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843B1 -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 Google Patents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843B1
KR101281843B1 KR1020110098367A KR20110098367A KR101281843B1 KR 101281843 B1 KR101281843 B1 KR 101281843B1 KR 1020110098367 A KR1020110098367 A KR 1020110098367A KR 20110098367 A KR20110098367 A KR 20110098367A KR 101281843 B1 KR101281843 B1 KR 10128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modular unit
steel
base stee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386A (ko
Inventor
박금성
이상섭
허병욱
홍성엽
임석호
배규웅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9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8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Abstract

본 발명의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은 사면이 개방된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를 사용하면서도 중앙에 스티프너를 구성하여 일체거동확보가 가능한 구조로, 기둥을 연결구에 인서트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기둥과 보를 연결하여 수직 및 수평 결합력을 높여 일체거동을 확보하여 고층 구조물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제작 정밀도 및 제작성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재활용이 용이하며, 절곡형 보 사이에 다양한 실시예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사용하여 온돌층 공장 제작으로 공기단축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바닥판 경량화로 고층화 유리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에 따른 자중감소로 양중문제가 해결가능하고, 충격/진동 성능확보로 층간소음(중량충격음) 저감 효과가 있으며, 내화성능 확보 및 횡강성 증가 및 고층화에 유리하며,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과 조인트의 연계에 따라서 모듈러 유닛의 전체골조에 대한 구조 안전성이 증대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이다.

Description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Modular unit with connector and floor heating plate}
본 발명은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이 용이한 사면이 개방된 구조이면서도 중앙에 스티프너를 구성하여 일체거동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를 사용하여 기둥을 연결구에 인서트하는 방식으로 결합하고 측면에 보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모듈러 유닛 하중의 원활한 전달이 가능하여 구조물의 고층화에 적합하며,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 바닥 합성판을 사용하여 바닥판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경량화할 수 있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철골조 모듈러 유닛 주택"은 고품질의 주택을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하는 한편, 일정 품질을 확보하고, 많은 고객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완성도가 높은 박스형 철골조를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최소한의 공정으로 단기간에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철골조 유닛 모듈러 주택은 공장생산부재이니 만큼 손실(Loss)이 적고 재사용 및 재생사용에 가장 적합한 주택생산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둥 및 보를 브라켓, 용접 등의 접합방식으로 결합하였다. 이는 응력전달이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강판, 볼트량 증가 및 용접량 과다로 열변형 등의 문제와 이에 따른 시공조립오차의 발생 및 조인트 부분의 성능저하로 고층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947297호 "바닥 콘크리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건축 모듈러 유닛"(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연결구가 없는 형태로 기둥, 천장보, 바닥보를 모두 조립하여 모듈러 유닛의 골격을 형성한 다음 모듈러 유닛을 거푸집지지판 위에 올려놓고 내부에 하부로부터 거푸집판(220) 및 슬라브단열재(230)를 순차적으로 적재한 다음 철근(240)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260)를 타설함으로써 저부에 슬라브단열재 및 바닥 콘크리트가 일체로 형성된 모듈러 유닛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슬라브단열재 및 바닥 콘크리트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철근 배근량 및 콘크리트 사용량이 과다하여 유닛의 자중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운반비증가, 양중문제 야기 등의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온돌층을 현장에서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바닥판 제작공정이 복잡하여 공기가 길어지고 비용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과 함께, 층간소음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바닥판을 경량화시키지 못하고 보와 바닥판의 일체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연결구가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바닥판과 보 및 기둥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바닥판과 보 및 기둥의 결합이 긴결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일체화되지 않기 때문에 모듈러 유닛끼리의 결합시에도 모듈러 유닛의 하중의 원활한 전달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9472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4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으면서도 중앙에 스티프너를 구성하여 일체거동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기둥과 보를 연결하여 수직 및 수평 결합력을 높여 일체거동을 확보할 수 있어 고층 구조물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제작 정밀도 및 제작성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재활용이 용이한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절곡형 보 사이에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사용하여 온돌층 공장 제작으로 공기단축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바닥판 경량화로 고층화 유리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에 따른 자중감소로 양중문제가 해결가능하고, 충격/진동 성능확보로 층간소음(중량충격음) 저감 효과가 있으며, 내화성능 확보 및 횡강성 증가 및 고층화에 유리한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과 연결구의 연계에 따라서 모듈러 유닛의 전체골조에 대한 구조 안전성이 증대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둥, 보, 바닥판로 이루어지고, 기둥과 보를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각각 ㄱ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내지 제4단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면부의 사이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상태로 사각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기본형강; 