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177B1 -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 Google Patents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177B1
KR101280177B1 KR1020110074045A KR20110074045A KR101280177B1 KR 101280177 B1 KR101280177 B1 KR 101280177B1 KR 1020110074045 A KR1020110074045 A KR 1020110074045A KR 20110074045 A KR20110074045 A KR 20110074045A KR 101280177 B1 KR101280177 B1 KR 10128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upport
conveyor belt
assembled
automatic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718A (ko
Inventor
김진술
Original Assignee
김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술 filed Critical 김진술
Priority to KR102011007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1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란 자동 난상장치에 있어서, 막대형상으로 서로 특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 단부 각각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중단부 양측 각각에 걸림턱이 구비된 복수의 지지체; 지지체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지지체를 지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구; 지지체의 고정홈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체 중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어벨트; 지지체의 걸림턱과 지지대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체의 중앙측으로 경사지도록 고정설치되는 경사대; 경사대 상부에 설치되어 닭들에 산란된 알들이 경사대의 경사에 의해 컨베어벨트로 수거되도록 하는 매트; 판 형상으로 평면방향이 지면과 수직되도록 지지체의 상부면 각각에 조립되는 측면 칸막이; 측면 칸막이 내측 중단면 사이에 조립되어 소정높이를 갖고 설치되어 지지체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을 구획시키는 격벽; 상단면 중앙이 격벽의 하단부 끝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컨베어벨트와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덮개판; 및 격벽의 양면 각각에 평면방향이 격벽의 평면방향과 수직으로 끼워져 설치되어 측면 칸막이 사이를 구획하는 분할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Assembly type structure for hatching eggs}
본 발명은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란을 생산하는 닭들이 알을 낳기 편안한 계사를 제공하면서, 산란한 계란들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계란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작업자의 수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 사육하는 닭 중에서 수정란을 낳는 암탉의 경우는 계사에 수탉과 함께 사육하면서, 교배에 의해 수정란을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정란을 생산하는 암탉들은 보통 산란시기에는 지면보다 함몰된 땅이나 나무 등과 같이 음지를 확보할 수 있는 장소에 둥지를 틀고 알을 낳는다.
이러한, 집란방법은 양계장의 최종적인 제품인 계란을 채란하는 것임에 따라 근래에는 특히, 대규모 양계장에는 생산성의 향상과 원가의 절감을 위하여 자동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양계장에서 사육되는 산란닭은 6개월 정도 키운 후 대략 10개월 정도 산란기간은 거쳐 폐계처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양계장의 산란닭은 대략 16개월의 성장 및 산란기간을 거쳐 폐기되는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닭이 들어오기 전에는 계사의 모든 시설물과 계분을 깨끗이 치우고 소독 후 새로운 닭을 다시 사육시키는 것이다.
이는, 산란닭(종계)의 평균수명은 65주(약 16개월) 이며 65주가 지나면 폐계 처분을 하고 새로운 닭(병아리)이 들어오기 위하여는 병원균 때문에 계사의 모든 시설물을 철거하고 청결하게 청소한 다음 철저한 소독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난상기계 역시 약 16개월 마다 설치와 해체 작업을 연속 반복하기 때문에 설치와 해체 작업이 손쉽고 빨라야만 되며 계란에 오물이 묻지 않도록 하여야만 파란이 발생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일반 양계 업계에서 알을 낳는 닭은 식란을 위주로 사육하는 닭과 종란을 위주로 사육하는 닭 두 종류가 있다. 또한, 식란과 종란은 사육하는 방법도 다르고 알을 생산하는 방법도 다르므로 난상 기계 역시 차별화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란 자동 난상에는 근본부터 부적절하고, 약 65주마다 한번씩 반복되는 조립과 해체 작업을 할 때 인건비가 과다 투입되며, 더 중요한 문제점은 오랜 기간 동안 계사 작업을 하므로 닭에 스트레스를 많이 주어 값비싼 종란을 생산하는 닭의 수명의 단축 및 산란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산란된 계란의 표면에 닭의 분료가 묻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미약하여 산란된 계란을 수거하는데 많은 인건비를 투입하고 값비싼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계란의 표면을 닦아내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 양계장에서 수탉과 교배에 의해 수정란을 낳는 암탉의 경우 보통 지면보다 움푹한 땅이나, 계사의 구석부분에 별도의 둥지를 틀고 알을 낳으므로, 대량으로 암탉과 수탉을 기르는 경우 암탉에게 편안한 장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많은 준비와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고, 암탉들이 산란한 계란들을 수거하는 방식역시 종래 사람들이 수작업에 의한 방법은 능률이 현저히 떨어지고, 위생상으로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고, 기계식으로 계란을 수거하는 방식역시 통상의 콘베어 벨트를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고 는 있으나, 이 역시 암탉들이 계란을 낳는 장소와 연계구성에서 많은 폐단이 있었다.
