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127B1 -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127B1
KR101285127B1 KR1020130065440A KR20130065440A KR101285127B1 KR 101285127 B1 KR101285127 B1 KR 101285127B1 KR 1020130065440 A KR1020130065440 A KR 1020130065440A KR 20130065440 A KR20130065440 A KR 20130065440A KR 101285127 B1 KR101285127 B1 KR 10128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load
unit
vehic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석
양경명
Original Assignee
양경명
(주)리얼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명, (주)리얼허브 filed Critical 양경명
Priority to KR102013006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8Involving statistics of pixels or of feature values, e.g. histogram 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34Smoothing or thinning of the pattern; Morphological operations; Skelet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로 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입출입 차량에 탑재된 적재물의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는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는, 제1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2 차량 영상을 획득하는 차량 영상 획득부와, 제1 차량 영상과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는 차량 번호 추출부와,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각각 차량에 대응되는 영상 영역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검출 영상을 생성하는 에지 검출부와, 제1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과 제2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으로부터 각각 추출되는 모서리 성분들을 서로 비교하여 모서리 성분들의 개수, 모서리 성분들의 위치, 모서리 성분들의 무게 중심, 모서리 성분들간에 연결되어 이루는 영역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LOADING MATERIA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로 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입출입 차량에 탑재된 적재물의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는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CCTV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은 촬영된 영상을 단순 저장하거나 이동체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것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였다.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통해 촬영되는 지역 또는 물체를 감시하더라도 종래기술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것은 사람에 의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인적이 드문 장소에 있어서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한 지역을 감시하는 경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인지 및 분석하기 위한 인력을 배치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 소비면에서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농어촌 등에 있어서 농작물과 양식물에 대한 도난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하여 CCTV 카메라 등을 차량의 이동 경로에 설치하여 도난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CCTV를 설치하더라도 종래기술에 따르면 획득된 영상을 모두 사람이 분석해야한다는 문제가 있어 사건 발생후 도난 차량 수배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KR 10-2010-0101790 A KR 10-2012-0063378 A KR 10-0492148 B1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로 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입출입 차량에 탑재된 적재물의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는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는, 제1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2 차량 영상을 획득하는 차량 영상 획득부와, 제1 차량 영상과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는 차량 번호 추출부와,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각각 차량에 대응되는 영상 영역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검출 영상을 생성하는 에지 검출부와, 제1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과 제2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으로부터 각각 추출되는 모서리 성분들을 서로 비교하여 모서리 성분들의 개수, 모서리 성분들의 위치, 모서리 성분들의 무게 중심, 모서리 성분들간에 연결되어 이루는 영역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로 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입출입 차량에 탑재된 적재물의 상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물 감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을 세선화한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의 모서리 성분을 표시한 예시도.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의 모서리 성분들간에 이루는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물 감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과 이들이 후술하는 단계들에 따라 처리된 영상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10)는 차량 영상 획득부(100), 차량 번호 추출부(200), 차량 번호 비교부(300), 에지 검출부(400), 세선화부(500), 영상 각도 보정부(600), 모서리 성분 검출부(700),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800) 및 출력부(900)를 포함한다.
차량 영상 획득부(100)는 제1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2 차량 영상을 획득한다(S101).
차량 영상 획득부(100)는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영상을 각각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포함하여, 제1 카메라로부터 제1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1 차량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카메라로부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2 차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01).
한편, 제1 시점은 차량이 제1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통과하는 시점이며, 제1 카메라는 기설정된 구역을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시점은 차량이 제2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통과하는 시점이며, 제2 카메라는 기설정된 구역을 출차하는 차량을 차량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는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입출입 차량의 후면을 각각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차량 영상 획득부(100)는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각각 촬영할 수 있도록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이외의 다른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번호 추출부(200)는 제1 차량 영상과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를 추출한다(S103).