상기 기본형강을 보강하면서 상기 기둥의 저면이 상기 기본형강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기본형강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기본형강 내면에 접합되는 제1스티프너; 상기 제1스티프너와 협력하여 상기 기본형강을 보강하고 상기 모듈러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형강의 길이방향 타단에 접합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유닛-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스티프너;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수평유닛-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프너와 제2스티프너와 평행하게 상기 기본형강의 중단에 접합되는 제3스티프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양한 실시예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갖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의 제1실시예는 보사이에 구성되며 하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뜬바닥구조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일정간격으로 콘크리트에 하부만 스터드 형태로 매입되도록 형성되는 조이스트; 조이스트의 상부에 구성되며 콘크리트와의 사이에 중공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온수패널;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는 중공층에는 단열재가 구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중공층에는 단열재와 단열재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구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의 제2실시예는 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장선; 장선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 엑셀파이프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로 구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는 콘크리트는 장선의 상부에만 구성되어 뜬바닥형태로 구성되는 마감몰탈로 구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의 제3실시예는 보 사이에 차례로, 단열을 위한 단열재; 단열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와이어메쉬; 와이어메쉬의 상부에 구성되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 엑셀파이프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로 구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의 제4실시예는 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 조이스트의 하부는 비어 있도록 조이스트의 상부만 타설하여 공간부가 형성되고 조이스트가 스터드 형태로 매입되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 단열재와 은박아티론으로 구성되는 단열부; 콘크리트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 엑셀파이프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로 구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의 제5실시예는 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 조이스트의 상부에 구성되는 오에스비합판; 단열재, 내부에 온수관이 형성된 피이패널, 은박아티론으로 구성되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 상부에 구성되는 섬유강화시멘트보드로 구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의 제6실시예는 보 사이에 구성되며, 하부에서부터 차례로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구성되는 평데크와 평데크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단열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뜬바닥구조로 구성되는 단열부; 단열부 상부에 구성되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상부에 구성되는 온수패널로 구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은 결합이 용이한 사면이 개방된 구조이면서도 중앙에 스티프너를 구성하여 일체거동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기둥을 연결구에 인서트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듈러 유닛 하중의 원활한 전달이 가능하여 고층형 구조물에도 적용하기 용이하고, 각 부재별 일체 거동을 확보할 수 있어 고정도 확보로 구조성능이 향상되며, 구조물 전체 횡력저항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제작 정밀도 및 제작성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절곡형 보 사이에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사용하여 온돌층 공장 제작으로 공기단축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바닥판 경량화로 고층화 유리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에 따른 자중감소로 양중문제가 해결가능하고, 충격/진동 성능확보로 층간소음(중량충격음) 저감 효과가 있으며, 내화성능 확보 및 횡강성 증가 및 고층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과 조인트의 연계에 따라서 모듈러 유닛의 전체골조에 대한 구조 안전성이 증대되는 부가적인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바닥 콘크리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건축 모듈러 유닛의 바닥콘크리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결합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1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2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3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4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5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6실시예의 적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의 결합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유닛 시스템의 모듈러 유닛(100)은 연결구(1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20),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 및 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110)로 결합되는 모듈러 유닛(100)을 다양한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을 구성하여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110)는 기둥(120), 보(130)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으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100)에서, 연결구(110)의 측면에는 보(130)가 접합되고, 연결구(110)의 길이방향으로는 기둥(120)이 연결구(110)에 인서트 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110)에 보(130) 및 기둥(120)이 연결되어 하나의 모듈러 유닛(100)이 완성된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유닛(100)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면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인접한 모듈러 유닛 간의 연결은 연결구(110) 간의 연결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110)는 기본형강(111), 제1스티프너(113), 제2스티프너(114)및 제3스티프너(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본형강(111)은 각각 ㄱ형상을 단면을 갖는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로 이루어지고, 각 단면부(111a)(111b)(111c)(111d)의 사이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 상태로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가 사각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기본형강(111)은 일정 길이를 갖는 각형 강관에서 각 면의 중심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개방형 단면 형태를 갖는다. 