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612B1 - Mat for car cleaning waste - Google Patents

Mat for car cleaning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612B1
KR101285612B1 KR1020110016010A KR20110016010A KR101285612B1 KR 101285612 B1 KR101285612 B1 KR 101285612B1 KR 1020110016010 A KR1020110016010 A KR 1020110016010A KR 20110016010 A KR20110016010 A KR 20110016010A KR 101285612 B1 KR101285612 B1 KR 10128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ube
transfer tube
coupling portion
su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6739A (en
Inventor
손해익
Original Assignee
손해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해익 filed Critical 손해익
Priority to KR102011001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612B1/en
Publication of KR2012009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자동차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의 상부에는 낙하홀을 형성하여 먼지, 흙 등의 이물질이 매트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고, 낙하되어 수용된 이물질은 흡입튜브, 이송튜브 및 흡입수단을 통해 흡입되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의 비산과 부유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호흡기 장애나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는 이물질이 낙하되는 다수의 낙하홀을 갖는 그물망시트; 상기 그물망 시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홀을 통해 낙하된 이물질이 임시 수용되는 바닥시트; 상기 그물망시트와 바닥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튜브; 상기 흡입튜브에 연결되는 이송튜브; 상기 바닥시트에 임시 수용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튜브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시키고, 상기 이송튜브를 통해 이송시키는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mat used on the floo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dropping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t so that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dirt, etc. fall into the mat, the foreign matter received and dropped is a suction tube In order to prevent respiratory failure and various diseases, the inside of the car is kept clean by being sucked and removed through the transfer tube and the suction means, thereby preventing the scattering and floating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t relates to a car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Automobile mat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sh sheet having a plurality of falling holes in which foreign matters fall; A bottom sheet disposed under the mesh sheet and temporarily receiving foreign matters dropped through the drop hole; An suction tube interposed between the mesh sheet and the bottom sheet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formed therein; A transfer tube connected to the suction tube; And suction means for sucking the foreign matter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bottom sheet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tube and transferring the foreign material through the transfer tube.

Description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Mat for car cleaning waste}Mat for car cleaning wast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자동차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의 상부에는 낙하홀을 형성하여 먼지, 흙 등의 이물질이 매트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고, 낙하되어 수용된 이물질은 흡입튜브, 이송튜브 및 흡입수단을 통해 흡입되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의 비산과 부유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호흡기 장애나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mat used on the floo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dropping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t so that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dirt, etc. fall into the mat, the foreign matter received and dropped is a suction tube In order to prevent respiratory failure and various diseases, the inside of the car is kept clean by being sucked and removed through the transfer tube and the suction means, thereby preventing the scattering and floating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t relates to a car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자동차의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매트는 일반적으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 또는 슬릿홈이 형성된다.
Mats used on the floor of the vehicle is generally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slit grooves.

자동차 매트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 또는 슬릿홈은 탑승자의 신발에 묻어 있는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발에서 쉽게 분리되어 떨어지도록 하며, 분리되어 떨어진 흙 등이 슬릿홈 안에 또는 돌기들 사이에 모여 있도록 하고, 매트를 자동차 밖으로 꺼내 털음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흙 등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The protrusions or slit groov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 mat allow the foreign matter such as dirt or sand on the passenger's shoes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hoes and fall off, and the separated soils are collected in the slit grooves or between the protrusions. By removing the mat out of the car, it is easy to remove the dirt inside the car.

그런데 실제로 위와 같은 매트가 이물질 수용하여 자동차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은 그리 크지 않다.
In reality, however, the above mats are not very capable of accommodating foreign substances to keep the interior of the car clean.

자동차 매트로 떨어져 수용된 이물질은 쉽게 매트 표면을 벗어나 자동차 바닥으로 떨어지고, 자동차 도어를 열고 닫을 때와 에어컨 또는 히터를 가동시킬 때와 진동이 발생할 때 이물질 중 가벼운 먼지 등은 부유하여 자동차 내부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자동차 매트의 청결 유지 기능은 그리 크지 않다.
Foreign objects that fall into the car mat easily fall off the surface of the mat and fall to the floor of the car, and when the car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 air conditioner or heater is turned on, and the vibration occurs, the light dust among the foreign matters floats and moves to another place inside the car. As a result,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cleanness of the car mat is not so great.

그리고 부유하는 먼지 등은 탑승자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호흡기 장애나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In addition, the floating dust is introduced into the passenger's respiratory tract, causing respiratory failure and various diseases.

