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245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245B1
KR101282245B1 KR1020060096258A KR20060096258A KR101282245B1 KR 101282245 B1 KR101282245 B1 KR 101282245B1 KR 1020060096258 A KR1020060096258 A KR 1020060096258A KR 20060096258 A KR20060096258 A KR 20060096258A KR 101282245 B1 KR101282245 B1 KR 10128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gray scale
gray
gradation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323A (ko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2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3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각 픽셀의 계조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계조값들에 기초하여 n개의 계조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계조범위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값에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검출된 상기 픽셀수를 반영한 평균 계조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평균 계조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에 따라 표시되는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면서도,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계조값을 변화시켜 자연스러운 밝기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분포의 일 예를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입력부 20 : 신호변환부
21 : 디지털 수신부 22 : A/D 컨버터
23 : 비디오 디코더 30 : 신호처리부
31 버퍼 32 : 스케일러
40 : 디스플레이부 41 : 모듈구동부
42 : LCD 모듈 43 : 백라이트유닛
5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계조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 특히 칼라 디스플레이장치는 TV(Television), DTV(Digital TV), TFT(Thin Film Transistor) 모니터와 같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는 기기들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색상(Hue), 명도(Lightness), 채도(Saturation), 색온도(Color Temperature) 등의 속성들을 각각 처리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영상의 처리 기술 중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를 분석하고, 분석된 계조 분포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화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의 각 픽셀의 계조값을 분석하여, 최대 계조값(Bmax)과 최소 계조값(Bmin)을 검출한다(S110).
그런 다음, 최대 계조값(Bmax)과 최소 계조값(Bmin) 사이를 n개의 계조범위(Ai)로 분할한다(S111). 그리고, 각 계조범위(Ai)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Ci)를 각 계조범위(Ai)에 대해 검출한다(S112).
도 2는 최대 계조값(Bmax)과 최소 계조값(Bmin) 사이를 8(n=8)개의 계조범위(Ai)로 분할하고, 각 계조범위(Ai)에 속하는 픽셀수(Ci)를 검출하여 나타낸 히스토그램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각 계조범위(Ai)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계조범위(Ai)에 대한 계조값(Pi)이 설정된다.
[표 1]
계조범위(Ai) A0 A1 A2 A3 A4 A5 A6 A7
계조값(Pi) 0 36 73 110 146 182 218 255
그런 다음, 계조범위(Ai) 중 가장 많은 픽셀이 포함되는 계조범위(Ai)를 검출한다(S113,S114,S115,S116,S117). 도 2에서는 가장 많은 픽셀이 속하는 계조범위(Ai)가 A7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검출된 가장 많은 픽셀이 속하는 계조범위(Ai)에 대해 기 설정된 계조값(Pi)으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 제점을 야기시킨다.
먼저, 가장 밝은 영역과 가장 어두운 영역이 비슷하게 분포하는 영상이 지속적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하고, 첫 번째 프레임에서 가장 밝은 영역에 분포하는 픽셀수가 가장 많게 되면 가장 밝은 영역에 해당하는 계조값에 따라 이미지의 전체 밝기가 조정된다. 그런데, 두 번째 프레임 또는 첫 번째 프레임 이후의 인접한 프레임에서 가장 어두운 영역에 분포하는 픽셀수가 가장 많게 되면 가장 어두운 영역에 해당하는 계조값에 따라 이미지의 전체 밝기가 조정된다.