또한, 암탉들에게 산란에 필요한 난상하우징을 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난상하우징과 계란자동수거 장치의 연계구성이 비교적 복잡하게 연관되므로, 설치비의 상승 및 사용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암탉들에게 편한안 장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난상하우징 내부에서 산란이 끝난 암탉들이 산란시간 이외 에도 장소의 편안함 때문에 오랜시간 지체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닭들을 외부로 쫓아내는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계사의 형성시에도 통상 삼각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난상하우징의 형성시 교체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고정식방식을 많이 채택하므로, 닭들의 분료 등이 난상하우징에 묻는 경우나, 분리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난상하우징 전체를 분리 및 교체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즉, 양계장의 산란닭의 수명이 약 16개월의 사이클(성장; 6개월, 산란: 10개월)을 갖고 있으므로, 폐사후에는 다시 양계장의 시설물을 폐기하거나, 소독과 계분을 처리한 후 다시 계사를 구성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계사의 설치 및 분리 작업에 많은 시간과 작업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산란된 계란의 표면에 닭의 분료가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산란된 계란 수거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계란의 표면 에 묻은 분료를 닦아내야 하는 페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란 자동 난상장치에 있어서, 설치와 해제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닭에게 스트레스를 주지않고 보다 편안하게 산란을 유도할 수 있는 조립형 자동 난상 장치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종란을 생산하는 닭들이 알을 낳기 편안한 계사를 제공하면서, 산란한 계란들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계란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작업자의 수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종란 자동 난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계사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난상 하우징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종란 자동 난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산란이 종료된 닭들이 계사 내부에 잔류하고 있을 경우 자동의 닭들을 안전하게 외부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한 종란 자동 난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넷째, 산란된 계란에 닭의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종란 자동난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섯째, 제품의 신뢰성 및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종란 자동 난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란 자동 난상장치에 있어서, 막대형상으로 서로 특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 단부 각각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중단부 양측 각각에 걸림턱이 구비된 복수의 지지체; 지지체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지지체를 지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지지구;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지체의 고정홈 사이에 횡방향으로 안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지체 중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알을 이송하는 컨베어벨트; 지지체의 중단부 양측 각각에 상기 지지체의 걸림턱과 지지대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체의 중앙측으로 경사지도록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경사대; 경사대 상부에 설치되어 닭들에 산란한 알들이 경사대의 경사에 의해 컨베어벨트로 수거되도록 하는 매트; 판 형상으로 평면방향이 지면과 수직되도록 지지체의 상부면 각각에 조립되어 설치되는 측면칸막이;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측면칸막이 내측 중단면 사이에 조립되어 소정높이를 갖고 지면에 수직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체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을 구획시키는 격벽; 상단면에 형성된 조립홈이 격벽의 하단부 끝단면에 끼워져 격벽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면이 컨베어벨트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덮개판; 및 격벽의 양면 각각에 평면방향이 격벽의 평면방향과 수직으로 끼워져 설치되어 측면 칸막이 사이를 구획하는 복수의 분할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지지체의 양측 끝단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편;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지체의 회전편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편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측면칸막이와 분할칸막이 사이 그리고 분할칸막이와 분할칸막이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격벽, 측면칸막이 및 분할칸막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덮개판의 양측면 각각에는 컨베어벨트와 매트 사이를 격리시키는 차광천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체는, 지지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측면칸막이의 하단면이 끼워져 설치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측면칸막이에는 격벽이 조립되는 접지면에 다수의 설치홈이 구비되고 격벽 양측 끝단부 각각에는 끼움부재가 구비되어 끼움부재가 설치홈에 끼워져 격벽과 측면칸막이가 조립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격벽에는 분할칸막이와 조립되는 접지면에 다수의 설치홈이 구비되고 분할칸막이 끝단면 각각에는 끼움부재가 구비되어 끼움부재가 설치홈에 끼워져 격벽과 분할칸막이가 조립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분할칸막이가 서로 연결되는 접지면 상부에 대칭되게 안착되어, 격벽과 분할칸막이를 중심으로 독립된 계사를 