이처럼 자동차 매트로 떨어진 이물질은 지속적으로 수용하지 못함에 따라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자동차 매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1997-49385호, 공개실용신안 제2009-0012100호, 등록실용신안 제0346904호 등에서는 자동차 매트 표면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고, 매트 내부에는 홀을 통해 낙하된 이물질을 수용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저장공간에 수용 저장된 이물질을 꺼내 제거할 수 있도록 매트를 분리형으로 하거나 매트에 개폐부를 형성한 자동차 매트를 제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ar mats that cannot be functioned as the foreign matter dropped to the car mats is not continuously accommodate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7-49385,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0012100, In the Utility Model No. 0344904,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 mat,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mat to store and store foreign substances dropped through the holes, and the foreign substance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can be removed and removed. There is proposed an automobile mat in which the mat is detachable or an opening and closing part is formed on the mat.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 매트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유입된 이물질이 자동차 매트를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여, 자동차 내부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
The car ma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orms a storage space therein, thereby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car mat, thereby preventing the inside of the car from being soiled and making it easi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 매트의 위와 같은 기능과 효과는 제한적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매트는 자동차 바닥에 장기간 놓여있고, 가끔씩 꺼내 청소를 하기 때문에, 자동차 매트의 내부 저장공간으로 유입되어 수용 저장된 이물질 중 가벼운 먼지나 미세 입자 등이 매트 표면의 홀을 통해 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지 못한다. 따라서 매트 내부의 이물질이 홀을 통해 역으로 유출되어 비산 및 부유하여 자동차 내부를 더럽히고 탑승자의 건강을 해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abov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car m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limited. In general, since the car mat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car for a long time and is sometimes taken out and cleaned, it is possible that light dust or fine particles, which enters the internal storage space of the car mat and is stored in the back, through the holes on the mat surface. Can't stop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preventing foreign matters inside the mat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halls to be scattered and floated to pollute the inside of the car and to damage the health of the occupants.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 매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자동차 매트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즉시 제거하여 자동차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고, 탑승자의 건강을 해하지 아니하도록 한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ar m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car mat immediately to maintain the cleanness of the inside of the car, foreign matters not to harm the health of the occupa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 mat with a removal function.

그리고 매트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즉시 제거하기 위해 도입되는 구성요소를 최대한 간소화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을 최소화한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obile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that minimizes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components introduced to immediat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ma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는 Car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이물질이 낙하되는 다수의 낙하홀을 갖는 그물망시트;A mesh sheet having a plurality of drop holes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dropped;

상기 그물망 시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홀을 통해 낙하된 이물질이 임시 수용되는 바닥시트;A bottom sheet disposed under the mesh sheet and temporarily receiving foreign matters dropped through the drop hole;

상기 그물망시트와 바닥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튜브;An suction tube interposed between the mesh sheet and the bottom sheet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formed therein;

상기 흡입튜브에 연결되는 이송튜브;A transfer tube connected to the suction tube;

상기 바닥시트에 임시 수용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튜브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시키고, 상기 이송튜브를 통해 이송시키는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suction means for sucking the foreign matter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bottom sheet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tube and transferring the foreign material through the transfer tube.

그리고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이송튜브 타단에 연결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And the suc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mp for sucking air,

그리고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이송튜브 일단에 연결되며, 자동차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외부 공기를 유입 받아 상기 이송튜브 타단으로 배출함으로써, 벤츄리 효과에 의해 상기 흡입튜브의 흡입구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The suction mean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nsfer tube, and is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receives external ai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discharges it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tub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inlet member to suck the outside air,

상기 이송튜브는 상기 흡입튜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nsfer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tub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는 매트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즉시즉시 제거함으로써, 유입된 이물질이 역으로 유출되어 자동차 내부를 더럽히거나 탑승자의 건강을 해하지 아니한다.
Car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mmediately removes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t,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to the reverse spills dirty the interior of the car or the health of the occupants Not harm.

그리고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도입되는 흡입튜브, 이송튜브, 펌프 또는/및 공기유입부재는 간편하게 장착되고, 구성도 간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매트의 제조원가 상승을 최소화한다.
In addition, the suction tube, the transfer tube, the pump or / and the air inlet member introduced for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 is simply mounted, the configuration is simple to minimize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the automobil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흡입튜브와 이송튜브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자동차 매트의 분리 청소도 가능하고, 종래기술과 같은 자동차 매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The suction tube and the transfer tube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leaning mat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의 사시도.
도 2 는 도1에 도시된 자동차 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흡입수단으로 공기유입부재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의 평면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ter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obile mat shown in FIG. 1. FIG.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vehicle mat with a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ir inlet member as the suction means.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vehicle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는 그물망시트(10), 바닥시트(20), 흡입튜브(30), 이송튜브(40), 그리고 흡입수단(50, 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drawings, a vehicle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sh sheet 10, a bottom sheet 20, a suction tube 30, a transfer tube 40, and suction means 50 and 60. It is made to include.

