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304B1 -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 Google Patents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304B1
KR101282304B1 KR1020100019787A KR20100019787A KR101282304B1 KR 101282304 B1 KR101282304 B1 KR 101282304B1 KR 1020100019787 A KR1020100019787 A KR 1020100019787A KR 20100019787 A KR20100019787 A KR 20100019787A KR 101282304 B1 KR101282304 B1 KR 10128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opening
bottle cap
cap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783A (ko
Inventor
김상훈
신성근
현영모
Original Assignee
김상훈
(주)이노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주)이노핸즈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KR102010001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30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2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병은 병본체의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병마개를 구비하며, 이 병마개의 위치가 개봉위치인 경우에만 병마개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병과 병마개에는 개봉위치에서 병마개가 걸리어 놓이도록 하는 걸림부가 구비된다. 이 걸림부는 병본체의 개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걸림부와, 병마개의 둘레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1걸림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제2걸림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에 의한 병의 개봉을 방지하면서도 걸림부의 걸림에 의해 병의 개봉위치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Bottle with a means for protecting open}
본 발명은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나 어린이에 의한 병의 개봉을 방지할 수 있는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에 관한 것이다.
병의 병마개는 병본체에 결합되어 병본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서, 병을 개봉한 후 폐기하는 병마개와, 개봉후 재사용하는 병마개 등과 같이 다양한 병마개가 사용되고 있다.
재사용 병마개는 통상적으로 병본체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남녀노소 누구나가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따라서, 병의 내용물이 의약품, 치료제, 독극물, 유해물질 등의 약품인 경우에 유아나 어린이가 병마개를 개봉하여 이를 복용하게 되면 건강에 유해하거나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 병마개에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개봉방지수단이 적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으로는, 병마개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하방으로 가압후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개봉되는 나사식 병마개와, 병본체에 병마개를 회전식으로 설치하여 병마개가 소정위치에서만 개봉되도록 마킹부가 형성된 회전식 병마개 등이 장착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나사식 병마개는 어린이가 병마개의 회전시 우연히 하방으로 가압하여 병본체가 개봉되는 오작동의 문제가 있고, 또는 병마개의 하방 가압시 과다한 작용력이 부여되어야 하므로 성인은 물론이고 특히 의약품의 사용빈도가 높은 노인들에게 있어서도 개봉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나사식 병마개는, 이중마개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이중마개의 부피가 커져 그 사이즈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회전식 병마개는 병마개 자체를 단일부재로 제작가능하므로 나사식 병마개에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없으나, 병본체의 마킹부와 병마개의 마킹부를 일치시키도록 회전한 경우에만 개봉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마킹부를 일치시키기 위해 병마개를 좌우로 빈번하게 회전시켜야 하거나 마킹부를 매우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는 경우 개봉되지 않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회전식 병마개의 마킹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어린이가 마킹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되면 병마개를 개봉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아나 어린이에 의한 병마개의 개봉을 방지할 수 있고, 병마개의 회전시 개봉위치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병마개의 개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시각장애인이나 노인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본체; 상기 병본체의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병마개; 상기 병마개의 회전된 위치가 개봉위치인 경우에만 외력에 의해 상기 병본체로부터 상기 병마개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봉방지수단; 및 상기 병마개가 상기 병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시 상기 병마개가 상기 개봉위치에서 걸리어 놓이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병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의 일 부위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제1걸림부, 및 상기 병마개의 둘레부의 내주면의 일 부위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제2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에 의한 병의 개봉을 방지하면서도 걸림부의 걸림에 의해 병마개의 회전시 개봉위치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돌기가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병마개의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홈에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병마개의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걸림부가 홈과 돌기로 이루어져 걸림이 용이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홈은 상기 돌기 보다 연질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홈의 접촉면이 걸림부의 돌기 보다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접촉면의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병마개의 회전시 상기 홈과 상기 돌기 사이의 결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홈의 크기가 상기 돌기 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부의 결합시 스무드하게 슬라이딩되어 결합되어 그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걸림부는 서로 인접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걸림부는 병의 중심을 기준해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병마개의 회전시 걸림부가 빈번하게 결합하도록 하여 개봉시간을 단축시키고 1차 걸림에 의해 개봉위치의 근접을 인식하고 2차 걸림에 의해 개봉위치의 도달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개봉방지수단은, 상기 병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부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제1리브; 및 상기 병마개의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병마개가 상기 병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리브에 걸리어 상기 병마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리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병본체에서 병마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병마개는 그 외주면 상의 상기 제2리브에 대응하는 부위에 돌출형성된 노브를 구비한다. 병마개의 외주둘레에 돌출편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병의 개봉시 이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병마개의 개봉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리브의 개방부위에는, 상기 병마개가 상기 개봉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2리브가 걸리어 상기 병마개의 자유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병마개가 병의 개봉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병을 반전하더라도 병마개의 자유이탈이 이루지지 않아 병마개의 개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리브는 하단이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외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리브와 제2리브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병마개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착하여 병본체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에 의한 병의 개봉을 방지하면서도 걸림부의 걸림에 의해 병마개의 회전시 개봉위치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시각장애인이나 노인도 걸림부의 걸림에 의해 용이하게 개봉위치를 확인하여 개봉할 수 있게 된다.