따라서, 가장 밝은 영역과 가장 어두운 영역이 비슷하게 분포하는 영상이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상태임에 따라 실제 이미지의 밝기의 변화는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미비한 변화임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장치는 가장 밝은 영역과 가장 어두운 영역에 대해 설정된 계조값에 따라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변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모니터인 경우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만으로도 야기될 수 있는 현상에 해당한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의 변화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 변화가 너무 뚜렷하다는데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전체적인 계조 분포가 달라졌을 때 전체 이미지의 밝기는 정해진 n개의 값만을 적용하기 때문에 n이 작은 숫자이면 각 계조범위별 계조값이 큰 차이를 가지므로 영상신호의 미세한 계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에 따라 표시되는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면서도,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계조값을 변화시켜 자연스러운 밝기의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각 픽셀의 계조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계조값들에 기초하여 n개의 계조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계조범위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값에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검출된 상기 픽셀수를 반영한 평균 계조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평균 계조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개의 계조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계조값 중 최대 계조값 및 최소 계조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계조값과 상기 최소 계조값 사이를 상기 n개의 계조범위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균 계조값은 수학식
Figure 112006071754789-pat00001
(여기서, B는 평균 계조값, C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픽셀수, P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가중치값, S는 한 프레임에 대한 전체픽셀수이다)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와;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각 픽셀의 계조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계조값들에 기초하여 n개의 계조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각 계조범위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를 검출하고,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값에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검출된 상기 픽셀수를 반영한 평균 계조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평균 계조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계조값 중 최대 계조값 및 최소 계조값을 검출하고; 상기 최대 계조값과 상기 최소 계조값 사이를 상기 n개의 계조범위로 분할하며; 수학식
Figure 112006071754789-pat00002
(여기서, B는 평균 계조값, C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픽셀수, P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가중치값, S는 한 프레임에 대한 전체픽셀수이다)에 의해 상기 평균 계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0), 신호입력부(10), 신호변환부(20), 신호처리부(30) 및 제어 부(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신호변환부(20)는 신호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신호를 신호처리부(30)가 처리 가능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30)는 신호변환부(2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40)가 처리 가능한 포맷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전달한다.
제어부(50)는 신호처리부(30)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LCD 모듈(42)과, 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LCD 모듈(42)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LCD 모듈(42)을 제어하는 모듈구동부(41)와, LCD 모듈(42)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LCD 모듈(42)을 조명하는 백라이트유닛(43)을 포함한다.
신호변환부(20)는 신호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를 신호처리부(30)가 처리 가능한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한다. 여기서, 신호변환부(2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포맷에 대응하여 디지털 수신부(21), A/D 컨버터(22), 비디오 디코더(23) 등을 포함할 수 있 다.
디지털 수신부(21)는 신호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방식의 영상신호, 예컨대,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나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RGB 디지털 신호와 H/V 동기신호로 분리하여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한다. A/D 컨버터(22)는 신호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컴포넌트(Component) 신호나 PC 신호 등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한다.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23)는 아날로그 접속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예컨대, CVBS(Composite Video Broadcast Signal)나 S-비디오신호 등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코딩하여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한다.
신호처리부(30)는 신호변환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0)의 모듈구동부(41)로 출력한다.
여기서, 신호처리부(30)는 신호변환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임시 저장한 후 스케일러(32)로 출력하는 버퍼(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신호처리부(30)에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 예컨대 버퍼(31)에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를 분석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50)는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각 픽셀의 계조값을 검출한다.
그런 다음, 검출된 각 계조값들에 기초하여 n개의 계조범위를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검출된 계조값들 중 최대 계조값(Bmax)과 최소 계조값(Bmin)을 검출하고(S10), 최대 계조값(Bmax)과 최소 계조값(Bmin) 사이를 n개의 계조범위(Ai)로 분할할 수 있다(S11).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최대 계조값(Bmax)과 최소 계조값(Bmin) 사이가 8(n=8)개의 계조범위(Ai)로 분할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50)는 각 계조범위(Ai)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Ci)를 검출한다(S13). 여기서, 각 계조범위(Ai)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Ci)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50)는 각 계조범위(Ai)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값(Pi)에 각 계조범위(Ai)에 대해 검출된 픽셀수(Ci)를 반영하여 평균 계조값(B)을 산출한다(S13,S14,S15,S16,S17). 여기서, 각 계조범위(Ai)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값(Pi)은 아래의 [표 2]에 기재된 것을 일 예로 한다.
