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782B1 -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 - Google Patents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782B1
KR101281782B1 KR1020110106102A KR20110106102A KR101281782B1 KR 101281782 B1 KR101281782 B1 KR 101281782B1 KR 1020110106102 A KR1020110106102 A KR 1020110106102A KR 20110106102 A KR20110106102 A KR 20110106102A KR 101281782 B1 KR101281782 B1 KR 10128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antenna
reflector
directivity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682A (ko
Inventor
조동호
윤우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10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7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3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being a single radiating element, e.g. a dipole, a slot, a waveguide termination
    • H01Q19/132Horn reflector antennas; Off-set fee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2Waveguide horns
    • H01Q13/0208Corrugated horns
    • H01Q13/0225Corrugated horn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24Polarising devices; Polarisation filters 
    • H01Q15/242Polarisation converters
    • H01Q15/246Polarisation converters rotating the plane of polarisation of a linear polarised wave
    • H01Q15/248Polarisation converters rotating the plane of polarisation of a linear polarised wave using a reflecting surface, e.g. twist 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3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being a single radiating element, e.g. a dipole, a slot, a waveguide termination
    • H01Q19/134Rear-feeds; Splash plate feeds
    • H01Q19/136Rear-feeds; Splash plate feeds cross-pola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7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comprising two or more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4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horn or slot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01Q21/245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provided with means for varying the pol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58Phased-array fed focussing structur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의 사용으로 지향성을 증가시킨 다차원 편파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 안테나(horn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를 다차원(N차원) 편파에 확장함으로써 지향성이 향상됨과 함께 무선 채널 용량의 증대를 극대화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Multi-dimension polarization antenna with improved directivity}
본 발명은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혼 안테나(horn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의 사용으로 지향성을 증가시킨 다차원 편파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사용의 대중화로 이동통신에서 데이타 트래픽의 폭증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시도 중의 하나가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 채널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편파 안테나의 종류로는 수직 편파 안테나, 수평 편파 안테나, 원형 편파 안테나 등이 있다. 채널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직 및 수평 편파 안테나를 2차원이상으로 확장하는 것 이외에 전기장 다이폴(dipole) 및 자기장 루프 안테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안테나들 간의 간섭(interference)으로 인한 잡음 증가로 무선채널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 1에는, 현재 개시되어 있는 3차원 전기장 다이폴(dipole) 편파 안테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유형의 편파 안테나는 각 안테나 간의 간섭으로부터 발생되는 교차 편파(cross-polarization)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혼 안테나(horn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를 사용하여 지향성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제안된 방안은 수직 편파와 수평편파에 제한되어 있어 한계를 갖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를 다차원(N차원) 편파에 확장함으로써 지향성이 향상됨과 함께 무선 채널 용량의 증대를 극대화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신단의 다차원 편파 안테나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진 신호 빔(beam)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혼 안테나(horn antenna)로 구성된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 및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된 신호 빔을 반사시켜 수신단으로 송신하는 반사기(reflector)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 신호 빔은, 평행하게 지향성(directivity)을 유지하면서 수신단으로 송신되며, 상기 다수의 혼 안테나(horn antenna)에서 송신하는 신호 빔은, 각각 독립적인 무선 신호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에 입력되는 신호들은 전송 채널들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직, 수평 편파 및 다차원 편파의 속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신단의 다차원 편파 안테나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진 신호 빔(beam)을 수신하는 다수의 혼 안테나(horn antenna)로 구성된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 및 송신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 빔을 반사시켜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로 전달하는 반사기(reflector)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 신호 빔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지향성(directivity)을 유지하면서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의 각 혼 안테나로 전달되며, 상기 다수의 혼 안테나(horn antenna)에서 수신하는 신호 빔은, 각각 독립적인 무선 신호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로 전달되는 신호들은 전송 채널들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직, 수평 편파 및 다차원 편파의 속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삭제
