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468B1 -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468B1
KR101282468B1 KR1020120128148A KR20120128148A KR101282468B1 KR 101282468 B1 KR101282468 B1 KR 101282468B1 KR 1020120128148 A KR1020120128148 A KR 1020120128148A KR 20120128148 A KR20120128148 A KR 20120128148A KR 101282468 B1 KR101282468 B1 KR 10128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ackrest
gear
rod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퍼스
Priority to KR102012012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 의자에 있어서, 의자 등받이에 대한 젖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의자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는 젖힘 강도 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을, 좌판의 외 측 측면에서 가로 축 선을 갖도록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 레버를 이용하여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레버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하여, 레버와 연결된 복수의 평 기어 및 헬리컬 기어로 되는 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의 탄발력을 그때그때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자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간편히 등받이에 대한 젖힘 강도를 강, 약 상태로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등받이 의자의 사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케이싱 내부 일 측에 힌지축에 의해 굴대 설치되어 등받이 프레임과 부착 연결되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 하단에 양 지지축에 의해 피봇 회동가능 하게 설치되고, 몸체부 외면에는 코일스프링의 타단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T자형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일 측이 유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 측의 케이싱에 연결된 나사부에는 헬리컬기어를 체결함과 동시에, 스토퍼편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이 외면에 설치되게 한 작동봉 및; 상기 헬리컬기어와 치합되는 웜기어봉과 연결된 제1평기어가 조작레버와 연결된 제2평기어와 치합 되도록 한 기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이다.

Description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 the lean back strength of a chair backrest}
본 발명은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 의자에 있어서, 의자 등받이에 대한 젖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의자의 좌판 하부에 설치되는 젖힘 강도 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을, 좌판의 외 측 측면에서 가로 축 선을 갖도록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 레버를 이용하여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레버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하여, 레버와 연결된 복수의 평 기어 및 헬리컬 기어로 되는 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의 탄발력을 그때그때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자 사용자, 특히 여성들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간편히 등받이에 대한 젖힘 강도를 강, 약 상태로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등받이 의자의 사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등받이 의자의 경우, 의자의 좌판 하부에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그 내부의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의 젖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기존의 등받이 의자에 적용되고 있는 종래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는, 조절 장치의 핵심구성 요소인 장력 스트링이 세로 축 선을 갖도록 직립상태 또는 직립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서, 역시 세워진 채 스프링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조절놉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 장력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는, 의자 사용자가 등받이의 젖힘 강도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하기 위해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을 조절하려는 경우, 의자 좌판 하부 안쪽에 세로 축 선을 갖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의 조절놉을 회전시켜 등받이의 젖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동작이, 의자 좌판 밑으로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 조절 동작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조절놉에 그대로 스프링의 탄발력이 전달되는 상태에서 조절놉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따라, 조절놉의 회전동작 또한 매우 힘겹게 느껴질 수밖에 없어 등받이 의자에 대한 등받이의 젖힘 강도 조절이 매우 불편하여, 대부분이 사용자가 의자가 출시된 상태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의자의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그 사용성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등받이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의 젖힘 강도 조절을 위한 코일스프링의 탄발력 조절이, 의자 좌판 하부에 세로 축 선을 갖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 외부를 원통형의 조절놉으로 감싼 상태에서, 이 조절놉을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회전시켜가며 힘겹게 조절토록 하는 종래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의 핵심 구성요소인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을, 복수의 평기어에 의해 헬리컬 기어와 연결되어 의자 좌판과 평행하게 좌판 하면 외 