완성시키는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컨베어벨트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컨베어벨트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컨베어벨트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사판은 매쉬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사판과 매트 사이에 쿠션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컨베어벨트의 구동장치 타측으로는 컨베어벨트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측면칸막이와 분할칸막이 사이 그리고 분할칸막이 사이 내부공간으로는 닭들이 산란을 하고 난 후에도 쾌적한 환경이 확보된 상태로 잔류하면서, 측면칸막이와 분할칸막이 상부로 안착되는 상부 지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컨베어벨트의 일측에 구비된 메인롤러의 외측으로는 컨베어벨트를 통해 이동되는 알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작업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의 상부면 중앙단을 따라 설치되어 상부 지붕에 닭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양측 단부 각각에 홀이 구비되고 홀로 지지구가 삽입되어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지체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계단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비교적 짧은 주기를 갖고 교체해야 하는 계사를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계사를 형성하는 지지체와 격판, 칸막이, 상부플레이트, 발판 등을 성형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 합성수지,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을 이용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 재료(자재)는 값이 비교적 저렴한 플라스틱과 합성수지,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설치와 해체를 완전 조립식으로 쉽게 하기 위하여 각목에는 끼워 맞춤홈을 형성하였고, 간단한 철재를 사용하여 걸림턱과 끼움홈, 끼움부재와 설치홀을 플라스틱과 합성수지,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에 부착하였으며, 난사를 설치할 때는 각목 바디를 계사 길이에 따라 양면에 앵글을 걸어 설치하고 수직 수평을 맞춘 후 칸막이를 순서에 따라 끼우고 덮어 놓으면서, 경사대를 지지체의 걸림턱에 걸어 놓으면 난사 설치가 완성되는 것이며, 해체시에도 역순으로 순서에 따라 간편하게 해체가 되며, 많은 공구가 필요없으며, 운반 및 적재시에도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계사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이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닭들이 산란하는 매트가 중심측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형성된 관계로, 산란 후 자연스럽게 컨베어벨트를 통해 산란된 계란들을 수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매트의 전면부에 닭들의 분료 등이 묻어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계단 발판이 형성되므로, 쾌적한 계사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여섯째, 닭들이 산란 후에도 각각 독립된 계사 내부에 잔류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문을 통해 닭들을 안전하고, 스트레스없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에 회전판을 구비하여 상부지붕에 닭들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정란의 생산성 및 계사내부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곱째, 산란된 계란들을 수거하는 컨베어벨트와 계사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닭들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동장치를 제어부를 통해 통합시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7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측면칸막이의 사시도,
도 7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측면칸막이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덮개판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분할칸막이의 사시도,
도 9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분할칸막이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의 상부플레이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조립형 자동 난상 장치(1)는 지지구(10), 지지대(20), 지지체(30), 계단발판(22), 컨베어벨트(40), 경사대(50), 매트(51), 측면칸막이(60), 격벽(70), 분할칸막이(90) 및 덮개판(80)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는 각각의 구성이 용접 등에 따른 결합을 하지 않고, 모두 조립식으로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빠른 해체와 조립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고로 각각의 구성과 조립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체(30)는 다수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체(30)의 상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단부에는 지지구(10)가 고정설치되는 고정홀이 구비된다. 또한, 중단부의 양측에는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단부에는 고정홈(34)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체(3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지지구(10)가 삽입되어 상단, 하단 각각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지지구(10)가 지지체(30)에 조립된다. 따라서 지지체(30)는 지지구(10)에 의해 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게 된다. 