차량 번호 추출부(200)는 제1 차량 영상과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차량 번호를 추출하기 위하여, 먼저, 차량 번호판의 특징(차량 번호판의 일반적 색상, 형태 등)에 기초하여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판 영역에 있어서 숫자 성분 또는 문자 성분을 추출한다. 차랑 번호 추출부(200)는 기설정된 포멧에 따라 저장된 숫자 및 문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매칭 테이블 또는 리스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매칭 테이블 또는 리스트의 숫자 및 문자에 관한 정보와 차량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숫자 성분 또는 문자 성분을 비교 및 매칭하여 미리 정해진 포멧에 따라 차량의 번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차량의 번호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및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영상처리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전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번호 비교부(300)는 제1 차량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의 번호와 제2 차량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의 번호가 일치되는 경우 동일한 차량으로 판단한다(S105).
즉, 기설정된 구역을 입차 및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제1 시점(입차 시점) 및 제2 시점(출차 시점)에 있어서 비교하여 동일한 차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에 대해 후술하는 단계에 따라 적재물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번호 비교부(300)는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의 번호가 기설정된 등록 차량 번호인지를 확인하고 등록된 차량이 아닌 경우에 있어서 적재물의 변경 유무의 확인이 필요한 확인 대상 차량으로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차량 번호 판단부(300)는 복수개의 차량 번호가 등록된 등록 차량 번호 목록을 기설정 또는 기저장하여 구비할 수 있다.
에지 검출부(400)는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각각 차량에 대응되는 영상 영역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검출 영상을 생성한다(S107).
한편, 에지 검출부(400)는 차량 번호 비교부(300)에서 동일한 차량으로 판단하는 경우 또는 확인 대상 차량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제1 차량 영상 및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각각 차량에 대응되는 영상 영역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검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107).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은 제1 차량 영상(311) 및 제2 차량 영상(312)을 차량 영상 획득부(100)를 통해 획득하는 경우, 에지 검출부(400)는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321)과 제2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322)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S107).
세선화부(500)는 에지 검출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에지 검출 영상을 입력받아 세선화하여 세선화 영상을 생성한다(S109). 세선화부(500)는 에지 검출 영상을 세선화하여 차량에 해당하는 영역을 골격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세선화는 에지 검출 영상에 있어서 연속적인 골격선을 추출한 후 골격선의 연결성 및 길이를 유지한 상태로 골격선의 폭을 기설정된 픽셀값 이하(예를 들어서 하나의 픽셀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세선화 영상은 세선화가 이루어진 영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세선화부(500)는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321)과 제2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322)을 각각 입력받아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1)과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2)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영상 각도 보정부(600)는 각각의 세선화 영상에 포함된 복수개의 선 중 가장 긴 선을 각각의 차량 영상에 대한 기준선으로 설정하되, 제1 차량 영상에서의 기준선이 화면상에서 각도 계산의 기준이되는 기설정된 축(예를 들어, 화면에 있어서 하나의 행 또는 하나의 열로 표시될 수 있는 픽셀들로 이루어지는 기설정된 축) 과 이루는 제1 각도와 제2 차량 영상에서의 기준선이 축과 이루는 제2 각도가 일치되도록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1) 및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2) 중 어느 하나를 각도 변경, 대칭 이동, 회전 이동시켜 각도를 보정한다(S111).
즉, 영상 각도 보정부(600)는 카메라의 하드웨어적 요소와 물리적 환경, 차량의 촬영 위치 변경 등으로 인하여 제1 차량 영상과 제2 차량 영상을 서로 대응시켜 비교가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차량 영상의 기준선을 일치시킨 후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처리시 발생될 수 있는 판단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모서리 성분 검출부(700)는 에지 검출 영상 또는 세선화 영상에 있어서 기설정된 각도 이하로 복수개의 선이 만나는 점을 검출하여 모서리 성분을 찾는다(S113).
모서리 성분의 추출과 관련한 예시도로서 도 3(d)에서는,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1)과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2)으로부터 각각의 추출되는 모서리 성분을 표시하고 있다.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800)는 제1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 또는 세선화 영상과 제2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 또는 세선화 영상으로부터 각각 추출되는 모서리 성분들을 서로 비교하여 모서리 성분들의 개수, 모서리 성분들의 위치, 모서리 성분들의 무게 중심, 모서리 성분들간에 연결되어 이루는 영역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S115).