상기 그물망시트(10)는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낙하되는 다수의 낙하홀(11)을 갖는다.
The mesh sheet 10 has a plurality of falling holes 11 in which foreign matter such as soil or sand falls.

상기 그물망시트(10)는 도면과 같이 와이어(12)들이 종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멍(즉, 낙하홀(11))이 다수 천공되어 있는 평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mesh sheet 10 may be made of a mesh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wires 12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s shown in the drawing, or may be made of a flat plat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ie, the drop holes 11) are perforated.

그리고 상기 그물망시트(10)의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닥시트(20)와 결합되는 결합부(13)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3)는 도면과 같이 그물망시트(10)를 구성하는 와이어(12)의 단부를 하부로 수직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바닥시트(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2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가 일례가 될 수 있다.
And the edge of the mesh sheet 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3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bottom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heet 20. The coupling part 13 is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an end portion of the wire 12 constituting the mesh sheet 10 downward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n insertion hole 23 formed at an edge of the bottom sheet 20.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may be an example.

상기 바닥시트(20)는 상기 그물망시트(10) 하부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그물망시트(10)와의 사이에 저장공간(21)을 형성하여 상기 그물망시트(10)의 낙하홀(11)을 통해 낙하되어 유입된 이물질을 임시 수용하여 저장한다.
The bottom sheet 20 is disposed below the mesh sheet 1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forms a storage space 21 between the mesh sheet 10 to form a drop hole 11 of the mesh sheet 10. Temporarily receive and store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fallen through.

상기 바닥시트(20)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bottom sheet 20 is generally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바닥시트(20)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이물질이 수용 저장되는 저장공간(21)을 형성하도록 단턱부(25)가 돌출형성된다.
The stepped portion 25 protrudes from an edge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heet 20 to form a storage space 21 in which foreign matter is stored.

그리고 상기 바닥시트(20) 가장자리의 상기 단턱부(25)에는 상기 그물망시트(10)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23)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단턱부(25)에는 상기 이송튜브(40)가 관통되어 내측의 저장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홈 또는 관통홀(29)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3 are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25 at the edge of the bottom sheet 20 to insert and couple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esh sheet 10, and the transfer portion is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25. A through hole or through hole 29 is formed to allow the tube 40 to penetrate and be disposed in the inner storage space 21.

그리고 상기 바닥시트(20)의 상부면에서 상기 저장공간(21)을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흡입튜브(30)의 하부가 일부 안착되어, 흡입튜브(30)의 요동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홈(27)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tube 30 is partially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heet 20 to form the storage space 21, and a seating groove for preventing swinging or detachment of the suction tube 30. 27 is formed.

상기 흡입튜브(30)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홈(27) 대신에, 흡입튜브(30)를 잡아주어 고정하는 고정밴드나, 흡입튜브의 길이방향 양측을 곳곳에서 지지하여 잡아주는 지지돌기 등이 상기 안착홈(27)을 대체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Instead of the seating groove 27 on which the suction tube 30 is seated, a fixing band for holding and fixing the suction tube 30 or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and holding both sides of the suction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to replace the seating groove (27).

상기 흡입튜브(30)는 상기 그물망시트(10)와 상기 바닥시트(20) 사이의 공간, 즉, 상기 저장공간(21)에 배치되고, 표면에는 내부로 통하는 흡입구(31)가 다수 형성되어 있고,
The suction tube 3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mesh sheet 10 and the bottom sheet 20, that is, the storage space 21,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31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

상기 이송튜브(40)는 상기 흡입튜브(30)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The transfer tube 4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tube 30 to transfer the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1 to discharge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흡입튜브(30)는 상기 저장공간(21)을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도면과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바닥시트의 모양(도면은 사각형)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ction tube 30 may be preferably formed in a zigzag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so as to efficiently cover the storage space 21. However, the suction tube 3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sheet (the figure is rectangular). Can be.

그리고 상기 흡입튜브(30)와 이송튜브(40)는 금속 파이프나,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ction tube 30 and the transfer tube 40 may be a metal pipe or a hard or soft synthetic resin pipe.

