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249B1 - 토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토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249B1
KR101283249B1 KR1020120007028A KR20120007028A KR101283249B1 KR 101283249 B1 KR101283249 B1 KR 101283249B1 KR 1020120007028 A KR1020120007028 A KR 1020120007028A KR 20120007028 A KR20120007028 A KR 20120007028A KR 101283249 B1 KR101283249 B1 KR 10128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moval device
air
soi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근
Original Assignee
박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근 filed Critical 박찬근
Priority to KR102012000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02B8/026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 배수갑문 등에 토사가 퇴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만조 시에 포수 컨테이너에 물을 유입하여 저장하고 간조 시에 포수 컨테이너에 저장된 물을 방류함으로써 바닥에 퇴적된 토사를 제거하는, 자연 에너지만을 이용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토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는, 상면에는 공기유출부가 설치되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이 만나는 지점의 측면 일부가 뚫려 방류부가 형성된 포수 컨테이너 및 상기 포수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출부를 여닫는 여닫이부로 구성되며, 공기분산부, 토사 퇴적방지부, 방류수위 조절부, 인양걸이 및 공기유출입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사 제거장치{Soil and Clay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만조 시에 저장된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간조 시에 토사를 씻어냄으로써 어항, 배수갑문 등에 토사가 퇴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해안 및 남해안에는 감조하천이 많은데, 이들 하천이 바다와 접하는 하구에는 해수의 유입을 막고 담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갑문 또는 문비가 설치된다. 아산, 삽교 등 대규모 방조제가 있는 곳의 배수갑문은 인력이나 수압으로 개폐할 수 없으므로 대개 전동장치로 개폐하며, 소규모 하천 등에 설치되는 문비는 배수구에 힌지로 결합되어 만조시에는 해수의 압력에 의해 닫히고 간조시에는 담수의 압력에 의해 열리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런데, 밀물과 썰물의 영향이 강한 감조하천의 특성상, 감조하천이 바다와 만나는 부근은 밀물 때 퇴적된 토사가 썰물 때 미처 씻겨 내려가지 못하여 지속적으로 토사가 퇴적된다. 따라서 감조하천에 설치되는 배수갑문, 문비, 배수로는 토사의 퇴적으로 인해 배수갑문이나 문비를 여닫을 수 없어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없고, 배수로도 배수량이 줄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안 저지대에 침수피해가 발생하기도 하고, 어항의 접안부는 미세립 토사의 지속적인 퇴적으로 지반고가 상승하여 흘수선이 긴 선박의 경우 출입이 제한되는 등 어항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은 발명의 명칭이 '배수 갑문의 토사 제거 장치'로, 배수 갑문이 설치되는 수문 구조물의 상부에 용수가 채워지는 용수공급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용수공급탱크에 채워진 용수를 분사노즐로 전후좌우로 분사함으로써, 배수 갑문 앞에 쌓인 토사를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발명의 명칭이 '상수원 담수호의 오니 제거장법 및 장치'로, 상수원 담수호의 오니 속에 중공의 파이프를 심어 오니가 파이프 내로 진입하여 수면에 가까운 위치까지 상승하면 펌프를 작동시켜 오니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은 발명의 명칭이 '수문의 토사적층 방지장치'로, 바닷물의 만조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저류조를 설치하고, 밀물 때 저류조에 해수를 저장했다가 썰물 때 관체로 연결된 분사관을 통해 저장된 해수를 방류함으로써 토사 적층을 방지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발명은 모터나 펌프 등 별도의 동력장치를 구동시켜 토사를 제거하는 방식이었으므로,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발명은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자연 에너지만으로 토사를 제거하고 있으나, 저류조에 저장된 해수를 관체를 통해 분사관에서 분사하므로 배관 설치비용이 막대하게 든다는 단점과 분사관 자체가 토사에 의해 막혀 시간이 지나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분사관의 교체 외에는 막힌 토사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8-0107591 A (2008. 12. 11.) KR 10-2000-0061729 A (2000. 10. 25.) KR 10-2002-0092646 A (2002. 12. 12.)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만조 시에 포수 컨테이너에 물을 유입하여 저장하고, 간조 시에 포수 컨테이너에 저장된 물을 방류함으로써 바닥에 퇴적된 토사를 제거하는 자연 에너지만을 이용한 토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토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는, 상면에는 공기유출부가 설치되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이 만나는 지점의 측면 일부가 개방되어 방류부가 형성된 포수 컨테이너 및 상기 포수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출부를 여닫는 여닫이부를 포함하여, 만조 시에 포수 컨테이너에 해수를 저장했다가 간조 시에 방류부를 통해 저장된 해수를 방류함으로써 토사를 제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에 의하면, 포수 컨테이너에서 간만의 차에 의해 해수를 저장 및 방류함으로써 어항의 바닥이나 배수갑문, 문비의 전면부에 퇴적되는 토사를 자연 에너지만으로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등이 필요없어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잘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장 시에도 토사 제거장치를 들어올려 간단히 정비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토사 제거장치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밀물일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썰물일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공기분산부, 토사 퇴적방지부, 방류수위 조절부, 인양걸이가 부가된 것을 보인 투시도이다.