상기 반사기는 파라볼라(parabola) 형 반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 안테나는, 자기파를 억제하고 상하진동의 전기파만을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E-플레인 형(E-plane type) 혼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혼 안테나는, 전기파를 억제하고 수평진동의 자기파만을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H-플레인 형(H-plane type) 혼 안테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를 다차원(N차원) 편파에 확장함으로써 지향성이 향상됨과 함께 무선 채널 용량의 증대를 극대화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현재 개시되어 있는 3차원 전기장 다이폴(dipole) 편파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를 이용한 송신단의 다차원 편파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를 이용한 수신단의 다차원 편파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E-플레인 형 혼 안테나와 H-플레인 형 혼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를 이용한 송신단의 다차원 편파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단에서 서로 독립적인 채널을 형성하는 다차원 편파 채널은 다수의 혼 안테나로 구성된 혼 어레이 안테나(210)를 통해 빔(beam)(21)이 형성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9개의 혼 안테나로 9개의 채널을 형성하는 혼 어레이 안테나(210)가 도시되어 있다. 강한 지향성(directivity)에 의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각 채널별 독립적인 빔(21)들은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210)를 통해 방사되어 파라볼라 반사기(parabola reflector)(220)에서 지향성(directivity)을 유지하면서 반사되어 송신된다(22). 도면을 참조하면, 파라볼라 반사기(220)에서 반사된 각 채널별 신호 빔(beam)(22)은 서로 평행하게 지향성을 유지하며 수신단으로 송신된다. 이러한 지향성 성질을 이용하여, 파라볼라 반사기(220)는 이동전화 기지국 간의 무선통신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나 중간에 장애물이 없는 두 기지국 간의 무선통신(LoS, line of sight)에 있어서, 파라볼라 반사기(220)의 이러한 지향성 성질은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즉, 파라볼라 반사기(220)는 지향성을 향상시키는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로 사용된다.
혼 어레이 안테나(210)에 입력되는 신호들은 전송 채널들의 독립성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해 수직/수평(vertical/horizontal) 편파 및 다차원 편파의 속성을 갖도록 한다.
도 3은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와 반사기(reflector)를 이용한 수신단의 다차원 편파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송신단과 대응하는 도 3의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의 파라볼라 반사기(220)에서 반사되어 송신된 지향성을 가진 편파 신호(32)를 수신하여, 수신 파라볼라 반사기(parabola reflector)(320)에서 반사(31)하여 다수의 혼 안테나로 구성된 혼 어레이 안테나(310)에서 수신하도록 한다. 즉, 수신 파라볼라 반사기(parabola reflector)(320)는, 서로 평행하며 지향성을 유지한 신호 빔(32)을 수신하여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지향성(directivity)을 유지하면서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310)의 각 혼 안테나로 각 채널별 신호빔(31)을 전달하게 된다. 이로부터, 지향성을 가지고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독립적인 편파 신호들이 상호간섭(mutual coupling) 없이 수신되고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E-플레인 형 혼 안테나(410)와 H-플레인 형 혼 안테나(420)를 도시한 도면이다.
혼 안테나는 E-플레인 형(E-plane type) 혼 안테나(410) 또는 H-플레인 형(H-plane type)혼 안테나(420)으로 구현될 수 있다. E-플레인 형 혼 안테나(410)는 자기파 H를 최대한 억제하여 전기파 E로만 구성된, 상하 진동파를 방사하게 되며, 반대로 H-플레인 형 혼 안테나(420)는 전기파 E를 최대한 억제하여 자기파 H로만 구성된, 수평 진동파를 방사하게 된다.
이러한 설계를 확장시켜, E-플레인 형(E-plane type) 또는 H-플레인 형(H-plane type)의 다수의 혼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차원(N차원) 편파 안테나를 혼 어레이 안테나로써 설계할 수 있는데, 이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210: 송신단 혼 어레이 안테나 220: 송신단 파라볼라 반사기
21: 송신단 혼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신호 빔(beam)
22: 송신단 파라볼라 반사기에서 반사된 신호 빔(beam)
310: 수신단 혼 어레이 안테나 320: 수신단 파라볼라 반사기
31: 수신단 혼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신호 빔(beam)
32: 수신단 파라볼라 반사기에서 반사된 신호 빔(beam)
410: E-플레인 형 혼 안테나 420: H-플레인 형 혼 안테나

Claims (8)

  1. 송신단의 다차원 편파 안테나로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진 신호 빔(beam)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혼 안테나(horn antenna)로 구성된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 및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된 신호 빔을 반사시켜 수신단으로 송신하는 반사기(reflector)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 신호 빔은,
    평행하게 지향성(directivity)을 유지하면서 수신단으로 송신되며,
    상기 다수의 혼 안테나(horn antenna)에서 송신하는 신호 빔은,
    각각 독립적인 무선 신호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에 입력되는 신호들은 전송 채널들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직, 수평 편파 및 다차원 편파의 속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편파 안테나.
