에 따른 전압을 상기 전하 집적 라인에 발생하는 전하 집적부; 및
    상기 전하 집적 라인의 전압레벨을 측정하여, 상기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하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은
    상기 전하 보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라이빙 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빙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수단은
    상기 전하 보상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드라이빙 신호로 제공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수단은
    상기 전하 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드라이빙 신호를 고전압 단자 및 저전압 단자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보상 유닛은
    상기 센싱 라인과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의 일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보상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조절 수단은
    조절 캐패시터 및 조절 저항 중의 적어도 어느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 캐패시터는 일단자가 상기 센싱 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조절 저항은 상기 센싱 라인과 상기 전하 보상 캐패시터의 일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20914A 2012-02-29 2012-02-29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KR10128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14A KR101285647B1 (ko) 2012-02-29 2012-02-29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14A KR101285647B1 (ko) 2012-02-29 2012-02-29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647B1 true KR101285647B1 (ko) 2013-07-12

Family

ID=4899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914A KR101285647B1 (ko) 2012-02-29 2012-02-29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6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42B1 (ko) 2016-03-22 2017-08-08 주식회사 센소니아 정밀 센싱 성능을 가지는 터치 감지 시스템
KR101770644B1 (ko) * 2015-05-07 2017-08-24 주식회사 센소니아 파이프라인 방식의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KR101765443B1 (ko) 2016-03-28 2017-08-24 주식회사 센소니아 센싱 성능이 개선된 터치 감지 시스템
CN110832776A (zh) * 2017-07-05 2020-02-21 ams有限公司 具有串扰补偿的接近传感器
US10976869B2 (en) 2018-07-24 2021-04-13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312597B1 (ko) * 2020-05-22 2021-10-14 네메시스 주식회사 노이즈 영향을 저감하는 글루코스 센싱 장치
WO2023055156A1 (ko) * 2021-10-01 2023-04-06 이엠코어텍 주식회사 전자파 노이즈 데이터를 제공하는 능동형 보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854B1 (ko) * 1999-09-17 2003-04-07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센스증폭기 회로 및 반도체 기억장치
KR101033316B1 (ko) * 2009-11-19 2011-05-09 주식회사 티엘아이 용량성 터치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854B1 (ko) * 1999-09-17 2003-04-07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센스증폭기 회로 및 반도체 기억장치
KR101033316B1 (ko) * 2009-11-19 2011-05-09 주식회사 티엘아이 용량성 터치 감지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644B1 (ko) * 2015-05-07 2017-08-24 주식회사 센소니아 파이프라인 방식의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KR101765442B1 (ko) 2016-03-22 2017-08-08 주식회사 센소니아 정밀 센싱 성능을 가지는 터치 감지 시스템
KR101765443B1 (ko) 2016-03-28 2017-08-24 주식회사 센소니아 센싱 성능이 개선된 터치 감지 시스템
CN110832776A (zh) * 2017-07-05 2020-02-21 ams有限公司 具有串扰补偿的接近传感器
US10976869B2 (en) 2018-07-24 2021-04-13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312597B1 (ko) * 2020-05-22 2021-10-14 네메시스 주식회사 노이즈 영향을 저감하는 글루코스 센싱 장치
KR20210144612A (ko) * 2020-05-22 2021-11-30 네메시스 주식회사 넓은 센싱 범위와 낮은 노이즈 영향을 가지는 글루코스 센싱 장치
KR102391015B1 (ko) 2020-05-22 2022-04-26 네메시스 주식회사 넓은 센싱 범위와 낮은 노이즈 영향을 가지는 글루코스 센싱 장치
WO2023055156A1 (ko) * 2021-10-01 2023-04-06 이엠코어텍 주식회사 전자파 노이즈 데이터를 제공하는 능동형 보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647B1 (ko) 센싱 라인의 노이즈를 보상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US8466982B2 (en) Low common mode driver
CN106652934B (zh) 源极驱动电路以及显示装置
US94557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common mode noise decomposition and tuning
CN105738685A (zh) 一种数字信号输出的霍尔电流传感器
CN104517567B (zh) 采样与保持电路及包括该采样与保持电路的源极驱动器
US20230039848A1 (en) Compensating dc loss in usb 2.0 high speed applications
US20110304847A1 (en) Ambient Light Sensor
WO2017197920A1 (zh)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基板、显示面板及电子设备
WO2021134849A1 (zh) 像素驱动电路电压补偿方法、电压补偿电路和显示面板
US20220373388A1 (en) Ambient light sensor and method
US10572437B2 (en) Adaptive read technique for multi-drop bus
CN112789605A (zh) 嵌入式通用串行总线2中继器
KR20150017494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1149292A (zh) 显示装置
US8546764B1 (en) Active X-ray sensing circuit and the sensing method thereof
CN108089764A (zh) 压感检测电路、压感检测电路阵列、触控面板及检测方法
US9543954B2 (en) Driver circuit with device variation compens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7633318B2 (en) Data receiver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11458B2 (e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KR101326480B1 (ko) 센싱 라인을 프리차아지하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KR101563648B1 (ko)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향상된 디지털 데이터 변환 성능을 가지는 는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감지 시스템
US9322710B2 (en) Optical sensing device having plural sensing units each receives scanning signals with different voltage levels
JP7483088B2 (ja) 信号調整回路及び測定装置
CN102280017B (zh) 数字接口感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