병의 걸림부가 홈과 돌기로 이루어져 걸림이 용이하게 발생하게 되고, 홈의 접촉면이 걸림부의 돌기 보다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접촉면의 변형이 용이하고, 홈이 돌기 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병마개의 회전시 걸림부가 빈번하게 결합하도록 하여 개봉시간을 단축시키고 1차 걸림에 의해 개봉위치의 근접을 인식하고 2차 걸림에 의해 개봉위치의 도달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병마개의 외주면에 노브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병의 개봉시 손잡이로 사용하여 병마개의 개봉을 용이하게 한다.
개봉방지수단의 이탈공간에 걸림편이 돌출형성되어 병마개가 병의 개봉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병이 뒤집히더라도 병마개의 자유이탈이 이루어지지 않아 병마개의 의도하지 않은 개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개봉방지수단의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개봉방지수단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병마개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착하여 병본체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마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본체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A"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도 6의 "B"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도 4의 절단선 Ⅰ-Ⅰ′에 의한 단면도.
도 9는 도 4의 절단선 Ⅱ-Ⅱ′에 의한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절단선 Ⅲ-Ⅲ′에 의한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절단선 Ⅳ-Ⅳ′에 의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마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본체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마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마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본체를 나타내는 상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본체와 병마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은 병마개(10)와, 병본체(20)와, 병마개(10)가 개봉위치인 경우에만 병본체(20)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봉방지수단(30)과, 병마개(10)가 회전시 개봉위치에서 걸리어 놓이도록 하는 걸림부(40)를 구비한다.
병본체(20)는 병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저장용기로서, 걸림턱(21), 개구부(22), 저장부(23)를 구비한다.
개구부(22)는 원통형상 병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병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출입하는 개방통로를 구성하며, 개구부(22)의 외주면(22a) 하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걸림턱(21)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저장부(23)는 개구부(22)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병본체(20)의 내부를 구성하며, 병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병마개(10)는 병을 개폐하도록 병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노브(11: knob), 덮개부(12), 둘레부(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덮개부(12)는 병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접촉하여 병을 개폐하도록 병마개(10)의 상부를 구성하며, 사용자가 병마개(1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덮개부(12)의 상단 둘레에는 노브(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둘레부(13)는 덮개부(12)의 외곽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부위로서, 병본체(20)의 개구부(2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봉방지수단(30)은 병마개(10)의 회전된 위치가 개봉위치인 경우에만 외력에 의해 병본체(20)로부터 병마개(1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제1리브(24)와 제2리브(14)를 구비한다.
