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755B1 - 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 - Google Patents

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755B1
KR101283755B1 KR1020120028123A KR20120028123A KR101283755B1 KR 101283755 B1 KR101283755 B1 KR 101283755B1 KR 1020120028123 A KR1020120028123 A KR 1020120028123A KR 20120028123 A KR20120028123 A KR 20120028123A KR 101283755 B1 KR101283755 B1 KR 101283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hold
handle
fastener
hand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하
민수지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7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7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Abstract

PURPOSE: A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of transportation is provided to control a direction in which a passenger holds the handle and to allow two passengers to selectively use one handle by dividing one handle to two handles. CONSTITUTION: A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of transportation comprises a hand hold (100) and a connection unit (200). The hand hold is formed as a triangle ring shape in order to allow a passenger to hold the handle with one hand. The hand hold comprises first and second hand holds (110,120). The first and second hand hold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mprises a locking unit on the lower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connection unit holds the hand hold on a support bar (B) fixed to a roof of a vehicle.

Description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버스나 전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이 자신의 신장에 맞게 임의로 높낮이 및 사용방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 및 조정할 수 있고, 아울러 하나의 손잡이를 두 명의 승객이 선택적으로 함께 사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손잡이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a public transport vehicle such as a bus or a train, and more specifically, the passenger can arbitrarily adjust and adjust the height and direction of use arbitrarily according to their height. In addition, the handle is for a vehicle handle that can be used by two passengers selectively together to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일반적으로 불특정의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버스나 전철 등과 같은 각종 대중교통 차량의 실내에는 입석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좌석의 등받이 또는 루프 등에 고정된 지지용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 In general, various types of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such as buses or trains, used by unspecified people, are arranged along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fixed to the back of the seat or the roof to secure the standing passengers. Many are installed at intervals.

특히 지지용 바에 매달린 손잡이의 경우 차량의 주행이나 코너링, 급제동, 급출발 시 등에 승객이 손을 들어올려서 붙잡고 몸을 지탱 및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넘어지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handle suspended from a support bar, a passenger lifts his or her hand by holding the hand and maintains and balances the body during driving, cornering, braking, or sudden departure, thereby preventing it from falling or injured by inertia.

이러한 지지용 바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에 연결되는 스트랩(3)과, 이 스트랩(3)에 고정되는 핸드홀드(hand hold)(2) 및 스트랩(3)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바(1)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4)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handle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includes a strap 3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1, a hand hold 2 and a strap fixed to the strap 3. 3) is composed of a fixing bracket (4) for fixing to the support bar (1) to prevent flow.

그런데 종래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는 승객이 핸드홀드(2)를 잡은 상태에서 몸의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게 되면 고무재질의 스트랩(3)이 금속재질의 지지바(1)와 접촉 및 마찰 간섭되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 매달린 위치가 성인남성의 평균 신장치를 기준 및 고려하여 차체바닥과 일률적인 높이를 두고 설정되어 있는 특성상 여성 또는 어린이 등과 같이 신장이 상대적으로 기준치보다 작은 승객의 경우에는 핸드홀드(2)가 닿지 않아 이를 잡지 않은 상태로 탑승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차량의 급정거나 급출발 및 흔들림 발생 시 자칫 안전사고 유발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anding passenger handle, when the passenger changes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body while holding the handhold 2, the rubber strap 3 contacts and frictionally interferes with the support bar 1 made of metal. Not only does the noise cause unpleasant noise, but the suspended position is set based on the average height of the adult male and the height of the car, so that the height of the passenger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tandard. In this case, the handhold 2 does not touch and thus has no choice but to ride the vehicle without holding it, and thus there is a high risk of inducing a safety accident when the vehicle is suddenly stopped or suddenly started and shaken.

또한, 핸드홀드(2)에 손이 겨우 닿는 정도인 승객의 경우 핸드홀드(2)를 잡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는 데다 핸드홀드(2)를 잡더라도 장시간 동안 불편한 자세를 유지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마련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assenger who is barely touching the handhold 2, it is very difficult to hold the handhold 2 and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handhold 2 should be maintained for an uncomfortable position for a long time. I will follow.