이때, 금속 파이프나 경질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흡입튜브(30)로 사용하면, 그물망시트(10) 위에 탑승자 발이 올려져 하중에 가해지는 경우에 금속 파이프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 파이프가 그물망시트(10) 하부를 지지하여 그물망시트(10)가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질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흡입튜브(30)로 사용하는 때에는 하중에 의해 그물망시트(10)가 눌려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미도시)를 그물망시트(10) 하부 또는 바닥시트(20) 상부에 구비하여 그물망시트(10)의 눌림을 방지하고 연질의 합성수지 파이의 소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metal pipe or the hard synthetic resin pipe is used as the suction tube 30, when the occupant's foot is placed on the net sheet 10 and the load is applied to the load, the metal pipe or the hard synthetic resin pipe is disposed under the net sheet 10. By supporting the mesh sheet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When using a soft synthetic resin pipe as the suction tube 30, a support member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mesh sheet 10 so as not to be pressed by a load is provided below the mesh sheet 10 or the top of the bottom sheet 2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mesh sheet 10 from being pressed and to prevent burning of the soft synthetic resin pie.

그리고 상기 흡입튜브(30)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이송튜브(40)가 착탈 가능하게 피팅 결합되는 암결합부(33)가 흡입튜브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튜브(40)에는 상기 암결합부(33)에 결합되는 수결합부(43)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암결합부와 수결합부는 서로 반대로, 즉, 암결합부는 이송튜브(40)에 수결합부는 흡입튜브(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uction tube 30 is provided with a female coupling portion 33 in the center of the suction tube to be detachably fitting the transfer tube 40, the transfer tube 40 is the female coupling portion A water coupling portion 43 coupled to 33 is provided. Of course, the female coupling part and the male coupling part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the female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in the suction tube 30 and the male coupling part 40.

그리고 상기 암결합부(33)는 상기 이송튜브(40)에 구비되는 수결합부(43)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짧아지는 피팅홀(33a)로 구성되고, 상기 수결합부(43)는 상기 피팅홀(33a)의 외측 내경 보다는 짧고 내측 내경 보다는 길도록 단부에서 외측으로 그리고 예각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확장부(43a)로 구성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And the female coupling portion 33 is composed of a fitting hole (33a)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while go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the male coupling portion 43 provided in the transfer tube 40 can be easily inserted, For example, the male coupling part 43 may be configured as an extension part 43a that is bent roundly outwardly and at an acute angle so as to be shorter than an outer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33a and longer than an inner inner diameter.

이처럼 피팅홀(33a)과 확장부(43a)로 구성되는 암결합부와 수결합부는 간편하게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점을 갖는다.
As such, the female coupling part and the male coupling part composed of the fitting hole 33a and the expansion part 43a have an advantage of being easily detachable from each other.

즉, 확장부(43a)를 피팅홀(33a)로 밀어 넣으면 확장부(43a)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쉽게 전진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원상복귀 되어 내측에서 걸려 결합되고, 이송튜브(40)를 잡아당기면 확장부(43a)의 라운드진 외면에 피팅홀(33a) 내면에 접촉 가압되면서 직경이 축소되어 간편하게 분리 이탈된다.
That is, when the expansion portion 43a is pushed into the fitting hole 33a,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portion 43a is reduced, and then it is easily inserted forward and inserted. When pulled, the diameter is reduced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hole 33a on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expansion part 43a, and is easily separated and separated.

그리고 상기 수결합부의 확장부(43a) 아래의 이송튜브(40) 외주연에는 상기 피팅홀(33a) 내면에 밀착되어 틈새를 밀봉하고, 상기 확장부(43a)가 피팅홀(33a) 내측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경사진 구조의 밀착부(4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45)는 상기 이송튜브(4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송튜브(40) 외주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veying tube 40 under the expansion portion 43a of the male coupl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hole 33a to seal the gap, and the expansion portion 43a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33a.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close contact portion 45 of the inclined structure is provided so as not to be inserted. The close contact portion 4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nsfer tube 40, it may be coupled to mov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fer tube (40).

상기 흡입수단은 흡입력을 제공하여 이물질이 상기 흡입튜브(30)의 흡입구(31)를 통해 내측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이 이송튜브(40)를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uction means provides a suction force so that foreign matter is sucked inwardly through the suction port 31 of the suction tube 30, and the sucked foreign matter can be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tube 40.

