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905B1 - 냉장고의 밀폐룸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밀폐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905B1
KR101284905B1 KR1020110071045A KR20110071045A KR101284905B1 KR 101284905 B1 KR101284905 B1 KR 101284905B1 KR 1020110071045 A KR1020110071045 A KR 1020110071045A KR 20110071045 A KR20110071045 A KR 20110071045A KR 101284905 B1 KR101284905 B1 KR 10128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ld air
storage
refrigerator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325A (ko
Inventor
배정화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9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7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UV-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의 밀폐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냉장고의 밀폐룸은: 냉장고의 저장실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저장실로 토출되는 냉기가 대류되도록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안내부 및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어 냉기안내부의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냉기를 탈취 및 살균시키는 탈취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밀폐룸{AIRTIGHT ROOM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밀폐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저장실에 구비되어 저장실로 토출되는 냉기가 대류되게 하고, 냉기를 탈취 및 살균하는 냉장고의 밀폐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외관을 이루는 냉장고 본체 내부에 앞면이 개방된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비되고, 이 냉동실과 냉장실은 각각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동실과 냉장실에는 식품이 놓일 수 있는 선반이 설치된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냉장고의 냉장실에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그에 알맞는 최적의 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온도대(溫度帶)를 유지하는 저장 공간이 따로 마련된다. 이러한 저장공간으로는 야채실과, 특선실이 있다.
야채실은 냉장실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수납 케이스에 형성되며, 대략 5℃~10℃의 온도대를 유지하여 야채나 과일을 신선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특선실은 냉장실의 상부에 설치되는 트레이에 형성되며, 대략 1℃ 전후의 온도대를 유지하여 생선 등을 얼지 않은 상태로 신선하게 유지시킨다. 트레이의 전면에는 트레이 커버가 설치되며, 이 트레이 커버에 의해 특선실이 개폐된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1995-20222호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선실을 갖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냉장실의 특선실 또는 야채실은 내부가 밀폐되지 않아 공기와 접촉에 의해 식품을 장시간 보관할 수 없으며, 저장실의 냉기가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선실 또는 야채실의 인출시 좌우 상하 유동에 의해 인출 또는 삽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선실 또는 야채실은 냉장고의 저장실에 일체로 형성되어 저장실 내부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장실 내에 탈취제가 냉기의 유동경로와 무관하게 구비되어 탈취 및 살균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냉장고의 저장실에 구비되어 내부가 밀폐되어 식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저장실로 토출되는 냉기가 저장실 내에서 대류되게 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며, 대류되는 냉기를 탈취 및 살균할 수 있는 냉장고의 밀폐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은: 냉장고의 저장실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저장실로 토출되는 냉기가 대류되도록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안내부 및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어 냉기안내부의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냉기를 탈취 및 살균시키는 탈취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냉기가 냉기안내부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탈취살균부는 케이스 후단에 고정되는 장착패널과, 장착패널에 장착되는 광촉매탈취제 및 광촉매탈취제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와 수납케이스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은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케이스를 밀폐할 수 있어 식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냄새나는 식품을 격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하부에 냉기유입구와 연결되는 냉기안내부가 형성되어 저장실로 토출되는 냉기가 저장실 내에서 대류되게 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기의 유동경로에 탈취살균부가 구비되어 냉기를 탈취 및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수납케이스를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게 함으로써, 저장실의 다른 공간과 구별되게 하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처짐방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밀폐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단속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단속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 가스켓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탈취살균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냉기 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10)은 케이스(100), 수납케이스(200) 및 밀폐부(3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냉장고의 저장실에 마련되고,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둘레면에는 냉장고의 저장실과 이격되어 케이스(100)의 내부로 온도전달이 용이하도록 열교환부(110)가 형성된다.
열교환부(110)는 케이스(100)의 둘레면과 저장실 측벽의 이격된 공간을 말하는 것이며, 열교환부(110)로 냉기가 유동되면서 케이스(100)와 열교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교환부(110)에는 열전달편(115)이 형성되어 열전달을 극대화한다. 열전달편(115)은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물품이 올려지는 선반(120)이 구비된다. 선반(120)은 케이스(100)의 상면에 지지부(130)에 의해 결속된다.