도 5는 포수 컨테이너 내부 측면에 기포형성공이 천공된 공기분산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출입장치가 구비된 토사 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가 설치용 바닥면에 올려져 해저면에 설치가 용이하게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가 보호탱크 및 덮개로 이루어진 보호 시설에 내장되어 배수갑문 구조물에 설치된 것을 조감한 조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용 바닥면 위에 형성된 토사 제거장치가 배수갑문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용 바닥면 위에 형성된 토사 제거장치가 어항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는 상면에는 공기유출부(111)가 설치되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이 만나는 지점의 측면 일부가 개방되어 방류부(112)가 형성된 포수 컨테이너(110) 및 상기 포수 컨테이너(1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출부(111)를 여닫는 여닫이부(120)로 구성된다. 방류부(112)를 통해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가 방류되면서 토사가 씻겨내려가게 되므로 방류부(112)는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의 위치에너지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도록, 포수 컨테이너(110)의 측면 중 하면에 가까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류부(112)는 균일하게 해수가 방류되기 위해서 슬릿 모양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해수가 유입되고 방류될 수 있다면 형상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또,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한정된 양의 해수로 토사를 씻어내야 하므로, 배수갑문이나 문비 등에 사용될 경우에는 토사를 씻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방류부(112)를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는 양방 또는 4방으로 토사를 씻어내는 경우에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방류부(112)는 포수 컨테이너(110) 측면이라면 방향에 관계없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가 자연 에너지만으로 토사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이하 감조하천 또는 어항에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가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고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밀물일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감조하천 또는 어항에는 밀물과 썰물이 하루 2차례씩 교대로 드나들게 되는데, 밀물이 들어올 때는 토사 제거장치(100)의 방류부(112)를 통해 해수가 포수 컨테이너(110)로 유입된다. 이때, 포수 컨테이너(110)에 있던 공기는 여닫이부(120)가 열리면서 포수 컨테이너(110) 외부로 빠져나가 해수가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압 때문에 유입되지 않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밀물이 썰물로 바뀌는 순간 포수 컨테이너(110)에 해수가 최대량 저장되고, 이후 썰물이 끝날 때까지 해수면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도 3은 썰물일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해수면이 낮아지더라도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는 수위가 유지되는데(도 3(a)), 그 이유는 포수 컨테이너(110)에 설치된 여닫이부(120)는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빠져나가게만 할 수 있을 뿐,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더라도 스스로 열려 외부의 공기를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로 유입시킬 수는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쉽게 예를 들면, 여닫이부(120)는 멤브레인을 힌지로 포수 컨테이너(110)에 결합시켜 공기유출부(111)에 얹어 놓은 것과 같다. 즉,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어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압이 증가하면 대기압을 극복하여 열리게 되지만, 내부에서 해수가 유출되어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진다면 대기압에 의해 공기유출부(111)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는 썰물이 되더라도 수위가 조금 내려갈 뿐 방류부(112)를 통해 모두 빠져나가지는 못하다가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그때부터 방류부(112)를 통해 모두 방류되면서 토사(10)를 씻어 내려가게 된다(도 3(b)). 상기 특정 조건이란,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의 방류부(112)에서의 압력이 포수 컨테이너(110) 외부의 수압 + 대기압 + 방류부(112)에서의 표면장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인데, 대략 외부 해수면이 하강하여 방류부(112)보다 낮아진 시점으로 볼 수 있다. 즉, 외부 해수면이 방류부(112)보다 낮아진다면 방류부(1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에 유입될 수 있고, 외부 공기가 유입된 만큼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되었던 해수가 방류부(112)를 통해 방류되는 것이다. 이 현상은 한번 시작되면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되었던 해수가 모두 방류될 때까지 중단되지 않으며, 해수가 모두 방류된 후의 포수 컨테이너(110)는 최초의 밀물이 들어오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