상기 흡입수단으로는 펌프(50) 또는 공기유입부재(60)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펌프(50)와 공기유입부재(60)가 모두 흡입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흡입수단으로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ump 50 or the air inlet member 60 may be used as the suction means, and both the pump 50 and the air inlet member 60 may be used as the suction means. Of course, in addition to a variety of suction means may be used.

상기 펌프(50)는 상기 이송튜브(40)의 타단에 연결되고, 펌핑 동작으로 이송튜브(40) 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The pump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tube 40, and sucks air in the transfer tube 40 by a pumping operation.

그리하여 이송튜브(40)와 연결된 흡입튜브(30)의 흡입구(31)을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외부 공기는 펌프(50)까지 흡입튜브(30)와 이송튜브(40)를 타고 흘러 펌프(50)로 유입되고, 흡입되어 이송되는 외부 공기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바닥시트(20)의 저장공간(21)에 수용 저장되어 있는 이물질이 외부공기와 함께 흡입튜브(30)로 흡입되고 이송튜브(40)를 통해 이송되어 배출된다.
Thus,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1 of the suction tube 30 connected to the transfer tube 40, and the sucked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suction tube 30 and the transfer tube 40 to the pump 50.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1 of the bottom sheet 20 is sucked into the suction tube 30 together with the external air by the suction force by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pump 50 and sucked and transported. It is conveyed through the transfer tube 40 and discharged.

그리고 상기 펌프(50)에는 흡입되어 이송된 이물질이 배출되어 저장되는 배출탱크(53)가 구비되고, 흡입되는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이 펌프(5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필터(51)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pump 50 includes a discharge tank 53 for discharging and stor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and transported, and a filter 51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mixed with suctioned air so as not to flow into the pump 50. It is provided.

상기 펌프(50)는 자동차 트렁크에 장착되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탑승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mp 5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trunk of the vehic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noise, and to prevent exposure to the occupants.

그리고 상기 펌프(50)의 구동전원은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운전석 옆에 있는 전원포트(또는 시거잭)에 연결하여 자동차 배터리의 전원을 직접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거나, 펌프(50)에 충전지를 내장하고, 이 충전지는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충전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the driving power of the pump 50, it is preferable to use a battery power of an automobile. That is, by connecting to the power port (or cigar jack) next to the driver's seat to use the power of the car battery as a direct drive power, or to the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in the pump 50, this rechargeable battery to be charged by using the battery of the car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펌프(50)는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면 자동으로 구동이 되도록 하거나,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이 되도록 할 수 있고, 타이머를 통해 일정 주기로 구동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ump 50 may be automatically drive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or may be manually driven by a driver's operation, or may be driven at a predetermined cycle through a timer.

상기 공기유입부재(6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펌프(50)를 구동시키는 전기와 같은 구동원이 필요 없이, 자연의 힘, 즉 풍력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이다.
The air inflow member 60 is suction means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using natural force, that is, wind power, without requiring a driving source such as electricity for driving the pump 50 to generate suction force.

상기 공기유입부재(60)는 상기 이송튜브(40)의 일단에 연결되고, 자동차의 외부에 장착되어, 자동차 주행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공기유입부재(60)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될 것이고,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자동차 바닥쪽에 장착될 것이다.
The air inflow member 6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nsfer tube 40 and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outside air is introduc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air inlet member 60 will generally be mount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will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so that it is not easily exposed.

상기 공기유입부재(60)는 보다 많은 양의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inflow member 60 is preferably made of a funnel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widened toward the outside so that a larger amount of external air can be smoothly introduced.

상기 공기유입부재(60)를 통해 이송튜브(40) 일단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이송튜브(40)를 통해 이송되어 타단으로 배출된다.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one end of the transfer tube 40 through the air inlet member 60 i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tube 40 and discharged to the other end.

그리고 외부 공기가 흐르는 이송튜브(40) 내부는 상기 흡입튜브(30) 내부 보다 압력이 낮게 된다. 이때 이송튜브(40)를 흐르는 공기의 이송 속도가 높을수록, 즉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빨라 보다 많은 외부 공기가 공기유입부재(60)를 통해 유입될수록 이송튜브(40) 내부의 압력은 낮아진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transport tube 40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has a lower pressure than the inside of the suction tube 30. In this case, the higher the conveying speed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nveying tube 40, that is, the faster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lower the pressure inside the conveying tube 40 as more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member 60.