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의 회전에 의해 조절가능 하게 함으로써, 의자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좌판하면의 조작 레버를 간편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조작레버와 연결된 기어부의 구동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을 조절 가능하게 하여, 등받이에 대한 젖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자의 전체적인 사용성과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는, 등받이 의자(7)의 등받이(72)의 젖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좌판 연결 프레임(6)에 의해 좌판(71) 하면에 부착 설치되는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A)에 있어서, 케이싱(1) 내부 일 측에 힌지축(11)에 의해 굴대 설치되어 등받이 프레임(21)과 부착 연결되는 작동편(2)과; 상기 작동편(2) 하단에 양 지지축(33)에 의해 피봇 회동가능 하게 설치되고, 몸체부(32) 외면에는 코일스프링(31)의 타단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T자형의 지지봉(3)과; 상기 지지봉(3)에 일 측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그 타 측의 나사부(43)는 케이싱(1)에 연결, 고정하되, 상기 나사부(43)에는 헬리컬기어(41)를 체결함과 동시에, 스토퍼편(42)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31)이 외면에 설치되게 한 작동봉(4) 및; 상기 헬리컬기어(41)와 치합되는 웜기어봉(52)과 연결된 제1평기어(51)가 조작레버(53)와 연결된 제2평기어(54)와 치합 되도록 한 기어부(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에 의하면,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에 대한 젖힘 강도의 조절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조작레버의 간단한 회전조작에 따라, 조작레버와 연결된 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헬리컬기어가 회전 작동하면서 작동봉의 나사부를 타고 진퇴 작동하여 작동봉의 스토편과 지지봉 사이의 작동봉 외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조여 긴장상태로 두거나 또는 풀어 이완 상태로 두는 것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을 그때그때 간편히 조절케 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이 작용하는 작동편의 힌지 회동 강도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작동편에 연결된 등받이 프레임의 젖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에 대한 젖힘 강도를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따른 등받이 의자의 사용성 및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젖힘 정도 조절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젖힘 정도 조절장치에 적용된 힌지축과 지지축 부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젖힘 정도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젖힘 정도 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젖힘 정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젖힘 정도 조절장치의 설치상태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A)는, 크게 케이싱(1), 작동편(2), 지지봉(3). 작동봉(4) 및 기어부(5)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은 대략 상면이 개방된 함체형으로 되어, 상부 외 측으로 좌판연결프레임(6)이 고정설치되어, 이 좌판연결프레임(6)에 의해 등받이의자(7)의 좌판(71) 하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 공간에는 후술하는 작동편(2), 지지봉(3), 작동봉(4) 및 기어부(5)가 유기적 결합관계가 유지되게 설치되어, 목적한 등받이(72)에 대한 젖힘 강도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작동편(2)은, 그 측면 형상이 대략 ㄱ자 형성으로 되도록 판체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그 일 측에는 등받이 프레임(21)이 부착, 연결되는 연결부(21a)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연결부(21a) 타 측은 힌지축(11)에 의해 케이싱(1) 내부에 힌지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 고정설치된다.
상기 작동편(2)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T자형으로 이루어진 지지봉(3)의 양 지지축(33)(33)이 유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등받이 프레임(2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작동편(2)이 힌지축(11)을 기준으로 힌지회동할 때, 지지봉(3)이 코일스프링(31)에 대항하여 지지봉(3)을 밀어내거나 코일스프링(31)의 탄발력에 의해 밀려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지지봉(3)은 대략 T자형으로 되어 양측으로 지지축(33)과 중앙의 몸체부(32)로 형성되어 지지축(33) 양단은 각각 상기 작동편(2)의 하단에 각각 유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32)에는 외부에 코일스프링(31)이 끼워져 설치된 상태로 후술하는 작동봉(4)의 선단부가 유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작동봉(4)은 선단부가 상기 지지봉(3)의 몸체부(32)에 유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타 단은 외면에 나사부(43)를 형성한 채, 케이싱(1)에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나사부(43)에는 헬리컬기어(41)가 체결되어, 헬리컬기어(41)가 회전됨에 따라, 헬리컬기어(41)가 작동봉(4)의 나사부(43)를 타고 진, 퇴 작동한다,
상기 작동봉(4)의 헬리컬기어(41) 측에는 대략 원판형의 스토퍼편(42)을 설치하여, 이 스토퍼편(42)과 지지봉(3)의 몸체부(32) 사이의 공간에 코일스프링(31)을 탄발 상태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헬리컬기어(41)의 회전에 따라 헬리컬기어(41)가 나사부(43)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편(42)도 함께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31)을 압축하거나 압축해제하여 그 탄발 상태를 강하게 또는 약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기어부(5)는 가로 축 선을 갖도록 좌판(71) 일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되도록 케이싱(1) 외부에 설치되는 조작레버(53)의 회전동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제2평기어(54)를 케이싱(1) 내부에 설치하고, 이 제2평기어(54)에는 제1평기어(51)가 치합되게 하되, 이 제1평기어(51)는 일측의 웜기어봉(52)과 일체로 구성되어 지지편(55)에 의해 케이싱(1)에 굴대 설치된다.