위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밀물 때 포수 컨테이너(110)에 해수 저장
2) 썰물 때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 유지
3)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에 저장된 해수의 방류부(112)에서의 압력이 포수 컨테이너(110) 외부의 수압, 대기압 및 방류부(112)에서의 표면장력을 합한 값보다 크게 되는 시점에서 방류부(112)를 통해 저장된 해수 방류
4)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가 모두 방류되면 다시 위 1) 과정을 대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공기분산부(130), 토사 퇴적방지부(140), 방류수위 조절부(150), 인양걸이(160)가 부가된 것을 보인 투시도이고, 도 5는 포수 컨테이너 내부 측면에 기포형성공이 천공된 공기분산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는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 측면 중 방류부(112)가 형성된 측면에 해수 방류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분산부(1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는 방류부(112)의 단면적이 작을 때 외부 공기가 큰 덩어리로 유입되면서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의 방류를 막는 일종의 출렁임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 측면 중 방류부(112) 상부에 공기분산부(130)를 설치함으로써, 방류부(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해수도 원활하게 방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분산부(130)는 기포형성공(131)이 다수 천공된 판(plate)일 수 있다. 기포형성공(131)은 방류부(112)를 통해 외부의 공기 덩어리가 유입되었을 경우 공기 덩어리를 작은 공기 덩어리 또는 기포로 분산시켜 공기의 유입 및 해수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는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 하면에 토사 퇴적방지부(1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밀물 때 해수가 포수 컨테이너(110)로 유입되면 토사도 유입되고, 유입된 토사는 해수가 방류부(112)를 통해 방류될 때 일부가 같이 배출되지 않고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에 퇴적되어 포수 컨테이너(110)가 저장할 수 있는 해수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방류부(112)를 막아 토사 제거장치(100)가 제대로 기능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에는 토사가 지속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토사 퇴적방지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토사 퇴적방지 장치는 기계장치가 토사를 쓸어내는 방식일 수도 있고,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해수면이 낮아짐에 따라 부표가 회전하여 부표에 결합된 빗자루 등이 토사를 쓸어내는 방식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간단히 빗면을 설치하여 토사가 중력과 해수의 출렁임에 의하여 토사 제거장치(100)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상기 빗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수 컨테이너(110) 하면, 즉 포수 컨테이너(110)가 바닥과 마주치는 면에 설치되며,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토사가 방류부(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방류부(112)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는 방류부(112)를 통해 해수가 방류되는 수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류수위 조절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류부(112)가 슬릿(slit) 모양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방류수위 조절부(150)는 포수 컨테이너(110)의 측면 방류부(112) 상단에 위치하여 슬릿의 폭, 즉 방류부(1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류수위 조절부(150)에 의해 방류부(112)에서 앞서 언급한 해수가 방류되는 특정 조건 및 배출 지속시간을 변경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토사 제거장치(100)는 포수 컨테이너(110)에 인양걸이(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양걸이(160)는 포수 컨테이너(110)의 이동, 설치 및 청소 등 포수 컨테이너(110)를 쉽게 들기 위한 구조물로 포수 컨테이너(110)의 외벽에 설치되어 크레인 등의 운반기계가 와이어, 고리 등을 포수 컨테이너(110)에 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토사 제거장치(100)는 포수 컨테이너(110)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유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유출입장치(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출입장치가 구비된 토사 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공기유출입장치(200)는 공기펌프(210), 수위측정부(220) 및 제어부(230)로 구성되어, 밀물 때 포수 컨테이너(110)에 충분한 해수가 저장되지 않았을 때, 해수의 저장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간만의 차가 그리 크지 않거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밀물 때 토사를 충분히 씻어낼 만한 해수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 위와 같은 상황이 단기간이라면 다음 밀물 때를 기다려 토사를 씻어낼 수가 있겠지만, 상황이 지속되어 토사가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를 방류하여 씻어낼 수 있는 한계를 넘어 퇴적되든지 토사가 포수 컨테이너(110)의 방류부(112)를 막아버리게 된다면 중간 중간에 토사가 충분히 씻겨 내려가도록 해주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공기유출입장치(200)가 강제적으로 포수 컨테이너(110)에 충분한 양의 해수를 저장하도록 하는데, 그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만조 시 수위측정부(220)에서 측정한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 수위가 소정의 값에 미달할 경우, 제어부(230)는 공기펌프(210)를 가동하여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고, 따라서 방류부(112)에서 수압도 낮아진다. 