그리고 이송튜브(40)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이송튜브(40)와 흡입튜브(30)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면, 벤츄리 효과에 의해 압력이 높은 흡입튜브(30) 내의 공기가 압력이 낮은 이송튜브(40)로 이동하여, 이송튜브(40)를 통해 흐르는 공기와 혼합되어 이송튜브(40) 타단으로 이송된다.
When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transfer tube 40 and the suction tube 30 b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transfer tube 40, the air in the suction tube 30 having a high pressure due to the venturi effect causes the transfer tube 40 having a low pressure. ) And mixed with air flowing through the transfer tube 40 to be transferr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tube 40.

그리고 흡입튜브(30) 내부의 공기가 이송튜브(40)로 이동하면 흡입튜브(30)의 흡입구(31)을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튜브(30)로 흡입되고, 흡입튜브(30)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에 바닥시트(20)의 저장공간(21)에 수용 저장된 이물질이 포함되어 함께 흡입튜브(30)로 흡입되고 이송튜브(40)를 통해 이송되어 배출된다.
When the air in the suction tube 30 moves to the transfer tube 40,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tube 30 through the suction port 31 of the suction tube 30, and the suction tube 30 is sucked into the suction tube 30. The foreign air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21 of the bottom sheet 20 is stored in the suction tube 30 together and i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tube 40 is discharged.

이처럼 공기유입부재(60)를 이용하는 흡입수단은 전기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 없어 경제적이고, 소음의 발생이 거의 없고, 주행시 지속적으로 흡입력이 발생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바닥시트(20)의 저장공간(21)에 유입된 이물질을 즉시로 제거하게 된다.
As such, the suction means using the air inlet member 60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riving source such as electricity, almost no noise is generated, and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continuously while driving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ereby storing the floor sheet 20.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space 21 is immediately removed.

다만, 공기유입부재(60)는 펌프(50)를 사용하는 것보다 흡입력이 약할 수 있어, 질량이 큰 이물질의 제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펌프(50)와 상기 공기유입부재(60)를 모두 구비하여 흡입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공기유입부재(60)를 사용하여 매트에 유입된 이물질을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 없이 풍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연속하여 제거하고, 질량이 큰 이물질이 저장공간(21)에 싸이면 펌프(50)를 구동시켜 이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However, the air inlet member 60 may have a weaker suction force than using the pump 50, so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 large mass.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use both the pump 50 and the air inlet member 60 as a suction means. That is, usually, the air inflow member 60 is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mat naturally and continuously continuously by wind power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riving source, and foreign substances having a large mass are wrapped in the storage space 21. The cotton pump 50 is driven to remove it.

펌프(50)와 공기유입부재(60)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에는 펌프(50)의 구동 시에 공기유입부재(60)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흡입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밸브와 같은 수단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case where both the pump 50 and the air inlet member 60 are provided, the opening and closing can be prevented from weakening the suction force by block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through the air inlet member 60 when the pump 50 is driven. Means such as valves would have to be provid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s been described for a car mat equipped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그물망시트 11 : 낙하홀
12 : 와이어 13 : 결합부
20 : 바닥시트 21 : 저장공간
23 : 삽입홀 25 : 단턱부
27 : 안착홈 29 : 관통홀
30 : 흡입튜브 31 : 흡입구
33: 암결합부 33a : 피팅홀
40 : 이송튜브 43 : 수결합부
43a : 확장부 45 : 밀착부
50 : 펌프 60 : 공기유입부재
10: mesh sheet 11: drop hole
12: wire 13: coupling portion
20: floor sheet 21: storage space
23: insertion hole 25: stepped portion
27: seating groove 29: through hole
30: suction tube 31: suction port
33: female coupling portion 33a: fitting hole
40: transfer tube 43: male coupling portion
43a: extension part 45: contact part
50: pump 60: air inlet member

Claims (4)