제1리브(24)는 병본체(20)에 형성된 개봉방지부로서, 병본체(20)의 개구부(22)의 외주면(22a) 둘레에 부분 고리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리브(24)는 2개가 마련되어 개구부(22)의 중심을 기준해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분리된 제1리브(24)에 의하여 제1리브들(24) 사이에 개방부위가 형성되며, 이 개방부위가 제2리브(14)와의 걸림에서 이탈되는 개봉위치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제1리브의 측단(24a)은 그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리브(24)가 제2리브(14)와 걸림시 수직상방으로 이탈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됨과 동시에, 병마개(10)를 병본체(2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병마개(10)를 하방으로 가압시 제2리브(14)가 제1리브(24)의 경사진 측단(24a)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리브(14)와의 걸어맞춤이 가능하게 된다.
제1리브(24)의 개방부위에 형성된 내측단면(24b)은, 개방부위의 하단이 상단 보다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병마개(10)가 병본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병마개(10)를 회전시킬 때, 제2리브(14)가 일시적으로 개방부위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제1리브(24)의 단부의 경사면에 의하여 제2리브(14)가 스무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리브(24)의 개방부위를 통해 제2리브(14)가 인입되어 병마개(10)가 병본체(20)에 결합된 후에, 사용자가 병마개(10)의 회전시 병마개(10)의 회전이 내측단면(24b)의 경사부위를 통해 스무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진 내측단면(24b)에 의하여, 병마개(10)가 개봉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병마개(10)를 병본체(20)로부터 분리시 제2리브(14)가 제1리브(24)들 사이의 개방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제2리브(14)는 병마개(10)에 형성된 개봉방지부로서, 병마개(10)의 둘레부(13)의 내주면(13b)에 턱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리브(14)도 2개가 마련되어 덮개부(12)의 중심을 기준해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리브(14)는 병마개(10)의 개봉시 2개의 제1리브(24)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위를 통해 이탈이 가능하도록 개방부위의 폭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제1리브(24)와 접촉하는 제2리브(14)의 양쪽 단면(14a)은 제1리브(24)의 개방부위를 통해 제2리브(14)가 인입되어 병마개(10)가 병본체(20)에 결합된 후에, 사용자가 병마개(10)의 회전시 병마개(10)의 회전이 스무드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봉방지수단(30)에 의하면, 병마개(10)가 병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리브(24)의 하부에 제2리브(14)의 상부가 걸리어 병본체(20)로부터 병마개(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걸림부(40)는 병마개(10)가 병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시 병마개(10)가 개봉위치에서 걸리어 놓이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15)를 구비한다.
제1걸림부(25)는 병본체(20)의 개봉위치를 확인하도록 걸림을 발생시키는 결합부로서, 병본체(20)의 개구부(22)의 외주면(22a)에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제1리브(24)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제1걸림부(25)는 2개가 개구부(22)의 중심을 기준해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걸림부(15)는 병마개(10)의 개봉위치를 확인하도록 걸림을 발생시키는 결합부로서, 제2리브(14) 보다 낮은 부위에 형성되며, 병마개(10)의 둘레부(13)의 내주면(13b) 하단에 함몰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걸림부(15)는 2개가 덮개부(12)의 중심을 기준해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15)의 위치는 제2리브(14)가 개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15)가 맞물리는 위치로 설정되며,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라면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병본체(20)의 외주면(22a) 둘레와 병마개(10)의 내주면(13b) 둘레의 다양한 위치에 돌출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걸림부(25)는 병본체(20)의 일 부위에 돌출형성되며, 제2걸림부(15)는 병마개(10)의 일 부위에 함몰형성되어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15)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걸림부(25)가 병본체 개구부의 외주면(22a)에 돌출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2걸림부(15)는 돌기가 끼워맞춤되도록 병마개(10)의 둘레부의 내주면(13b)에 함몰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이들 사이의 걸림이 용이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제1걸림부(25)가 