또한, 지지체(30)의 하단에는 횡방향으로 지지체(30) 양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계단발판(22)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지지체(30)의 상단부에는 중단부 양측각각에서 끝단부 측으로 형성된 끼움홈(33)이 구비되어 측면칸막이(60)의 하단이 끼워져 지지체(30)에 측면칸막이(60)가 조립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체(30)의 중단부의 상면 하면으로는 컨베어벨트(40)가 이동되어 켄베어벨트(40)를 따라 산란된 알들이 이동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0)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체(30)의 고정홈(34) 사이에 횡방향으로 지지대(20)가 안착되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20)의 상부면에는 안착편(21)이 고정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0)의 상부면과 지지체(30)의 걸림턱(31)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따라 경사대(50)가 안착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경사대(50)는 지지체(30)의 중단부 측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계사 내부의 통풍과 닭들의 분료 등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철망 등의 메쉬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경사대(50)의 상부면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매트(51)가 안착된다. 이러한 매트(51)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닭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쿠션재가 구비되어 산란된 알이 경사를 따라 컨베어벨트(40)로 이동될 때, 알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측면칸막이(6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측면칸막이(6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상부측이 뾰족하게 구성되며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칸막이(60)는 플라스틱과 합성수지,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가 대칭을 이루며, 중앙에는 ┻ 형상의 중앙판(63)이 구비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중앙판(63)의 중심축으로는 다수의 설치홀(6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앙판(63) 하부로는 컨베어벨트(40)가 배치되게 된다. 또한, 측면칸막이(6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돌출부(61)를 형성하고 있어, 상부측 돌출부(61)는 후에 설명되는 상부플레이트(10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부플레이트(100)가 측면칸막이(60)의 상부로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하부측 돌출부(61)는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상부 지붕(11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부지붕(110)이 측면칸막이(60)의 상부로 안착되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측면칸막이(60)는 하부측이 지지체(30)의 끼움홈(33)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체(30)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는 격벽(7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격벽(70)은 역시 플라스틱과 합성수지,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 끝단면에 ㄱ자 형태의 끼움부재(71)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끼움부재(71)가 측면칸막이(60)의 중앙판(63)에 형성된 설치홀(64)에 끼워짐으로써 측면칸막이(60) 사이에 횡방향으로 격벽(70)이 설치되어 양측에 매트(51)를 두고 계사를 구획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격벽(70)에는 특정 구간마다 후에 설명되는 분할칸막이(90)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설치홀(64)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덮개판(8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80)은 상부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조립홈(81)이 구비된다. 이러한 조립홈(81)에는 앞서 설명한 격벽(7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조립홈(81)에 형성된 홀들로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격벽(70)과 덮개판(8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덮개판(8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각각에 차광천(82)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광천(82)에 의해 컨베어벨트(40)를 통해 이동되는 알들을 닭들에게 보이지 않도록 시야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덮개판(80)의 하부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어벨트(40)가 위치하게 되고, 컨베어벨트(40)는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횡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알은 경사대(50)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차광천(82)을 지나 자연스럽게 컨베어벨트(40)로 이동되게 되고, 컨베어벨트(4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컨베어벨트(40) 타측에 구비된 작업대로 안전하게 이송되게 된다. 또한,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컨베어벨트(4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컨베어벨트(4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분할칸막이(9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분할칸막이(9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칸막이(90)는 격벽(70)과 접하여 측면칸막이(60) 사이를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측면칸막이(60)와 격벽(70) 및 분할칸막이(90) 사이 그리고, 분할칸막이(90)와 격벽(70) 및 분할칸막이(90)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내부공간에서 닭이 산란을 하게 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분할칸막이(90)는 격벽(70)과 접하는 면에는 다수의 ㄱ 자형의 끼움부재(7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할칸막이(90)의 끼움부재(71)가 앞서 설명한 격벽(70)의 설치홀(64)에 삽입됨으로써 측면칸막이(60) 각각이 격벽(70)에 조립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측면칸막이(60)와 같이, 상부면에는 돌출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측 돌출부(61)는 후에 설명되는 상부플레이트(10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부플레이트(100)가 분할칸막이(90)에 고정설치되며, 하부측 돌출부(61)는 상부지붕(11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부지붕(110)이 