이때 기본형강(111)의 각 단면부(111a)(111b)(111c)(111d) 사이의 개방부(112)는, 유닛 조립시 유닛의 외측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모듈러 유닛의 제작이나 유닛간의 연결시에 이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본형강(111)의 내부에는 기둥(120)이 삽입되어 기본형강(111)에 접합되며 이를 위해 기본형강(111)의 단면은 기둥(120)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둥(120)이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므로, 기본형강(111)의 단면은 각형 강관의 기둥(120)과 내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기본형강(111)의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 중 인접한 2개의 단면부에는 보(130)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에는 기본형강(111)의 내면으로 제1스티프너(113), 제2스티프너(114) 및 제3스티프너(115)가 접합된다. 제1, 제2 및 제3스티프너(113)(114)(115)는 기본형강(111)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철판으로서, 제1스티프너(113)는 기본형강(111)과 기둥(120)의 접합부위에 접합되고, 제2스티프너(114)는 보의 플랜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으로 접합되며, 제3스티프너(115)는 제1 및 제2스티프너(113)(114)와 평행하게 기본형강(111)의 중단에 접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스티프너(113)는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기둥(120)의 일면이 안착되도록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기본형강(111)의 내면에 접합된다. 이때 제1스티프너(113)는 기둥(120)이 기본형강(111)에 삽입된 상태로 제1스티프너(113)에 안착되도록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끝단으로부터 후퇴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제1스티프너(113)는 기본형강(111)과 모살용접을 통해 기본형강(111)에 접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합 방식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접합 방식으로 변경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제2스티프너(114)는 제1스티프너(113)와 협력하여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모듈러 유닛(100)을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하기 위하여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타단에 접합된다. 이러한 제2스티프너(114)는 제1스티프너(113)와 접합 위치만 상이할 뿐 그 외형은 서로 동일하다.
제2스티프너(114)에는 인접한 모듈러 유닛(100)과 수직방향으로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직유닛체결공(11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유닛체결공(114a)을 통하여 수직방향 하부에 배치되는 모듈러 유닛(100)의 제2스티프너(114)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모듈러 유닛의 제2스티프너(114)가 볼트결합되어 유닛간 수직방향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3스티프너(115)는, 제1 및 제2스티프너(113)(114)와 함께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의 체결을 위한 수평유닛체결공(115a)을 갖는다. 즉, 제3스티프너(115)는,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 사이의 개방부(112)를 통하여 연결플레이트(117)에 의해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 결합되는데, 이때 연결플레이트(117)가 제3스티프너(115)의 수평유닛체결공(115a)에 볼트 결합된다.
다시 말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117)는 수평유닛체결공(115a)에 볼트 결합되어 인접한 2개의 유닛 각각의 제3스티프너(115)와 체결됨으로써 인접한 2개의 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한다.
보(13)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10)의 측면에 용접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110)와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은 기본적으로 절곡형 단면을 갖는 보(130)를 사용하여 절곡형 보(130)의 사이에 구성하여 보(130)와 일체화시켜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과 보(130)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110)와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은 기본적으로 절곡형 단면을 갖는 보(130)를 사용하여 절곡형 보(130)의 사이에 구성하여 보(130)와 일체화시켜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과 보(130)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1실시예는 보(130) 사이에 구성되며 하부에 단열공간부(30c)를 형성하여 뜬바닥구조로 형성되는 콘크리트(20); 일정간격으로 콘크리트(20)에 하부만 스터드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는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조이스트(11); 조이스트(11)의 상부에 구성되며 콘크리트(20)와의 사이에 중공층(20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온수패널(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20)는 보(130) 사이에 구성되며 하부에 공간부(20a)를 형성하여 뜬바닥구조로 형성된다.
콘크리트(20)를 하부에 일정공간을 두고 뜬바닥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데, 이를 위하여 보(130) 사이에 거푸집을 구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한다. 이때 조이스트(11)는 일정간격으로 콘크리트(20)에 하부만 박혀 있도록 스터드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는 노출되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시 조이스트도 같이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한다.
콘크리트(20) 상부에 노출된 조이스트(11)를 지지체로 하여 상부에 온수패널(70)을 구성하는데, 조이스트(11)가 콘크리트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패널(70)과 콘크리트(20) 사이에 중공층(20b)이 형성되게 되며, 이와 같이 중공층(20b)를 형성하는 것은 단열효과와 충격진동음의 최소화를 하기 위해서이다.
온수패널(70)은 난방을 위한 것이며,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된 온수패널(70)을 조이스트(11)의 상부에 깔아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필요한 곳만 구성하여 분할 난방이 가능하다.
온수패널(70)은 기성제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규격으로 제품화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바닥판의 중공층(20b)에는 단열재(30a)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공층(20b) 자체만으로 단열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온수패널(70)의 하부로 누출되는 열전도를 방지하고 단열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단열재(30a)를 추가로 구성한다.