이에 따라 입석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 및 편의에 따라 손잡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된 바 있다.Accordingly, there have been proposed various types of handle structures for standing passengers in a vehicle to allow the standing passengers to appropriately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s according to their physical condition and convenience.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449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963호, 등록특허 제10-0809034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18720호, 등록특허 제10-083081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382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431호, 등록특허 제10-0923351호, 등록특허 제10-1035383호 등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14499,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08963, Patent Registration No. 10-0809034, Patent Registration No. 10-0918720, Patent Registration No. 10-0830818,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2008-0113826,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2009-0032431, 10-0923351, 10-1035383, etc. are mention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들은 각각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그 사용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고, 아울러 승객이 붐비는 러시아워(rush hour) 때에는 그 개수의 부족으로 인해 한정된 인원의 승객만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많은 제약이 따랐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standing passenger handles have a structural limitation that each can adjust the height, but can not control the direction of use, and the limited number of personnel due to the lack of the number during rush hour when the passengers are crowded. Only passengers were allowed to use it, resulting in many restrictions on us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4499호(2007.02.0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14499 (2007.02.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963호(2007.11.1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08963 (2007.11.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9034호(2008.03.0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09034 (2008.03.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8720호(2009.09.24.)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18720 (2009.09.2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0818호(2008.05.20.)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30818 (2008.05.2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3826호(2008.12.31.)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8-0113826 (2008.12.3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431호(2009.04.0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32431 (2009.04.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3351호(2009.10.16.)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23351 (2009.10.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5383호(2011.05.11.)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35383 (2011.05.1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키가 작은 사람들은 손잡이를 자신에게 알맞은 높이로 내려 편안하게 잡을 수 있고, 승객이 붐빌 때에는 하나의 손잡이를 두 명의 승객이 각각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새로운 손잡이를 개발하고자 심혈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put emphasis on solving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problems, so that the short people can comfortably hold the handle down to a height suitable for them, and when the passengers are crowded, one handle can be used by two passengers,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while working diligently to develop new handl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잡는 방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하나의 손잡이를 두 개로 분리하여 두 명의 승객이 선택적으로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in public transportation, which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ssenger, while separating one handle into two if necessary, so that two passengers can use each one selectively.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손잡이의 높이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도 손잡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passengers to arbitrarily appropriately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ir physical conditions, so that even a short passenger or children can easily hold the handle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use. Is to provide a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in public transport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한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핸드홀드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각각 관절 이음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잠금수단이 구비된 제1 및 제2핸드홀드로 이루어진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hold formed to be grasped by one hand, and a connection part for hanging the handhold on a support bar fixed to a roof of the vehicle. Public transport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handholds, the upper end of which are join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so as to allow the handhold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art, and provided with locking means so as to be symmetrically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Provides standing passenger handles.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손잡이를 두 개로 분리한 후 잡는 방향을 임의로 조정하여 두 명의 승객이 동시에 각각 사용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separates one handle into two handles as needed by a passenger in a vehicle, and then arbitrarily adjusts the holding direction so that two passengers can use each simultaneous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의 상단에는 회전축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의 회전축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haf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 respectivel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 rotatably respectively; I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에 대해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와 플렉시블 조인트로 연결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and flexible joints so as to be free to m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height for the conn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한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홀드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관절 이음된 제1핸드홀드와, 상기 제1핸드홀드와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와 높낮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된 제2핸드홀드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hold formed to be grasped by one hand, and a connection part for hanging the handhold on a support bar fixed to a roof of the vehicle, wherein the handhold is free to the connection part. A first handhold, the upper end of which is join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so as to rotate, and the first handhold is symmetrical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so that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art is variable. And a second handhold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ment means, the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핸드홀드와 제2핸드홀드는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잠금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ndhold and the second handhold may be provided with locking means to be symmetrical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핸드홀드의 상단에는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ng shaft may b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handhold, and a shaft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below the connecting part to rotatably support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handhol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핸드홀드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핸드홀드와 플렉시블 조인트로 연결 이음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andhold and the flexible joint so as to be free to m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dhol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제2핸드홀드와 연결된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의 상단에 고정되고 양측에 록킹돌기가 형성된 수체결구와, 상기 수체결구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체결구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용수철과,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하측에 내장되어 상기 수체결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수체결구의 록킹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의 폭만큼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 내측에 상기 수체결구의 록킹돌기와 대응하는 록킹홈이 형성된 암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the strap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ndhold, and the water fastener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ap and formed with locking projections on both sides; A spring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fastener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move the water fastener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 built-in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connection part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water fasten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fastener The insertion part is opened by the width of the side that is not form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and may include a female fastening hol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water fastener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inse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암체결구는,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하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상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레일홈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하부에 슬라이더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암체결구와,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암체결구가 상기 수체결구와 접촉간섭을 일으켜 구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구속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male fastener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pair of rail grooves are symmetrically mounted to each other and are movable downward along the rail grooves.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each having a slider formed thereon, and mounted inside a housing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maintain the restrained state by causing the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to contact with the water fastener.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comprise a restraint sp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체결구의 위치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체결구의 록킹돌기 하면과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스프링 힌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pring hinge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inside the housing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projection lower surface of the water fastener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water fastener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핸드홀드의 상기 제2핸드홀드와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돌기와,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후크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켜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제2핸드홀드의 후크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시소운동시켜 상기 후크돌기와의 접촉간섭을 해제시키는 경사블록과, 상기 제2핸드홀드의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경사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스토퍼의 후크돌기에 대한 접촉간섭을 해제시키는 버튼과,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후크돌기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핸들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사블록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튼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3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hook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first handhold facing the second handhold, and the seesaw movement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to enable the hook to move. A stopper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protrusions to maintain the hook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through the hook hole of the second hand holder, and a stopper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 holder and moving the stopper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An inclined block which releases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by seesawing, and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andhold and moves up the inclined block while rising in response to a pressing operation to release the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of the stopper; And a button to be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to stop the stopper from causing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A first spring for imparting an elastic return force, a second spring mounted in the second handle holder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move the inclined block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n interior of the second hand hold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spring mounted to the to give the elastic return force to move the button to the original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스토퍼는, 상하 한 쌍이 서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져 그 교차점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되면서 상기 후크돌기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causing the upper and lower pairs to cross each other while rotating relative to the hinge pin of the intersection point and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이 적정인원일 경우에는 승객의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제1 및 제2핸드홀드를 하나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출퇴근이나 통학 시간과 같이 승객이 붐벼 적정인원을 초과한 경우에는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하나의 제1 및 제2핸드홀드를 분리한 후 잡는 방향을 임의 및 편의대로 회전 조정함으로써 두 명이 동시에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means an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as one, so that the passengers of the vehicle are not inconvenient in the movement of the passengers. If the passengers exceed the proper number of people,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can be separated by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a button, and the holding direction can be arbitrarily and conveniently used for two people to be comfortable at the same time. .

