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372B1 - 카메라 장착형 고글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착형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372B1
KR101283372B1 KR1020110023035A KR20110023035A KR101283372B1 KR 101283372 B1 KR101283372 B1 KR 101283372B1 KR 1020110023035 A KR1020110023035 A KR 1020110023035A KR 20110023035 A KR20110023035 A KR 20110023035A KR 101283372 B1 KR101283372 B1 KR 101283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rame
image
goggles
protectiv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315A (ko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2007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창, 상기 보호창을 결합한 상태에서 얼굴에 밀착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머리에 착용하는 밴드로 구성된 고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스키를 타는 동안 보이는 풍경이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착형 고글{CAMERA GOGGLES}
본 발명은 스키를 타는 동안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장착형 고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나 스노보드는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는 겨울 스포츠 중 하나다. 상기 스키나 스노보드를 타기 위해서는 여러 안전장비를 갖추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눈을 보호하기 위한 고글은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안전장비 중 하나다.
상기 고글은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창; 상기 보호창을 결합하고, 얼굴에 밀착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머리에 착용하는 밴드;로 구성된다.
한편, 스키를 타는 사람 중에는 자신이 스키를 타는 동안 보이는 풍경이나 상황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남기기 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진이나 영상은 사고 발생 시 증거자료로도 사용되고, 스키를 타는 동안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한 연습자료로도 사용된다.
이에, 종래에는 별도의 카메라를 몸이나 머리에 장착하고 타면서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였는데, 이 경우 상기 카메라를 몸이나 머리에 장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착한 카메라가 스키를 타는 도중 바닥에 떨어져서 파손되기 쉽다.
본 발명은 스키를 타는 동안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창, 상기 보호창을 결합한 상태에서 얼굴에 밀착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머리에 착용하는 밴드로 구성된 고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 카메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슬롯이 형성된 회로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와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되고, 야간 촬영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밴드를 연결하면서 전후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연결부재에 상기 회로부 및 전원공급부가 설치된다.
상기 회로부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전방에 빛을 비추기 위한 후레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창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투명 스크린;이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보호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송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장착형 고글에 의하면 고글의 전방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스키를 타는 동안 보이는 풍경이나 상황을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영상을 보고 사고의 원인이나 자세 교정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장착형 고글에 의하면 카메라의 교체가 간편하고, 저장된 이미지나 영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카메라 장착형 고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카메라 장착형 고글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카메라 장착형 고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카메라 장착형 고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카메라 장착형 고글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카메라 장착형 고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3D 촬영용이 가능한 카메라 장착형 고글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좌우 측으로 나누어진 스크린을 가진 카메라 장착형 고글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3D 영상구현모듈이 구비된 카메라 장착형 고글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카메라가 장착된 고글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 카메라(100),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20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고글은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창(10), 상기 보호창을 결합한 상태에서 얼굴에 밀착되는 프레임(20) 및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머리에 착용하는 밴드(30)로 구성된 통상의 고글에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00)와 회로부(200) 및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프레임(20)의 전방에 설치되고,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영상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00)는 주간 촬영은 물론이고, 야간에도 촬영할 수 있도록 자외선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야간 촬영을 위한 실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20)에 탈부착 가능하면서 야간 촬영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100)가 프레임(2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경우 탈부착 가능한 핀 단자를 통해 상기 회로부(200) 및 전원공급부(300)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카메라(100)와 프레임(20) 사이에 탈부착 구조는 통상의 후크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00)은 3D(three dimension)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3D 영상의 녹화하기 위해서는 좌우 측 영상에 해당하는 두 개의 영상을 촬영해야 하므로 두 개의 카메라가 동시에 각기 다른 시각에서 촬영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도 3D 영상을 녹화하기 위해 두 개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도 7은 상기 두 개의 3D 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두개의 카메라는 각각 고글의 프레임의 좌우 측 말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부(200)는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100)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210)와 상기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슬롯(2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로부(200)는 카메라(100)를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로부(200)의 스위치(2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 전방으로 돌출되어 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슬롯(2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 일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도록 하되, 커버를 통해 눈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회로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핸드폰이나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송신모듈(230)은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데이터를 지정된 핸드폰이나 컴퓨터로 실시간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로부(200)는 3D 영상이 촬영된 경우, 두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서로 다른 영상을 처리하여 하나의 3D 영상으로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3D 영상처리모듈(240)을 구비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광 방식 혹은 셔터 글라스 방식에 따른 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상기 3D 영상처리모듈(240)이 구비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100)와 회로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00)에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는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은 리튬 축전지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상기 프레임(20)의 하측을 통해 장착되도록 하되, 커버를 통해 눈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20)은 실시 예로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상기 밴드(30)를 연결하면서 전후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 연결부재(21)를 형성하고, 상기 양측 연결부재(21)에 상기 회로부(200) 및 전원공급부(30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 연결부재(21)를 축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21)에 회로부(200)와 전원공급부(30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축을 통해 전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의 전방에는 마이크(400)를 설치하여 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음성을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 하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이 잘 녹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1)의 전방에는 후레쉬(500)를 장착하여 야간에 전방으로 빛을 비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레쉬(500)가 설치되는 경우 적외선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아도 야간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창(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투명 스크린(10')으로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1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송출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은 고글의 스크린(10')을 통해 직접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글의 투명 스크린(10')은 3D 영상이 촬영된 경우,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한다. 3D 영상의 구현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광방식 및 셔틀글라스 방식 둘 다 구현가능하다.
도 7과 같이, 상기 3D 영상이 구현되는 투명스크린(10')의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3D 전용 안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3D 영상용 안경을 보호창 내부에 내장하여 프레임에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다. 3D 영상용 안경(11)은 상기 3D 영상을 구현하는 투명 스크린의 영상 구현 방식에 따라 알맞은 안경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이 편광방식인 경우 편광 안경이 구비되고, 셔터글라스 방식인 경우 셔터글라스 안경이 구비된다.
셔터글라스 방식인 경우 상기 3D 영상용 안경은 셔터글라스 구동장치와 이를 구동시키는 전원 장치가 필요하다. 이 전원 장치는 안경에 별도로 부착될 수 있고, 또는 카메라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부(300)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안경은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3D 안경은 프레임과 연결된 연결부를 가지고, 이는 후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스크린을 이용한 3D 영상 시청을 하지 않는 경우 안경을 탈거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무안경식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좌우 측에 서로 독립적인 영상이 구현되는 투명스크린(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각각 좌우 측 눈으로 서로 다른 화면을 바라보면서 영상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좌우 측 영상을 완벽하게 독립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투명스크린의 중앙에 분리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대는 사용자의 코와 접할 정도로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좌우 측 화면이 완벽히 분리될수록 사용자는 더욱 완벽한 3D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상기 분리대는 신축성 있는 스폰지,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각 사용자의 코에 맞춰 형상이 변화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고글의 전방에 카메라(100)를 장착하여 스키를 타는 동안 보이는 풍경이나 상황을 촬영함으로써, 상기 영상을 보고 사고의 원인이나 자세 교정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의 교체가 간편하고, 저장된 이미지나 영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10: 보호창 10'; 스크린
20: 프레임 21: 연결부재
30: 밴드
100: 카메라
200: 회로부 210: 스위치
220: 메모리 슬롯 230: 송신모듈
300: 전원공급부
400: 마이크
500: 후레쉬
600: 송출모듈

