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100B1 -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100B1
KR101284100B1 KR1020110090166A KR20110090166A KR101284100B1 KR 101284100 B1 KR101284100 B1 KR 101284100B1 KR 1020110090166 A KR1020110090166 A KR 1020110090166A KR 20110090166 A KR20110090166 A KR 20110090166A KR 101284100 B1 KR101284100 B1 KR 10128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inlet
outlet
conveyor
c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6786A (en
Inventor
노상현
최혁
이지호
Original Assignee
오성엘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엘에스티(주) filed Critical 오성엘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11009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100B1/en
Publication of KR2013002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9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v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161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the process chambers
    • H01L21/67173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the process chambers in-line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는 소정 온도 하에서 대상물을 큐어링하는 큐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모터와,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슬롯에 상기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큐어챔버;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에 투입하는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입구투입부;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출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출구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큐어챔버 내부에서 대상물인 기판이 자동으로 적재되면서 건조시킬 수 있고, 큐어 장치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고, 대상물인 개별 기판에 대한 큐어링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
An in-line c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e device for cur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mprising: a heater for heating the inside, a fan motor for circulating air heated by the heater, and disposed in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ure chamber including at least one magazine in which the object is stacked in a slot formed in a closed state, and lifting means for lifting up and down the magazine; Opening and closing mean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ure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An inlet part disposed on an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inlet conveyor including an in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nd an inlet means for injecting the object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into the cure chamber; An outlet outlet disposed at an out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outlet outlet including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object from the cure chamber, and an out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And a control unit.
As a result, the substrate as an object is automatically loaded in the cure chamber and dried, the cure device can be made compact, the curing time for the individual substrate as the object can be precisely adjusted, and defects can be prevented. An inline type cure device is provided.

Description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in-line type curing apparatus}In-line type c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소정의 온도하에서 대상물을 건조시킬 때, 인라인 타입으로 챔버 내부에서 대상물이 낱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대상물의 건조가 수행되도록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when dry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in-line type of the in-line type is to be carried out while the object is sequentially stacked in a single sheet inside the chamber to perform the drying of the object A cure device.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는 소정의 온도 하에서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An inline type curing device is a device for dry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이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6647호(2008. 03. 19. 등록, 이하 "종래기술" 이라고 함)에서는 소정 온도하에서 대상물을 건조하는 큐어 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히터, 상기 히터에 바람을 공급하도록 하는 팬 모터,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큐어챔버와;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배치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개폐도어와; 상기 큐어챔버에 대상물을 투입하도록 상기 큐어챔버 입구 측에 배치되는 로딩부와;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된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큐어챔버 출구 측에 배치되는 언로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큐어챔버 출구로부터 나온 대상물을 소정 시간 보관하도록 구성된 버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딩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큐어챔버 입구로 투입되지 않은 대상물을 소정 시간 보관하도록 구성된 재순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딩부는, 컨베이어, 대상물을 안착하여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이동된 대상물을 집어 상기 큐어챔버로 투입하는 로딩 로봇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언로딩부는, 컨베이어, 대상물을 안착하여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대상물을 집어 상기 큐어챔버 출구로 배출하는 언로딩 로봇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대상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16647 (2008. 03. 19. registe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n the curing apparatus for drying the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heater configured to heat the air, the heater At least one cure chamber comprising a fan motor for supplying wind to the air, and a plurality of moving devices for moving the object;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ure chamber and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A loading part disposed at the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o inject an object into the cure chamber; And an unloading part disposed at the cure chamber exit side to move the object discharged from the cure cha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buffer part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unloading part and configured to store an object from the cure chamber outle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recirculation unit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store an object which is not input to the inlet of the cure chamb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rein the loading unit is a conveyor, a moving member for seating and moving the object, and picks up the moved object. It is made of a loading robot to be put into the chamber, the unloading unit is composed of a conveyor, a moving member for seating and moving the object, an unloading robot for picking up and discharging the object to the exit of the cure chamb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It further comprises an alignment unit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is disclosed.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는 대상물인 매거진이 이동장치를 통해 이동되면서 대상물인 매거진을 건조시키기 때문에 이동되는 매거진의 크기로 인해 큐어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curing apparatus is increased due to the size of the magazine being moved because the magazine which is the object is dried through the moving device.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에서는 대상물인 매거진에 낱장으로 이송되는 기판을 적재하는 선행공정이 필요하고, 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대상물인 매거진에서 각각의 기판을 분리하는 후속공정이 필요하다.In addition, in the in-line type c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quires a prior step of loading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to the sheet in the magazine, and after drying is completed, a subsequent process of separating each substrate from the target magazine is required. .

또한,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전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time and cost increa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거진에 적재되는 기판을 낱장으로 이송시키고, 큐어챔버 내부에서 기판을 적재하면서 기판을 건조할 수 있고, 큐어 장치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substrate loaded in the magazine in a sheet, drying the substrate while loading the substrate inside the cure chamber,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ompact device compact An inline type cure device is provided.

또한, 선행공정과 후속공정이 사라지고, 전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curing apparatus of the in-line type to eliminate the preceding and subsequent steps, and simplify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전체 제조 시간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in-line type cur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 온도 하에서 대상물을 큐어링하는 큐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모터와,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슬롯에 상기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큐어챔버;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에 투입하는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입구투입부;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출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출구배출부; 를 포함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re device for cur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mprising: a heater for heating an interior, a fan motor for circulating air heated by the heater, and disposed in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ure chamber comprising at least one magazine in which the object is stacked in a slot formed in a state, and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magazine; Opening and closing mean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ure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An inlet part disposed on an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inlet conveyor including an in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nd an inlet means for injecting the object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into the cure chamber; An outlet outlet disposed at an out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outlet outlet including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object from the cure chamber, and an out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It is achieved by an inline type cure device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매거진의 승강경로를 안내하는 승강가이드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매거진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evating means preferably includes an elevating guide for guiding the elevating path of the magazine, and an elevating driving unit for providing elevating power to the magazine by an applied power source.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승강축과, 상기 매거진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과 상기 승강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evating means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n elevating shaft which is rotated by the elevating driving unit, and an elevating member coupled to the magazine and elevating along at least one of the elevating shaft and the elevating guide.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커튼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prefer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let and the outlet to be composed of an air curtain for blowing air.

여기서, 상기 입구컨베이어는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고정컨베이어와, 상기 고정컨베이어와 상기 큐어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제1이동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동컨베이어를 상기 매거진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수단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let conveyor is arranged fixed to the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o move the object, a first mobile conveyor disposed between the fixed conveyor and the cure chamber to move the object, and the firs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moving means for moving the moving conveyo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azine.

여기서,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제1이동컨베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제1이동가이드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1이동컨베이어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이동구동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moving means includes a first moving guide for guiding the moving path of the first moving conveyor, and a first moving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moving force to the first moving conveyor by the applied power. desirable.

여기서,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제1이동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이동축과, 상기 제1이동컨베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축과 상기 제1이동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moving means is a first moving shaft rotated by the first moving driving unit, and coupled to the first moving conveyor is moved alo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ing shaft and the first moving guid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oving member.

여기서,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 가압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의 가압경로를 안내하는 투입가이드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푸셔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투입구동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put means is a pusher for pressing the object moving through the inlet conveyor to the cure chamber, an input guide for guiding the pressing path of the pusher, and an input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pusher by the applied power sour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여기서, 상기 투입수단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푸셔를 승강시키는 푸셔승강기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put means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pusher lift for lifting the pusher by the applied power.

여기서,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푸셔 또는 상기 푸셔승강기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투입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put means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pusher or the pusher lift further comprises an input connection member which is moved along the input guide.