병본체 개구부의 외주면(22a)에 함몰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2걸림부(15)는 상기 병본체의 홈에 끼워맞춤되도록 병마개(10)의 둘레부의 내주면(13b)에 돌출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져, 이들 사이의 걸림이 용이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병의 폐쇄시 걸림부(40)의 돌기는 병마개(10)의 내주면(13b)이나 병본체(20)의 외주면(22a)과 밀착하게 되므로, 돌기의 밀착시 병마개(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홈 형성부위가 돌기 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홈 형성부위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병본체(20)에서 병마개(10)를 개봉하고자 일방으로 병마개(10)를 회전시켜 병마개(10)의 제2리브(14)가 병본체(20)의 제1리브(24)를 벗어난 개봉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제2걸림부(15)에 제1걸림부(25)가 끼워맞춤되는 걸림에 의해 병마개(10)가 병본체(20)의 개봉위치에 도달함을 촉감으로 인식하게 되어 병마개(10)를 상방으로 분리시켜 병을 개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병마개의 개폐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마개(10)로 병본체(2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병마개(10)의 제2리브(14)가 병본체(20)의 제1리브(24)의 하단에 접촉하여 걸어맞춤되므로, 제1리브(24)에 의해 병마개(10)가 상방으로 이탈하여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병의 내용물이 유아나 어린이에게 유해한 약제 등인 경우에 함부로 병마개의 개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들로부터 병의 내용물의 취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도 7,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본체(20)로부터 병마개(10)를 개봉하도록 하는 상태에서는 병마개(10)의 제2리브(14)가 병본체(20)의 제1리브(24)의 개방부위에 배치되므로, 제2리브(14)와 제1리브(24) 사이의 이탈에 의해 병마개(10)가 상방으로 이탈하여 개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병마개(10)의 제2걸림부(15)에 병본체(20)의 제1걸림부(25)가 끼워맞춤되는 걸림이 발생되므로, 사용자가 병마개(10)의 회전시 이러한 걸림을 촉감으로 인식하여 병마개(10)가 개봉위치에 도달함을 인식하여 병마개(10)를 상방으로 이탈하여 병본체(20)를 개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병마개(10)가 병본체(20)의 개봉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걸림부(40)의 걸림에 의해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나, 촉감이 발달되지 않은 유아나 어린이는 병마개(10)의 회전시 걸림부(40)의 걸림을 인식하지 못하고 병마개(10)를 계속하여 회전시키게 되므로, 유아나 어린이 등에 의한 병의 개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본체 및 병마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마개(50) 및 병본체(60)는 제 1 실시예의 병마개(10) 및 병본체(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개봉방지수단 및 걸림부의 배치형태만 상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개봉방지수단 및 걸림부의 배치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개봉방지수단은 병본체(60)의 외주면(62a)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어 배치되는 4개의 제1리브(64)와, 병마개(50)의 내주면(53b) 둘레를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어 배치되는 4개의 제2리브(54)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걸림부는 제1리브(64)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4개의 돌기형상의 제1걸림부(65a)와, 제2리브(54)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4개의 오목형상의 제2걸림부(55a)로 이루어진다.
또한, 병마개(50)는 손잡이에 의해 개봉이 용이하도록 각 제2리브(54)의 형성부위에 대응하는 병마개(50)의 외주면(53a)에 노브(51)가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병마개(50)는 90°회전시 마다 병본체(60)의 개봉위치에 도달하게 되므로, 제 1 실시예의 걸림부 보다 빈번하게 개봉위치의 확인이 가능하여 병마개의 개봉시 병마개의 회전시간을 절감하여 병의 개봉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본체 및 병마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마개(50) 및 병본체(60)는 제 1 실시예의 병마개(10) 및 병본체(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개봉방지수단 및 걸림부의 배치형태만 상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개봉방지수단 및 걸림부의 배치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개봉방지수단은 병본체(60)의 외주면(62a)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어 배치되는 3개의 제1리브(64)와, 병마개(50)의 내주면(53b) 둘레를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어 배치되는 3개의 제2리브(54)로 이루어진다.