Claims (11)

  1.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창, 상기 보호창을 결합한 상태에서 얼굴에 밀착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머리에 착용하는 밴드로 구성된 고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되고 야간 촬영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 또는
    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두 개의 독립된 카메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슬롯이 형성된 회로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와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밴드를 연결하면서 전후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연결부재에 상기 회로부 및 전원공급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전방에 빛을 비추기 위한 후레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창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투명 스크린;이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보호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송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각각 프레임의 좌우 측 말단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은 3D 영상이 구현가능하고,
    상기 투명스크린의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3D 영상용 안경을 보호창 내부에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은 3D 영상의 구현이 가능한 독립된 좌우 측 독립된 두 개의 투명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형 고글.


KR1020110023035A 2010-12-28 2011-03-15 카메라 장착형 고글 KR101283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46 2010-12-28
KR20100136446 201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15A KR20120075315A (ko) 2012-07-06
KR101283372B1 true KR101283372B1 (ko) 2013-07-08

Family

ID=4670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035A KR101283372B1 (ko) 2010-12-28 2011-03-15 카메라 장착형 고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059B1 (ko) * 2015-05-04 2015-06-18 (주)케이아이티 측정모듈의 착탈형 안전진단 점검 및 공사용 보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19B1 (ko) * 2011-11-11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영상 안경의 영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532U (ko) * 1986-09-11 1988-05-31 강원석 독서용 안경식 후레쉬
KR20080113815A (ko) * 2007-06-26 2008-12-31 손진영 다기능 안경
KR20100123036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마카비즈 보행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532U (ko) * 1986-09-11 1988-05-31 강원석 독서용 안경식 후레쉬
KR20080113815A (ko) * 2007-06-26 2008-12-31 손진영 다기능 안경
KR20100123036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마카비즈 보행 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059B1 (ko) * 2015-05-04 2015-06-18 (주)케이아이티 측정모듈의 착탈형 안전진단 점검 및 공사용 보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15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555B2 (en) Goggle with a built-in camera
US4516157A (en) Portable electronic camera
US20120327256A1 (en) Headwear with Visual Indication
US11607600B2 (en) Swim AR goggles
US20140267743A1 (en) Surfboard-mounted camera
TW201641989A (zh) 顯示裝置及具有該顯示裝置的可穿戴裝置
US10969655B2 (en) Camera system using interchangeable fixed lenses
KR101242554B1 (ko) 렌즈보호필름이 장착된 카메라 장착형 고글
CN103391449A (zh) 可显示立体图像的移动终端
KR101283372B1 (ko) 카메라 장착형 고글
KR100586818B1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는 두부장착 디스플레이 장치
CN206479730U (zh) 具有3d实景摄影记录的眼镜装置
CN206364871U (zh) 一种手机保护壳
KR101908102B1 (ko)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
CN204256313U (zh) 一种wifi滑雪镜
CA2762400A1 (en) Goggle with a built-in camera
CN110620915A (zh) 一种立体摄像手机及立体摄像系统
EP2183910B1 (en) Components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KR101317314B1 (ko) 내장형 카메라 탑재 고글
CN201965308U (zh) 可立体成像及信号收发的头戴式即时录放影装置
CN206301143U (zh) 一种多目3d全景拍摄设备
CN202735615U (zh) 一种可摄影的滑雪镜
JP2010193287A (ja) カメラ
WO2011010893A2 (ko)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수평이동식 입체영상촬영장치와 입체영상촬영카메라
JP2010088091A (ja) 立体ビデオ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