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310B1 -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 Google Patents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310B1
KR101281310B1 KR1020110103850A KR20110103850A KR101281310B1 KR 101281310 B1 KR101281310 B1 KR 101281310B1 KR 1020110103850 A KR1020110103850 A KR 1020110103850A KR 20110103850 A KR20110103850 A KR 20110103850A KR 101281310 B1 KR101281310 B1 KR 10128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injection
discharge
coupling hole
packaging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9365A (en
Inventor
최재희
Original Assignee
최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희 filed Critical 최재희
Priority to KR102011010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310B1/en
Publication of KR2013003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45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filling flexible containers having a filling and dispensing spout, e.g. containers of the "bag-in-box"-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12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movable towards or away from container or wrapper during filling or depos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등에서 조제된 음료를 포장팩에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배출대가 돌출되어 있는 포장팩에 음료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구조의 음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출대가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포장팩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음료주입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대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배출대결합부와, 상기 결합공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중공의 주입대와, 상기 주입대의 하단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후퇴한 위치와 상기 결합공의 하방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주입대구동부와, 상기 주입대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injection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injecting a beverage into a packaging pack protruding discharge outlet so that the beverage can be easily stored in the packaging pack prepared at hom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beverage in the packaging pack is installed so that the outlet is protruded in the upper, the coupling hol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form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can be fixed fixed to the coupling hole Discharge-coupling unit having a means, a hollow injection table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is retrac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the length set below the coupling ho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jection table drive unit for driving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beverag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beverage to the injection table.

Description

포장팩용 음료 주입장치{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본 발명은 포장팩용 음료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등에서 제조된 음료를 배출대가 부착된 포장팩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음료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injector for a packaging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injecto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injecting a beverage produced at home, etc. into a packaging pack with a discharge.

통상 장시간 끓여 제조하는 한약이나 생과일을 갈아 제조하는 과일쥬스 등의 음료는 그것을 제조하는 과정이나 제조된 음료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이 따르므로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업소 또는 시중에서 포장팩의 형태로 구입하여 음용하게 된다.Generally, beverages such as herbal medicines prepared by boiling for a long time or fruit juices prepared by grinding fresh fruit are inconvenien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m or storing the prepared beverages. Purchase and drink.

그러나, 근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음료들에 대한 안정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많은 가정에서 직접 한약이나 과일쥬스 등을 제조하여 음용하고자 하고 있으나, 그 제조된 음료를 보관하거나 음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and raising the issue of stabi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beverages, many families intend to manufacture and drink herbal medicines or fruit juices directly, but they store or drink the manufactured beverages.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the process.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13790호 등에는 상기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포장팩이 예시되어 있으므로 그와 같은 포장팩을 이용하여 가정에서 제조된 음료를 보관하고 낱개의 비닐팩을 휴대하면서 음용할 수 있으면, 가정에서 직접 제조한 음료를 적시에 매우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을 것이나, 상기와 같은 포장팩에 음료를 주입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사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키게 된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3790 and the like is a packaging pack for storing the beverage, so if you can store the beverage produced at home using such a packaging pack and drink while holding a single plastic pack In addition, the home-made beverage can be very conveniently and timely drink, but the operation of injecting the beverage into the packaging pack is very cumbersome and adds to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따라서, 가정에서 직접 제조한 음료를 포장팩에 담아 휴대하면서 적시에 음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음료를 포장팩에 편리하게 담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be able to drink in a timely manner while carrying a beverage prepared directly at home in a packaging pack,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contain the beverage in the packaging pac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등에서 조제된 음료를 포장팩에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배출대가 돌출되어 있는 포장팩에 음료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구조의 음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inject beverage into the packaging pack protruding outlet so that the beverage can be easily stored in the packaging pack prepared at home, etc. It is to provide a beverage injection device of th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출대가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포장팩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음료주입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대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배출대결합부와, 상기 결합공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중공의 주입대와, 상기 주입대의 하단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후퇴한 위치와 상기 결합공의 하방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주입대구동부와, 상기 주입대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beverage in the packaging pack is installed so that the discharge is protruded in the upper, the coupl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 discharge stand coupling portion having a fixing means that can be fixed, a hollow injection table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is retrac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ho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jection table drive unit for driving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in the set length to the lower side of the, and a beverag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beverage to the injection table.

상기에서 고정수단은 상기 배출대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결합공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 상기 배출대의 외면에 형성된 돌턱을 물기 위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된 물림돌기체, 상기 배출대의 외면이 억지끼움되어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을 이루는 고무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means is a spiral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spira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the chuck projection body elastically supported to protrude into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hole to bite the stone jaw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It may be selected from the rubber form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zone is fitted by being pressed.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출대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결합공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이고, 상기 배출대결합부가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a spiral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in order to engage with the spira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zone,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so that the discharge zone coupling portion is rotatable about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주입대의 외측과 상기 결합공의 내측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내부의 공기 또는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or steam therein may be formed by communicating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inlet and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and the outside.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배출대가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포장팩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음료주입장치에 있어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중공의 주입대와, 상기 주입대가 내부에 위치하는 주입대하우징과, 상기 배출대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대의 상단과 상기 주입대하우징의 하단부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걸이대와, 상기 주입대의 하단이 상기 주입대하우징의 내부로 후퇴한 위치와 상기 주입대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이대에 설치될 상기 배출대에 삽입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주입대구동부와, 상기 주입대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beverage in the packaging pack installed so that the discharge table protrudes in the top, the hollow injection table installed in a vertically standing state, and the injection table housing in which the injection table is located inside; A hanger installed at a fixed position such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and the lower end of the injector housing, and the lower end of the injector retracted into the injector hous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jector drive unit for driving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position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unit to be installed on the hanger protruding downward of the injector housing, and a beverag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beverage to the injector do.