단열재(30a)는 단열 및 흡음 등을 위하여 구성되는데, EPS단열재(EPS; Expanded Polystyrene), 글라스울(Glass Wool), 락울(암면, Rock Wool) 등이 주로 쓰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바닥판의 중공층(20b)에는 단열재(30a)와 단열재(30a)의 상부에 콘크리트(20c)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공층(20b)에 단열재(30a)와 콘크리트(20c)를 동시에 구성하여, 상부의 충격으로부터 온수패널(70)과 단열재(30a)의 파손을 방지하고, 내화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2실시예는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장선(10); 장선(1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40);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선(10)은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장선(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폐단면을 이루도록 채널을 마주보고 결합하거나 각관을 사용하여 구성하고, 비어 있는 중앙 내부는 관통하여 중공(10a)을 형성하도록 한다.
보(130)의 춤 높이만큼 콘크리트(20)가 구성되기 때문에, 장선(10)이 폐단면을 이루지 않는다면 자중이 증가 될 수 있어, 폐단면의 장선(10)을 구성하여 콘크리트(20)의 사용량을 줄여 자중을 감소시키고, 중공(10a)을 형성하여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바닥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20)는 상기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장선(10)의 상부에 구성하여 장선(20)이 철근의 역할을 하면서 콘크리트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한다.
콘크리트(20)는 보(130)의 춤을 고려하여 150㎜ 정도를 구성하여야 하며, 콘크리트(20)의 두께가 두꺼워서 내화성능 확보에 유리하다.
엑셀파이프(40)는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된다.
엑셀파이프(40)는 난방용 배관으로, 콘크리트(2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고루 분포하도록 구성한다.
마감몰탈(50)은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는 콘크리트(20)는 장선(10)의 최상면을 기준으로 하부는 비워두고 상부에만 타설되어 뜬바닥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선(10)의 최상면을 기준으로 하부는 비워두고 상부에만 콘크리트(20)가 구성되도록 장선(10)의 최상면을 기준으로 하부에 거푸집을 대고 콘크리트를 부어 뜬바닥구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뜬바닥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바닥충격음의 저감을 위하여 콘크리트(20)의 바닥을 장선(10)이 받치도록 하여, 장선(10)과 장선(10)의 사이에 공간부(10b)를 형성하게 되고, 장선(10)에 의하여 콘크리트(20)가 떠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20)의 상부에서 충격력이 작용하더라도 공간부(10b)의 완충작용으로 하부로는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으므로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3실시예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12); 단열재(12)와 간격을 두고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13); 와이어메쉬(13)를 포함하도록 단열재(12)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40);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열재(12)는 단열 및 흡음 등을 위하여 구성되는데, EPS단열재(EPS; Expanded Polystyrene), 글라스울(Glass Wool), 락울(암면, Rock Wool) 등이 주로 쓰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피에스단열재(EPS; Expanded Polystyrene)는 외단열에 주로 쓰이며, 외단열을 하여 외부의 열이 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글라스울은 유리섬유로서, 섬유직경이 5~10㎛ 정도이며, 횡방향으로 부러져 직경에 영향이 없고, 호흡기로 들어가더라도 유리의 물리화학적 특성상 결정질 구조와 다른 비결정질의 무정형 형태로써 인체에서 쉽게 용해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또한 불연성이 뛰어나서 화재에 강하고 건축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불연, 단열, 흡음등의 효과가 있는 단열재이다.
락울은 암석을 원료로 공장에서 제조된 인조광물섬유로서, 흡음, 단열 등의 효과가 있는 단열재이다.
와이어메쉬(13)는 단열재(12)와 간격을 두고 단열재(12)의 상부에 구성되며, 단열재(12)의 상부에 콘크리트(20)를 타설하여 와이어메쉬(13)가 철근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한다. 또한 와이어메쉬(13)는 단열재(12)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시공시 와이어메쉬(13) 구성후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하고 엑셀파이프(40)를 구성하거나, 와이어메쉬(13) 상부에 연결끈으로 엑셀파이프(40)를 고정시킨 후 엑셀파이프와 단열재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기도 한다.
엑셀파이프(40)는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된다.
엑셀파이프(40)는 난방용 배관으로, 콘크리트(2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고루 분포하도록 구성한다.