한편,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800)는 차량 번호 비교부(300)에서 동일한 차량으로 판단하는 경우 또는 확인 대상 차량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5).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a)을 참조하면, 제1 차량 영상(311)은 적재물을 탑재하지 않은 차량의 영상이고, 제2 차량 영상(312)은 적재물을 탑재한 동일한 차량의 영상이다. 이러한, 제1 차량 영상(311) 및 제2 차량 영상(312)에 대하여 에지 검출 후 세선화하는 경우 도 3(c)와 같은 각각의 세선화 영상(331,332)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1)과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2)으로부터 각각의 추출되는 모서리 성분은 도 3(d)의 341 및 도 3(d)의 342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d)의 341에 있어서 표시되는 모서리 성분은 도 3(d)의 342에 있어서 표시되는 모서리 성분에 비해 개수가 많으며, 모서리 성분의 위치 또는 무게 중심의 위치가 다르다. 따라서,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800)는 제1 차량 영상(311) 및 제2 차량 영상(312)으로부터 각각 추출된 모서리 성분의 개수 또는 위치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3(e)의 351 및 도 3(e)의 352와 같이 모서리 성분들간에 연결되어 이루는 영역의 면적이 다를 수 있다. 즉, 도 3(e)의 351에 있어서 제일 큰 면적을 가지는 영역(3511), 중간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영역들(3512, 3513), 제일 작은 면적을 가지는 영역(3514)의 각각의 면적은 도 3(e)의 352에 있어서 제일 큰 면적을 가지는 영역(3521), 중간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영역들(3522, 3523), 제일 작은 면적을 가지는 영역(3524)의 각각의 면적과 차이가 있으며,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800)는 전술한 면적들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800)는 영상 각도 보정부(600)를 통해 기준선이 서로 일치된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1)과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2)으로부터 검출되는 각각의 모서리 성분들의 위치 및 모서리 성분들간에 연결되어 이루는 영역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비교하여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5).
즉,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800)는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1) 및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332) 중 어느 하나를 대칭 이동 또는 회전 이동시킨 것에 따른 변환된 영상과, 대칭 이동 또는 회전 이동이 되지 않는 나머지 차량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5).
출력부(900)는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800)의 판단결과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S117).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100: 차량 영상 획득부,
200: 차량 번호 추출부,
300: 차량 번호 비교부,
400: 에지 검출부,
500: 세선화부,
600: 영상 각도 보정부,
700: 모서리 성분 검출부,
800: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
900: 출력부.

Claims (8)

  1. 제1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1 차량 영상 및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2 차량 영상을 획득하는 차량 영상 획득부;
    상기 제1 차량 영상과 상기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는 차량 번호 추출부;
    상기 제1 차량 영상 및 상기 제2 차량 영상에 있어서 각각 차량에 대응되는 영상 영역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검출 영상을 생성하는 에지 검출부; 및
    상기 제1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과 상기 제2 차량 영상의 에지 검출 영상으로부터 각각 추출되는 모서리 성분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모서리 성분들의 개수, 상기 모서리 성분들의 위치, 상기 모서리 성분들의 무게 중심, 상기 모서리 성분들간에 연결되어 이루는 영역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에지 검출 영상을 입력받아 세선화하여 세선화 영상을 생성하는 세선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는,
    상기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과 상기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으로부터 각각 추출되는 모서리 성분들을 서로 비교하여 적재물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선화부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세선화 영상에 포함된 복수개의 선 중 가장 긴 선을 각각의 차량 영상에 대한 기준선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1 차량 영상에서의 기준선이 화면상에서 각도 계산의 기준이되는 기설정된 축과 이루는 제1 각도와 상기 제2 차량 영상에서의 기준선이 축과 이루는 제2 각도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 및 상기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보정하는 영상 각도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는
    기준선이 서로 일치된 상기 제1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과 상기 제2 차량 영상의 세선화 영상으로부터 검출되는 각각의 모서리 성분들의 위치 및 모서리 성분들간에 연결되어 이루는 영역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비교하여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적재물 변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영상 획득부는,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영상을 각각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며, 제1 카메라로부터 제1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1 차량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카메라로부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물 영역 및 번호판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영상을 촬영함에 따른 제2 차량 영상을 획득하는 것