상기 구성들에서 주입대구동부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의 운동이 안내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상기 주입대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손잡이의 상하방향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주입대의 하단이 상하로 운동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jection table driving unit comprises a handle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by the guide means, and a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injection tabl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by the manual operation of the handle up and down Another feature is that it is driven to move up and dow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주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포장팩의 배출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주입대가 포장팩 내부로 하강하여 음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음료의 주입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주입대가 포장팩의 내부에 진입하지 않고 포장팩의 주입대를 통해 직접 음료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포장팩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오지 못하여 음료가 원활히 내부에 들어가지 못하고 오히려 외부로 빠져나오려는 공기로 인해 흘러 넘치는 문제가 있으나, 주입대가 포장팩의 내부에 진입하도록 하강한 후 음료를 주입함으로써 음료가 포장팩의 하부에서부터 차오르게 되므로 포장팩의 내부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jecting the beverage very easily by configuring the injecting table is lowered into the packaging pack in the fixed state of the outlet of the packaging pack to inject the beverage. In particular, when the filling table does not enter the inside of the packaging pack and directly injects the beverage through the filling table of the packaging pack, the air inside the packaging pack does not escape and the beverage does not enter the interior smoothly, There is a problem overflowing due to the air, but by lowering the inlet to enter the inside of the packaging pack, the beverage is filled from the bottom of the packaging pack by injecting the beverage, so that the internal air of the packaging pack is discharged smoothly.

둘째, 본 발명은 포장팩의 배출대 외면에 형성된 나선과 결합하기 위해 결합공의 내면에 나선을 형성하고, 결합공이 형성된 배출대결합부가 결합공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포장팩의 배출대를 결합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배출대결합부를 회전시키면 자연스럽게 나선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대와 결합공의 나선결합을 위해 포장팩을 배출공에 끼운 상태에서 여러번 회전시키는 불편이 없으므로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pir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in order to combine with the spira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rack of the packaging pack, the discharge band coupling portion formed by the coupling hole is installed so as to rotate around the coupling hole, the discharge of the packaging pack Rotating the discharge-coupling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st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makes the spiral coupling naturally. Accordingly,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rotate the packaging pack several times in a state in which the packing pack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for the spiral coupling of the discharge table and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coupl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셋째, 본 발명은 배출대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록킹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음료가 포장팩에 주입되는 동안에 포장팩이 배출대결합부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중간에 포장팩이 배출대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음료가 외부로 쏟아지거나, 포장팩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주입대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lock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so that the packaging pack is not removed from the discharge stand coupling portion while the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packaging pack. Accordingly, the packaging pack may be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unit coupling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oper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risk that the beverage may be poured out or breakage of the filling tabl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ackaging pack.

넷째, 본 발명은 주입대의 외측과 결합공의 내측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내부의 공기 또는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됨으로써, 뜨거운 음료 등을 포장팩에 주입할 때, 주입대의 외측과 결합공의 내측 사이의 틈으로 올라오는 증기 등이 원활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음료의 주입작업이 증기의 압력으로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증기가 내부장치에 침입하여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or steam inside by communicating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inlet and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to the outside, when injecting a hot beverage or the like into the packaging pack, combined with the outside of the inlet The steam coming into the gap between the inside of the ball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moothly so that the injection operation of the beverage is not disturbed by the pressure of the steam, and the steam does not enter the internal device to damage.

다섯째, 본 발명은 배출대의 상단과 주입대하우징의 하단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발생하도록 걸이대를 설치하고 포장팩을 결합시킨 후, 주입대에 의해 음료를 주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온의 음료를 수용하고 있는 포장팩에 손이 접촉하지 않고 배출대의 덮개를 닫을 수 있으며, 화상의 위험이 제거될 수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hanger so as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top of the discharge and the lower end of the injector housing, combine the packaging pack, and configured to inject beverage by the injector, to accommodate the hot beverage The lid of the discharge tray can be closed without hands touching the pack, and the risk of burns can be eliminated.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음료주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음료주입장치를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음료주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음료주입장치의 배출대결합부의 변형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에서 록킹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에서 록킹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에서 결합공 내부를 이루는 압입용 고무가 설치된 단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에 사용되는 포장팩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음료주입장치에서 주입대구동부의 구성을 변형한 외관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음료주입장치에서 주입대구동부의 구성을 변형한 단면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injection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everage injection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table coupling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is a view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pressing rubber to form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ckaging pack used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infusion drive unit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injection table drive unit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는 배출대(82)가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포장팩(80)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음료주입장치는 상하방향의 결합공(33)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대(82)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공(3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배출대결합부(30)와, 상기 결합공(33)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중공의 주입대(40)와, 상기 주입대(40)의 하단이 상기 결합공(33)의 내부로 후퇴한 위치와 상기 결합공(33)의 하방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주입대구동부(50)와, 상기 주입대(40)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공급부(20)를 포함한다.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ject a beverage in the packaging pack 80 is installed so that the discharge table 82 protrudes on the top,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is a coupling hole 3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discharge stand coupling portion 30 having a fixing means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stand 82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3 and standing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33. Between the hollow injection table 40 and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40 is retra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hole 33 and the position protruded to the length set below the coupling hole 33 Injecting drive unit 50 for driving to move up and down, and a beverage supply unit 20 for supplying a beverage to the injection table (40).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음료공급부(20)는 캡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21)와, 펌프(21)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구동장치(미도시)와,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14)의 내측으로 수직으로 설치되고 펌프(21)와 연결된 흡입관(24)과, 흡입관(24)의 단부에 설치된 필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1 and 2, the beverage supply unit 20 includes a pump 21 installed inside the cap housing 10, a pump driving device (not shown) for driving the pump 21, and accommodates a bevera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ction pipe 24 vertically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4 to be connected to the pump 21 and a filter 23 provided at an end of the suction pipe 24.