그뿐만 아니라 제2핸드홀드를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기고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등 신장에 관계없이 누구라도 손잡이를 자신에게 알맞은 편안한 높이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잡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급출발, 급제동, 코너링 시 등에 안정성을 높여 운행 중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handle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of pulling and rotating the second handhold with a predetermined force. And it can be easily adjusted to hold,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when starting, stopping, cornering, etc. can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ring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잠금수단이 잠금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잠금수단이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높낮이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높낮이조절수단 중 수체결구와 스프링 힌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면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vehicle han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nding passenge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of the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ans of the standing passenger handle unlo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main sectional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means of the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local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fastener and the spring hinge of the height adjustment means of the standing passenge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ar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preted in a way that is commonly or generally recognized in the technical field.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clarit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actual size.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는 크게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한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삼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 핸드홀드(100)와, 이 핸드홀드(100)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B)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s 2 to 3, the standing passenge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ndhold 100 formed in a triangular ring shape so that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can be grabbed with one hand large; , The handhold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200 for hanging on the support bar (B)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핸드홀드(100)는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핸드홀드(110)(120)로 구성되어 있다.The handhold 100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handholds 110 and 120 that are symmetrical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제1 및 제2핸드홀드(110)(120)의 서로 대향하는 하부면에는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그 각각의 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즉, 제1핸드홀드(110)의 상단은 연결부(20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부(200)의 하단과 관절 이음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 즉, 제2핸드홀드(120)는 연결부(200)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Lock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110 and 120 that are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be symmetrical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The upper end of the 110 is articula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so as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200, that is, the second handhold 120 may have a variable heigh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200. It is provided.

그리고 제1핸드홀드(110)의 상단에는 회전축(130)이 고정되어 있고, 연결부(200)의 하부에는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202)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shaft 130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hand hold 110, and a shaft support plate 202 is provided below the connection part 200 to rotatably support the rotation shaft 130 of the first hand hold. have.

또한,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은 제1핸드홀드(110)에 대해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1핸드홀드(110)의 상단과 플렉시블 조인트(140)로 연결 이음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130 of the first handhol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handhold 110 and the flexible joint 140 so as to be free to m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dhold 110, respectively.

여기서 제2핸드홀드(120)의 상단에도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과 같은 회전축(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연결부(200)의 하부에는 그 제2핸드홀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Here, a rotating shaft (not shown), such as the rotating shaft 130 of the first handhold,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andhold 120, and correspondingly, the lower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handhol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200. An axial support plate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rotatably support it.

또한, 제2핸드홀드의 회전축(미도시)은 제2핸드홀드(120)에 대해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2핸드홀드(120)와 플렉시블 조인트로 연결 이음될 수도 있다. 이때, 플렉시블 조인트는 후술하는 스트랩(210)이 간섭없이 통과하도록 중공을 가지는 것으로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not shown) of the second handhol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andhold 120 and the flexible joint so as to be free to move with respect to the second handhold 12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lexible joint may be adopted to have a hollow so that the strap 210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without interference.