여기서, 상기 푸셔는 상기 대상물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usher is preferably such tha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object is inserted and seated.

여기서, 상기 출구컨베이어는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제2이동컨베이어와, 상기 제2이동컨베이어를 상기 매거진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let conveyor may include a second moving conveyor disposed at an exit side of the cure chamber to move the object, and second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econd moving conveyor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azine. Do.

여기서,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제2이동컨베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제2이동가이드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2이동컨베이어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2이동구동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moving means includes a second moving guide for guiding a moving path of the second moving conveyor, and a second moving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moving force to the second moving conveyor by an applied power source. desirable.

여기서,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제2이동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이동축과, 상기 제2이동컨베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축과 상기 제2이동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는 제2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moving means is a second moving shaft rotated by the second moving driv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conveyor is moved alo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moving shaft and the second moving guid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oving member.

여기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대상물을 집어 상기 출구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그리퍼와, 상기 그리퍼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배출가이드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그리퍼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배출구동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scharge means is a gripper for picking up the object discharged from the cure chamber to move to the exit conveyor, the discharge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gripper, and the discharge port for providing a moving force to the gripper by the applied power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eastern part.

여기서, 상기 배출수단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그리퍼를 승강시키는 그리퍼승강기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means further comprises a gripper elevator for elevating the gripper by the applied power.

여기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그리퍼 또는 상기 그리퍼승강기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배출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scharge means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gripper or the gripper lif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connection member which is moved along the discharge guide.

여기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집도록 상기 대상물과 접촉되는 부위에 밀착부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ripper is preferably such that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installe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stably pick up the object.

여기서, 상기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출구컨베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 상측에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핀치롤러부; 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inch roller unit for supporting the object on at least one conveyor side of the inlet conveyor and the outlet conveyor;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핀치롤러부는 시소 운동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연결되는 시소바와, 상기 시소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핀치롤러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inch roller unit preferably includes a seesaw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veyor so that the seesaw movement, and a pinch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esaw to support the object.

여기서, 상기 핀치롤러부는 상기 핀치롤러에 권취되어 상기 대상물에 접촉되는 밀착링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inch roller portion is preferably wound to the pinch roller further comprises a contact ring in contact with the object.

여기서, 상기 핀치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서 상기 시소바가 시소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핀치연결부재와, 상기 핀치연결부재와 상기 시소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시소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 the pinch roller part further includes a pinch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seesaw so that the seesaw moves on one side of the conveyor,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pinch connection member and the seesaw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esaw.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르면, 매거진에 적재되는 기판을 낱장으로 이송시키고, 큐어챔버 내부에서 대상물인 기판이 자동으로 적재되면서 기판을 건조할 수 있고, 큐어 장치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line type cure device which transfers a substrate loaded in a magazine into a single sheet, which can dry the substrate while automatically loading the substrate as an object in the cure chamber, and can manufacture the cure device compactly do.

또한, 대상물인 개별 기판에 대한 큐어링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that can precisely adjust the curing time for an individual substrate as an object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또한, 선행공정과 후속공정이 사라지고, 전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that can eliminate the preceding and subsequent steps and simplify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전체 제조 시간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또한, 매거진의 승강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적재되는 대상물인 개별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capabl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agazine and preventing the breakage of individual substrates, which are objects to be loaded.

또한, 큐어챔버 내부의 가열 온도에 대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in-line type cur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loss of the heating temperature inside the curing chamber.

또한, 구성부품을 줄이면서도 대상물인 개별 기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There is also provided an inline type curing device that reduces the components and facilitates the movement of individual substrates as objects.

또한, 대상물인 개별 기판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is provided which allows individual substrates to be moved st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큐어챔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승강수단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입구투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고정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제1이동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투입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1에서 출구배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제2이동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에서 배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대상물의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line type cu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a and 3b is a view showing the cure chamber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lifting means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portion in Figure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conveyor in Figure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mobile conveyor in FIG. 5;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put means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outlet in Figure 1,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bile conveyor in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means in FIG.
12 to 17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state of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는 큐어챔버(1)와, 개폐수단(2)과, 입구투입부(3)와, 출구배출부(4)를 포함하고, 핀치롤러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n inline type cu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e chamber (1), opening and closing means (2), inlet and outlet portion (3), outlet outlet (4) ), And may further include a pinch roller unit 3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는 큐어챔버(1)의 내부를 가열하여 소정 온도 하에서 공급되는 대상물(P)을 큐어링하는 큐어 장치로써, 큐어챔버(1) 내부에서 승강되는 매거진(13)에 대상물(P)이 적층되면서 큐어링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대상물(P)은 낱장으로 이송되는 기판으로써, 큐어챔버(1)의 내부에 설치된 매거진(13)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이 유리하다.An inline type cu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e device that heats the inside of the cure chamber 1 to cure the object P supplied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is elevated in the cure chamber 1. Curing proceeds as the object P is stacked in the magazine 1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P) is a substrate to be transferred in a sheet, it is advantageous to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magazine 13 installed inside the cure chamber (1).

도면부호 15는 큐어챔버(1)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해 큐어챔버(1)를 개폐하도록 하는 점검도어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점검도어(15)에는 개폐시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15 is a check door to open and close the cure chamber 1 for maintenance of the interior of the cure chamber 1. Although not shown, the check door 15 may be provided with a lever for locking or unlocking when opening and closing.

첨부 도면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큐어챔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승강수단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A and 3B are views showing the cure chamber in FIG. 1,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fting means in FIG.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큐어챔버(1)는 소정 온도로 가열된 내부에서 낱장으로 공급되는 대상물(P)이 적층되면서 큐어링이 진행되는 챔버로써, 히터(미도시)와, 팬모터(미도시)와, 매거진(13)과, 승강수단(14)을 포함한다. 여기서 큐어챔버(1)에는 입구투입부(3) 측으로 입구(16)가 개구되고, 출구배출부(4) 측으로 출구(17)가 개구되어 있다. 그러면 큐어챔버(1)의 입구(16)를 통해 큐어챔버(1)의 내부로 대상물(P)이 낱장으로 투입되도록 하고, 큐어챔버(1)의 출구(17)를 통해 큐어챔버(1)의 내부에서 대상물(P)이 낱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입구(16)와 출구(17)에는 각각 대상물(P)의 안정된 이동을 위해 안내부(18)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Referring to FIGS. 3A to 4, the cure chamber 1 is a chamber in which curing is performed while stacking the object P supplied in a sheet in a heated interio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heater (not shown) and a fan motor. (Not shown), the magazine 13, and the elevating means 14 are included. In this case, the inlet 16 is opened in the cure chamber 1 toward the inlet inlet part 3, and the outlet 17 is opened in the outlet outlet part 4. Then, the object P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ure chamber 1 through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in a single sheet, and through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of the cure chamber 1. The object (P) is discharged in a single sheet from the inside. Advantageously,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are formed with guides 18 for the stable movement of the object P, respectively.

히터(미도시)는 큐어챔버(1)의 내부를 가열시킨다. 팬모터(미도시)는 큐어챔버(1) 내부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킨다. 히터가 큐어챔버(1)의 내부를 가열하고, 팬모터가 큐어챔버(1)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면 충분한 것으로 설치위치 또는 설치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서 생략한다. 매거진(13)은 큐어챔버(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큐어챔버(1)의 입구(16)로 투입되는 대상물(P)이 적층되도록 한다. 매거진(13)에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슬롯(131)이 형성된다. 승강수단(14)은 큐어챔버(1)의 내부에서 매거진(13)을 승강시킨다. 그러면 매거진(13)의 승강에 따라 대상물(P)이 슬롯(131)에 끼움 삽입되도록 하여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A heater (not shown) heats the interior of the cure chamber 1. The fan motor (not shown) circulates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in the cure chamber 1. If the heater heats the interior of the cure chamber 1 and the fan motor can circulate the heated air in the interior of the cure chamber 1,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the installation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t least one magazine 13 is disposed inside the cure chamber 1 so that the object P introduced into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is stacked. The magazine 13 is formed with slots 1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ifting means 14 raises and lowers the magazine 13 inside the cure chamber 1. Then, as the magazine 13 moves up and down, the object P is inserted into the slot 131 to facilitate lamination.