상기 펌프(21)는 캡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기(14)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흡입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전동기와 같은 펌프구동장치를 통해 작동되어 주입대하우징(12) 내부의 주입대(40)로 음료를 압송시킨다. 흡입되는 음료는 그 찌꺼기가 걸러질 수 있도록 필터(23)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펌프(21)의 작동은 버튼의 누름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작동하는 것이고, 미도시하였으나 상기 버튼이 설치된 조작부 및 조작신호에 의해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설치된다.The pump 21 is installed in the cap housing 10 to be installed to suck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14 and is operated through a pump driving device such as an electric motor to operate the main inside the injector housing 12. Pressurize the beverage to the mouth (40). The inhaled beverage is provided with a filter 23 so that the residue can be filtered out, but this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The operation of the pump 21 is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push signal of the butt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and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by the operation signal is installed.

포장팩(80)은 그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배출대(82)가 주입대하우징(12) 하부의 배출대결합부(30)에 결합되고, 펌프(21)로부터 배출되는 음료가 주입되어 간편하게 일정량씩 보관할 수 있는 포장 및 보관수단이다.The packing pack 80 has a discharge table 82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ackaging pack 8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table coupling portion 3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housing 12,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pump 21 is simply injec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Packing and storage means that can be stored.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배출대결합부(30)는 상기 주입대하우징(12)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하방향의 결합공(33)이 형성되고 배출대(82)의 외주면이 결합공(3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charge unit coupling unit 3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unit housing 12.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that can be fixed to coupled to 33.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배출대결합부(30)의 결합공(3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32)으로 구성된다. 그 나선(32)은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대(82)의 외주면에 설치된 나선(83)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장팩(80)의 배출대(82)를 결합공(33)에 삽입한 후 돌리면 결합공(33)의 고정수단인 나선(32)과 배출대(82)의 나선(83)이 나선결합하여 포장팩(80)이 배출대결합부(30)에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means is composed of a spiral 3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33 of the discharge-coupling portion 30. The spiral 32 is combined with the spiral 83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table 82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outlet 82 of the packing pack 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3 and then turned, the spiral 32 which is a fixing means of the coupling hole 33 and the spiral 83 of the discharge table 82 are formed. Spiral coupling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packing pack 80 is fixed to the discharge coupling unit 30.

상기 주입대(40)는 결합공(33)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주입대(40)는 배출대(82)를 통해 포장팩(8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서 음료가 유동하도록 중공의 관체의 형상이고, 포장팩(80)의 배출대(8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배출대(82)의 내주면과 주입대(40)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The injection table 40 is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33). Injecting table 4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ackaging pack 80 through the discharge table 82, the shape of the hollow tube so that the beverage flows therein, the discharge table 82 of the packaging pack 80 It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table 8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table 40.

상기 주입대(40)의 상단부는 “ㄱ”자 형상으로 꺾여 있도록 하여 그것에 연결되는 유연성호스(42)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유연성호스(42)는 펌프(21)와 연결된 펌프배출관(22)과 관연결됨으로써 펌프(21)로부터 압송되는 음료를 주입대(40)로 공급하고 있다.The upp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40 is to be bent in a "b" shape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flexible hose 42 connected to it. The flexible hose 42 is connected to the pump discharge pipe 22 connected to the pump 21 to supply the beverage pumped from the pump 21 to the infusion table 40.

한편, 상기 주입대구동부(50)는 상기 주입대(40)의 하단이 상기 결합공(33)의 내부로 후퇴한 위치와 상기 결합공(33)의 하방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다. 이를 위해 주입대구동부(50)는 전동기(51)와, 전동기(51)에 연결된 수직의 나선봉(52)과, 상기 나선봉(52)을 따라 상하로 주행하는 너트블록(53)과 상기 너트블록(53)과 주입대(40)의 상단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연결체(55)와, 상기 너트블록(53)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56a,56b)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table drive unit 50 is up and down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40 is retra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hole 33 and the position protruded to the length set below the coupling hole 33 Drive to move To this end, the injection table driving unit 50 includes an electric motor 51, a vertical spiral bar 52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51, a nut block 53 and a nut traveling up and down along the spiral bar 52.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55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block 53 and the injection table 40, and position sensors 56a, 56b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nut block 53.

상기 전동기(51)는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나선봉(52)을 회전시키고 나선봉(52)과 나선결합되어 있는 너트블록(53)이 나선봉(5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너트블록(53)의 위치는 주입대하우징(12)에 고정설치된 위치감지센서(56a,56b)에 의해 상측 및 하측에서 감지되고 위치감지센서(56a,56b)가 너트블록(53)을 감지하면 나선봉(52)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56a,56b)는 너트블록(53)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공지된 광감지센서,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구형될 수 있다. 나선봉(52)의 상단은 주입대하우징(12)에 고정된 베어링(54)에 의해 지지된다.The electric motor 51 rotates the spiral bar 52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nut block 53 which is spirally coupled to the spiral bar 52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piral bar 52. Do it. The position of the nut block 53 is detected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by the position sensor 56a, 56b fixed to the infusion housing 12, the position sensor 56a, 56b detects the nut block 53 The lower surface of the spiral bar 52 is controlled to stop the rotation. Since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s 56a and 56b sense the position of the nut block 53,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s 56a and 56b may be spherical with a known light detecting sensor or a limit switch. The upper end of the spiral rod 52 is supported by a bearing 54 fixed to the infusion housing 12.