마감몰탈(50)은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4실시예는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11); 조이스트(11)의 하부는 공간부(11a)를 형성하도록 조이스트(11)의 상부만 타설하여 조이스트(11)가 스터드 형태로 매입되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20); 콘크리트(20)의 상부에 구성되며 단열재(31)와 은박아티론(33)으로 구성되는 단열부(30);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40);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이스트(11)는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조이스트(11)는 콘크리트(20) 등의 상부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조이스트(11)의 하부는 비어 있도록 조이스트(11)의 상부만 콘크리트(20)를 타설하여 공간부(11a)가 형성되고 조이스트(11)가 스터드 형태로 매입되도록 형성되어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과 보(130)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스터드형태로 조이스트(11)가 구성되어 콘크리트(20)와 일체로 거동함과 동시에, 공간부(11a)가 형성되어 뜬바닥 구조를 갖기 때문에, 콘크리트(20)의 상부에서 충격력이 작용하더라도 공간부(11a)의 완충작용으로 하부로는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으므로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130)의 춤 높이만큼 콘크리트(20)가 구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20)의 사용량을 줄여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열부(30)는 단열재(31)와 은박아티론(33)으로 구성된다.
단열재(31)는 단열 및 흡음 등을 위하여 구성되는데, EPS단열재(EPS; Expanded Polystyrene), 글라스울(Glass Wool), 락울(암면, Rock Wool) 등이 주로 쓰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은박아티론(33)은 단열재(31)의 상부에 추가로 구성된다.
아티론은 독립기포 구조의 가교폴리에틸렌폼인 아티론은 열전도성이 낮아 보온효과가 우수하며 비흡수성재질이므로 오랜시간이 경과해도 단열 성능이 떨어지지 않고, 우수한 단열효과와 반경질 형태이기 때문에 밀착성이 뛰어나 결로가 일어나기 어렵고, 독립기포로 연속기포의 우레탄 및 유리솜과 같이 기포내에 결로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아티론은 반경질 발포제이므로 완충성이 우수하며 진동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은박아티론은 아티론의 상부에 은박의 코팅이 되어 있으며, 이는 열반사를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부에 엑셀파이프(40)가 구성되기 때문에, 열반사 시켜 보온 및 단열을 효과적으로 하는 것이다.
엑셀파이프(40)는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된다.
엑셀파이프(40)는 난방용 배관으로, 콘크리트(2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고루 분포하도록 구성한다.
마감몰탈(50)은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보(130)의 춤을 고려하여 하단에 조이스트(11)가 구성되고, 상기 조이스트(11)와 맞물려 콘크리트(20)가 55~65㎜ 정도의 두께로 구성하여 허용응력에 최적화된 단면을 구성하며, 단열재(31)는 25~35㎜, 은박아티론(33)은 2~4㎜, 상부에 엑셀파이프(40), 마감몰탈(50)은 35~45㎜의 두께로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5실시예는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11); 조이스트(11)의 상부에 구성되는 오에스비합판(21); 오에스비합판(21)의 상부에 구성되며, 단열재(31), 내부에 온수관이 형성된 피이패널(32), 은박아티론(33)으로 구성되는 단열부(30); 상기 단열부(30) 상부에 구성되는 섬유강화시멘트보드(60);로 구성되어 건식온수온돌시스템으로 뜬바닥구조를 형성한다.
조이스트(11)는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된다. 조이스트(11)는 오에스비합판(21), 단열부(30), 섬유강화시멘트보드(60)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하부, 즉, 조이스트(11)와 조이스트(11) 사이에 공간부(11b)를 형성한다.
오에스비합판(21)은 바닥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조이스트(11)의 상부에 오에스비합판(21)을 얹어 용이하게 다이아프램을 구성하고 뜬바닥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오에스비합판(OSB ; Oriented Strand Board)은 직사각형모양의 얇은 나무조각을 서로 직각으로 겹쳐지게 배열하여 제작한 목재 가공판넬로써 벽체, 바닥 및 지붕의 덮개로 많이 사용되고, 각 층을 겹쳐서 배열함으로써 강도와 경도를 유지하며, 페놀 포름알데히드(phenol formaldehyde) 수지 접착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에 강하고, 외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이스트(11)의 상부에 오에스비합판(21)을 구성하여 상기 조이스트(11)와 조이스트(11)의 사이에 공간부(11b)가 형성되고, 뜬바닥 구조가 생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뜬바닥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바닥충격음의 저감을 위하여 오에스비합판(21)의 바닥을 조이스트(11)가 받치도록 하여, 조이스트(11)와 조이스트(11)의 사이에 공간부(11b)를 형성하게 되고, 조이스트(11)에 의하여 오에스비합판(21)이 떠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에스비합판(21) 및 상부의 구조물에서 충격력이 작용하더라도 공간부(11b)의 완충작용으로 하부로는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으므로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30)는 단열을 위하여 구성되며, 하부에서부터 차례로 단열재(31), 피이패널(32), 은박아티론(33)이 구성된다.