분할칸막이(90)에 고정설치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측면칸막이(60) 역시 내부공간과 외부와의 통풍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상부플레이트(100)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00)는 Λ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 중앙 모서리에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는 회전대(102)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회전대(102)는 닭들이 산란 후 상부지붕(110)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과 외부와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부플레이트(100)에는 다수의 통풍구(101)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과 외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문(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문(130)은 지지체(30)의 양측 끝단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편(120)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편(120)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내부 공간을 개폐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회전문(130) 역시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되어 있거나 매트(51)와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는 회전문(130) 대신 발판용 파이프(150)가 설치되어 질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용 파이프(150)가 설치된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부분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0)의 양측 끝단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141)이 형성된 발판용 브라켓(14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41)은 발판용 브라켓(140)에 각각 2개씩 구비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지체(30)에 설치된 각각의 발판용 브라켓(140)의 장착홈(141) 사이로 발판용 파이프(150)가 형상 맞춤되어 끼워짐을 알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발판용 파이프(150)가 설치되고, 이러한 발판용 파이프(150)가 설치됨에 따라 닭들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 내부로 보다 편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는 회전문(130)이나 발판용 파이프(150) 대신 슬랫(180)이 설치되어 질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랫(180)이 설치된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1)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0)의 양측 끝단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제1맞춤홈(161)이 형성된 슬랫용 브라켓(16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맞춤홈(161)은 슬랫용 브라켓(160)에 1개씩 형성되어 있고, 지지구(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170)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슬랫용 브라켓(160)의 제1맞춤홈(161) 사이 및 지지다리(170)에 설치된 슬랫용 브라켓(160)의 제1맞춤홈(161) 사이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180)이 형상 맞춤되어 조립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지봉(180)에 형상맞춤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판(181)이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판(181)의 양측 하부에는 제2맞춤홈(18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81)은 지지봉(180)과 형상맞춤되어 조립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81)의 상부에 형상 맞춤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슬랫(190)을 포함함으로써, 닭들이 산란 중이 아닐 때, 지면에서 소정간격 상부로 배치된 슬랫(190) 위에서 안락하게 사육될 수 있다.
1:조립형 자동 난상장치
10:지지구
20:지지대
21:안착편
22:계단발판
30:지지체
31:걸림턱
33:끼움홈
34:고정홈
40:컨베어벨트
50:경사대
51:매트
60:측면칸막이
61:돌출부
62:통공
63:중앙판
64:설치홀
70:격벽
71:끼움부재
80:덮개판
81:조립홈
82:차광천
90:분할칸막이
100:상부플레이트
101:통풍구
102:회전대
110:상부지붕
120:회전편
130:회전문
140:발판용 브라켓
141:장착홈
150:발판용 파이프
160:슬랫용 브라켓
161:제1맞춤홈
170:지지다리
171:제2맞춤홈
180:슬랫

Claims (10)

  1. 종란 자동 난상장치에 있어서,
    막대형상으로 서로 특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 단부 각각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중단부 양측 각각에 걸림턱이 구비된 복수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를 지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지지구;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체의 고정홈 사이에 횡방향으로 안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체 중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알을 이송하는 컨베어벨트;
    상기 지지체의 중단부 양측 각각에 상기 지지체의 걸림턱과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의 중앙측으로 경사지도록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경사대;
    상기 경사대 상부에 설치되어 닭들에 산란한 알들이 상기 경사대의 경사에 의해 상기 컨베어벨트로 수거되도록 하는 매트;
    판 형상으로 평면방향이 지면과 수직되도록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 각각에 조립되어 설치되는 측면칸막이;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측면칸막이 내측 중단면 사이에 조립되어 소정높이를 갖고 지면에 수직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을 구획시키는 격벽;
    상단면에 형성된 조립홈이 상기 격벽의 하단부 끝단면에 끼워져 상기 격벽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면이 상기 컨베어벨트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덮개판; 및