너트블록(53)은 그 상하이동에 따라 연결체(55)에 의해 함께 고정된 주입대(4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하측의 위치감지센서(56b)에 감지된 상태의 너트블록(53)의 위치는 주입대(40)가 포장팩(80)의 내부에 충분히 삽입된 상태이고, 상측의 위치감지센서(56a)에 너트블록(53)이 감지된 위치는 주입대(40)의 하단이 배출대결합부(30)의 결합공(33) 내부에 위치하여 배출대결합부(3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주입대(40)가 배출대결합부(30)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주입대(40)의 파손을 방지하고, 포장팩(80)의 배출대(82)를 배출대결합부(30)에 결합시키는 작업도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The nut block 53 moves up and down the injection table 40 fixed together by the connecting body 55 along the shangdong, and the nut block 53 in the state detected by the lower position sensor 56b.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table 40 is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ackaging pack 80, the position where the nut block 53 is detected at the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56a is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40 Located in the coupling hole 33 of the discharge coupling unit 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coupling unit 30. By preventing the injection table 4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table coupling unit 30, the damage of the injection table 40 due to external impact is prevented, and the discharge table 82 of the packing pack 8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table coupling unit 30. ) Can also be unobstructed.

참고로, 전동기(51)가 서보모터이고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하다면 너트블록(53)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위치감지센서(56a,56b)의 설치는 불필요할 것이다.For reference, if the motor 51 is a servo motor and the rotation speed can be controlled, the position of the nut block 53 can be adjusted,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s 56a and 56b will be unnecessary.

한편, 상기 주입대(40)는 주입대하우징(12)의 하부에 고정된 가이드(13)를 통해 상하운동이 안내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table 40 is guided up and down through the guide 13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table housing 12.

또한, 배출대결합부(30)에는 주입대(40)의 외측과 결합공(33)의 내측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배출공(34)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공(34)은 포장팩(80)에 음료를 주입하는 경우, 포장팩(8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음료의 주입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주입작업이 증기의 압력으로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증기가 내부장치에 침입하여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coupling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34 to communicate the outside an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injection table 40 and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hole 33. When the discharge hole 34 injects a beverage into the packaging pack 80,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beverage is smoothly performed by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packaging pack 80, and in the case of a hot beverage, steam is discharged. This ensures that the injection operation is not disturbed by the pressure of the steam and that the steam does not enter the internal device and damage it.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and Figure 4 shows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포장팩(80)이 준비되고 포장팩(80)의 배출대(82)가 배출대결합부(30)의 나선(32)에 결합된다. 이 때, 주입대(40)의 하단은 배출대결합부(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3, the packing pack 80 is prepared and the discharge stand 82 of the packing pack 80 is coupled to the spiral 32 of the discharge stand coupling part 30.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40 is a state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table coupling portion (30).

이 후, 사용자의 버튼 조작이 있으면, 도 4와 같이, 주입대구동부(50)의 전동기(51)가 나선봉(52)을 회전시킴으로써 너트블록(53)이 하측 위치감지센서(56b)에 감지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주입대(40)가 배출대(82)를 지나 포장팩(80)의 내부에 소정깊이로 삽입된다.Afterwards, if there is a user's button manipulation, as shown in FIG. 4, the nut block 53 is detected by the lower position sensor 56b by rotating the spiral rod 52 of the electric motor 51 of the injection table driving unit 50. Rotate until Accordingly, the injection table 4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ackaging pack 80 past the discharge table 82 to a predetermined depth.

주입대(40)의 삽입과정이 완료되면, 하측 위치감지센서(56b)의 신호를 받은 제어장치는 펌프(21)를 구동시킨다. 상기 펌프(21)의 구동은, 사용하는 포장팩(80)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하거나, 공지된 유량계측수단에 의해 설정된 용량만이 주입된 후 정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When the insertion process of the injection table 40 is completed, the control device receiving the signal of the lower position sensor 56b drives the pump 21. The driving of the pump 21 is set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depending on the packaging pack 80 to be used, or to stop after only a dose set by a known flow measuring means is injected.

펌프(21)에 의한 음료의 주입과정이 완료되면, 전동기(51)가 나선봉(52)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주입대(40)는 포장팩(80)으로부터 빠져나오고, 너트블록(53)이 상측 위치감지센서(56a)에 감지될 때까지 상승함으로써 주입대(40)의 하단은 배출대결합부(30)의 결합공(33) 내측에서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beverage by the pump 21 is completed, the electric motor 51 rotates the spiral rod 52. Accordingly, the injection table 40 is pulled out of the packaging pack 80, and as the nut block 53 is raised until the up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56a is detected,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40 is the discharge table coupling portion It is in the state which waits inside the coupling hole 33 of 30. As shown to FIG.

이 후, 포장팩(80)의 배출대(82)를 돌려 배출대결합부(30)로부터 분리하고 도 10에서 도시하는 덮개(85)을 닫아 포장팩(80)을 보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ischarge stand 82 of the packing pack 80 can be turned to separate it from the discharge stand coupling unit 30 and the cover 85 shown in FIG. 10 can be closed to store the packing pack 80.

한편, 도 5는 전술한 실시예의 배출대결합부(30)를 변형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charge band coupling portion 3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odified.

도 5를 참고하면, 배출대결합부(30′)는 주입대하우징(12)의 하부에 고정되지 않고 상단의 중심부가 베어링(36)을 매개로 가이드(13′)의 하부에 고정되어 주입대하우징(12)의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배출대결합부(30′)가 주입대하우징(12)의 하부에서 주입대(4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5, the discharge coupler 30 ′ is not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or housing 12, an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13 ′ via the bearing 36.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12). Therefore, the discharge bar coupling portion 30 ′ is rotatable about the injection table 4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table housing 12.