이물질이 낙하되는 다수의 낙하홀(11)을 갖는 그물망시트(10);
상기 그물망시트(1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홀(11)을 통해 낙하된 이물질이 임시 수용되는 바닥시트(20);
상기 그물망시트(10)와 바닥시트(20) 사이에 개재되고, 다수의 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튜브(30);
상기 흡입튜브(30)에 연결되는 이송튜브(40);
상기 바닥시트(20)에 임시 수용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튜브(30)의 흡입구(31)를 통해 흡입시키고, 상기 이송튜브(40)를 통해 이송시키는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이송튜브(40) 타단에 연결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5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튜브(40)는 상기 흡입튜브(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흡입튜브(30)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이송튜브(40)가 착탈 가능하게 피팅 결합되는 암결합부(33)가 흡입튜브(30)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튜브(40)에는 상기 암결합부(33)에 결합되는 수결합부(4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암결합부(33)는 상기 이송튜브(40)에 구비되는 수결합부(43)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짧아지는 피팅홀(33a)로 구성되고, 상기 수결합부(43)는 상기 피팅홀(33a)의 외측 내경 보다는 짧고 내측 내경 보다는 길도록 단부에서 외측으로 그리고 예각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확장부(43a)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그물망시트(10)는 와이어(12)들이 종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물망시트(10)의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닥시트(20)와 결합되도록 와이어(12)의 단부를 하부로 수직절곡한 결합부(13)가 구비되며, 이 결합부(13)는 상기 바닥시트(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23)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바닥시트(20)의 바닥면에는 상기 흡입튜브(30)의 하부가 일부 안착되어, 흡입튜브(30)의 요동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홈(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
A mesh sheet 10 having a plurality of drop holes 11 in which foreign matters fall;
A bottom sheet 20 disposed below the mesh sheet 10 and temporarily receiving foreign matters dropped through the drop hole 11;
A suction tube 30 interposed between the mesh sheet 10 and the bottom sheet 20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31 formed therein;
A transfer tube 40 connected to the suction tube 30;
Suction means for suctioning the foreign matter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bottom sheet 20 through the suction port 31 of the suction tube 30, and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tube 40;
The suc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tube 40, and includes a pump 50 for sucking air,
The transfer tube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tube 30,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uction tube 30 is provided with a female coupling portion 33 in the center of the suction tube 30 to be detachably fitting coupled to the transfer tube 40, the transfer tube 40 is the arm The water coupling portion 43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3,
The female coupling portion 33 is composed of a fitting hole (33a)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while go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the male coupling portion 43 provided in the transfer tube 40 can be easily inserted, The male coupling portion 43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ortion 43a that is bent roundly outwardly and acutely at the end so as to be shorter than the outer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33a and longer than the inner inner diameter.

The mesh sheet 10 is made of a mesh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wires 12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dge portion of the mesh sheet 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3 protruding downward to vertically bent the end of the wire 12 to be coupled to the bottom sheet 20, the coupling portion 13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at the edge of the bottom sheet 20 ,

The lower part of the suction tube 30 is partially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heet 2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groove 27 is formed to prevent the suction tube 30 from shaking or detaching. Car mat with function.
이물질이
낙하되는 다수의 낙하홀(11)을 갖는 그물망시트(10);
상기 그물망 시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홀(11)을 통해 낙하된 이물질이 임시 수용되는 바닥시트(20);
상기 그물망시트(10)와 바닥시트(20) 사이에 개재되고, 다수의 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튜브(30);
상기 흡입튜브(30)에 연결되는 이송튜브(40);
상기 바닥시트(20)에 임시 수용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튜브(30)의 흡입구(31)를 통해 흡입시키고, 상기 이송튜브(40)를 통해 이송시키는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이송튜브(40) 일단에 연결되며, 자동차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외부 공기를 유입 받아 상기 이송튜브(40) 타단으로 배출함으로써, 벤츄리 효과에 의해 상기 흡입튜브(30)의 흡입구(31)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튜브(40)는 상기 흡입튜브(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흡입튜브(30)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이송튜브(40)가 착탈 가능하게 피팅 결합되는 암결합부(33)가 흡입튜브(30)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튜브(40)(40)에는 상기 암결합부(33)에 결합되는 수결합부(4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암결합부(33)는 상기 이송튜브(40)에 구비되는 수결합부(43)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짧아지는 피팅홀(33a)로 구성되고, 상기 수결합부(43)는 상기 피팅홀(33a)의 외측 내경 보다는 짧고 내측 내경 보다는 길도록 단부에서 외측으로 그리고 예각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확장부(43a)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그물망시트(10)는 와이어(12)들이 종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물망시트(10)의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닥시트(20)와 결합되도록 와이어(12)의 단부를 하부로 수직절곡한 결합부(13)가 구비되며, 이 결합부(13)는 상기 바닥시트(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23)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바닥시트(20)의 바닥면에는 상기 흡입튜브(30)의 하부가 일부 안착되어, 흡입튜브(30)의 요동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홈(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
Foreign matter
A mesh sheet 10 having a plurality of falling holes 11 falling;
A bottom sheet 20 disposed below the mesh sheet and temporarily receiving foreign matters dropped through the drop hole 11;
A suction tube 30 interposed between the mesh sheet 10 and the bottom sheet 20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31 formed therein;
A transfer tube 40 connected to the suction tube 30;
Suction means for suctioning the foreign matter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bottom sheet 20 through the suction port 31 of the suction tube 30, and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tube 40;
The suction mean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nsfer tube 40, and is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receives external ai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discharges it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tube 40, thereby providing the venturi effect. It includes an air inlet member 60 to suck the outside air into the suction port 31 of the suction tube 30,
The transfer tube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tube 30,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uction tube 30 is provided with a female coupling portion 33 in the center of the suction tube 30 to be detachably fitting the transfer tube 40, the transfer tube 40, 40 It is provided with a male coupling portion 43 is coupled to the female coupling portion 33,
The female coupling portion 33 is composed of a fitting hole (33a)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while go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the male coupling portion 43 provided in the transfer tube 40 can be easily inserted, The male coupling portion 43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ortion 43a that is bent roundly outwardly and acutely at the end so as to be shorter than the outer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33a and longer than the inner inner diameter.