지지부(130)는 선반(120)에 구비되고, 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후크(133)가 형성되는 지지레그(132)와, 지지레그(132)가 안착되고 후크(133)가 결속되도록 걸림홀(135)이 형성되는 안착부(134)를 포함한다.
후크(133)와 걸림홀(135)의 해체에 의해 케이스(100)로부터 선반(120)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케이스(100)의 둘레면보다 넓은 플랜지(102)가 형성되어 플랜지(102)의 상면에 선반(120)의 전측이 안착되고, 선반(120)의 후측은 지지레그(132)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스(100)의 상면과 이격되는 것이다.
이는, 저장실의 냉기토출구(1)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케이스(100)의 둘레면, 즉, 열교환부(110)를 유동하면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온도가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선반(120)의 상면에는 안치부재(140)가 안착될 수 있다. 안치부재(140)는 병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복수개의 안착홈(145)이 형성되어 와인병 또는 다른 음료병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홈(145)은 병의 둘레면과 접하도록 곡률지게 함몰 형성되어 병을 뉘어 안착시키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냉장고 저장실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안내부(150)가 구비된다.
냉기안내부(150)는 저장실에 케이스(100)를 고정함으로써 형성되고, 저장실의 냉기유입구(2)와 연통된다. 냉기토출구(1)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저장실내에서 유동되고, 냉기안내부(150)를 통해 냉기유입구(2)로 유동된다. 이는 저장실 내에서 냉기의 대류를 원활하게 하여 냉각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격벽(155)이 형성되어 냉기가 냉기안내부(150)의 전측을 통해 냉기유입구(2)로 유동되게 한다.
케이스(100)와 저장실 사이에는 케이스(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60)가 더 구비된다. 즉, 이탈방지부(160)에 의해 저장실에 구비되는 케이스(1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탈방지부(160)는 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저장실 측면과 접촉되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62) 및 탄성부재(162)와 대응되도록 저장실 측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64)을 포함한다.
탄성부재(162)는 케이스(100)의 측면 하단에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탄성부재(162)의 중앙에는 고정돌기(163)가 형성되고, 이탈방지홈(164)에는 고정돌기(163)가 수용되는 고정홈(165)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를 저장실에 밀어넣으면, 탄성부재(162)는 수축되어 이탈방지홈(164)을 따라 직선으로 삽입되고, 탄성부재(162)의 고정돌기(163)가 고정홈(165)에 도달하면, 탄성부재(162)가 탄동되고 삽입되어 케이스(1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수납케이스(200)가 수납된다. 수납케이스(200)는 케이스(100)의 개구된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패널(202)과 상부가 개구되어 식품이 수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보관함(20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납케이스(200)는 케이스(100)로부터 가이드부(210)에 의해 직선으로 삽입 또는 인출된다.
가이드부(21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선단 바닥면에 형성되어 수납케이스(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롤러(212)와, 수납케이스(200)의 후단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제2지지롤러(214) 및 수납케이스(200)의 인출시 직선으로 인출되게 하는 가이드레일부(215)를 포함한다.
제1지지롤러(212)와 제2지지롤러(214)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수납케이스(200)의 인출 또는 삽입시 소음을 방지한다.
가이드레일부(215)는 수납케이스(20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17) 및 가이드리브(217)가 안착되도록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218)를 포함한다.
가이드리브(217)는 수납케이스(200)의 하면에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홈부(218)는 가이드리브(217)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수납케이스(200)는 인출 시 좌우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직선으로 정확하게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케이스(200)는 케이스(100) 내에서 인출 시 처짐방지부(220)에 의해 처짐이 방지된다.
처짐방지부(22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는 구배부(222) 및 구배부(222)와 접촉되도록 수납케이스(200)의 후측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촉롤러(224)를 포함한다.
구배부(222)는 케이스(100)의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케이스(100)의 바닥면이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이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납케이스(200)의 인출시 수납케이스(200)에 구비되는 접촉롤러(224)는 구배부(222)에 접하게 되므로 인출되는 수납케이스(200)의 전측은 하부로 처지지 않고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인출되며, 수납케이스(200)는 상하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구배부(222)의 선단은 전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223)이 형성된다. 경사면(223)은 케이스(100)로부터 수납케이스(200)를 탈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접촉롤러(224)가 구배부(222)의 선단에서 경사면(223)으로 진입되면, 경사면(223)의 경사에 의해 수납케이스(200)의 전측을 상부로 올릴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확보된 공간에 의해 제2지지롤러(214)가 제1지지롤러(212)와의 접촉을 회피하여 수납케이스(200)를 탈거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 수납되는 수납케이스(200)는 밀폐부(300)에 의해 내부 공간이 밀폐된다.