여기서 승강수단(14)은 승강가이드(144)와, 승강구동부(141)를 포함하고, 승강축(142)과 승강부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means 14 may include an elevating guide 144 and an elevating driver 141,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shaft 142 and an elevating member 143.

승강가이드(144)는 매거진(13)의 승강경로를 안내하고, 승강구동부(14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매거진(13)에 승강력을 제공한다. 승강구동부(141)는 매거진(13)에 형성된 슬롯(131)의 이격 간격만큼씩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면 매거진(13)은 큐어챔버(1)의 내부에서 승강구동부(141)의 승강력으로 승강가이드(144)를 따라 승강하면서 대상물(P)이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The elevating guide 144 guides the elevating path of the magazine 13, and the elevating driver 141 provides the elevating force to the magazine 13 by an applied power source. Lifting unit 141 is advantageous to be lifted by the spaced apart interval of the slot 131 formed in the magazine (13). Then, the magazine 13 may allow the object P to be stacked while elevating along the elevating guide 144 with the elevating force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141 inside the cure chamber 1.

그리고 승강축(142)은 승강구동부(141)에 의해 회전되고, 승강부재(143)는 매거진(13)에 결합되어 승강축(142)과 승강가이드(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승강된다. 일예로 승강구동부(141)는 모터이고, 승강축(142)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승강축(142)의 회전에 따라 승강부재(143)의 승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And the lifting shaft 142 is rotated by the lifting driving unit 141, the lifting member 143 is coupled to the magazine 13 is elevated along at least one of the lifting shaft 142 and the lifting guide 144. For example, the lifting driving unit 141 is a motor, and the lifting shaft 142 may be formed with a screw thread to easily adjust the lifting of the lifting member 14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fting shaft 142.

개폐수단(2)은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에 각각 배치되어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를 개폐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폐수단(2)은 도어로 구성되어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 측에서 각각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여닫이 방식으로 회동하면서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개폐수단(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에어커튼(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커튼(21)은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출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분출 여부에 따라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를 개폐할 수 있다.
The opening / closing means 2 is disposed at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respectively,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Although not shown, the opening / closing means 2 is configured as a door and slides in a sliding manner or rotates in a sliding manner at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respectively, and the inlet of the cure chamber 1 is rotated. 16 and the outlet 17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 may be composed of an air curtain 2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urtain 2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to eject air, thereby inlet 16 and outlet of the cure chamber 1 depending on whether the air is ejected. (17) can be opened and closed.

첨부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입구투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고정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제1이동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투입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opening in Figure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conveyor in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bile conveyor in Figure 5, Figure 8 is a view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eeding means.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입구투입부(3)는 큐어챔버(1)의 입구(16) 측에 배치되어 대상물(P)을 큐어챔버(1)로 이동시키는 부분으로써, 입구컨베이어(31)와, 투입수단(3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37은 입구컨베이어(31)와 투입수단(33)이 큐어챔버(1)의 입구(16) 측에 설치 고정되도록 하는 입구테이블이다.5 to 8, the inlet input part 3 is disposed at the inlet 16 side of the cure chamber 1 to move the object P to the cure chamber 1, and thus the inlet conveyor 31. ) And an input means 33. Here, reference numeral 37 denotes an inlet table which allows the inlet conveyor 31 and the inlet means 33 to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inlet 16 side of the cure chamber 1.

입구컨베이어(31)는 낱장으로 공급되는 대상물(P)을 큐어챔버(1)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입구컨베이어(31)는 고정컨베이어(34)와, 제1이동컨베이어(35)와, 제1이동수단(36)을 포함한다.The inlet conveyor 31 moves the object P supplied by the sheet to the cure chamber 1. Here, the inlet conveyor 31 includes a fixed conveyor 34, a first moving conveyor 35 and the first moving means 36.

고정컨베이어(34)는 큐어챔버(1)의 입구(16) 측에 배치 고정되어 낱장으로 공급되는 대상물(P)을 이동시킨다. 이때, 고정컨베이어(34)는 입구구동부(311)와, 입구롤러(312)와, 입구밸트(313)를 포함한다. 입구롤러(312)는 대상물(P)의 진행방향으로 배열되고, 입구구동부(31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어 입구롤러(312)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입구밸트(313)는 입구롤러(312)에 권취되어 대상물(P)이 이동될 때, 대상물(P)에 접촉 지지된다. 입구밸트(313)에 대상물(P)이 접촉 지지됨으로써, 입구롤러(312)의 회전에 따른 대상물(P)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입구롤러(312)는 대상물(P)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ed conveyor 34 is disposed fixed to the inlet 16 side of the cure chamber 1 to move the object (P) supplied in a sheet. In this case, the fixed conveyor 34 includes an inlet driving part 311, an inlet roller 312, and an inlet belt 313. The inlet roller 312 is arrang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object P, and the inlet driving part 311 rotates at least one of the inlet rollers 312 by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the applied power. And the inlet belt 313 is wound around the inlet roller 312, when the object (P) is move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object (P). The object P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inlet belt 313, thereby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P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let roller 312. The inlet roller 312 can prevent the object P from slipping.

제1이동컨베이어(35)는 고정컨베이어(34)와 큐어챔버(1) 사이에 배치되어 대상물(P)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이동컨베이어(35)는 입구구동부(311)와, 입구롤러(312)와, 입구밸트(313)를 포함한다. 제1이동컨베이어(35)의 입구구동부(311)와 입구롤러(312)와 입구밸트(313)는 고정컨베이어(34)의 그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moving conveyor 35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conveyor 34 and the cure chamber 1 to move the object P. Here, the first mobile conveyor 35 includes an inlet driving part 311, an inlet roller 312, and an inlet belt 313. The inlet driving part 311, the inlet roller 312 and the inlet belt 313 of the first mobile conveyor 35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xed conveyor 34,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이동수단(36)은 제1이동컨베이어(35)를 이동시킨다. 제1이동수단(36)은 큐어챔버(1)의 내부에 배열된 매거진(13)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제1이동수단(36)은 제1이동가이드(362)와 제1이동구동부(361)를 포함하고, 제1이동축(364)과 제1이동부재(363)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moving means 36 moves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The first moving means 36 is advantageously mov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azine 13 arranged inside the cure chamber 1. The first moving means 36 includes a first moving guide 362 and a first moving driving part 361,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moving shaft 364 and a first moving member 363.

제1이동가이드(362)는 입구테이블(37)에 형성되어 제1이동컨베이어(35)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고, 제1이동구동부(36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1이동컨베이어(35)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면, 제1이동컨베이어(35)는 큐어챔버(1)의 입구(16) 측에서 제1이동구동부(361)의 이동력으로 제1이동가이드(362)를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물(P)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moving guide 362 is formed in the inlet table 37 to guide the moving path of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and the first moving driving part 361 is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by the applied power. To provide mobility. Then,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moves the object P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moving guide 362 by the moving force of the first moving driving part 361 at the inlet 16 side of the cure chamber 1. You can.