본 변형예의 걸림부는 제1리브(64)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3개의 돌기형상의 제1걸림부(65b)와, 제2리브(54)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3개의 오목형상의 제2걸림부(55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변형예의 병마개(50)는 120°회전시 마다 병본체(60)의 개봉위치에 도달하게 되므로, 제 1 실시예의 병 보다 빈번하게 개봉위치의 확인이 가능하여 병마개의 개봉시 병마개의 회전시간을 절감하여 병의 개봉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변형예에서의 병마개(50)는 손잡이에 의해 개봉이 용이하도록 각 제2리브(54)의 형성부위에 대응하는 병마개(50)의 외주면(53a)에 노브(51)가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노브가 병마개(50)의 외주면의 전 둘레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2리브(54)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병마개(50)의 개방을 위하여 외력을 가하여야 하는 위치가 시각과 촉각에 의해 쉽게 인식이 가능하므로, 병마개(50)를 개봉위치에 위치시킨 후의 병의 개봉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본체와 병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의 병마개(70) 및 병본체(80)는 제 1 실시예의 병마개(10) 및 병본체(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개봉방지수단 및 걸림부의 배치형태만 상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개봉방지수단 및 걸림부의 배치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시예의 개봉방지수단이 병본체(80)의 외주면(82a)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어 배치되는 2개의 제1리브(84)와, 병마개(70)의 내주면(73b) 둘레를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어 배치되는 2개의 제2리브(74)로 이루어져 있는 점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리브(84)의 개방부위에 걸림편(84a)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걸림편(84a)은 제1리브(84)로부터 연장되며 제1리브(84)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병마개(70)가 개봉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병마개(70)를 개봉시킴에 따라 제2리브(74)가 제1리브들(84) 사이의 개방부위를 통과할 때, 제2리브(74)가 걸림편(84a)에 일시적으로 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병마개(70)의 개방시 걸림편(84a)에 걸리는 느낌을 통해 병의 개방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걸림편(84a)은 예컨대 병 자체가 일시적으로 뒤집힐 경우 병마개(7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에 의해 병마개(70)을 의도적으로 개방시키는 경우에만 병마개(70)가 개방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부주의에 의해 병마개(70)가 개방되어 병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 걸림편(84a)을 통과하여 개봉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하므로, 어린이가 개봉하기 어렵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걸림부는 제1리브(84)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2개씩의 돌기형상의 제1걸림부(85a, 85b)와, 제2리브(74)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2개씩의 오목형상의 제2걸림부(75a, 75b)로 이루어진다.
제1걸림부(85a, 85b)는 2개씩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인접배치된 제1걸림부(85a, 85b)가 두 쌍이 형성되어, 병본체(80)의 개구부(82)의 중심을 기준해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2걸림부(75a, 75b) 또한 2개씩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인접배치된 제2걸림부(75a, 75b)가 두 쌍이 형성되어, 병마개(70)의 중심을 기준해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병마개(70)의 회전시 병마개(70)의 일방 제2걸림부(75a)에 병본체(80)의 타방 제1걸림부(85b)가 끼워맞춤되거나 타방 제2걸림부(75b)에 일방 제1걸림부(85a)가 끼워맞춤된다. 이때, 결합부로서 홈과 돌기와의 1차 걸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병마개(70)가 개봉되지 않는 상태에서 개봉위치에 근접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병마개(70)를 더욱 회전시키게 되면, 병마개(70)의 일방 제2걸림부(75a)에 병본체(80)의 일방 제1걸림부(85a)가 끼워맞춤되고 타방 제2걸림부(75b)에 타방 제1걸림부(85b)가 끼워맞춤된다. 이때, 결합부로서 홈과 돌기와의 2차 걸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병마개(70)가 개봉위치에 도달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병은 걸림부의 1차 걸림의 인식시 개봉위치의 근접을 인식하여 개봉위치에 대한 2차 걸림을 인식하기 위해 병마개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킨 후 걸림부의 2차 걸림에 의한 개봉위치 도달을 인식하게 된다. 걸림부가 1개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병마개의 회전 조작시 병의 개봉위치를 지나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병마개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켜야 하므로 개봉시간이 지연되고 역방향 회전 조작에 의한 불편을 느끼게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나 어린이에 의한 병의 개봉을 방지하면서도 걸림부의 걸림에 의해 병마개의 회전시 개봉위치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돌기가 접촉하는 접촉부위가 돌기 보다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변형이 용이하고 홈이 돌기 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부의 결합시 스무드하게 슬라이딩되어 결합이 용이하게 되고, 걸림부가 빈번하게 결합하여 개봉시간을 단축시키고 2차 걸림에 의해 개봉위치의 도달을 인식할 수 있고, 병마개의 외주면에 형성된 노브를 사용하여 병마개의 개봉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개봉방지수단에 걸림편이 돌출형성되어 병을 뒤집더라도 병마개의 자유이탈이 이루지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병마개 14: 제2리브
15: 제2걸림부 20: 병본체
24: 제1리브 25: 제1걸림부
30: 개봉방지수단 40: 걸림부

Claims (12)

  1. 병본체;
    상기 병본체의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병마개;
    상기 병마개의 회전된 위치가 개봉위치인 경우에만 외력에 의해 상기 병본체로부터 상기 병마개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봉방지수단; 및