상기와 같이 배출대결합부(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포장팩(80)의 배출대(82)를 결합공(33)에 접촉한 상태에서 배출대결합부(30′)를 회전시키면, 배출대(82)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83)이 결합공(33)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32)과 물려 돌아가면서 나선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팩(80)을 배출대결합부(30′)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출대(82)를 결합공(33)에 대고 포장팩(80)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결합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the discharge stand coupling portion 30 'is rotatably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charge stand coupling portion 30' is rotated while the discharge stand 82 of the packing pack 80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hole 33, the discharge stand coupling portion 30 'is rotated. The spiral 8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82 may be coupled to the spiral while being bited back with the spiral 3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33.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rotate the packing pack 80 against the discharge hole 82 to the coupling hole 33 in order to fix the packing pack 80 to the discharge stand coupling portion (30 '), the coupling operation more easily. Can be done.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로서, 배출대결합부(30″)에 록킹장치(60)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s 6 and 7 is a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cking device 60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table coupling portion 30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출대결합부(30″)에 설치되는 록킹장치(60)는 결합공(33)에 배출대(82)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물림돌기체(61)와, 물림돌기체(61)의 후방에서 물림돌기체(61)를 결합공(33)의 내부로 돌출시키는 스프링(62)과, 상기 물림돌기체(61)의 상측에서 물림돌기체(61)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고정체(64)와, 상기 고정체(64)를 작동시키는 전자석(66)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locking device 60 installed in the discharge unit coupling unit 30 ″ maintains the coupling state of the discharge unit 82 in the coupling hole 33, and the bite protrusion body 61 is maintained. ), A spring 62 protruding the bite protrusion 61 from the rear of the bite protrusion 61 into the coupling hole 33, and a bite protrusion 61 above the bite protrusion 61. The fixed body 64 to fix the movement of the) and the electromagnet 66 to operate the fixed body (64).

상기 물림돌기체(61)는 배출대(82)의 나선(83) 사이에 물림되도록 결합공(33)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물림돌기체(61)의 선단은 볼(ball)의 반쪽면과 같이 곡면으로 가공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고정체(64)가 내려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6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에서는 스프링(62)이 물림돌기체(61)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탄성지지하고 있다. 상기 물림돌기체(6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결합공(33)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32)을 대체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다.The bite protrusion 61 is installed to protrude into the coupling hole 33 to be bite between the spirals 83 of the discharge table (82). The front end of the staple protrusion 61 is processed into a curved surface like a half surface of a ball, and a fixing groove 61a through which the fixing body 64 can be lowered and inserted is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Moreover, at the rear, the spring 62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meshing projection 61 may be pushed forward. The bite protrusion 61 is a fixing means that can replace the spiral 3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3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 포장팩(80)의 배출대(82)에 형성된 나선(83)은 돌턱에 해당되는 것으로, 상기 나선(83)과는 다른 별도의 돌턱이 형성되어 물림돌기체(61)가 배출대(82)를 물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spiral 83 formed on the discharge table 82 of the packing pack 80 corresponds to a stone jaw, and a separate stone jaw is formed different from the spiral 83 so that the staple protrusion 61 has a discharge table 82. Can be configured to bite.

상기 고정체(64)는 물림홈(61a)에 끼이기 위한 로드(64c)와 로드(64c)의 상단에 결합된 자석(64a)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64b)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체(64)는 물림돌기체(61)의 고정홈(61a)에 끼이지 않도록 상향의 힘을 받고 있다.The fixed body 64 is composed of a rod 64c to be fitted into the biting groove 61a and a magnet 64a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d 64c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by the spring 64b. Therefore, the fixing body 64 is subjected to upward force so as not to be caught in the fixing groove 61a of the staple protrusion 61.

상기 전자석(66)은 고정체(64)의 자석(64a)과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전자석(66)에 자력이 발생하면 고정체(64)의 자석(64a)을 밀어 고정체(64)의 로드(64c)가 하향이동하여 물림홈(61a)에 끼일 수 있도록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electromagnet 66 is installed to face the magnet 64a of the fixed body 64, and when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66, the magnet 64a of the fixed body 64 is pushed to load the fixed body 64. 64c may move downward to generate repulsive force to be pinched in the bite groove 61a.

상기와 같은 록킹장치(60)는 배출대결합부(30″)에 내장되어 결합공(33)의 주위에 다수개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device 60 is built in the discharge-coupling portion 30 ″, and a plurality of locking devices 60 are installed around the coupling hole 33.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록킹장치(60)의 작용을 설명한다.7 and 8,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포장팩(80)이 준비되고 포장팩(80)의 배출대(82)가 결합공(33)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 후방의 스프링(62)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물림돌기체(61)는 선단이 볼형상으로 둥글게 가공되어 있으므로, 배출대(82)의 나선(83)이 결합공(33) 내에서 상측으로 압입되면 나선(83)을 타고 후방으로 밀려난 후 나선(83) 사이의 홈으로 다시 전진하여 나선(83)을 물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First, the packaging pack 80 is prepared and the outlet 82 of the packaging pack 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3.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end is rounded in a ball shape, the helical protrusion 61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62 at the rear side has the spiral 83 of the discharge table 82 in the coupling hole 33. When pushed upward, the spiral 83 may be pushed backward and then advanced back to the groove between the spirals 83 to bite the spiral 83.

이 후,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누름동작이 있으면, 제어장치는 상기 전자석(66)에 전류를 인가하여 척력에 의해 고정체(64)의 로드(64c)가 물림돌기체(61)의 물림홈(61a)에 끼이도록 하향이동시켜 록킹장치(60)를 잠금 작동시킨다. 이 후, 제어장치는 주입대구동부(50)를 작동시켜 주입대(40)를 포장팩(8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주입대(40)의 하향이동이 완료된 후, 음료공급부(20)에서는 음료가 주입대(40)로 압송되어 설정시간동안 또는 설정량이 공급된다.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면, 주입대구동부(50)가 작동되어 주입대(40)가 상향이동하여 포장팩(80)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전자석(66)의 전류인가가 해제되어 록킹장치(60)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Thereafter,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the control device applies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66 so that the rod 64c of the fixing body 64 is retracted by the repulsive force by the repulsive force. The locking device 60 is locked by moving downward to be pinched by 61a).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operates the injection table driving unit 50 to insert the injection table 40 into the interior of the packaging pack 80, and after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injection table 40 is completed, the beverage supply unit 20 In the beverage is fed to the infusion table 40 is supplied for a set time or a set amount. When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d, the injector drive unit 50 is operated to move the injector 40 upward and exit from the packaging pack 80, the current application of the electromagnet 66 is released to the locking device 60 Release the lock.