이러한 핸드홀드(100)는 미끄럼 방지와 파지 시 그립감 및 감촉이 우수하며 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hold 100 is preferably molded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grip and feel when non-slip and gripping, and having a non-flammability.

또한, 핸드홀드(100)의 외형을 도면에서는 삼각형 링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링 형상 또는 사각형 링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outline of the handhold 100 is illustrated as a triangular ring shape in the drawing,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ring shapes such as a circular ring shape or a rectangular ring shape.

연결부(200)는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과 볼 조인트 등과 같은 방식의 관절 이음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B)에 제1핸드홀드(100)를 매다는 역할과 함께 제2핸드홀드(120)의 높낮이조절수단을 내장하여 보호하고, 아울러 제2핸드홀드(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매달아서 견고하게 지탱 및 지지하게 된다.The connection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joint shaft in the same manner as the rotary shaft 130 and the ball joint of the first handhold, with the role of suspending the first handhold 100 to the support bar B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The height adjustment means of the second handhold 120 is built-in and protected, and also the second handhold 120 is suspended so as not to be detached and firmly supported and supported.

그리고 연결부(200)의 외측에는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과 제2핸드홀드(120)의 높낮이조절수단 등을 감싸서 보호하는 하우징(201)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housing 201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art 200 to protect the rotation shaft 130 of the first hand hold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second hand hold 120 and the like.

또한, 연결부의 하우징(201) 하측에는 한 쌍의 레일홈(204)이 형성된 플레이트(203)가 장착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203)의 하부에는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판(202)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plate 203 having a pair of rail grooves 204 is mounted under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203 is rotatable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130 of the first handhold. A shaft supporting plate 202 for supporting is provided.

이러한 연결부의 하우징(201)은 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금속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강성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shape stability or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잠금수단은 후크돌기(111), 스토퍼(122), 경사블록(123), 버튼(124), 제1 내지 제3스프링(125)(126)(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ok hook 111, the stopper 122, the inclined block 123, the button 124, the first to the first And three springs 125, 126, and 127.

후크돌기(111)는 제1핸드홀드(110)의 제2핸드홀드(120)와 마주하는 하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 단부에는 걸림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The hook protrusion 111 is integrally protrud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handhold 110 facing the second handhold 120, and a locking groove 111a is formed at an outer end thereof.

스토퍼(122)는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에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하여 양방향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외측 단부에는 걸림홈(111a)과 대응하는 형상의 걸림돌기(1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stopper 122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120 to enable bidirectional seesaw movement with the hinge pin 128 as the center thereof, and an outer end thereof has a lock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111a. 122a is integrally formed.

따라서 스토퍼(122)는 시소운동에 따라 승강하면서 후크돌기(111)와 선택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켜 상호 구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후크돌기(111)가 제2핸드홀드(120)의 제1핸드홀드(110)와 마주하는 하부면에 형성된 후크홀(120)을 통해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제1핸드홀드(110)와 제2핸드홀드(120)의 마주하는 하부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stopper 122 maintains the mutual restraint state by selectively contacting with the hook protrusion 111 while mov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seesaw motion. That is, the hook protrusion 11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through the hook hole 120 formed in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first hand hold 110 of the second hand hold 120, the first hand hold 110.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handholds 120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여기서 스토퍼(122)는 상하 한 쌍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경사블록(123)의 이동에 따른 접촉 시 그 교차점의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되면서 후크돌기(111)의 상하면과 접촉간섭을 일으키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Here, the stopper 122 is dispos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irs intersect each other, and when the contact occurs due to the movement of the inclined block 123, the stopper 122 rotates relative to the hinge pin 128 at the intersection thereof, thereby mak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ok protrusion 111. It may be provided to produce.

또한, 스토퍼(122)의 경사블록(123)과 대향하는 면은 경사블록(123)이 이루는 경사각과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facing the inclined block 123 of the stopper 122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angle formed by the inclined block 123.

따라서 경사블록(123)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전진 이동하면 스토퍼(122)의 경사면이 경사블록(123)의 경사면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그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하는 시소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토퍼(122)와 후크돌기(111)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inclined block 123 moves for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topper 122 slides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block 123 and performs a seesaw motion around the hinge pin 128. Due to this, the coupling state of the stopper 122 and the hook protrusion 111 may be released.