이때 제1평기어(51)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웜기어봉(52)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웜기어봉(52)과 치합된 상태인 헬리컬기어(41)를 회전작동시켜, 결과적으로 헬리컬기어(41)가 작동봉(4)의 나사부(43)를 타고 진퇴이동 하면서, 일 측의 스토퍼편(42)에 이해 탄발상태로 설치된 코일스프링(31)의 탄발력을 강하게 하거나 또는 약하게 함으로써, 작동편(2) 하부에 가해지는 탄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A)의 실시,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A)는, 좌판연결프레임(6)에 의해 등받이 의자(7)의 좌판(71) 하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작동편(2)의 연결부(21a)에 부착, 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21)에 등받이(72)가 연결 고정되게 등받이 의자(7)에 부착,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의자(7) 사용자가 등받이(72)에 대한 젖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좌판(71) 하면 일 측에 가로 방향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조작레버(53)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은 조작레버(53)와 연결된 제2평기어(54)에 전달되어, 이 제2평기어(54)와 치합된 상태인 제1평기어(51)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이 제1평기어(51) 일 측에 일체로 형성된 웜기어봉(52)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웜기어봉(52)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 웜기어봉(52)과 치합된 헬리컬기어(41)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헬리컬기어(41)는 그 내부의 암나사부에 의해 작동봉(4)의 나사부(43)를 타고 일 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편(42) 일 측에 작동봉(4)과 지지봉(3) 둘레로 설치된 코일스프링(31)을 밀어내면서 코일스프링(31)을 압축상태로 하여, 힌지축(11)을 기준으로 코일스프링(31)에 대항하여 회동하는 작동편(2)에 대해 강한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등받이(72)의 젖힘 강도를 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반대로 등받이(72)의 젖힘 강도를 약하게(느슨하게) 조절하려하는 경우, 의자 사용자가 좌판(71)에 앉은 상태에서 조작레버(53)를 앞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제2평기어(54)와 제1평기어(5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웜기어봉(52) 역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헬리컬기어(41)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헬리컬기어(41)가 작동봉(4)의 나사부(43)를 타고 앞서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31)을 이완시키게 되므로, 작동편(2)의 하단에 가해지는 코일스프링(31)의 탄발력을 약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등받이(72)의 젖힘 강도를 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의자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등받이(72)를 젖히게 되면, 그 힘으로 작동편(2)이 코일스프링(31)에 대항하여 힌지축(11)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어, 목적한 등받이(72)에 대한 젖힘 강도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실질적으로 등받이(72)의 젖힘 강도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코일스프링(31)의 압축강도(탄발력)를 조작레버(53)의 수평회전동작에 의해, 그 회전력이 기어부(5)를 통해 최종적으로 헬리컬기어(41)의 나사부(43)에 대한 수평진퇴이동 동작으로 연결되어, 헬리컬기어(41) 일 측의 스토퍼편(42)에 의해 코일스프링(31)을 압축하거나 이완시킴으로써, 등받이프레임(21)에 의해 작동편(2)에 연결된 등받이(72)가 작동편(2)의 힌지축(11)을 축으로 피봇회동 동작하게 하여, 목적한 등받이(72)의 젖힘 강도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 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케이싱 2 : 작동편 3 : 지지봉 4 : 작동봉
5 : 기어부 6 : 좌판연결프레임 11 : 힌지축
21 : 등받이 31 : 코일스프링 41 : 헬리컬기어
42 : 스토퍼편 51 : 제1평기어 52:웜기어봉
53 : 조작레버 54 : 제2평기어

Claims (1)

  1. 등받이 의자(7)의 등받이(72)의 젖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좌판 연결 프레임(6)에 의해 좌판(71) 하면에 부착 설치되는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A)에 있어서,