방류부(112)에서 수압이 낮아지면 외부의 해수가 방류부(112)를 통해 포수 컨테이너(110) 안으로 유입되므로 해수를 더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일단 포수 컨테이너(110)에 충분한 수위가 확보되면 이후의 동작은 밀물에 의해 수위를 확보한 경우와 같으므로 썰물 때 포수 컨테이너(110)에 저장된 해수가 배출되면서 토사를 씻어내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펌프(210) 및 제어부(230)는 포수 컨테이너(110)에 충분한 해수를 확보하는 용도 외에, 방류부(112)를 통해 해수를 더 강하게 배출시키고자 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는 공기펌프(210)가 외부 공기를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로 불어넣음으로써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압을 높이고, 높아진 공기압만큼 해수를 더 강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가 설치용 바닥면(300)에 올려져 해저면에 설치가 용이하게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토사 제거장치(100)는 배수갑문이나 어항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용 바닥면(30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용 바닥면(300)이 포함된 토사 제거장치(100)는 크레인 등의 운반기구에 의해 배수갑문 또는 어항의 해저면에 수평을 유지하여 놓여지게 된다. 이때 설치용 바닥면(300)의 하면에는 설치용 바닥면(300)이 포함된 토사 제거장치(10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해저면에 지지될 수 있는 수평유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가 보호탱크 및 덮개로 이루어진 보호 시설물에 내장되어 배수갑문 또는 어항 등의 구조물에 설치된 것을 조감한 조감도이다.
하구둑이나 수문 구조물은 보통 차량 통행이 가능한 도로나 지상공원 등으로 공간활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제거장치(100)는 보호시설물(400)에 내장되어 하구둑이나 수문 구조물과 연결되어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보호탱크(410)는 하구둑이나 배수갑문 구조물, 어항의 접안시설 등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고, 토사 제거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덮개(420)는 보호탱크(410)를 덮는 구조물로, 덮개(420)를 덮음으로써 보호탱크 위를 도로나 지상공원 등으로 공간활용할 수 있으며, 토사 제거장치(100)를 수리, 교체 또는 청소해야할 경우에도 덮개(420)만 열고 토사 제거장치(100)를 들어올려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용 바닥면(300) 위에 형성된 토사 제거장치가 배수갑문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토사 제거장치(100)는 방류부(112)에서 방류되는 해수가 배수갑문 앞에 퇴적되는 토사를 씻어내려 갈 수 있도록 설치용 바닥면(300)이 배수갑문 앞에 위치하고, 토사 제거장치(100)는 배수갑문의 양쪽 또는 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9와 같은 구성에서는 토사가 설치용 바닥면(300)에 퇴적되는데, 본 발명의 토사 제거장치(100)에 의해 설치용 바닥면(300)에 퇴적된 토사는 배수갑문 앞 중앙배수로(520)를 따라 바다로 씻겨 내려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용 바닥면(300) 위에 형성된 토사 제거장치(100)가 어항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는 토사를 바다 쪽으로 씻어내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용 바닥면(300)이 포함된 토사 제거장치(100)는 방류부(112) 및 설치용 바닥면(300)이 바다 쪽으로 향하게 설치된다. 도 10과 같은 구성에서 토사 제거장치(100)의 위쪽을 덮고 있는 덮개는 어항의 접안시설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10 토사 100 토사 제거장치
110 포수 컨테이너 111 공기유출부
112 방류부 120 여닫이부
130 공기분산부 131 기포형성공
140 토사 퇴적방지부 150 방류수위 조절부
160 인양걸이 200 공기유출입장치
210 공기펌프 220 수위측정부
230 제어부 300 설치용 바닥면
400 보호시설물 410 보호탱크
420 덮개 500 배수갑문 구조물
510 배수갑문 520 중앙배수로
600 어항

Claims (13)

  1. 상면에는 공기유출부(111)가 설치되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이 만나는 지점의 측면 일부가 개방되어 방류부(112)가 형성된 포수 컨테이너(110) 및