단열재(31)는 단열 및 흡음 등을 위하여 구성되는데, EPS단열재(EPS; Expanded Polystyrene), 글라스울(Glass Wool), 락울(암면, Rock Wool) 등이 주로 쓰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피이패널(32)은 단열재(31)의 상부에 구성되는데, 상기 피이패널(32)의 내부에는 온수관이 형성된다.
PE패널은 2장의 PE 수지 사이에 골판지의 속지처럼 요철구조로 온수관(미도시)을 형성하도록 PE 수지를 끼워넣고 열을 가해 붙이는 열융착 방식으로 형성된다.
은박아티론(33)은 피이패널(32)의 상부에 추가로 구성된다.
아티론은 독립기포 구조의 가교폴리에틸렌폼인 아티론은 열전도성이 낮아 보온효과가 우수하며 비흡수성재질이므로 오랜시간이 경과해도 단열 성능이 떨어지지 않고, 우수한 단열효과와 반경질 형태이기 때문에 밀착성이 뛰어나 결로가 일어나기 어렵고, 독립기포로 연속기포의 우레탄 및 유리솜과 같이 기포내에 결로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아티론은 반경질 발포제이므로 완충성이 우수하며 진동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섬유강화시멘트보드(60)는 상기 단열부(30) 상부에 구성되어 마감재로 사용된다.
섬유강화시멘트보드(CRC board; 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는 천연펄프와 시켄트, 규사, 첨가제 등을 물과 혼합하여 가압한 후 양생과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제품으로, 내수성, 내화성, 차음성이 우수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의 제6실시예는 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구성되는 평데크(35)와, 평데크(35)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36)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단열공간부(30c)를 형성하도록 뜬바닥구조로 구성되는 단열부(30b); 단열부(30b) 상부에 구성되는 콘크리트(20);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되는 온수패널(70);로 형성된다.
단열부(30b)는 하부에 단열공간부(30c)를 구성하여 뜬바닥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단열부(30b)는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평데크(35)를 형성하고, 평데크(35) 사이에 단열재(36)가 구성되도록 형성하는데, 평데크(35)는 일정간격으로 구성되어 지지 역할을 한다.
단열재(36)는 단열 및 흡음 등을 위하여 구성되는데, EPS단열재(EPS; Expanded Polystyrene), 글라스울(Glass Wool), 락울(암면, Rock Wool) 등이 주로 쓰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콘크리트(20)는 하부에 구성된 단열부(30b)의 보호와 지지 등을 위하여 상기 단열부(30b)의 상부에 구성된다.
온수패널(70)은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되어 마감을 하게 된다.
온수패널(70)은 난방을 위한 것이며,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된 온수패널(70)을 조이스트(11)의 상부에 깔아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필요한 곳만 구성하여 분할 난방이 가능하다.
온수패널(70)은 기성제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규격으로 제품화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연결구와 바닥판을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닛 모듈러 시스템의 모듈러 유닛(100)은, 연결구(110), 기둥(120), 바닥판(140) 및 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된 연결구(110)와 바닥판(14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기둥(120)은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모듈러 유닛(100)에서 수직재로서 기능한다. 기둥(120)의 양단에는 각각 연결구(110)가 접합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장선 11 : 조이스트
11a, 20a : 공간부 12, 30a, 31 : 단열재
13 : 와이어메쉬 20, 20c : 콘크리트
20b : 중공층 21 : 오에스비합판
30, 30b : 단열부 30c : 단열공간부
32 : 피이패널 33 : 은박아티론
35 : 평데크 36 : 단열재
40 : 엑셀파이프 50 : 마감몰탈
70 : 온수패널 60 : 섬유강화시멘트보드
100 : 모듈러 유닛 110 : 연결구
111 : 기본형강 111a : 제1단면부
111b : 제2단면부 111c : 제3단면부
111d : 제단면부 112 : 개방부
113 : 제1스티프너 114 : 제2스티프너
115 : 제3스티프너 117 : 연결플레이트
120 : 기둥 130 : 보
140 :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

Claims (9)

  1. 기둥(120), 보(130), 보 사이에 구성되는 바닥판(140)으로 이루어지고, 기둥과 보를 연결구(11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0)는 각각 ㄱ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면부의 사이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 상태로 사각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기본형강(111);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기둥(120)의 저면이 기본형강(111)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후퇴되어 기본형강(111) 내면에 접합되는 제1스티프너(113); 제1스티프너(113)와 협력하여 기본형강(111)을 보강하고 모듈러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하기 위하여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타단에 접합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유닛-체결공(114a)이 형성되는 제2스티프너(114); 및 개방부(112)를 통하여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수평유닛-체결공(11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프너(113)와 제2스티프너(114)와 평행하게 기본형강(111)의 중단에 접합되는 제3스티프너(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닥판은 하부에 공간부(20a)를 형성하여 뜬바닥구조로 형성되는 콘크리트(20); 일정간격으로 콘크리트(20)에 하부만 스터드 형태로 매입되도록 형성되는 조이스트(11); 조이스트(11)의 상부에 구성되며 콘크리트(20)와의 사이에 중공층(20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온수패널(70);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중공층(20b)에는 단열재(30a)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중공층(20b)에는 단열재(30a)와 단열재(30a)의 상부에 콘크리트(20c)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4. 