밀폐부(300)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선단 가장자리에 결속되어 수납케이스(200)의 닫힘시 수납케이스(200)의 전면패널(202) 가장자리와 접하는 가스켓(310) 및 전면패널(202)에 구비되어 수납케이스(200)의 인출을 단속하는 단속부(320)를 포함한다.
가스켓(31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00)의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속홀(104)에 장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310)은 결속홀(10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원추 형상의 고정턱(313a)을 갖는 결속돌기(313)가 형성된다.
결속돌기(313)는 가스켓(310)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결속홀(104)에 삽입되며, 억지끼움되어 고정턱(313a)이 결속홀(104)을 통과하면 고정된다.
그리고, 가스켓(310)은 케이스(100)의 선단 가장자리에 접하는 베이스부(312)와, 베이스부(312)로부터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수납케이스(200)의 닫힘시 전면패널(202)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밀폐보강부(314)를 포함한다.
밀폐보강부(314)는 전면패널(202)의 배면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이는 단속부(320)의 작동없이 전면패널(202)의 밀착만으로도 수납케이스(20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밀폐보강부(314)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하므로써, 전면패널(202)의 접촉시 밀폐보강부(314)의 수축에 의해 보다 많은 면이 접촉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단속부(320)는 전면패널(202)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부(330) 및 핸들부(330)의 구속여부에 따라 수납케이스(200)의 개폐여부를 단속하는 로킹부(340)를 포함한다.
핸들부(330)는 전면패널(202)의 전측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핸들(332)과 핸들(332)의 양단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34)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브라켓(334)은 전면패널(202)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전면패널(202)에는 슬라이드레일(350)이 구비되고, 지지브라켓(334)은 슬라이드레일(350)과 연결되어 상하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로킹부(340)는 핸들부(330)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관통홀부(342)와, 핸들부(330)의 단부에 형성되는 로킹롤러(344) 및 관통홀부(342)에 구비되고, 로킹롤러(344)와 접촉되어 핸들부(330)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부재(346)를 포함한다.
즉, 지지브라켓(334)은 관통홀부(342)를 관통하고, 단부에 로킹롤러(344)가 형성되며, 걸림부재(346)에 로킹롤러(344)의 구속여부에 따라 핸들부(330)의 상하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걸림부재(346)는 관통홀부(342)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로킹롤러(344)의 이동을 단속하도록 걸림돌기부(347)를 갖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다.
걸림부재(346)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자체탄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돌기부(347)는 라운드형성되어 핸들부(330)의 승하강시 로킹롤러(344)가 타고 넘어갈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346)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향상된다.
또한, 걸림부재(346)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핸들부(330)의 하강시 로킹롤러(344)는 걸림부재(346)를 따라 이동되어 전면패널(202)이 케이스(100)으로 밀착되게 된다.
이로 인해, 수납케이스(200)의 내부는 더욱 밀폐되게 된다.
핸들부(330)는 로킹부(340)의 구속해제 시 핸들부(33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360)를 포함한다.
복원부재(360)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정힘으로 핸들부(330)를 상승시켜 로킹롤러(344)가 걸림돌기부(347)를 넘어서게 되면, 복원부재(360)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부(3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원부재(360)에 핸들부(330)가 상승되므로 로킹롤러(344)와 걸림부재(346)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어 로킹롤러(344)와 걸림부재(346)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케이스(200)의 인출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200)의 전면패널(202)에는 파지부(203)가 형성되는데, 핸들부(330)의 상승시에만 노출된다.
케이스(100)의 후측에는 탈취살균부(400)가 구비된다. 탈취살균부(4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후단에 고정되는 장착패널(410)과, 장착패널(410)에 장착되는 광촉매탈취제(420) 및 광촉매탈취제(420)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430)를 포함한다.
장착패널(410)에는 홀이 형성되는 결속편(412)이 사방에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배면에 볼팅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광촉매탈취제(420)가 결속되도록 후크(414)가 돌출 형성된다.