그리고, 제1이동축(364)은 제1이동구동부(361)에 의해 회전되고, 제1이동부재(363)는 제1이동컨베이어(35)에 결합되어 제1이동축(364)과 제1이동가이드(362)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된다. 일예로 제1이동구동부(361)는 모터이고, 제1이동축(364)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제1이동축(364)의 회전에 따라 제1이동부재(363)의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moving shaft 364 is rotated by the first moving driving unit 361, and the first moving member 363 is coupled to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so that the first moving shaft 364 and the first moving shaft 36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moves along at least one of the movement guides 362. For example, the first moving driver 361 is a motor,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first moving shaft 364 to easily adjust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member 36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moving shaft 364. have.

투입수단(33)은 입구컨베이어(31)를 통해 이동되는 대상물(P)을 큐어챔버(1)에 투입시킨다. 대상물(P)이 매거진(13)에 정위치되도록 투입수단(33)은 대상물(P)을 큐어챔버(1)의 내부에 삽입한다.The feeding means 33 feeds the object P, which is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31, into the cure chamber 1. The feeding means 33 inserts the object P into the inside of the cure chamber 1 so that the object P is positioned in the magazine 13.

투입수단(33)은 푸셔(335)와 투입가이드(332)와 투입구동부(331)를 포함하고, 푸셔승강기(334)와 투입연결부재(33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The input means 33 includes a pusher 335, an input guide 332, and an input driving part 331,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usher elevator 334 and the input connection member 333.

푸셔(335)는 입구컨베이어(31)를 통해 이동되는 대상물(P)을 큐어챔버(1) 내부로 가압한다. 여기서 푸셔(335)의 끝단부에는 대상물(P)의 가장자리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걸림홈(336)이 함몰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면 푸셔(335)는 낱장으로 이동되는 대상물(P)의 가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걸림홈(336)은 대상물(P)의 일부가 삽입 안착될 수 있다.The pusher 335 presses the object P, which is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31, into the cure chamber 1. 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locking groove 336 is recessed at the end of the pusher 335 so as to stably support the edge of the object P. Then, the pusher 335 may facilitate pressurization of the object P to be moved in a single sheet. The locking groove 336 may b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object (P).

투입가이드(332)는 푸셔(335)의 가압경로를 안내하고, 투입구동부(33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푸셔(335)에 가압력을 제공한다. 그러면 푸셔(335)는 대상물(P)의 일측에서 투입구동부(331)의 가압력으로 투입가이드(332)를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물(P)을 매거진(13)에 형성된 슬롯(131)에 삽입하여 정위치시킬 수 있다.
The input guide 332 guides the pressure path of the pusher 335, and the input driving part 331 provides a pressing force to the pusher 335 by an applied power source. Then, the pusher 335 moves along the input guide 332 at the pressing force of the input driving part 331 at one side of the object P, and inserts the object P into the slot 131 formed in the magazine 13 to be in the correct position. You can.

푸셔승강기(334)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푸셔(335)를 승강시킨다. 푸셔승강기(334)에 의한 푸셔(335)의 승강 작용으로 푸셔(335)는 입구컨베이어(31)를 따라 이동되는 대상물(P)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투입연결부재(333)는 푸셔(335) 또는 푸셔승강기(334)에 결합되어 투입가이드(332)를 따라 이동된다.The pusher elevator 334 raises and lowers the pusher 335 by an applied power source. As the pusher 335 lifts and lowers the pusher 335, the pusher 335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bject P moving along the inlet conveyor 31. And the input connection member 333 is coupled to the pusher 335 or the pusher lift 334 is moved along the input guide 332.

여기서 푸셔(335)의 가압 방향은 대상물(P)의 이동 방향이고, 푸셔(335)의 승강 방향은 매거진(13)의 승강 방향과 동일한 것이 유리하다.Here,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usher 335 is a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P, and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pusher 335 is advantageously the same as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agazine 13.

도면부호 315는 입구컨베이어(31)에 형성되어 대상물(P)이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투입확장부이다. 투입확장부(315)는 고정컨베이어(34)와 제1이동컨베이어(35)에 형성되어 대상물(P)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투입확장부(315)는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에 형성된 안내부(18)에 형성되기도 한다.
Reference numeral 315 denotes an input expansion part formed on the inlet conveyor 31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object P easily enters. The input expansion part 315 is formed in the fixed conveyor 34 and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so that the object P can easily enter. In addition, the input expansion part 315 may be formed in the guide part 18 formed in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첨부 도면 도 9는 도 1에서 출구배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제2이동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서 배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utlet discharge unit in FIG. 1,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mobile conveyor in FIG. 9,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charge unit in FIG. 9.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출구배출부(4)는 큐어챔버(1)의 출구(17) 측에 배치되어 큐어챔버(1)에서 배출되는 대상물(P)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부분으로써, 배출수단(42)과 출구컨베이어(41)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47은 배출수단(42)과 출구컨베이어(41)가 큐어챔버(1)의 출구(17) 측에 설치 고정되도록 하는 출구테이블이다.9 to 11, the outlet discharge part 4 is disposed at the outlet 17 side of the cure chamber 1 to move the object P discharged from the cure chamber 1 to the next process. It includes a discharge means 42 and the outlet conveyor 41. Here, reference numeral 47 denotes an outlet table which allows the discharge means 42 and the outlet conveyor 41 to be fixed to the outlet 17 side of the cure chamber 1.

출구컨베이어(41)는 큐어챔버(1)에서 낱장으로 배출되는 대상물(P)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출구컨베이어(41)는 제2이동컨베이어(43)와 제2이동수단(44)을 포함한다.The outlet conveyor 41 moves the object P discharged by the sheet from the cure chamber 1 to the next process. The outlet conveyor 41 here includes a second moving conveyor 43 and a second moving means 44.

제2이동컨베이어(43)는 큐어챔버(1)의 출구(17) 측에 배치되어 대상물(P)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이동컨베이어(43)는 출구구동부(411)와, 출구롤러(412)와 출구밸트(413)를 포함한다. 출구롤러(412)는 대상물(P)의 진행방향으로 배열되고, 출구구동부(41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어 출구롤러(412)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출구밸트(413)는 출구밸트(413)에 권취되어 대상물(P)이 이동될 때, 대상물(P)에 접촉 지지된다. 출구밸트(413)에 대상물(P)이 접촉 지지됨으로써, 출구롤러(412)의 회전에 따른 대상물(P)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출구롤러(412)는 대상물(P)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mobile conveyor 43 is disposed at the outlet 17 side of the cure chamber 1 to move the object P. As shown in FIG. Here, the second mobile conveyor 43 includes an outlet driving part 411, an outlet roller 412, and an outlet belt 413. The outlet rollers 412 are arrang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object P, and the outlet driving part 411 rotates at least one of the outlet rollers 412 by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the applied power. And the outlet belt 413 is wound around the outlet belt 413, when the object (P) is move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object (P). The object P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let belt 413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object P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utlet roller 412. The outlet roller 412 may prevent the object P from slipping.

제2이동수단(44)은 제2이동컨베이어(43)를 이동시킨다. 제2이동수단(44)은 큐어챔버(1)의 내부에 배열된 매거진(13)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제2이동수단(44)은 제2이동가이드(442)와 제2이동구동부(441)를 포함하고, 제2이동축(444)과 제2이동부재(443)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moving means 44 moves the second moving conveyor 43. It is advantageous to move the second moving means 44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azine 13 arranged inside the cure chamber 1. The second moving means 44 includes a second moving guide 442 and a second moving driving part 441,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moving shaft 444 and a second moving member 443.