기둥(120), 보(130), 보 사이에 구성되는 바닥판(140)으로 이루어지고, 기둥과 보를 연결구(11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연결구(110)는 각각 ㄱ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면부의 사이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 상태로 사각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기본형강(111);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기둥(120)의 저면이 기본형강(111)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후퇴되어 기본형강(111) 내면에 접합되는 제1스티프너(113); 제1스티프너(113)와 협력하여 기본형강(111)을 보강하고 모듈러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하기 위하여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타단에 접합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유닛-체결공(114a)이 형성되는 제2스티프너(114); 및 개방부(112)를 통하여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수평유닛-체결공(11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프너(113)와 제2스티프너(114)와 평행하게 기본형강(111)의 중단에 접합되는 제3스티프너(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닥판은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폐단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장선(10); 장선(1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40);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50);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콘크리트(20)는 장선(10)의 최상면을 기준으로 하부는 비워두고 상부에만 타설되어 뜬바닥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6. 기둥(120), 보(130), 보 사이에 구성되는 바닥판(140)으로 이루어지고, 기둥과 보를 연결구(11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연결구(110)는 각각 ㄱ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면부의 사이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 상태로 사각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기본형강(111);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기둥(120)의 저면이 기본형강(111)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후퇴되어 기본형강(111) 내면에 접합되는 제1스티프너(113); 제1스티프너(113)와 협력하여 기본형강(111)을 보강하고 모듈러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하기 위하여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타단에 접합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유닛-체결공(114a)이 형성되는 제2스티프너(114); 및 개방부(112)를 통하여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수평유닛-체결공(11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프너(113)와 제2스티프너(114)와 평행하게 기본형강(111)의 중단에 접합되는 제3스티프너(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닥판은 단열을 위한 단열재(12); 단열재(12)와 간격을 두고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13); 와이어메쉬(13)를 포함하도록 단열재(12)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40);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50);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7. 기둥(120), 보(130), 보 사이에 구성되는 바닥판(140)으로 이루어지고, 기둥과 보를 연결구(11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연결구(110)는 각각 ㄱ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면부의 사이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 상태로 사각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기본형강(111);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기둥(120)의 저면이 기본형강(111)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후퇴되어 기본형강(111) 내면에 접합되는 제1스티프너(113); 제1스티프너(113)와 협력하여 기본형강(111)을 보강하고 모듈러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하기 위하여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타단에 접합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유닛-체결공(114a)이 형성되는 제2스티프너(114); 및 개방부(112)를 통하여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수평유닛-체결공(11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프너(113)와 제2스티프너(114)와 평행하게 기본형강(111)의 중단에 접합되는 제3스티프너(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닥판은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11); 조이스트(11)의 하부는 공간부(11a)를 형성하도록 조이스트(11)의 상부만 타설하여 조이스트(11)가 스터드 형태로 매입되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20); 콘크리트(20)의 상부에 구성되며 단열재(31)와 은박아티론(33)으로 구성되는 단열부(30); 단열부(30) 상부에 구성되는 엑셀파이프(40); 엑셀파이프(40)의 상부에 마감을 위하여 구성되는 마감몰탈(50);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8. 기둥(120), 보(130), 보 사이에 구성되는 바닥판(140)으로 이루어지고, 기둥과 보를 연결구(11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연결구(110)는 각각 ㄱ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면부의 사이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 상태로 사각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기본형강(111);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기둥(120)의 저면이 기본형강(111)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후퇴되어 기본형강(111) 내면에 접합되는 제1스티프너(113); 제1스티프너(113)와 협력하여 기본형강(111)을 보강하고 모듈러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하기 위하여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타단에 접합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유닛-체결공(114a)이 형성되는 제2스티프너(114); 및 개방부(112)를 통하여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수평유닛-체결공(11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프너(113)와 제2스티프너(114)와 평행하게 기본형강(111)의 중단에 접합되는 제3스티프너(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닥판은 보(1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11); 조이스트(11)의 상부에 구성되는 오에스비합판(21); 단열재(31), 내부에 온수관이 형성된 피이패널(32), 은박아티론(33)으로 구성되는 단열부(30); 상기 단열부(30) 상부에 구성되는 섬유강화시멘트보드(60);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9. 