후크(414)는 광촉매탈취제(420)의 둘레를 감싸 고정시키며, 광촉매탈취제(420)는 광촉매코팅이 되어 발광소자(430)에서 조사되는 빛과 반응하여 자정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오염을 방지한다.
이때, 케이스(100)의 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케이스(100)와 저장실의 바닥이 이루는 냉기안내부(150)에 위치되므로 순환되는 냉기를 탈취,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발광소자(430)는 광촉매용 LED로 이루어지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의 내면에 구비되고, 외부전원에 의해 발광된다.
또한, 케이스(100)와, 수납케이스(20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발광소자(430)에서 발광되는 빛에 의해 케이스(100)와 수납케이스(200) 내부에 빛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장실 내부의 다른 공간과 구별될 수 있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룸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케이스(100)의 상부에 선반(120)을 장착한다. 선반(120)의 장착은 선반(120)의 선단 하면을 케이스(100)의 전면 플랜지(102)에 지지시키고, 지지레그(132)를 케이스(100)의 안착부(134)에 결속시킨다.
지지레그(132)에는 후크(133)가 형성되고, 안착부(134)에는 후크(133)가 삽입되는 걸림홀(135)이 형성되어, 상호 결속됨으로써, 고정된다.
케이스(100)와 선반(120)은 지지레그(132)의 높이에 의해 이격되어 고정된다.
이는 냉기토출구(1)로부터 제공되는 냉기와 케이스(100)의 열전달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선반(120)의 상면에는 안치부재(140)가 안착된다. 안치부재(140)는 와인병 등의 병류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안착홈(145)이 형성된다.
안치부재(140)에 의해 병류를 뉘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저장실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된다.
이처럼 선반(120)이 고정된 케이스(100)를 냉장고의 저장실 하부에 장착한다. 케이스(100)의 장착은 케이스(100)를 저장실의 하부와 일치시킨 후 밀어 삽입하면, 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162)가 저장실의 측면과 접촉되어 수축되면서 이탈방지홈(164)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62)의 고정돌기(163)가 이탈방지홈(164)의 고정홈(165)에 도달하면, 탄동되어 고정된다.
즉, 탄성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100)의 유동을 방지하며, 고정돌기(163)와 고정홈(165)의 결속에 의해 이탈을 방지한다.
케이스(100)의 분리는 고정홈(165)으로부터 고정돌기(163)가 이탈되는 일정 힘으로 케이스(100)를 잡아당기면 가능하다.
이처럼, 케이스(100)의 착탈이 용이함으로, 사용자는 저장실의 공간배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저장실의 용적율을 높이고 싶으면 케이스(10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생선과 같이 분리하여 보관해야 하는 식품이 많을 경우에는 케이스(100)를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케이스(100)에는 인출 가능한 수납케이스(200)가 구비된다. 수납케이스(200)는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가이드부(210)에 의해 안내되어 인출 또는 삽입된다.
수납케이스(200)의 전면패널(202)에 형성되는 파지부(203)를 파지하여 수납케이스(200)를 인출하면,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롤러(212)와, 수납케이스(200)의 후단 하면에 구비되는 제2지지롤러(214)에 의해 인출된다.
그리고, 수납케이스(200)는 가이드리브(217)와 가이드홈부(218)에 의해 직선으로 안내되어 인출되며, 인출시 좌우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수납케이스(200)는 처짐방지부(220)에 의해 인출시 수납케이스(20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유동이 방지된다.
이는 수납케이스(200)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케이스(100)의 바닥면이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케이스(100)의 내측 상면에 케이스(100)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배부(222)와 수납케이스(200)의 후단 상측에 구비되는 접촉롤러(224)에 의해 수납케이스(200)의 처짐을 방지한다.
따라서, 수납케이스(200)는 가이드부(210)와 처짐방지부(220)에 의해 인출 또는 삽입시 좌우, 상하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지지롤러(212), 제2지지롤러(214) 및 접촉롤러(224)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수납케이스(200)의 인출 또는 삽입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에 수납되는 수납케이스(200)는 밀폐부(30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다.