이에 따라, 주입대(40)가 하향이동되어 포장팩(80)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이나, 음료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는 포장팩(80)의 배출대(82)가 결합공(33)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포장팩(80)의 갑작스런 빠짐으로 인해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포장팩(80)이 빠질 때 주입대(40)가 휘어지는 힘을 받는 등의 문제발생이 방지된다.Accordingly, while the infusion table 40 is moved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packaging pack 80 or while the beverage is being supplied, the outlet 82 of the packaging pack 80 does not fall out of the coupling hole 33. As a result, a sudden leakage of the packing pack 80 prevents a beverag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r a problem such as receiving the force of the infusion table 40 when the packing pack 80 is pulled out.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배출대결합부(30)의 고정수단을 결합공(33)의 내주면을 이루는 압입용 고무체(70)로 변경한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relates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ing means of the discharge-coupling portion 30 is changed to the press-fit rubber body 70 form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33.

본 구성에서는 결합공(33)의 내주면에 압입용 고무체(70)를 나선(72)에 의해 나선결합시켜 배출대결합부(30)에 고정시켜 놓고, 압입용 고무체(70)의 내경이 배출대(82)의 나선(83)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하여 포장팩(80)의 배출대(82)가 억지끼움되도록 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indentation rubber body 70 is helical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33 by the spiral 72 to be fixed to the discharge-coupled part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dentation rubber body 70 is discharged. It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piral 83 of the base 82 so that the discharge zone 82 of the packaging pack 80 is fitted.

이에 따라, 억지끼움된 배출대(82)는 포장팩(80)에 음료가 주입되더라도 그 중량이 크지 않으므로 압입용 고무체(70)에 나선(83)의 외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그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그 결합된 상태에서 주입대(40)가 포장팩(8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음료의 주입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구성은 배출대(82)와 결합공(33)의 결합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결합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forced discharge outlet 82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83 is in contact with the rubber body 70 for press-fitting, because the weight thereof is not large even if the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packaging pack 80. It can be maintained, in the combined state the injection table 4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ackaging pack 80 is made of the beverage injection operation. This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upling of the discharge table 82 and the coupling hole 33 is made of a simple structure and the coupling operation can be made easily and quickly.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and Figure 1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대결합부가 용기(14)의 표면에 설치되는 걸이대(37)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bar coupling part includes a hanger 37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14.

상기 걸이대(37)는 전단에 포장팩(80)의 배출대(82)가 끼워져 걸린 상태가 될 수 있는 끼움걸림부(37a)와, “ㄱ”형상으로 꺾여서 형성된 고정대삽입부(37b)로 형성된다.The hanger 37 is formed of a fitting portion 37a which can b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tand 82 of the packing pack 80 is fitted in the front end, and formed of a fixing rod inserting portion 37b formed by bending it into a shape of “a”. do.

상기 끼움걸림부(37a)에 배출대(82) 외면에 형성된 나선(83)의 아래 부분이 끼워지면 돌출되어 있는 나선(83)이 상기 끼움걸림부(37a)의 상면에 걸림됨으로써 포장팩(80)이 끼움걸림부(37a)에 걸린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끼움걸림부(37a)는 금속으로 제작되어 배출대(82)의 나선(83) 아래부분을 끼워넣으면 탄성에 의해 약간 벌어지면서 배출대(82)가 내부에 들어가 안착된다. 상기 끼움걸림부(37a)는 배출대(82)의 나선(83)의 아래부분 뿐 아니라, 그 하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돌출부분(84)이 걸림되도록 구성하여 그 부분이 걸림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piral 8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table 82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37a, the protruding spiral 83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37a, thereby packing 80 ) May be coupled in a jammed state (37a). The fitting portion 37a is made of metal, and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piral 83 of the discharge stand 82 is inserted, the discharge stand 82 enters the inside while being slightly opened by elasticity. The fitting portion (37a) is configured not on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iral 83 of the discharge table 82, but also configured so that a separate projecting portion (84)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is configured to lock the por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상기 고정대삽입부(37b)는 “ㄱ”형상으로 꺾여서 형성된 부분으로 용기(14)의 표면에 설치된 고정포켓(38)에 삽입됨으로써, 걸이대(37)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The holder insert portion 37b is a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in a "b"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ocket 38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14, whereby the hanger 37 may be mounted in the container.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걸이대(37)가 설치되는 위치는 걸이대(37)에 포장팩(80)의 배출대(82)가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대(82)의 상단과 주입대하우징(12)의 하단부(16) 사이에 소정의 공간(h)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온의 음료를 포장팩(80)에 주입한 경우, 걸이대(37)에 포장팩(80)이 결합된 상태에서 포장팩(80)의 덮개(85)를 용이하게 닫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12, the hanger 37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stand 82 and the injection stand housing 12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tand 82 of the packing pack 80 is coupled to the hanger 37. The predetermined space (h)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s (16). This is to easily close the cover 85 of the packaging pack 80 in a state where the packaging pack 80 is coupled to the hanger 37 when the hot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packaging pack 80 as described below. .

또한, 상기 걸이대(37)에 포장팩(80)의 배출대(82)가 설치되면 주입대(40)가 하향이동하여 포장팩(8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걸이대(37)의 돌출되는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stand 82 of the packaging pack 80 is installed on the hanger 37,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hanger 37 is inserted so that the injection table 40 is moved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packaging pack 80. It is set.