    상기 병마개가 상기 병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시 상기 병마개가 상기 개봉위치에서 걸리어 놓이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병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의 일 부위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제1걸림부, 및
    상기 병마개의 둘레부의 내주면의 일 부위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봉위치에서 상기 제1걸림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제2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봉위치에서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 사이의 걸림이 촉감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돌기가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병마개의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홈에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병마개의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돌기 보다 연질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의 회전시 상기 홈과 상기 돌기 사이의 결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홈의 크기가 상기 돌기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걸림부는 서로 인접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걸림부는 병의 중심을 기준해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방지수단은,
    상기 병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부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제1리브; 및
    상기 병마개의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병마개가 상기 병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리브에 걸리어 상기 병마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는 그 외주면 상의 상기 제2리브에 대응하는 부위에 돌출형성된 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의 개방부위에는, 상기 병마개가 상기 개봉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2리브가 걸리어 상기 병마개의 자유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는 하단이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외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KR1020100019787A 2010-03-05 2010-03-05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KR101282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787A KR101282304B1 (ko) 2010-03-05 2010-03-05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787A KR101282304B1 (ko) 2010-03-05 2010-03-05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783A KR20110100783A (ko) 2011-09-15
KR101282304B1 true KR101282304B1 (ko) 2013-08-19

Family

ID=4495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787A KR101282304B1 (ko) 2010-03-05 2010-03-05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6113B2 (en) 2015-07-23 2020-01-07 Colgate-Palmolive Company Container closure and pre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9366A (zh) * 2019-08-26 2021-03-02 卡姆卡企业有限责任公司 保护性瓶子外壳
CN112298784B (zh) * 2020-10-20 2021-09-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能够装入内装物的存储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78B1 (ko) * 2005-10-28 2006-11-23 주식회사 크록스 안전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78B1 (ko) * 2005-10-28 2006-11-23 주식회사 크록스 안전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6113B2 (en) 2015-07-23 2020-01-07 Colgate-Palmolive Company Container closure and pre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783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156B2 (en) Convertible child-resistant vial
CN111032526B (zh) 用于儿童防启闭合件的外盖、儿童防启闭合件、具有此种闭合件的容器和其用途
US8590734B2 (en) Unitary container and flip-top cap assembly having child resistant safety features
CA2894110C (en) Child-resistant vial
US1027260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afety container
US3830393A (en) Snap-on safety closure for flexible containers
EP3619129B1 (en) Container having child-resistant senior-friendly features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00044378A1 (en) Unitary container and flip-top cap assembly having child resistant safety features
KR101282304B1 (ko) 개봉방지수단을 구비한 병
JPH08268452A (ja) チャイルドプル−フ機構付ボトルキャップ
US3917098A (en) Safety closure cap
KR100646378B1 (ko) 안전용기
US3033406A (en) Container closure
KR100610513B1 (ko) 접착제 용기
US6112920A (en) Child-proof, senior-friendly pill bottle closure
US3735887A (en) Safety cap for medicine containers and the like
JP6716448B2 (ja) 抽出容器
JPH11501602A (ja) 成人に扱いやすい幼児抵抗型パッケージ
KR200318864Y1 (ko)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US8322548B2 (en) Packaging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US3556332A (en) Child-resistant closures
KR200369100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JP6866022B2 (ja) チャイルドレジスタンスリング
JP3439182B2 (ja) 容 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726

Effective date: 2013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