제2이동가이드(442)는 출구테이블(47)에 형성되어 제2이동컨베이어(43)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고, 제2이동구동부(44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2이동컨베이어(43)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면, 제2이동컨베이어(43)는 큐어챔버(1)의 출구(17) 측에서 제2이동구동부(441)의 이동력으로 제2이동가이드(442)를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물(P)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moving guide 442 is formed in the exit table 47 to guide the moving path of the second moving conveyor 43, and the second moving driving part 441 is the second moving conveyor 43 by the applied power. To provide mobility. Then, the second moving conveyor 43 moves the object P while moving along the second moving guide 442 with the moving force of the second moving driving part 441 at the outlet 17 side of the cure chamber 1. You can.

그리고, 제2이동축(444)은 제2이동구동부(441)에 의해 회전되고, 제2이동부재(443)는 제2이동컨베이어(43)에 결합되어 제2이동축(444)과 제2이동가이드(442)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된다. 일예로 제2이동구동부(441)는 모터이고, 제2이동축(44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이동축(444)의 회전에 따라 제2이동부재(443)의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shaft 444 is rotated by the second moving driving unit 441, and the second moving member 443 is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conveyor 43 so that the second moving shaft 444 and the second moving shaft 444 are rotated. It is moved along at least one of the movement guide 442. For example, the second moving driver 441 is a motor,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second moving shaft 444 to easily adjus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member 44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ving shaft 444. have.

배출수단(42)은 큐어챔버(1)에서 낱장으로 배출되는 대상물(P)을 출구컨베이어(41)로 이동시킨다. 배출수단(42)은 큐어챔버(1)에서 대상물(P)이 배출될 때, 대상물(P)이 출구컨베이어(41)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Discharge means 42 moves the object (P) discharged in a single sheet from the cure chamber (1) to the outlet conveyor (41). The discharge means 42 allows the object P to be stably seated on the exit conveyor 41 when the object P is discharged from the cure chamber 1.

배출수단(42)은 그리퍼(425)와 배출가이드(422)와 배출구동부(421)를 포함하고, 그리퍼승강기(424)와 배출연결부재(42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The discharge means 42 includes a gripper 425, a discharge guide 422, and a discharge driver 421,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gripper elevator 424 and the discharge connection member 423.

그리퍼(425)는 큐어챔버(1)에서 배출되는 대상물(P)을 집는다. 여기서 그리퍼(425)에는 대상물(P)을 안정적으로 집도록 대상물(P)과 접촉되는 부위에 밀착부(426)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퍼(425)가 대상물(P)을 집을 때, 밀착부(426)는 대상물(P)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대상물(P)이 그리퍼(42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ripper 425 picks up the object P discharged from the cure chamber 1. Here, the gripper 425 is advantageously formed such that the close contact portion 426 is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bject P to stably pick up the object P. When the gripper 425 picks up the object P, the close contact 426 may prevent the object P from slipping and prevent the object P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ipper 425.

배출가이드(422)는 그리퍼(425)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고, 배출구동부(42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그리퍼(425)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면 그리퍼(425)는 대상물(P)을 집은 상태에서 배출구동부(421)의 이동력으로 배출가이드(422)를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물(P)을 출구컨베이어(41)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guide 422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gripper 425, and the discharge driving part 421 provides a moving force to the gripper 425 by an applied power source. Then, the gripper 425 may move the object P to the exit conveyor 41 while moving along the discharge guide 422 by the moving force of the discharge driving part 421 in the state of picking up the object P. FIG.

그리퍼승강기(424)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그리퍼(425)를 승강시킨다. 그리퍼승강기(424)에 의한 그리퍼(425)의 승강 작용으로 그리퍼(425)는 출구컨베이어(41)를 따라 이동되는 대상물(P)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배출연결부재(423)는 그리퍼(425) 또는 그리퍼승강기(424)에 결합되어 배출가이드(422)를 따라 이동된다.The gripper elevator 424 raises and lowers the gripper 425 by an applied power source. Lifting action of the gripper 425 by the gripper elevator 424 prevents the gripper 425 from interfering with the object P moving along the exit conveyor 41. The discharge connection member 423 is coupled to the gripper 425 or the gripper elevator 424 and moved along the discharge guide 422.

여기서 그리퍼(425)의 이동 방향은 대상물(P)의 이동 방향이고, 그리퍼(425)의 승강 방향은 매거진(13)의 승강 방향과 동일하다.Her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ripper 425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P, and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gripper 425 is the same as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magazine 13.

도면부호 415는 출구컨베이어(41)에 형성되어 대상물(P)이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배출확장부이다. 배출확장부(415)는 제2이동컨베이어(43)에 형성되어 대상물(P)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Reference numeral 415 is an discharge extension part formed on the exit conveyor 41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object P easily enters. The discharge extension part 415 is formed in the second mobile conveyor 43 so that the object P can easily enter.

상술한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는 핀치롤러부(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n-line cur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inch roller unit 32.

핀치롤러부(32)는 입구컨베이어(31)와 출구컨베이어(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 상측에서 컨베이어방향으로 대상물(P)을 지지한다. 핀치롤러부(32)는 고정컨베이어(34)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핀치롤러부(32)는 제1이동컨베이어(35)와 제2이동컨베이어(43) 중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컨베이어(34)에 설치되는 핀치롤러부(32)와 동일한 구성으로 설명은 생략한다.The pinch roller part 32 supports the object P in the conveyor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at least one conveyor of the inlet conveyor 31 and the outlet conveyor 41. As shown in FIG. The pinch roller part 32 is demonstrated when it is installed in the fixed conveyor 34. As shown in FIG. The pinch roller part 32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conveyor of the first mobile conveyor 35 and the second mobile conveyor 43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inch roller part 32 installed in the fixed conveyor 34. The description is omitted.

먼저, 입구측 핀치롤러부(32a)의 경우에는 시소바(321a), 핀치롤러(322)를 포함하고, 밀착링(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소바(321a)의 안정된 시소 운동을 위해 핀치연결부재(324a)가 설치될 수 있다. 시소바(321a)는 고정컨베이어(34)의 일측에 연결되어 시소 운동하도록 한다. 핀치롤러(322)는 시소바(32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고정컨베이어(34)를 따라 이동되는 대상물(P)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대상물(P)이 고정컨베이어(34)를 따라 이동될 때, 이동되는 대상물(P)이 핀치롤러(322)를 회전시킴과 더불어 시소바(321a)가 시소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대상물(P)은 고정컨베이어(34)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핀치롤러(322)와 고정컨베이어(34)의 입구롤러(312) 사이를 통과하고, 핀치롤러(322)는 대상물(P)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대상물(P)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First, in the case of the inlet-side pinch roller portion 32a, it may include a seesaw 321a and a pinch roller 322,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on ring 323. Here, the pinch connecting member 324a may be installed to stabilize the seesaw movement of the seesaw 321a. The seesaw 321a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ed conveyor 34 to perform a seesaw movement. The pinch roller 32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esaw 321a to support the object P moved along the fixed conveyor 34. Here, when the object P is moved along the fixed conveyor 34, the moving object P rotates the pinch roller 322 and the seesaw 321a performs the seesaw motion. Then, the object P passes between the pinch roller 322 and the inlet roller 312 of the fixed conveyor 34 while the object P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fixed conveyor 34, and the pinch roller 322 is connected to the object P. I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bject P in the contact-supported state.

밀착링(323)은 핀치롤러(322)에 권취된다. 밀착링(323)은 핀치롤러(322)의 회전에 따라 대상물(P)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밀착링(323)은 대상물(P)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act ring 323 is wound around the pinch roller 322. The contact ring 323 is supported by contact with the object (P)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inch roller 322. The contact ring 323 may prevent the object P from slipping.