[표 2]
계조범위(Ai) A0 A1 A2 A3 A4 A5 A6 A7
가중치값(Pi) 0 36 73 110 146 182 218 255
여기서, 제어부(50)는 평균 계조값(B)을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5의 S14, S15, S17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평균 계조값(B)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06071754789-pat00003
여기서, B는 평균 계조값, C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픽셀수, P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가중치값, S는 한 프레임에 대한 전체 픽셀수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계조 분포와 [표 2]에 기재된 가중치값(Pi)에 따라 산출되는 평균 계조값(B)은 220.37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산출된 평균 계조값(B)에 기초하여 해당 평균 계조값(B)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LCD 방식의 디스플레이부(40)를 갖는 경우, 제어부(50)는 평균 계조값(B)에 따라 LCD 모듈(42)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백라이트유닛(43)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영상신호의 계조분포를 분석하여 n개의 계조범위(Ai)로 분할하고, 각 계조범위(Ai)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Ci)를 검출하고, 각 계조범위(Ai)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값(Pi)과 해당 계조범위(Ai)에 대해 검출된 픽셀수(Ci)를 곱한 값들의 평균값을 평균 계조값(B)으로 산출하여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변화에 따라 밝기를 고정시키기 않고 능동적으로 변화시켜 자연스러운 화면의 밝기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미세한 변화에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전체 이미지의 밝기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슷한 계조 분포를 갖는 이미지의 변화에 대해 이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밝기를 자연스럽게 변화시 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LCD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부(40)를 갖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제어부(50)가 디스플레이부(40)의 백라이트유닛(43)을 제어하여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0)는 PDP(Plasma Display Panel) 방식이나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의 디스플레이부(4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PDP 방식이나 DLP 방식의 디스플레이부(4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의 제어를 통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40)가 PDP 방식인 경우 제어부(50)는 패널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방전 시간 및 회수를 조절하여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에 따라 표시되는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면서도,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계조 분포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계조값을 변화시켜 자연스러운 밝기의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각 픽셀의 계조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계조값들에 기초하여 n개의 계조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계조범위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값에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검출된 상기 픽셀수를 반영한 평균 계조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평균 계조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계조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계조값 중 최대 계조값 및 최소 계조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계조값과 상기 최소 계조값 사이를 상기 n개의 계조범위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계조값은 수학식
    Figure 112006071754789-pat00004
    (여기서, B는 평균 계조값, C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픽셀수, P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가중치값, S는 한 프레임에 대한 전체픽셀수이다)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와;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각 픽셀의 계조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계조값들에 기초하여 n개의 계조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각 계조범위에 속하는 계조값을 갖는 픽셀수를 검출하고,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값에 상기 각 계조범위에 대해 검출된 상기 픽셀수를 반영한 평균 계조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평균 계조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계조값 중 최대 계조값 및 최소 계조값을 검출하고;
    상기 최대 계조값과 상기 최소 계조값 사이를 상기 n개의 계조범위로 분할하며;
    수학식
    Figure 112006071754789-pat00005
    (여기서, B는 평균 계조값, C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픽셀수, Pi는 i번째 계조범위에 대한 가중치값, S는 한 프레임에 대한 전체픽셀수이다)에 의해 상기 평균 계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60096258A 2006-09-29 2006-09-2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8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258A KR101282245B1 (ko) 2006-09-29 2006-09-2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258A KR101282245B1 (ko) 2006-09-29 2006-09-2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23A KR20080030323A (ko) 2008-04-04
KR101282245B1 true KR101282245B1 (ko) 2013-07-10

Family

ID=3953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258A KR101282245B1 (ko) 2006-09-29 2006-09-2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3566A (zh) * 2016-01-25 2016-04-20 明基电通有限公司 可依据不同环境执行最佳化调整的影像调整方法及其显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455A (ja) 2001-09-27 200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433092B1 (ko) 2002-06-20 2004-05-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노출 제어방법
KR20050008391A (ko) * 2003-07-15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개선장치 및 그 방법
JP2005318402A (ja) 2004-04-30 2005-11-10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455A (ja) 2001-09-27 200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433092B1 (ko) 2002-06-20 2004-05-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노출 제어방법
KR20050008391A (ko) * 2003-07-15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개선장치 및 그 방법
JP2005318402A (ja) 2004-04-30 2005-11-10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23A (ko)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3644B2 (en) Backlight luminance control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US73098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brightness via controlling backlight
US2010001387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80037867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supporting power control of multicolor light source
TWI419131B (zh) 背光調變系統及方法
US8400385B2 (en) Method for enhancing an image displayed on an LCD device
US918379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JP2010020241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駆動用集積回路、駆動用集積回路による駆動方法及び信号処理方法
JP4864076B2 (ja) バックライトの輝度制御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US2007017687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display apparatus
WO2013133061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7924254B2 (en) Backligh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300885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684638B2 (en) Dynamic image contrast enhancement device
US200802662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ast control
KR101319068B1 (ko) 액정 표시 장치
CN110784701A (zh) 显示设备及其图像处理方法
US200601036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incidental image thereof
US20100045707A1 (en) Color sequential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KR10128224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8223B1 (ko) 액정 표시 장치
WO20090867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an image displayed on an lcd device
KR20140108780A (ko) 감마 보정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
KR101596463B1 (ko) 이미지의 특성에 따른 백라이트 디밍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KR100850166B1 (ko) 디스플레이 소자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