  2. 수신단의 다차원 편파 안테나로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진 신호 빔(beam)을 수신하는 다수의 혼 안테나(horn antenna)로 구성된 혼 어레이 안테나(horn array antenna); 및
    송신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 빔을 반사시켜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로 전달하는 반사기(reflector)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 신호 빔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지향성(directivity)을 유지하면서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의 각 혼 안테나로 전달되며,
    상기 다수의 혼 안테나(horn antenna)에서 수신하는 신호 빔은,
    각각 독립적인 무선 신호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혼 어레이 안테나로 전달되는 신호들은 전송 채널들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직, 수평 편파 및 다차원 편파의 속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편파 안테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는
    파라볼라(parabola) 형 반사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편파 안테나.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 안테나는,
    자기파를 억제하고 상하진동의 전기파만을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E-플레인 형(E-plane type) 혼 안테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편파 안테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 안테나는,
    전기파를 억제하고 수평진동의 자기파만을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H-플레인 형(H-plane type) 혼 안테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편파 안테나.
KR1020110106102A 2011-10-17 2011-10-17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 KR10128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102A KR101281782B1 (ko) 2011-10-17 2011-10-17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102A KR101281782B1 (ko) 2011-10-17 2011-10-17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682A KR20130041682A (ko) 2013-04-25
KR101281782B1 true KR101281782B1 (ko) 2013-07-04

Family

ID=4844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102A KR101281782B1 (ko) 2011-10-17 2011-10-17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9906C1 (ru) * 2016-11-09 2017-09-04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Зеркальная антенна с двойной поляризацией и широким углом сканирования
CN107341284B (zh) * 2017-05-18 2020-11-17 西安理工大学 高精度预测低频电波传播特性的双向抛物方程方法
WO2021117924A1 (ko) * 2019-12-11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WO2021117925A1 (ko) * 2019-12-11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738A (ko) * 1998-09-14 1998-12-05 이돈신 양방향 다중 위성 방송통신 송,수신 안테나 장치
KR20080005152A (ko) * 2006-07-07 2008-01-10 폰다지오네 토리노 와이어리스 안테나, 안테나 제조 방법 및 안테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738A (ko) * 1998-09-14 1998-12-05 이돈신 양방향 다중 위성 방송통신 송,수신 안테나 장치
KR20080005152A (ko) * 2006-07-07 2008-01-10 폰다지오네 토리노 와이어리스 안테나, 안테나 제조 방법 및 안테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682A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979B2 (en) Millimeter-wave line of sight MIMO communication system for indoor applications
US20220247076A1 (en) High Gain Relay Antenna System With Multiple Passive Reflect Arrays
US10727607B2 (en) Horn antenna
US8988298B1 (en) Collocated omnidirectional dual-polarized antenna
US9570801B2 (en) Device for reducing interference among antennas of multiple base stations
KR102589691B1 (ko) 안테나 유닛 및 단말 장비
US9698494B2 (en) Quadri-polarized antenna radiator, quadri-polarized antenna and quadri-polarized multi-antenna array
US1033359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ntenna design for full-duplex line of sight transmission
JP2006148917A (ja) 二重偏波放射素子および成形された反射器を備える基地局パネルアンテナ
KR101281782B1 (ko) 지향성이 향상된 다차원 편파 안테나
US20140327588A1 (en) Antenna structure having orthogonal polarizations
US10297904B2 (en) Antenna and antenna system applied in metal cover
KR200235289Y1 (ko) 다 측방향 측대파 억압형 지향성 안테나
US20230092210A1 (en) Antenna and base station
KR101517475B1 (ko) 다중대역 복편파 패치 안테나
JPH08288901A (ja) 無線通信方法
KR20160066290A (ko) 이중편파 안테나 및 이중편파 안테나 모듈
CN104183924A (zh) 一种低剖面船载卫星通信天线
KR101985686B1 (ko) 수직 편파 안테나
TW201715793A (zh) 反射陣列天線結構
CN204118269U (zh) 一种低剖面船载卫星通信天线
JP2012160999A (ja) セクタアンテナ
CN210692768U (zh) 基站天线和多频带基站天线
KR102254173B1 (ko) 편파 안테나
JP4271650B2 (ja) 微弱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