    상기 포수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출부를 여닫는 여닫이부(120)를 포함하는 토사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수 컨테이너 내부(110) 측면 중 상기 방류부(112)가 형성된 측면에 해수 배출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분산부(13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산부(130)에는 기포형성공(131)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에는 토사 퇴적방지부(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토사 퇴적방지부(140)는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토사가 상기 방류부(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포수 컨테이너(110)의 하면에 방류부(112)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빗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수 컨테이너(110)의 측면, 방류부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방류부(1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류수위 조절부(1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수 컨테이너(110)에는 인양걸이(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수 컨테이너(110)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유출시킬 수 있는 공기유출입장치(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입장치(200)는 공기펌프(210), 수위측정부(220) 및 제어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만조 시 상기 수위측정부(220)에서 측정한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 수위가 소정의 값에 미달할 경우, 상기 공기펌프(210)를 가동하여 포수 컨테이너(110) 내부의 공기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부(120)는 멤브레인을 힌지로 포수 컨테이너(110)에 결합시킨 것인 토사 제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사 제거장치는 설치용 바닥면(300)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바닥면(300)의 하면에는 해저면에 지지되어 토사 제거장치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제거장치.
KR1020120007028A 2012-01-20 2012-01-20 토사 제거장치 KR101283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028A KR101283249B1 (ko) 2012-01-20 2012-01-20 토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028A KR101283249B1 (ko) 2012-01-20 2012-01-20 토사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249B1 true KR101283249B1 (ko) 2013-07-11

Family

ID=4899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028A KR101283249B1 (ko) 2012-01-20 2012-01-20 토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86B1 (ko) 2015-09-22 2017-01-20 박찬근 연통구를 구비한 토사 제거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토사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729A (ko) * 1999-03-30 2000-10-25 김현녀 상수원 담수호의 오니 제거방법 및 장치
KR200247934Y1 (ko) 2001-06-07 2001-10-29 농업기반공사 수문의 토사적층 방지장치
KR20080107591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배수 갑문의 토사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729A (ko) * 1999-03-30 2000-10-25 김현녀 상수원 담수호의 오니 제거방법 및 장치
KR200247934Y1 (ko) 2001-06-07 2001-10-29 농업기반공사 수문의 토사적층 방지장치
KR20080107591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배수 갑문의 토사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86B1 (ko) 2015-09-22 2017-01-20 박찬근 연통구를 구비한 토사 제거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토사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7779B2 (en)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20180179715A1 (en)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KR20090083296A (ko) 담수용 차수문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JP3961722B2 (ja) 堆積物の収集移送設備の閉塞開放機構
KR101220901B1 (ko)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US7226242B2 (en)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CN104975648A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100801678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
RU2592414C1 (ru) Водозабор
KR101283249B1 (ko) 토사 제거장치
KR1010514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 쓰레기 수거 장치
KR200427026Y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CN107587593A (zh) 具有水力翻斗冲洗装置的在线雨水处理设备
KR100719496B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CN109853492B (zh) 闸阀管道式过鱼方法
KR100805159B1 (ko) 퇴적물을 방출할 수 있는 수중보
KR200408865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JP2004162393A (ja) 逆流防止ゲートの土砂排出構造
KR101698686B1 (ko) 연통구를 구비한 토사 제거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토사 제거장치
KR100742645B1 (ko) 방파제의 항내수 배출장치
KR100674355B1 (ko) 상수도 취수탑 저수위 도수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