    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의 번호와 상기 제2 차량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의 번호가 일치되는 경우 동일한 차량으로 판단하는 차량 번호 비교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번호 비교부는,
    상기 제1 차량 영상 및 상기 제2 차량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의 번호가 기설정된 등록 차량 번호인지를 확인하고 등록된 차량이 아닌 경우에 있어서 적재물의 변경 유무의 확인이 필요한 확인 대상 차량으로 더 판단하는 것
    인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 변경 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KR1020130065440A 2013-06-07 2013-06-07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KR101285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440A KR101285127B1 (ko) 2013-06-07 2013-06-07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440A KR101285127B1 (ko) 2013-06-07 2013-06-07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127B1 true KR101285127B1 (ko) 2013-07-19

Family

ID=4899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440A KR101285127B1 (ko) 2013-06-07 2013-06-07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1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129A (ko) * 2015-09-18 2017-03-28 한국도로공사 차량 적재 불량 검측 시스템 및 검측 방법
KR102075936B1 (ko) * 2019-08-21 2020-03-02 (주)뤼이드 학습 효율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계학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569925A (zh) * 2021-07-09 2021-10-29 惠州市云鼎科技有限公司 基于广角摄像头的工程车辆安全监控方法及装置
US11704578B2 (en) 2018-10-16 2023-07-18 Riiid Inc. Machine learn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ersonalized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learning efficienc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014A (ko) * 2001-11-08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영상에서 대상물체의 특징패턴을 이용한 특정영역추출방법
KR20090030666A (ko) * 2007-09-20 2009-03-25 조성윤 고속주행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KR20090053459A (ko) * 2007-11-23 2009-05-27 렉스젠(주) 차량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014A (ko) * 2001-11-08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영상에서 대상물체의 특징패턴을 이용한 특정영역추출방법
KR20090030666A (ko) * 2007-09-20 2009-03-25 조성윤 고속주행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KR20090053459A (ko) * 2007-11-23 2009-05-27 렉스젠(주) 차량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129A (ko) * 2015-09-18 2017-03-28 한국도로공사 차량 적재 불량 검측 시스템 및 검측 방법
KR101724906B1 (ko) 2015-09-18 2017-04-07 한국도로공사 차량 적재 불량 검측 시스템 및 검측 방법
US11704578B2 (en) 2018-10-16 2023-07-18 Riiid Inc. Machine learn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ersonalized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learning efficiency
KR102075936B1 (ko) * 2019-08-21 2020-03-02 (주)뤼이드 학습 효율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계학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569925A (zh) * 2021-07-09 2021-10-29 惠州市云鼎科技有限公司 基于广角摄像头的工程车辆安全监控方法及装置
CN113569925B (zh) * 2021-07-09 2024-04-09 惠州市云鼎科技有限公司 基于广角摄像头的工程车辆安全监控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5827A1 (en) A monitoring system of a passenger conveyor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TWI537842B (zh) 人流計數系統
WO2014155979A1 (ja) 追尾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追尾処理システム並びに追尾処理方法
JP2016218760A5 (ko)
JP5722381B2 (ja) ビデオ解析
US8437504B2 (en)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GB2527697A (en) People counting device, and people counting method
KR101307234B1 (ko) 객체인식 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KR102199094B1 (ko) 관심객체 검출을 위한 관심영역 학습장치 및 방법
KR101285127B1 (ko) 차량의 적재물 감시 장치
JP6494418B2 (ja)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74427B1 (ko) 차량번호 인식방법
JP4667508B2 (ja) 移動体情報検出装置、移動体情報検出方法および移動体情報検出プログラム
CN113807289A (zh) 人体姿态的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11048915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detecting fraud by examination using two different focal lengths during automatic face recognition
US90641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detection
JP6617150B2 (ja) 物体検出方法及び物体検出装置
JP2007219603A (ja) 人物追跡装置、人物追跡方法および人物追跡プログラム
JP4707019B2 (ja) 映像監視装置及び方法
JP2007249298A (ja) 顔認証装置および顔認証方法
JP2019027882A (ja) 物体距離検出装置
JP2018169943A5 (ko)
JP6548306B2 (ja) カメラの撮影画像に映る人物を追跡する画像解析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5545977B2 (ja) 画像監視装置
CN113011222B (zh) 一种活体检测系统、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