또한, 상기 걸이대(37)의 설치위치는 용기(14)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대(82)의 상단과 주입대하우징의 하단부(16) 사이에 소정의 공간(h)이 형성되도록 주입대하우징 등 음료주입장치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위치이면 족하다. In additi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anger 37 is not limited to the container 14, and the injection stand housing is 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h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stand 82 and the lower end 16 of the injection stand housing. If the position can be fixed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본 실시예는 고온의 음료를 포장팩(80)에 주입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이하 그 작용을 설명한다.This embodimen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fully used when injecting a beverage of high temperature in the packaging pack 80,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2를 참고하면, 용기의 고정포켓(38)에 걸이대(37)가 설치된 상태에서 포장팩(80)의 배출대(82)를 잡고 나선(83)의 아랫부분을 걸이대(37)의 끼움걸림부(37a)에 끼워넣어 포장팩(80)이 걸이대(37)에 걸린 상태로 결합시킨다. 그 상태는 배출대(82)의 상단과 주입대하우징의 하단부(16)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이다.Referring to Figure 12, while holding the outlet (82) of the packing pack 80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cket 37 is installed in the fixed pocket 38 of the container,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37)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iral 83 Inserted into the portion 37a, the packaging pack 80 is coupled to the hanger 37 in a locked state. The state is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table 82 and the lower end 16 of the injection table housing.

이 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버턴의 조작에 의해 주입대(40)가 하강하여 포장팩(80)의 내부에서 음료를 주입하고, 고온의 음료를 포장팩(80)에 주입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주입대(40)는 상승이동하여 주입대하우징의 하단부(16)의 내부로 후퇴한다.Thereaft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button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40 to inject the beverage from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80, and the operation of injecting the hot beverage into the packing pack 80 is completed. When the injection table 40 is moved upward and retracted into the lower end 16 of the injection table housing.

이 후, 도 13과 같이, 사용자는 배출대(82)의 상단과 주입대하우징의 하단부(16) 사이에서 덮개(85)로 배출대(82)를 덮어 배출대(82)의 나선(83)에 덮개(85)를 결합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덮개(85)를 잡고 포장팩(80)을 걸이대(37)에서 빼내어 보관장소로 옮길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3, the user covers the discharge zone 82 with the cover 85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base 82 and the lower end 16 of the injection base housing, and the spiral 83 of the discharge base 82. Join the cover 85 to. Thereafter, the user can grasp the cover 85 with a finger and remove the packing pack 80 from the hanger 37 to move to the storage place.

이에 따라, 멸균 등을 위해 고온으로 끓인 음료를 포장팩(80)에 주입한 경우, 사용자는 포장팩(80)의 덮개(85)를 잡고 포장팩(80)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포장팩(80)을 잘못 잡아 내부의 음료가 흘러넘치는 위험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everage boiled at a high temperature for sterilization or the like is injected into the packaging pack 80, the user may move the packaging pack 80 while holding the cover 85 of the packaging pack 80, thus reducing the risk of burns. It can reduce, it can also eliminate the risk of spilling the drink inside the wrong holding the packaging pack (80).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음료주입장치에서 전술한 주입대구동부의 구성을 변형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4 and 15 show a configuration modified from the above-described injection table drive unit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구성에서는 전술한 주입대구동부(50)가 전동기(51)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58)에 의해 수동조작으로 주입대(40)를 상하운동하도록 구성된다.14 and 15, in the present configuration, the above-described injection table drive unit 50 does not automatically move up and down by the electric motor 51, but manually moves the injection table 40 by the handle 58. It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이에 따라, 주입대구동부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의 운동이 안내되는 손잡이(58)와, 상기 손잡이(58)와 주입대(4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55)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injection table driving unit includes a handle 58 for guiding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guide means, and a connector 55 connecting the handle 58 and the injection table 40 to each other.

가이드수단은 주입대하우징(12)에 형성되고 손잡이(58)가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하방향의 가이드장홈(16)이 될 수 있으나, 별도의 가이드봉(57)을 설치하고 가이드봉(57)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59)이 손잡이(58)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guide means may be formed in the inlet housing 12, and may be a guide guide groove 16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58 can move along, install a separate guide rod 57 and guide rod 57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guide block 59 moving along is installed in combination with the handle 58.

또한, 상기 손잡이(58)는 연결체(55)에 의해 주입대(40)와 연결됨으로써 손잡이(58)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주입대(40)도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주입대(40)가 포장팩(80)의 배출대(4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58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table 40 by the connecting body 55, so that the handle 58 is moved up and down when the handle 58 is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injection table 40 is packed The outlet 80 of the pack 80 may enter and exit.

상기 구성은 전동기(51)의 설치없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주입대구동부를 구성할 수 있다.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configured in a simpler configuration without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motor 51 drive un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ther modified embodiments are possible.