핀치연결부재(324a)는 고정컨베이어(34)의 일측에서 시소바(321a)가 시소 운동하도록 결합된다. 핀치연결부재(324a)는 고정컨베이어(34)의 일측에 결합되어 시소바(321a)의 시소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즉, 시소바(321a)의 일단은 핀치롤러(322)가 결합되고, 타측은 핀치연결부재(324a)와 결합함으로써 시소운동이 일어나게 된다.The pinch connection member 324a is coupled to the seesaw movement of the seesaw 321a at one side of the fixed conveyor 34. The pinch connection member 324a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ed conveyor 34 to smooth the seesaw movement of the seesaw 321a. That is, the pinch roller 32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esaw 321a, and the other side is engaged with the pinch connecting member 324a to generate a seesaw movement.

다음으로, 출구측 핀치롤러부(32b)는 시소바(321b)와 핀치롤러(322)를 포함하고, 밀착링(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구측의 핀치롤러부(32b)는 핀치연결부재(324b)와 탄성부재(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핀치연결부재(324b)는 고정컨베이어(34)의 일측에서 시소바(321)가 시소 운동하도록 결합된다. 핀치연결부재(324b)는 고정컨베이어(34)의 일측에 결합되어 시소바(321b)의 시소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탄성부재(325)는 핀치연결부재(324b)와 시소바(321b) 사이에 설치되어 시소바(321b)를 탄성 지지한다. 그러면 탄성부재(325)가 시소바(321b)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고정컨베이어(34)를 따라 이동되는 대상물(P)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대상물(P)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Next, the outlet pinch roller portion 32b includes a seesaw 321b and a pinch roller 322,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on ring 323. The pinch roller part 32b on the outlet side may further include a pinch connecting member 324b and an elastic member 325. Here, the pinch connecting member 324b is coupled to the seesaw movement of the seesaw 321 on one side of the fixed conveyor 34. The pinch connecting member 324b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ed conveyor 34 to smooth the seesaw motion of the seesaw 321b. The elastic member 325 is installed between the pinch connecting member 324b and the seesaw 321b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esaw 321b. Then, the elastic member 325 elastically supports the seesaw 321b, thereby improv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object P moved along the fixed conveyor 34, and can prevent the object P from slipping.

지금부터는 상술한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inline type cure device will now be described.

첨부 도면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대상물의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2 to 17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state of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낱장으로 공급되는 대상물(P)은 입구투입부(3)를 통해 큐어챔버(1)로 이동된다. 이때 대상물(P)은 고정컨베이어(34)를 거쳐 제1이동컨베이어(35)로 이동하여 큐어챔버(1)의 입구(16)에서 정지된다. 이때 푸셔(335)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상물(P)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큐어챔버(1)의 내부는 소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12 to 14, the object P supplied in a sheet is moved to the cure chamber 1 through the inlet part 3. At this time, the object P moves to the first mobile conveyor 35 via the fixed conveyor 34 and stops at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At this time, the pusher 335 is maintai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object (P). Here, it is advantageous to keep the inside of the cure chamber 1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컨베이어(34)와 제1이동컨베이어(35)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면, 대상물(P)을 매거진(13) "A" 또는 매거진(13) "C" 에 삽입 적층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fixed conveyor 34 and the first mobile conveyor 35 is located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ure 13, the object (P) magazine (13) "A" or magazine 13 "C" Can be laminated to insert.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수단(36)을 통해 제1이동컨베이어(35)를 이동시키면, 대상물(P)을 매거진(13) "B" 또는 매거진(13) "D" 에 삽입 적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when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is moved through the first moving means 36, the object P is placed in the magazine 13 "B" or the magazine 13 "D". Can be laminated by inserting.

도 15를 참조하면, 대상물(P)이 제1이동컨베이어(35)로 이동하여 정지되면 개폐수단(2)을 통해 큐어챔버(1)의 입구(16)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에어커튼(21)에서 공기의 분출이 정지됨으로써, 큐어챔버(1)의 입구(16)를 개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when the object P moves to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and stops,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ejection of the air curtain 21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open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큐어챔버(1)의 입구(16)가 개방되면, 다시 제1이동컨베이어(35)가 동작되어 대상물(P)은 큐어챔버(1)의 입구(16)에 삽입된다. 그리고 대상물(P)이 큐어챔버(1)의 입구에 삽입되어 푸셔(335)가 대상물(P)에 간섭되지 않게 되면, 제1이동컨베이어(35)는 정지되고, 푸셔(335)는 승강하여 대상물(P)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대상물(P)을 가압한다. 그러면 대상물(P)은 큐어챔버(1)의 입구(16)를 통과하여 매거진(13)에 끼움 삽입되어 정위치된다.When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is opened, the first mobile conveyor 35 is operated again so that the object P is inserted into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When the object P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cure chamber 1 such that the pusher 335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bject P,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is stopped, and the pusher 335 is lifted and lowered. The object P is pressuriz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P). Then, the object P is inserted into the magazine 13 through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and is positioned in position.

이후 푸셔(335)는 후퇴하여 큐어챔버(1)의 입구(16)에서 빠져나와 초기 상태로 승강되고, 개폐수단(2)은 큐어챔버(1)의 입구(16)를 폐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에어커튼(21)이 동작되어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큐어챔버(1)의 입구(16)를 폐쇄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usher 335 retracts and exits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and is elevated to an initial st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 closes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urtain 21 is operated to blow out air, thereby closing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또한, 푸셔(335)가 큐어챔버(1)의 입구(16)에서 빠져나오면, 매거진(13)은 슬롯(131)의 이격 간격만큼 승강하면서 차순위의 대상물(P)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pusher 335 exits from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the magazine 13 allows the next-order object P to be inserted while lifting up and down by the spaced interval of the slot 131.

이렇게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매거진(13)의 승강에 따라 매거진(13)에 대상물(P)이 차례로 적층됨은 물론, 매거진(13)에 적층된 대상물(P)이 큐어링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P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magazine 13 as the magazine 13 moves up and down, and the object P stacked on the magazine 13 is cured.

도 16을 참조하면, 대상물(P)이 큐어챔버(1) 내부에서 매거진(13)에 적층되면서 큐어링이 완료되면, 큐어링이 완료된 대상물(P)이 큐어챔버(1)의 출구(17)와 마주보도록 매거진(13)을 승강시킨다.Referring to FIG. 16, when curing is completed while the object P is stacked in the magazine 13 inside the cure chamber 1, the object P on which the cure is completed is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Lift the magazine (13) to face.

여기서 입구투입부(3)의 동작을 살펴보면, 푸셔(335)는 승강됨은 물론 큐어챔버(1)의 입구(16)로 삽입되어 큐어링이 완료된 대상물(P)을 가압한다. 여기서 큐어챔버(1)의 입구(16)는 개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개폐수단(2)이 에어커튼(21)으로 구성되는 경우, 푸셔(335)의 전진에 따라 에어커튼(21)은 계속 동작될 수 있다. 푸셔(335)가 매거진(13)에 적층된 대상물(P)을 가압할 때, 개폐수단(2)을 통해 큐어챔버(1)의 출구(17)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에어커튼(21)에서 공기의 분출이 정지됨으로써, 큐어챔버(1)의 출구(17)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면 매거진(13)에 적층되어 있던 큐어링이 완료된 대상물(P)이 큐어챔버(1)의 출구(17)로 배출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inlet portion 3, the pusher 335 is lifted as well as inserted into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to press the object P is completed curing. It is advantageous here that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is ope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 is composed of the air curtain 21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urtain 21 may continue to operate as the pusher 335 moves forward. When the pusher 335 presses the object P stacked on the magazine 13,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means 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ejection of the air curtain 21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open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Then, the cured object P laminated on the magazine 13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특히 푸셔(335)가 큐어링이 완료된 대상물(P)을 가압하기 위해 대상물(P)을 향해 전진할 때, 푸셔(335)는 도 15의 설명에서와 같이 제1이동컨베이어(35)에서 큐어챔버(1)의 입구에 삽입된 대상물(P)을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큐어챔버(1)의 입구(16)에서 이동되는 대상물(P)이 매거진(13)에 적층됨과 동시에 매거진(13)에 적층되어 있던 큐어링이 완료된 대상물(P)을 밀어내어 큐어챔버(1)의 출구(17)로 배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pusher 335 advances toward the object P to pressurize the object P on which the curing is completed, the pusher 335 is a cure chamber in the first moving conveyor 35 as described in FIG. 15. The object P inserted into the inlet of (1) can be pressurized. Then, the object P which is moved from the inlet 16 of the cure chamber 1 is stacked on the magazine 13 and the object C on which the cure has been stacked on the magazine 13 is pushed out and the cure chamber 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7).