The mesh sheet 10 is made of a mesh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wires 12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dge portion of the mesh sheet 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3 protruding downward to vertically bent the end of the wire 12 to be coupled to the bottom sheet 20, the coupling portion 13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at the edge of the bottom sheet 20,

The lower part of the suction tube 30 is partially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heet 2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groove 27 is formed to prevent the suction tube 30 from shaking or detaching. Car mat with fun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시트(20) 가장자리에는 삽입홀(23)이 다수 형성된 상기 단턱부(25)를 갖고, 이 단턱부(25)에는 상기 이송튜브(40)가 관통되어 내측의 저장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2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매트.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ttom sheet 20 has the stepped portion 25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3 formed at edges thereof, and the transfer tube 40 penetrates through the stepped portion 25 to be disposed in the inner storage space 21. Through holes 29 are formed to be
Car mat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KR1020110016010A 2011-02-23 2011-02-23 Mat for car cleaning waste KR101285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10A KR101285612B1 (en) 2011-02-23 2011-02-23 Mat for car cleaning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10A KR101285612B1 (en) 2011-02-23 2011-02-23 Mat for car cleaning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39A KR20120096739A (en) 2012-08-31
KR101285612B1 true KR101285612B1 (en) 2013-07-12

Family

ID=4688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010A KR101285612B1 (en) 2011-02-23 2011-02-23 Mat for car cleaning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6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497B1 (en) * 2015-12-09 2017-09-06 김상용 Car m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850B1 (en) * 2021-12-03 2023-09-25 서경규 car floor mats having dust coll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610U (en) * 1993-09-10 1995-04-17 Vehicle scaffol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KR20030072987A (en) * 2002-03-08 2003-09-19 노인채 automobile interior room ventilator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610U (en) * 1993-09-10 1995-04-17 Vehicle scaffol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KR20030072987A (en) * 2002-03-08 2003-09-19 노인채 automobile interior room ventilator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497B1 (en) * 2015-12-09 2017-09-06 김상용 Car 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39A (en) 201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91689C (en) Filter member and vacuum cleaner therewith
KR100392606B1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732411B1 (en) Dry garbage truck
JP2002143053A (en) Cyclone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US6874514B1 (en) Cleaning liquid receptacle with a filter element for a cleaning device
KR101285612B1 (en) Mat for car cleaning waste
KR101595838B1 (en) Dry type road sweeping vehicle
CN216495160U (en) Automatically cleaning collection dirt seat and dust collecting system
CN102755140A (en) Automatic cleaning and filtering device of dust collector
KR20110069965A (en)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filtering device
US9237835B2 (en) Collecting apparatus of sucked materials for vacuum cleaner appliances
CN113545711A (en) Base station and cleaning robot system
KR101335675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by water washing
WO2023124015A1 (en) Self-cleaning dust collection holder, and dust collection system
CN206398860U (en) A kind of air purifier
KR20100024775A (en) Vacuum cleaner
KR100603979B1 (en) Cleaning brush combine structure for cyclone vacuum cleaner
KR20220101957A (en) Road dust suction vehicle equipped with water filter
KR101196070B1 (en) Dust container of vacuum cleaner
CN107072459A (en) Surface maintenance vehicle with the integrated water trap for trapping residual waste
ES2873360T3 (en) Filter plate for an aquarium
KR20050013694A (en) Sealing structure of dust removing unit in vacuum cleaner
KR102512653B1 (en) Automobile mat structure having improved capture and collection structure
CN210699290U (en) Bucket elevator with dust removal function
CN218165165U (en) Cleaning water tank and surface clean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