경사블록(123)은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에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이동 방향에 따라 스토퍼(122)를 힌지핀(128)을 중심축으로 하는 시소운동을 시켜서 후크돌기(111)와의 접촉간섭을 해제시키게 된다.The inclined block 123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and hold 1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he inclined block 123 performs the seesaw motion around the hinge pin 128 as the central axis. By doing so, the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111 is released.

버튼(124)은 제2핸드홀드(120)의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있고, 누름 조작에 따라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로 삽입 및 상승되면서 경사블록(123)을 전진 이동시켜 스토퍼(122)의 후크돌기(111)에 대한 접촉간섭을 해제시키게 된다.The button 124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and hold 120, and is inserted and raised into the second hand hold 120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to move the inclined block 123 forward to stop the stopper 122. The interference of the hook protrusion 111 of the) will be released.

여기서 버튼(124)의 경사블록(123)과 대향하는 면은 경사블록(123)이 이루는 경사각과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surface facing the inclined block 123 of the button 124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inclined block 123.

따라서 버튼(124)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 버튼(124)이 상승하면 그 경사면에 의해 경사블록(123)이 미끄러지면서 전진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utton 124 is rai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button 124, the inclined block 123 slides forward by the inclined surface.

제1스프링(125)은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스토퍼(122)가 후크돌기(111)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The first spring 125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120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keep the stopper 122 in contact with the hook protrusion 111.

제2스프링(126)은 제2핸들홀드(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경사블록(123)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The second spring 126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le holder 120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move the inclined block 123 to its original position.

제3스프링(127)은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버튼(124)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The third spring 127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120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move the button 124 to its original position.

여기서 제1 내지 제3스프링(125)(126)(127)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Here, the first to third springs 125, 126 and 127 preferably use coil springs that generate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externally acting force, but any elastic body may be used as long as it has the same effect. You will be fine.

한편, 제2핸드홀드(120)의 상단은 연결부(200)와 높낮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승객이 임의로 연결부(200)에 대한 그 설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andhold 120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00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so that the passenger can arbitrarily change its installation height for the connecting portion 200.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조절수단은 크게 스트랩(210), 수체결구(220), 용수철(230), 암체결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4,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rap 210, a water fastener 220, a spring 230, a female fastener 240 do.

스트랩(210)은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부에 삽입 및 하우징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이 제2핸드홀드(120)와 연결되어 있다.The strap 2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on unit and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ndhold 120.

즉, 스트랩(210)의 하단은 고리 형상으로 겹쳐지게 접어서 박음질하여 제2핸드홀드(120)의 상부와 핀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trap 210 is folded and sewn to overlap in a ring shap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and hold 120 using a pin.

여기서 스트랩(210)은 일반 로프와 달리 강도 및 인장력이 우수하며 외형의 변형 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자체 복원력이 뛰어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금속 와이어 등과 같이 잘 휘어지면서 승객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게 채용할 수 있다.Here, the strap 210 is excellent in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unlike the ordinary rope, it can be used to weave plain weave using aramid fibers having excellent self-resilience to return to the original form when the deformation of the appearance. In addition, any material may be adopted as long as it can be sufficiently bent, such as a metal wire,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by the passenger.

수체결구(220)는 스트랩(2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그 몸체의 양측으로는 록킹돌기(221)가 부드러운 곡선으로 라운딩진 테두리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water fastener 22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ap 210, the locking protrusion 221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have a rounded edge in a smooth curve on both sides of the body.

용수철(230)은 상단이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이 수체결구(2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체결구(22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The spring 230 has an upper e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ng portion, a lower e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fastener 220, and an elastic return to move the water fastener 220 to its original position. Force.

암체결구(240)는 연결부의 하우징(201) 하측에 내장되어 제2핸드홀드(120)의 높낮이 조절 시 수체결구(2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수체결구의 록킹돌기(221)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의 폭만큼 개구된 삽입부(245)가 부드러운 곡선으로 라운딩진 테두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부(245)의 하부 내측에는 수체결구의 록킹돌기(221)와 대응하는 형상의 록킹홈(246)이 형성되어 있다.The female fastener 240 is built i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is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water fastener 220 when the height of the second handhold 120 is adjusted. The locking protrusion 221 of the water fastener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245 opened by the width of the side surface is not formed is formed to have a rounded edge with a smooth curve, the lower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45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jection 221 of the water fastener A locking groove 246 is formed.

여기서 암체결구(240)는 하부에 슬라이더(24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emale fastener 240 may be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241 and 242 in which a slider 243 is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즉,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는 연결부의 하우징(201) 하측에 고정된 플레이트(203)의 상면에 얹혀서 그 슬라이더(243)가 플레이트의 레일홈(20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arm fasteners 241 and 242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03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slider 243 slides along the rail groove 204 of the plate.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그리고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와 연결부의 하우징(201) 사이에는 외력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가 수체결구(220)와 접촉간섭을 일으켜 구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구속스프링(24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241 and 242 and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ng portion are elastical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while the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241 and 242 are connected to the water fastener 220. At least one restraint spring 244 may be mounted to give an elastic return force to cause contact interference to maintain the restrained state.