여기서 출구배출부(4)의 동작을 살펴보면, 큐어링이 완료된 대상물(P)을 배출하기 위한 매거진(13)의 승강에 따라 대상물(P)이 배출될 큐어챔버(1)의 출구(17)로 제2이동컨베이어(43)가 이동된다. 그리고 푸셔(335)의 동작으로 큐어링이 완료된 대상물(P)이 큐어챔버(1)의 출구(17)로 배출되면, 그리퍼(425)는 승강되는 동작 및 큐어챔버(1)의 출구(17) 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을 통해 배출된 대상물(P)을 집게 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outlet discharge unit 4,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agazine 13 for discharging the completed object (P) to the exit of the cure chamber (1) to discharge the object (P). The second mobile conveyor 43 is moved. When the object P, which has been cured by the operation of the pusher 335,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the gripper 425 is lifted and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is operated. Picked up the discharged object (P) through the movement to the side.

도 17을 참조하면, 그리퍼(425)는 큐어챔버(1)의 출구(17)로 배출된 대상물(P)을 집은 상태에서 대상물(P)을 제2이동컨베이어(43)로 이동시킨다.Referring to FIG. 17, the gripper 425 moves the object P to the second moving conveyor 43 in a state of picking up the object P discharged to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그리퍼(425)를 통해 대상물(P)이 제2이동컨베이어(43)로 이동되어 제2이동컨베이어(43)에 접촉 지지되면, 그리퍼(425)는 대상물(P)에서 이탈 승강되어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이동컨베이어(43)의 동작에 따라 큐어링이 완료된 대상물(P)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그리퍼(425)의 승강 동작으로 대상물(P)이 제2이동컨베이어(43)를 따라 이동될 때, 그리퍼(425)는 대상물(P)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object P is moved to the second mobile conveyor 43 by the gripper 425 to be supported by the second mobile conveyor 43, the gripper 425 is lifted and lifted from the object P to move to the initial position. do. Th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bile conveyor 43, the object P, which has been cured, is moved to the next process. At this time, when the object P is moved along the second moving conveyor 43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gripper 425, the gripper 425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bject P. FIG.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는 낱장으로 대상물(P)이 이동하면서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를 통과함에 따라 매거진(13) 자체가 이동하는 것에 비해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개폐수단(2)에 의해 큐어챔버(1)의 입구(16)와 출구(17)를 개폐할 때, 큐어챔버(1) 내부의 열손실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큐어챔버(1) 내부의 온도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in-line type c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e chamber as the magazine 13 itself moves as it passes through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while the object P moves in a single sheet. The size of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of (1) can be reduced. An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6 and the outlet 17 of the cure chamber 1 by the opening / closing means 2, the heat loss inside the cure chamber 1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and the cure chamber 1 Internal temperature maintenance can be made easy.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which can be modified.

P: 대상물 1: 큐어챔버 13: 매거진
131: 슬롯 14: 승강수단 141: 승강구동부
142: 승강축 143: 승강부재 144: 승강가이드
15: 점검도어 16: 입구 17: 출구
18: 안내부 2: 개폐수단 21: 에어커튼
3: 입구투입부 31: 입구컨베이어 311: 입구구동부
312: 입구롤러 313: 입구밸트 315: 투입확장부
32: 핀치롤러부 321: 시소바 322: 핀치롤러
323: 밀착링 324: 핀치연결부재 325: 탄성부재
34: 고정컨베이어 35: 제1이동컨베이어 36: 제1이동수단
361: 제1이동구동부 362: 제1이동가이드 363: 제1이동부재
364: 제1이동축 33: 투입수단 331: 투입구동부
332: 투입가이드 333: 투입연결부재 334: 푸셔승강기
335: 푸셔 336: 걸림홈 37: 입구테이블
4: 출구배출부 41: 출구컨베이어 411: 출구구동부
412: 출구롤러 413: 출구밸트 415: 배출확장부
43: 제2이동컨베이어 44: 제2이동수단 441: 제2이동구동부
442: 제2이동가이드 443: 제2이동부재 444: 제2이동축
42: 배출수단 421: 배출구동부 422: 배출가이드
423: 배출연결부재 424: 그리퍼승강기 425: 그리퍼
426: 밀착부 47: 출구테이블
P: Object 1: Cure Chamber 13: Magazine
131: slot 14: lifting means 141: lifting drive unit
142: lifting shaft 143: lifting member 144: lifting guide
15: check door 16: entrance 17: exit
18: guide portion 2: opening and closing means 21: air curtain
3: entrance part 31: entrance conveyor 311: entrance part
312: inlet roller 313: inlet belt 315: input expansion unit
32: pinch roller section 321: shishiba 322: pinch roller
323: contact ring 324: pinch connecting member 325: elastic member
34: fixed conveyor 35: first moving conveyor 36: first moving means
361: first moving unit 362: first moving guide 363: first moving member
364: first moving shaft 33: input means 331: input drive unit
332: input guide 333: input connection member 334: pusher lift
335: pusher 336: locking groove 37: entrance table
4: outlet outlet 41: outlet conveyor 411: outlet drive unit
412: exit roller 413: exit belt 415: discharge expansion unit
43: second moving conveyor 44: second moving means 441: second moving driving part
442: second moving guide 443: second moving member 444: second moving shaft
42: discharge means 421: discharge drive unit 422: discharge guide
423: discharge connection member 424: gripper lift 425: gripper
426: close contact 47: exit table