10; 캡하우징 12; 주입대하우징
13,13′; 가이드 14; 용기
16; 가이드장홈 20; 음료공급부
21; 펌프 22; 펌프배출관
23; 필터 24; 흡입관
30, 30′,30″; 배출대결합부 32; 나선
33; 결합공 34; 배출공
36,54; 베어링 37; 걸이대
37a; 끼움걸림부 37b; 고정대삽입부
38; 고정포켓 40; 주입대
42; 유연성호스 50; 주입대구동부
51; 전동기 52; 나선봉
53; 너트블록 55; 연결체
56a,56b; 위치감지센서 57; 가이드봉
58; 손잡이 59; 가이드블록
60; 록킹장치 61; 물림돌기체
61a; 물림홈 62,64b; 스프링
64; 고정체 64a; 자석
64c; 로드 66; 전자석
70; 고무체 72; 나선
80; 포장팩 82; 배출대
83; 나선 84; 돌출부분
85; 덮개
10; Cap housing 12; Infusion Stand Housing
13,13 '; Guide 14; Vessel
16; Guide groove 20; Beverage supply department
21; Pump 22; Pump discharge pipe
23; Filter 24; suction
30, 30 ', 30 "; Discharge band coupling part 32; spiral
33; Engagement hole 34; Discharge hole
36,54; Bearing 37; Hanger
37a; Fitting portion 37b; Retainer Insert
38; Fixing pocket 40; Infusion table
42; Flexible hose 50; Injector drive unit
51; Electric motor 52; Spiral bar
53; Nutblock 55; Connection
56a, 56b; Position sensor 57; Guide rod
58; Handle 59; Guide Block
60; Locking device 61; Staple
61a; Bite groove 62,64b; spring
64; Fixture 64a; magnet
64c; Load 66; Electromagnet
70; Rubber body 72; spiral
80; Packing pack 82; Discharge
83; Helix 84; Protrusion
85; cover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배출대가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포장팩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음료주입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대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배출대결합부와,
상기 결합공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중공의 주입대와,
상기 주입대의 하단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후퇴한 위치와 상기 결합공의 하방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주입대구동부와,
상기 주입대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대의 외측과 상기 결합공의 내측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내부의 공기 또는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용 음료주입장치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beverage in the packaging pack installed so that the discharge table protrudes,
A discharge-coupling portion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and having a fix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zone to the coupling hole;
A hollow injection table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An injection table driv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to move up and down between a posi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hole is retrac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a position protruding to a lower length of the coupling hole;
Includes a beverag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beverage to the infusion table,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aging pa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space for discharging the air or steam inside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infusion and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the outside communication
배출대가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포장팩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음료주입장치에 있어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중공의 주입대와,
상기 주입대가 내부에 위치하는 주입대하우징과,
상기 배출대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대의 상단과 상기 주입대하우징의 하단부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걸이대와,
상기 주입대의 하단이 상기 주입대하우징의 내부로 후퇴한 위치와 상기 주입대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이대에 설치될 상기 배출대에 삽입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주입대구동부와,
상기 주입대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용 음료주입장치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beverage in the packaging pack installed so that the discharge table protrudes,
A hollow infusion stand installed vertically,
An injection unit housing in which the injection unit is located,
A hanger that is installed at a fixed position such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and the lower end of the injector housing by which the outlet is coupled;
An injector drive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lower end of the injector to move up and down between a position in which the injector is retracted into the injector housing and a position inserted into the outlet to be installed on the hanger;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a packaging pack comprising a beverage supply for supplying a beverage to the infusion table
배출대가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포장팩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음료주입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대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배출대결합부와,
상기 결합공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중공의 주입대와,
상기 주입대의 하단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후퇴한 위치와 상기 결합공의 하방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주입대구동부와,
상기 주입대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대구동부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의 운동이 안내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상기 주입대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손잡이의 상하방향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주입대의 하단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용 음료주입장치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beverage in the packaging pack installed so that the discharge table protrudes,
A discharge-coupling portion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and having a fix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zone to the coupling hole;
A hollow injection table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An injection table driv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table to move up and down between a posi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hole is retrac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a position protruding to a lower length of the coupling hole;
Includes a beverag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beverage to the infusion table,
The injection table drive unit
A handle for guiding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guide means,
By including a connector 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injection table
Beverage injector for packaging pa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infusion driven by the vertical manual operation of the handle is driven to move up and down
KR1020110103850A 2011-10-12 2011-10-12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KR101281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50A KR101281310B1 (en) 2011-10-12 2011-10-12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50A KR101281310B1 (en) 2011-10-12 2011-10-12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65A KR20130039365A (en) 2013-04-22
KR101281310B1 true KR101281310B1 (en) 2013-07-03

Family

ID=4843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850A KR101281310B1 (en) 2011-10-12 2011-10-12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31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345U (en) * 1995-05-19 1995-11-21 有限会社上川製作所 Combined container for beverages
JP3030219U (en) * 1995-04-21 1996-10-22 明珍 朴 A container that can take out the entire contents with a pump
JPH1099204A (en) * 1996-09-27 1998-04-21 Master Foods Kk Automatic beverage delivery unit
KR100918461B1 (en) * 2008-10-31 2009-09-24 에스제이엠앤비 주식회사 Automatic capp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219U (en) * 1995-04-21 1996-10-22 明珍 朴 A container that can take out the entire contents with a pump
JP3018345U (en) * 1995-05-19 1995-11-21 有限会社上川製作所 Combined container for beverages
JPH1099204A (en) * 1996-09-27 1998-04-21 Master Foods Kk Automatic beverage delivery unit
KR100918461B1 (en) * 2008-10-31 2009-09-24 에스제이엠앤비 주식회사 Automatic cap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65A (en)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3852T3 (en) Ergonomically operated beverage machine
ES2762975T3 (en) Beverage machine with ergonomic outlet
US8584576B2 (en) Portable automatic beverage brewing drinking vessel
US9706877B2 (en) System, package, apparatus and method for dosing coffee beans
US20200129002A1 (en) Beverage machine with a storable dispensing head
US20150335197A1 (en) Beverage machine with rotatable brew chamber
KR101896838B1 (en)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EP3111811A1 (en) Bag feeding and releasing mechanism of beverage extracting device
ES2727953T3 (en) Extraction unit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1281310B1 (en)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MX2008001942A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US20210127892A1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with beverage draining means
US11344149B2 (en) Beverage machine with ergonomic power switch
ES2567299B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cleaning device
KR101364324B1 (en)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pack
JP2005110835A (en) Extracting apparatus for coffee or the like
US11517136B2 (en) Beverage machine with a stabilizing foot
CN210783973U (en) Folding capsule coffee machine
US11700969B2 (en) Beverage machine with a collapsible interface
JP2012515005A (en) Transportable stand-alone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CN114180222B (en) Milk powder can with milk powder suction device
CN219963485U (en) Medicine feeder
KR20110001471U (en) A container for coffee beans
CN201418661Y (en) Full-automatic brewer
KR200302323Y1 (en) A funnel taking on-off from a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