따라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는 수체결구(220)가 하강 시 그 삽입부(245)가 수체결구의 록킹돌기(221)와 접촉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는 플레이트의 레일홈(20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그 삽입부(245)가 양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수체결구(220)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호 간에 삽입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구속스프링(244)은 압축변형되다가 수체결구(220)의 록킹돌기(221)가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의 록킹홈(246)에 끼워진 상태가 되면 원래의 형태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수체결구(220)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241 and 242 contact the locking protrusion 221 of the water fastener when the water fastener 220 is lowered, and the insertion part 245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arm fasteners 220 at the same time. The female fasteners 241 and 242 are slidably moved along the rail groove 204 of the plate, so that the insertion part 245 naturally opens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coupling fasteners 220 may be inserted without being rotated. It becomes possible. At this time, the restraint spring 244 is compression-deformed when the locking projection 221 of the water fastener 220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246 of the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ing holes 241 and 242. While elastically deformed in shape, the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241 and 242 are push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maintain the water fastener 220 in a constrained state.

아울러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부 상측에는 수체결구(220)의 위치가 하방으로 자유로이 이동되지 않도록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수체결구의 록킹돌기(221) 하면과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스프링 힌지(250)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pring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221 of the water fastener by automatically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by a spring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ater fastener 220 does not move freely downwar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on portion. Hinge 250 may be provided.

이러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는 연결부의 하우징(201) 하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홈(204)이 형성된 플레이트(203)의 상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장착되어 수체결구(220)와의 면접촉 시 그 슬라이더(243)가 레일홈(204)을 따라 이탈됨 없이 양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241 and 242 ar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symmetrically mounted on top of the plate 203 on which the pair of rail grooves 204 are formed. When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sphere 220, the slider 243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both directions without being separated along the rail groove 204.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승객이 적정인원일 경우 등 평상 시에는 제1핸드홀드(110)와 제2핸드홀드(120)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is an appropriate number of people, the first handhold 110 and the second handhold 12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이때, 제1핸드홀드(110)는 연결부(200)와 관절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이 핸드홀드(100)를 잡은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신체의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더라도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핸드홀드(100)가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회전되고, 이로 인해 승객은 항상 핸드홀드(100)를 안정적인 상태로 잡고 서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handhold 110 is connected to the joint 200 by a joint joint, even if the passenger changes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body by external force while holding the handhold 100, the hand correspondingly responds to the hand. The hold 100 rotates naturally and smoothly, which allows the passenger to always hold the handhold 100 in a stable stat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퇴근이나 통학 시간과 같이 승객이 붐벼 적정인원을 초과한 경우에는 버튼(124)을 눌러 제1 및 제2핸드홀드(110)(120)를 분리한 후 두 사람이 각자 잡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편안하게 잡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6, when a passenger exceeds the appropriate number of people, such as commute or school time, two persons are separated after pressing the button 124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110 and 120. You can hold it comfortably by rotating it in the holding direction.

이때, 제2핸드홀드(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와 연결 결합된 수체결구(220)의 위치가 위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스프링 힌지(250)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제1핸드홀드(110)와 마찬가지로 승객이 안정적으로 잡고 서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handhold 120 is firmly restrained by a spring hinge 250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ater fastener 220 connected thereto is rotated only in an upward direction. As the first handhold 110 is maintained, the passenger may stand stably.

또한,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등과 같이 기준치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이 핸드홀드(100)를 잡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24)을 눌러 제1 및 제2핸드홀드(110)(120)를 분리한 후 제2핸드홀드(12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도 정도로 회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핸드홀드(120)를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기면 용수철(230)이 인장되면서 수체결구(220)가 하강하여 암체결구(240) 내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person who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value, such as a short person or a child, holds the handhold 100, as illustrated in FIG. 6,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110 are pressed by pressing the button 124. After removing the 120, the second handhold 120 is rotated to about 90 degrees as shown in FIG. 10, an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econd handhold 120 is rotated. When the spring is pull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the spring 230 is tensioned and the water fastener 220 descends to be positioned in the female fastener 240.

이후, 제2핸드홀드(120)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회전시키면 수체결구(220)는 암체결구(240)에 의해 그 위치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스트랩(210)이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에서 하부로 인출된 길이만큼 제2핸드홀드(12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second handhold 120 is rotated back to its original state, the water fastener 220 maintains its position constrained by the female fastener 240, and in this case, the strap 2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height of the second handhold 120 may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econd handhold 120 is adjusted to be lowered in the housing 201.