즉, 도 8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케이스(200)는 가스켓(310)과 수납케이스(200)의 인출을 단속하는 단속부(32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최초 수납케이스(200)의 닫힘상태는 핸들(332)이 수납케이스(200)의 전면 하단부에 위치되고, 핸들(332)의 위치에 의해 지지브라켓(334)의 단부에 형성되는 로킹롤러(344)가 걸림부재(346)의 걸림돌기부(347) 하측에 위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로킹롤러(344)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며, 로킹롤러(344)가 걸림부재(346)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수납케이스(200)의 인출은 구속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가 수납케이스(200)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 핸들(332)을 상부로 올려주게 되면, 지지브라켓(334)의 단부에 형성되는 로킹롤러(344)가 걸림부재(346)의 걸림돌기부(347)를 넘어서고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부재(346)로부터 이탈된다. 로킹롤러(344)가 걸림부재(346)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수납케이스(200)와 케이스(100)의 결속이 해제되어 수납케이스(200)는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핸들(332)의 상승으로 인해 전면패널(202)의 전면에 형성되는 파지부(203)가 노출됨으로 사용자는 파지부(203)를 파지하여 수납케이스(200)를 인출하면 된다.
그리고, 핸들(332)의 상승은 전면패널(202)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레일(350)을 따라 상측으로 정확하게 안내되고, 복원부재(360)에 의해 상승되므로 로킹롤러(344)의 불안전한 위치에서 수납케이스(200)를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수납케이스(200)를 닫을 경우, 수납케이스(200)를 케이스(100)에 삽입시킨 후 핸들(332)을 하강시켜 수납케이스(20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면 된다.
이때, 케이스(100)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스켓(310)이 수납케이스 (200)전면패널(202)의 후면과 접하면서 내부공간이 밀폐된다.
그리고, 걸림부재(346)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핸들부(330)의 하강시 전면패널(202)은 걸림부재(346)의 기울기만큼 케이스(100)측으로 가압되어 밀폐력이 향상된다.
가스켓(310)은 베이스부(312)와 밀폐보강부(314)로 이루어져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베이스부(312)의 후면에는 복수개의 결속돌기(313)가 형성되어 케이스(100)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속홀(10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결속돌기(313)에는 원추형상의 고정턱(313a)이 형성됨에 따라 결속홀(104)에 억지끼움되어 결속된다.
그리고, 밀폐보강부(314)는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후측으로 후퇴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면은 경사를 이루므로 전면패널(202)의 밀착시 확보된 공간만큼 후퇴되며, 전면의 경사에 의해 보다 많은 면적이 전면패널(202)에 접하게 되므로 밀폐력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수납케이스(200)의 인출 또는 삽입에 의해 내부에 생선, 야채 등의 식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냄새로 인해 별도로 격리 보관되어야 하는 식품을 수납케이스(200)에 밀폐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하, 저장실에 장착되는 케이스(100)에 의한 냉기의 흐름과 열전달을 살펴보면, 케이스(100)의 둘레면에는 저장실의 측면과 이격되어 냉기가 유동될 수 있는 열전달부(110)가 형성되어 냉기토출구(1)에서 제공되는 냉기는 케이스(100)의 둘레면으로 유동되므로 케이스(100) 내부로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달부(110)에는 격자형상의 열전달편(115)이 형성되어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저장실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안내부(150)가 형성된다.
냉기안내부(150)는 저장실의 후면에 마련된 냉기유입구(2)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저장실 내부로 토출되는 냉기는 냉기안내부(150)를 통해 냉기유입구(2)로 안내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격벽(155)이 형성되어 냉기가 냉기안내부(150)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는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의 대류를 극대화하여 냉각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스(100)의 배면에는 탈취살균부(400)가 구비되어 냉기를 탈취, 살균한다.
탈취살균부(400)는 도 12 또는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패널(410), 광촉매탈취제 (420)및 발광소자(430)로 이루어지며, 냉기안내부(150)의 경로에 위치된다.
이는 냉기안내부(150)로 안내되는 냉기를 탈취, 살균하기 위함이다. 장착패널(410)의 구비되는 후크(414)에 광촉매탈취제(420)가 장착되고, 장착패널(410)은 케이스(100) 배면에 볼팅 결합된다.