기둥(120), 보(130), 보 사이에 구성되는 바닥판(140)으로 이루어지고, 기둥과 보를 연결구(11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0)는 각각 ㄱ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내지 제4단면부(111a)(111b)(111c)(111d)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면부의 사이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 상태로 사각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기본형강(111); 기본형강(111)을 보강하면서 기둥(120)의 저면이 기본형강(111)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후퇴되어 기본형강(111) 내면에 접합되는 제1스티프너(113); 제1스티프너(113)와 협력하여 기본형강(111)을 보강하고 모듈러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적층 연결하기 위하여 기본형강(111)의 길이방향 타단에 접합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유닛-체결공(114a)이 형성되는 제2스티프너(114); 및 개방부(112)를 통하여 수평방향의 인접한 모듈러 유닛과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수평유닛-체결공(11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프너(113)와 제2스티프너(114)와 평행하게 기본형강(111)의 중단에 접합되는 제3스티프너(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구성되는 평데크(35)와, 평데크(35)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36)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단열공간부(30c)를 형성하도록 뜬바닥구조로 구성되는 단열부(30b); 단열부(30b) 상부에 구성되는 콘크리트(20); 콘크리트(20) 상부에 구성되는 온수패널(70);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KR1020110098367A 2011-09-28 2011-09-28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KR101281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67A KR101281843B1 (ko) 2011-09-28 2011-09-28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67A KR101281843B1 (ko) 2011-09-28 2011-09-28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86A KR20130034386A (ko) 2013-04-05
KR101281843B1 true KR101281843B1 (ko) 2013-07-03

Family

ID=4843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67A KR101281843B1 (ko) 2011-09-28 2011-09-28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1858A (zh) * 2018-08-15 2018-12-07 中建钢构武汉有限公司 一种空间异形圆管节点及其加工工艺
KR102092590B1 (ko) * 2019-05-23 2020-03-24 장성순 유르트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유르트
CN110284732B (zh) * 2019-06-13 2024-02-27 中国矿业大学 一种模块化集装箱建筑连接节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894B1 (ko) 1998-08-29 2001-03-15 남윤학 경량단열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구조
JP2002081160A (ja) 2000-09-11 2002-03-22 Misawa Homes Co Ltd 床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894B1 (ko) 1998-08-29 2001-03-15 남윤학 경량단열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구조
JP2002081160A (ja) 2000-09-11 2002-03-22 Misawa Homes Co Ltd 床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86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15947A1 (en) Building panel,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US8782991B2 (en) Building roof structure having a round corner
US20090255213A1 (en) Sandwich panel with closed edge and methods of fabricating
CN106760143B (zh) 一种轻质预制体及其制备方法
US20100050549A1 (en) Joint of parallel sandwich panels
RU2656260C2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 здание, построенное при помощ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1281849B1 (ko) 기둥 인서트 형태의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KR101173688B1 (ko)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사용한 모듈러 유닛 시스템
KR101281843B1 (ko)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KR101173687B1 (ko) 양방향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JP2005527411A (ja) 改良された構造用サンドイッチプレート部材
KR101407502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KR101171061B1 (ko) 기둥의 수직결합이 용이한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ES2912902T3 (es) Elemento de construcción prefabricado y sistema de construcción prefabricado
KR101375028B1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JP7121640B2 (ja) 床スラブ
KR20130024101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US8875475B2 (en) Multiple panel beams and methods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US20140272311A1 (en) Composite sandwich panels and method of forming round corners in composite sandwich panels
KR100885765B1 (ko) 금속재 스켈레톤 패널과 박판 패널이 전단 연결재에 의하여연결된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101571847B1 (ko)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EP4245939A1 (en) Multi-floor builiding strucure
CN212926686U (zh) 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