한편, 제2핸드홀드(120)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경우에는 제2핸드홀드(120)를 대략 90도 정도로 회전시키면 용수철(23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연결부의 하우징(201)에서 인출된 스트랩(210)이 신속하게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부로 삽입되면서 원래대로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handhold 1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second handhold 120 is rotated by about 90 degrees,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on part is caused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spring 230. The withdrawn strap 210 is quickly inserted into the housing 201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positioned as it is.

이때, 스프링 힌지(2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철(230)의 탄성 복귀력으로 상승하는 수체결구(220)와 접촉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수체결구(220)를 자연스럽게 통과시킨 후 그 자체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승객이 제2핸드홀드(120)를 잡아당기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힌지(250)에 의해 다시 구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the spring hinge 250 rotates upwardly by contact with the water fastener 220 which rises with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spring 230 and naturally passes through the water fastener 220. After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by its elastic return force, when the passenger pulls the second handhold 120 as shown in FIG. 9, the state restrained again by the spring hinge 250 is shown. It will remain sta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는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등 신장에 관계없이 누구라도 자신에게 알맞은 높이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잡고, 차량의 급출발, 급제동, 코너링 등과 같은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된 자세를 유지 및 확보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다.
As such, the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s in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nd easily adjusted to a height suitable for themselves, regardless of height, such as a short person or a child, to quickly start, stop, and corner a vehic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secure a stable posture in response to a sudden change such as,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are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other equivalent Changes to the embodiments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핸드홀드 110: 제1핸드홀드
111: 후크돌기 120: 제2핸드홀드
121: 후크홀 122: 스토퍼
123: 경사블록 124: 버튼
125: 제1스프링 126: 제2스프링
127: 제3스프링 128: 힌지핀
130: 회전축 140: 플렉시블 조인트
200: 연결부 201: 하우징
202: 축지지판 203: 플레이트
204: 레일홈 210: 스트랩
220: 수체결구 221: 록킹돌기
230: 용수철 240: 암체결구
241: 제1암체결구 242: 제2암체결구
243: 슬라이더 244: 구속스프링
245: 삽입부 246: 록킹홈
250: 스프링 힌지 B: 지지바
100: hand hold 110: first hand hold
111: hook projection 120: second hand hold
121: hook hole 122: stopper
123: inclined block 124: button
125: first spring 126: second spring
127: third spring 128: hinge pin
130: rotating shaft 140: flexible joint
200: connecting portion 201: housing
202: axial support plate 203: plate
204: rail groove 210: strap
220: water stopper 221: locking protrusion
230: spring 240: female fastener
241: first cancer fastener 242: second cancer fastener
243: slider 244: restraining spring
245: insertion portion 246: locking groove
250: spring hinge B: support bar