Claims (2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소정 온도 하에서 대상물을 큐어링하는 큐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모터와,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슬롯에 상기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큐어챔버;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에 투입하는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입구투입부;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출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출구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커튼으로 구성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In a cure device for cur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heater that heats the interior, a fan motor that circulates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at least one magazine in which the object is stacked in a slot formed in the spaced apart state, and the elevating elevating magazine A cure chamber comprising means;
Opening and closing mean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ure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An inlet part disposed on an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inlet conveyor including an in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nd an inlet means for injecting the object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into the cure chamber;
An outlet outlet disposed at an out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outlet outlet including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object from the cure chamber, and an out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Includ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an in-line type curing device composed of an air curtai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let and the outlet to blow out air.
소정 온도 하에서 대상물을 큐어링하는 큐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모터와,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슬롯에 상기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큐어챔버;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에 투입하는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입구투입부;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출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출구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컨베이어는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고정컨베이어와, 상기 고정컨베이어와 상기 큐어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매거진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In a cure device for cur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heater that heats the interior, a fan motor that circulates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at least one magazine in which the object is stacked in a slot formed in the spaced apart state, and the elevating elevating magazine A cure chamber comprising means;
Opening and closing mean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ure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An inlet part disposed on an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inlet conveyor including an in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nd an inlet means for injecting the object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into the cure chamber;
An outlet outlet disposed at an out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outlet outlet including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object from the cure chamber, and an out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Including;
The inlet conveyor is disposed fixed to the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o move the object, and disposed between the fixed conveyor and the cure chamber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magazine to move the object An inline type cure device comprising a first mobile convey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컨베이어를 상기 매거진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제1이동컨베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제1이동가이드와, 상기 제1이동컨베이어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a first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irst moving conveyor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azine, wherein the first moving means includes a first moving guide for guiding a moving path of the first moving conveyor and the first moving means. Inline type c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moving drive unit for providing a moving force to the convey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제1이동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이동축과, 상기 제1이동컨베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축과 상기 제1이동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moving means
And a first moving member rotated by the first moving driving unit, and a first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oving conveyor and moving alo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ing shaft and the first moving guide. Inline type cure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소정 온도 하에서 대상물을 큐어링하는 큐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모터와,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슬롯에 상기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큐어챔버;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에 투입하는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입구투입부;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출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출구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 가압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의 가압경로를 안내하는 투입가이드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푸셔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투입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In a cure device for cur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heater that heats the interior, a fan motor that circulates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at least one magazine in which the object is stacked in a slot formed in the spaced apart state, and the elevating elevating magazine A cure chamber comprising means;
Opening and closing mean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ure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An inlet part disposed on an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inlet conveyor including an in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nd an inlet means for injecting the object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into the cure chamber;
An outlet outlet disposed at an out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outlet outlet including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object from the cure chamber, and an out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Including;
The input means includes a pusher for pressurizing an object moving through the inlet conveyor to the cure chamber, an input guide for guiding a pressing path of the pusher, and an input driving part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pusher by an applied power source. In-line c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푸셔를 승강시키는 푸셔승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put means is
And a pusher lifter for elevating the pusher by an applied power sour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푸셔 또는 상기 푸셔승강기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투입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put means is
An inline type cure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nput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pusher or the pusher lifter and moved along the input gu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대상물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usher
Inline type c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object is inserted and seated.
소정 온도 하에서 대상물을 큐어링하는 큐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모터와,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슬롯에 상기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큐어챔버;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에 투입하는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입구투입부;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출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출구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출구컨베이어는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제2이동컨베이어와, 상기 제2이동컨베이어를 상기 매거진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In a cure device for cur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heater that heats the interior, a fan motor that circulates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at least one magazine in which the object is stacked in a slot formed in the spaced apart state, and the elevating elevating magazine A cure chamber comprising means;
Opening and closing mean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ure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An inlet part disposed on an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inlet conveyor including an in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nd an inlet means for injecting the object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into the cure chamber;
An outlet outlet disposed at an out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outlet outlet including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object from the cure chamber, and an out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Including;
The outlet conveyor is a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moving conveyor disposed on the exit side of the cure chamber to move the object, and a second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econd moving conveyo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azine.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제2이동컨베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제2이동가이드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2이동컨베이어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2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moving means
And a second moving guide for guiding a moving path of the second moving conveyor and a second moving driving part for providing a moving force to the second moving conveyor by an applied power sour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제2이동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이동축과, 상기 제2이동컨베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축과 상기 제2이동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는 제2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moving means
And a second moving member rotated by the second moving driver and a second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conveyor and moving alo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moving shaft and the second moving guide. Inline type cure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삭제delete 소정 온도 하에서 대상물을 큐어링하는 큐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모터와,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슬롯에 상기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큐어챔버;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큐어챔버의 입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입구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에 투입하는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입구투입부;
상기 큐어챔버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출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출구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큐어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대상물을 집어 상기 출구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그리퍼와, 상기 그리퍼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배출가이드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그리퍼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배출구동부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그리퍼를 승강시키는 그리퍼승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In a cure device for curing an object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heater that heats the interior, a fan motor that circulates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at least one magazine in which the object is stacked in a slot formed in the spaced apart state, and the elevating elevating magazine A cure chamber comprising means;
Opening and closing mean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ure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An inlet part disposed on an in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inlet conveyor including an in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nd an inlet means for injecting the object moved through the inlet conveyor into the cure chamber;
An outlet outlet disposed at an outlet side of the cure chamber, the outlet outlet including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object from the cure chamber, and an outlet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Including;
The discharge means includes a gripper for picking up an object discharged from the cure chamber and moving it to the exit conveyor, a discharge guide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gripper, and an discharge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moving force to the gripper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a gripper lifter for elevating the gripper by an applied power sour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그리퍼 또는 상기 그리퍼승강기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배출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ischarge means is
And a discharge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gripper or the gripper lifter and moved along the discharge guide.
삭제delete 제4항 내지 제14항 및 제1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컨베이어와 상기 출구컨베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 상측에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핀치롤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14 and 16 to 17,
A pinch roller unit supporting the object on at least one conveyor side of the inlet conveyor and the outlet conveyor; Inline-type cur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러부는
시소 운동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연결되는 시소바와, 상기 시소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핀치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pinch roller part
And a pinch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nveyor and supporting the object so that the seesaw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veyor to move the seesaw.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러부는
상기 핀치롤러에 권취되어 상기 대상물에 접촉되는 밀착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inch roller part
Inline type cur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lose contact ring wound on the pinch roller and in contact with the objec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서 상기 시소바가 시소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핀치연결부재와, 상기 핀치연결부재와 상기 시소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시소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타입의 큐어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inch roller part
An inline type cure further comprising a pinch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seesaw so that the seesaw moves on one side of the conveyor,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pinch connecting member and the seesaw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esaw. Device.
KR1020110090166A 2011-09-06 2011-09-06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KR101284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166A KR101284100B1 (en) 2011-09-06 2011-09-06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166A KR101284100B1 (en) 2011-09-06 2011-09-06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786A KR20130026786A (en) 2013-03-14
KR101284100B1 true KR101284100B1 (en) 2013-07-10

Family

ID=4817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166A KR101284100B1 (en) 2011-09-06 2011-09-06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1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378A (en) * 1995-05-31 1996-12-13 Nec Corp Continuous heat treatment system
KR20040078223A (en) * 2003-03-03 2004-09-10 지용식 Dryer of elevator type
JP2006128209A (en) 2004-10-26 2006-05-1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KR100816647B1 (en) * 2006-10-10 2008-03-27 오성엘에스티(주)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378A (en) * 1995-05-31 1996-12-13 Nec Corp Continuous heat treatment system
KR20040078223A (en) * 2003-03-03 2004-09-10 지용식 Dryer of elevator type
JP2006128209A (en) 2004-10-26 2006-05-1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KR100816647B1 (en) * 2006-10-10 2008-03-27 오성엘에스티(주)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786A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382Y1 (en) Thermal transfer apparatus
KR102378061B1 (en) hot pressing devices for prefabricated panel
KR101284100B1 (e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GB2345528A (en) Annealing furnace and method of use
KR101075441B1 (en) Laminator system and Lamin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KR100631480B1 (en) A curved surface system
KR20100030775A (en) Laminator system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KR100816647B1 (en) In-line type curing apparatus
KR102010327B1 (en) Vacuum insulation automation production system
KR100934761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device
KR101190662B1 (en) Wafer transfer machine and wafer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KR100631482B1 (en) press device
KR20160056653A (en) An Oven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2164037B1 (en) Multi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2536995B1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mask having an improved-input portion
KR19990085175A (en) Automatic Cure System and Cure Method
KR19990081673A (en) Test Tray Feeder in Cooling Chamber of Horizontal Handler
KR101209772B1 (en) Wafer dry oven system and wafer drying method
KR200349762Y1 (en) wafer disconnection machine
KR101085739B1 (en) Transfer device for drying system
JP4194803B2 (en) Molded product processing equipment
KR100934762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device
KR100631481B1 (en) transfer device
KR101317849B1 (en) in-line type baking appatatus having plasma treatment part
KR102536994B1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mask having an mask-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