그리고, 발광소자(430)는 저장실의 후면에 구비되어 광촉매탈취제(420)에 빛을 조사한다. 발광소자(430)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광촉매코팅된 광촉매탈취제(420)는 자정기능을 수행하여 냉기안내부(150)를 통해 냉기유입구(2)로 유동되는 냉기를 탈취, 살균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100)와 수납케이스(20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발광소자(430)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케이스(100)와 수납케이스(200) 내부에 은은한 빛이 감돌게 되어 저장실 내부의 다른 공간과 구별될 수 있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밀폐룸 100 : 케이스
102 : 플랜지 104 : 결속홀
110 : 열교환부 115 : 열전달편
120 : 선반 130 : 지지부
132 : 지지레그 133 : 후크
134 : 안착부 135 : 걸림홈
140 : 안치부재 150 : 냉기안내부
155 : 격벽 160 : 이탈방지부
162 : 탄성부재 163 : 고정돌기
164 : 이탈방지홈 165 : 고정홈
200 : 수납케이스 202 : 전면패널
203 : 파지부 204 : 보관함
210 : 가이드부 212 : 제1지지롤러
214 : 제2지지롤러 215 : 가이드레일부
217 : 가이드리브 218 : 가이드홈부
220 : 처짐방지부 222 : 구배부
223 : 경사면 224 : 접촉롤러
300 : 밀폐부 310 : 가스켓
312 : 베이스부 313 : 결속돌기
313a : 고정턱 314 : 밀착보강부
320 : 단속부 330 : 핸들부
332 : 핸들 334 : 지지브라켓
340 : 로킹부 342 : 관통홀부
344 : 로킹롤러 346 : 걸림부재
347 : 걸림돌기부 350 : 슬라이드레일
360 : 복원부재 400 : 탈취살균부
410 : 장착패널 412 : 결속편
414 : 후크 420 : 광촉매탈취제
430 : 발광소자

Claims (4)

  1. 냉장고의 저장실에 탈착 가능하고,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로 토출되는 냉기가 대류되도록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안내부;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냉기안내부의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냉기를 탈취 및 살균시키는 탈취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살균부는 상기 케이스 후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패널;
    상기 장착패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광촉매탈취제; 및
    상기 광촉매탈취제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밀폐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냉기가 상기 냉기안내부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밀폐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밀폐룸.
KR1020110071045A 2011-07-18 2011-07-18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045A KR101284905B1 (ko) 2011-07-18 2011-07-18 냉장고의 밀폐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045A KR101284905B1 (ko) 2011-07-18 2011-07-18 냉장고의 밀폐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325A KR20130010325A (ko) 2013-01-28
KR101284905B1 true KR101284905B1 (ko) 2013-07-10

Family

ID=4783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045A KR101284905B1 (ko) 2011-07-18 2011-07-18 냉장고의 밀폐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9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602A (ja) * 2003-08-26 2005-03-17 Toshiba Corp 冷蔵庫
KR20090027108A (ko) * 2007-09-11 2009-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KR20100056336A (ko) * 2008-11-19 2010-05-27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100094871A (ko) * 2009-02-19 201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602A (ja) * 2003-08-26 2005-03-17 Toshiba Corp 冷蔵庫
KR20090027108A (ko) * 2007-09-11 2009-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KR20100056336A (ko) * 2008-11-19 2010-05-27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100094871A (ko) * 2009-02-19 201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325A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9919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контейнером для овощей
US9527638B2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RU2517229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выдвижным контейнером
KR102373219B1 (ko) 냉장고
KR20130068508A (ko) 냉장고의 밀폐룸
KR20080079100A (ko) 냉장고
KR101327914B1 (ko) 냉장고의 밀폐룸
KR102609768B1 (ko) 냉장고
KR101284903B1 (ko) 냉장고의 밀폐룸
AU2010218176A1 (en) Basket kick-out
KR101284905B1 (ko)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7B1 (ko)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4B1 (ko)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1B1 (ko)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6B1 (ko)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2B1 (ko) 냉장고의 밀폐룸
KR100836844B1 (ko) 반자동 덮개가 형성된 서랍식 저장실을 포함하는김치저장고
KR20090133009A (ko) 냉장고의 서랍
TWI570375B (zh) 冰箱
JP2017029325A (ja) 遺体保冷庫
JP2007271242A (ja) 貯蔵庫
KR100786248B1 (ko) 와인저장실의 랙레일 구조
KR200319649Y1 (ko) 다목적 냉장고
ES2748589T3 (es) Procedimiento para evacuar un cuerpo de aislamiento por vacío
KR20140019912A (ko) 냉장고용 선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