Claims (13)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핸드홀드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각각 관절 이음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잠금수단이 구비된 제1 및 제2핸드홀드로 이루어진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In the standing passenger handle comprising a handhold formed to grab by hand, and a connection for hanging the handhold on the support bar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the handhold,
For standing passengers in public transportation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handhold, the upper end of which is articula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so as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art, and provided with locking means to be symmetrically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의 상단에는 회전축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의 회전축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Rotating shafts are fixed to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respectively.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a passenger seat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respectively rotatab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에 대해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와 플렉시블 조인트(flexible joint)로 연결 이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by a flexible joint so as to move fre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andhold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handhold is a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is provided to be variable.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핸드홀드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관절 이음된 제1핸드홀드;
상기 제1핸드홀드와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와 높낮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된 제2핸드홀드;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In the standing passenger handle comprising a handhold formed to grab by hand, and a connection for hanging the handhold on the support bar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the handhold,
A first handhold, the upper end of which is articula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so as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A second handhold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handhold symmetrically an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nd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by a height adjusting means so that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art is variable;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드홀드와 제2핸드홀드는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잠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handhold and the second handhold is a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is provided to be symmetrically coupled and detachable from each other.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드홀드의 상단에는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A rotating shaf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hand hold,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a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support plat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handhol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핸드홀드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핸드홀드와 플렉시블 조인트로 연결 이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ta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handhold and the flexible joint so as to be able to move fre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dhol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제2핸드홀드와 연결된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상단에 고정되고 양측에 록킹돌기가 형성된 수체결구;
상기 수체결구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체결구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용수철;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하측에 내장되어 상기 수체결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수체결구의 록킹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의 폭만큼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 내측에 상기 수체결구의 록킹돌기와 대응하는 록킹홈이 형성된 암체결구;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5, The height adjusting means,
A strap inserted into the housing of the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handhold at a lower end thereof;
A water fasten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ap and having locking protrusion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 spring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fastener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move the water fastener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insertion part is formed in the housing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water fastener,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open at a width of a side surface where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water fastener is no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emale fastener formed with a corresponding locking groove;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 inclu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구는,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하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상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레일홈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하부에 슬라이더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암체결구;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암체결구가 상기 수체결구와 접촉간섭을 일으켜 구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구속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ancer fasteners,
First and second arm fasteners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symmetrical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plate having a pair of rail grooves, and sliders formed at lower portions thereof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rail grooves;
A restraining spring mounted inside the housing of the connection part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emale fasteners contact with the male fastener and maintain a restrained state;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 further comprising a.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체결구의 위치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체결구의 록킹돌기 하면과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스프링 힌지를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And a spring hinge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of the connection part to cause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lower surface of the water fasten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ater fastener remains constrained.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핸드홀드의 상기 제2핸드홀드와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돌기;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후크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켜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제2핸드홀드의 후크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시소운동시켜 상기 후크돌기와의 접촉간섭을 해제시키는 경사블록;
상기 제2핸드홀드의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경사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스토퍼의 후크돌기에 대한 접촉간섭을 해제시키는 버튼;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후크돌기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사블록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튼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3스프링;
을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or 6, wherein the locking means,
A hook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first handhold facing the second handhold;
A stoppe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hand holder so as to be capable of seesaw movement and selectively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to maintain the hook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through the hook hole of the second hand hold;
An inclined block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and relea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by seesawing the stopper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A button which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andhold and moves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to move the inclined block to release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of the stopper;
A first spring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to provide an elastic return force to maintain the stopper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trusion;
A second spring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to give an elastic return force to move the inclined block to its original position;
A third spring mounted inside the second handhold for providing an elastic return force to move the button to its original position;
Standing passenger handle of public transport, includ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하 한 쌍이 서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져 그 교차점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되면서 상기 후크돌기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opper,
The upper and lower pairs cross each other and rotate relative to the hinge pin of the intersection,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projections.
KR1020120028123A 2012-03-20 2012-03-20 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 KR101283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23A KR101283755B1 (en) 2012-03-20 2012-03-20 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23A KR101283755B1 (en) 2012-03-20 2012-03-20 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755B1 true KR101283755B1 (en) 2013-07-17

Family

ID=4899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123A KR101283755B1 (en) 2012-03-20 2012-03-20 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7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9464A (en) * 2021-08-05 2021-11-09 周磊 Emergency brake prevention lifting ring for b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805A (en) 1999-09-01 2001-03-21 Sasaki:Kk Strap
KR100955779B1 (en) 2007-05-04 2010-05-03 성예경 Handle for passenger's safe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805A (en) 1999-09-01 2001-03-21 Sasaki:Kk Strap
KR100955779B1 (en) 2007-05-04 2010-05-03 성예경 Handle for passenger's safe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9464A (en) * 2021-08-05 2021-11-09 周磊 Emergency brake prevention lifting ring for b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82515A1 (en) Travel sleep mask apparatus to support the head of a user
JP6745355B2 (en) Fastening device for portable vehicle seat belts
WO2017148309A1 (en) Portable foldable multifunctional child safety seat
TWI656047B (en) Child seat
CN105263366A (en) Head restraint and seat for enhancing travel comfort
CN205365307U (en) Portable children's safety cushion
KR101283755B1 (en) Hand hold for a standing passenger of mass transportation
KR100896296B1 (en) Collapsible chair for vehicles
CN210047366U (en) Children safety seat pedal
KR20140008117A (en) Car-seat for infant having combination confirmation means
CN207291756U (en) The child safety seat of mounting stability can be strengthened using safety belt
KR101665201B1 (en) Car transfer supporting equipment
JP2018069955A (en) Getting-on/off grip structure of vehicle
CN104417485B (en) Regulator of automobile safety belt for comfort
KR101357410B1 (en)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KR101885792B1 (en) Hand grip assembly for bus
KR101991726B1 (en) Folding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 in public transportation
CN201841980U (en) Seat back angle adjusting device of automobile child safety seat
KR101526393B1 (en) Seat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2139422B1 (en) Optional 3-point belt device on bus seat
KR200188054Y1 (en) Baby safe seat folder
JP4927610B2 (en) Vehicle wall surface support device
KR200382634Y1 (en) Car Seat For Pet
KR200266416Y1 (en) Safety chair for children in automobile
JP2006273268A (en) Stra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