    등받이프레임(21)과 부착, 연결되는 작동편(2)을 힌지축(11)에 의해 케이싱(1) 내부 일 측에 굴대설치하고; 몸체부(32)와 양 지지축(33)(33)으로 되는 T자형의 지지봉(3) 외면에는 코일스프링(31)의 타단부를 끼워설치하되, 상기 T자형의 지지봉(3)은 양 지지축(33)(33)에 의해 상기 작동편(2) 하단에 피봇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봉(4)의 일 측 선단부를 상기 지지봉(3)의 몸체부(32)에 연결하여 지지봉(3)이 작동봉(4)의 선단부에서 유동가능하게 하되, 작동봉(4)의 타 측은 나사부(43)로 형성하여 케이싱(1)에 연결고정하여 상기 나사부(43)에 헬리컬기어(41)를 체결함과 동시에, 스토퍼편(42)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31)이 작동봉(4) 외면에 설치되게 하고; 기어부(5)의 웜기어봉(52)이 상기 헬리컬기어(41)와 치합되게 하되, 상기 웜기어봉(52)은 조작레버(53)와 연결된 제2평기어(54)와 치합되는 제1평기어(51)와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KR1020120128148A 2012-11-13 2012-11-13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KR10128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48A KR101282468B1 (ko) 2012-11-13 2012-11-13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48A KR101282468B1 (ko) 2012-11-13 2012-11-13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468B1 true KR101282468B1 (ko) 2013-07-17

Family

ID=4899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48A KR101282468B1 (ko) 2012-11-13 2012-11-13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17B1 (ko) * 2014-10-02 2016-01-29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틸팅강도 조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96B1 (ko) 2008-01-09 2008-04-30 (주)거성산업 의자의 시트백 틸팅장치
KR20120084001A (ko) * 2011-01-19 2012-07-27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틸팅 한계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96B1 (ko) 2008-01-09 2008-04-30 (주)거성산업 의자의 시트백 틸팅장치
KR20120084001A (ko) * 2011-01-19 2012-07-27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틸팅 한계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17B1 (ko) * 2014-10-02 2016-01-29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틸팅강도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08896B (zh) 具有可改变的特征的摇杆躺椅机构
US10123625B2 (en) Reversible headrest tilt, lumbar mechanism
KR102307892B1 (ko)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US9730522B2 (en) Headrest tilt mechanism
KR102065954B1 (ko) 팔걸이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US9044094B2 (en) Chair chassis
CN105361488A (zh) 椅子和家具
US8308240B1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assembly for a chair
CN201216346Y (zh) 座椅的预紧力调节机构
US8100477B2 (en) Synchronizing device for an office chair
KR101282468B1 (ko)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강도 조절장치
CN203692988U (zh) 靠椅弹性底盘结构
JP2012228291A (ja) 角度調整金具
JP5485977B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CN107536317B (zh) 具有两个弹簧的座椅倾斜机构
KR101590017B1 (ko) 의자의 틸팅강도 조절 장치
KR101952033B1 (ko) 의자의 틸팅 레인지용 조절장치
KR101123744B1 (ko) 의자의 틸팅강도 조절장치
CN108835989A (zh) 一种可平躺沙发椅
CN107080381B (zh) 一种座椅倾仰调节机构
JP2011103910A (ja) 可動寝いす
KR100990509B1 (ko) 의자
CN217565420U (zh) 一种可缓解腰椎压力的座椅
US9351576B1 (en) Ottoman linkage mechanism with closing assist
KR100946664B1 (ko)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