    상기 격벽의 양면 각각에 평면방향이 상기 격벽의 평면방향과 수직으로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측면 칸막이 사이를 구획하는 복수의 분할칸막이;
    상기 덮개판의 양측면 각각에는 상기 컨베어벨트와 상기 매트 사이를 격리시키는 차광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칸막이의 하단면이 끼워져 설치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칸막이에는 상기 격벽이 조립되는 접지면에 다수의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 양측 끝단부 각각에는 끼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설치홈에 끼워져 상기 격벽과 상기 측면칸막이가 조립되어 결합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분할칸막이와 조립되는 접지면에 다수의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분할칸막이 끝단면 각각에는 끼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설치홈에 끼워져 상기 격벽과 상기 분할칸막이가 조립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양측 끝단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편;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체의 회전편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편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측면칸막이와 상기 분할칸막이 사이 그리고 상기 분할칸막이와 상기 분할칸막이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상기 측면칸막이 및 상기 분할칸막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칸막이가 서로 연결되는 접지면 상부에 대칭되게 안착되어, 상기 격벽과 상기 분할칸막이를 중심으로 독립된 계사를 완성시키는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어벨트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어벨트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컨베어벨트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컨베어벨트의 구동장치 타측으로는 컨베어벨트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대는 매쉬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대와 상기 매트 사이에 쿠션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칸막이와 상기 분할칸막이 사이 그리고 상기 분할칸막이 사이 내부공간으로는 닭들이 산란을 하고 난 후에도 쾌적한 환경이 확보된 상태로 잔류하면서, 상기 측면칸막이와 상기 분할칸막이 상부로 안착되는 상부지붕;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면 중앙단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부지붕에 닭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양측 단부 각각에 홀이 구비되고 상기 홀로 상기 지지구가 삽입되어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체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계단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양측 끝단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이 형성된 발판용 브라켓;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발판용 브라켓의 장착홈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용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양측 끝단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제1맞춤홈이 형성된 슬랫용 브라켓;
    상기 지지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
    특정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슬랫용 브라켓의 맞춤홈 사이 및 상기 지지다리 사이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
    하부에 제2맞춤홈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봉에 형상맞춤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형상맞춤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슬랫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KR1020110074045A 2011-07-26 2011-07-26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KR10128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45A KR101280177B1 (ko) 2011-07-26 2011-07-26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45A KR101280177B1 (ko) 2011-07-26 2011-07-26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18A KR20130012718A (ko) 2013-02-05
KR101280177B1 true KR101280177B1 (ko) 2013-06-28

Family

ID=4789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45A KR101280177B1 (ko) 2011-07-26 2011-07-26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1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311B1 (ko) * 2012-08-06 2014-07-10 김진술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CN110169376A (zh) * 2019-06-24 2019-08-27 杨桂连 一种绿色生态排污收集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85B1 (ko) * 2014-11-17 2016-06-07 대한민국 동물복지식 복층형 산란계 사육시설
CN106256199A (zh) * 2015-06-19 2016-12-28 汉斯-于尔根·芬哈格 用于蛋鸡的饲养设备
CN108094259A (zh) * 2017-12-18 2018-06-01 柏跃龙 一种家用便于保护蛋的家禽下蛋承载装置
CN111280088B (zh) * 2020-03-26 2022-01-25 福建展智共创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柳钢盘条的养殖装置
CN111449001B (zh) * 2020-06-08 2022-02-11 信阳农林学院 一种用于蓝孔雀产蛋期疾病预防护理装置及使用方法
CN115380870A (zh) * 2022-09-20 2022-11-25 安徽蓝田农业集团有限公司 布置于龟鳖养殖区域进行自动拾取龟鳖蛋的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06A (ko) * 1988-11-11 1990-06-01 게라르드 반 루이젠 계란 수집장치
KR950029108U (ko) * 1994-04-02 1995-11-17 이종숙 상향식 집란이송 장치
JP2011015613A (ja) 2009-07-07 2011-01-27 Nakajima Seisakusho:Kk 家禽の集卵用ネスト
JP2011019473A (ja) 2009-07-17 2011-02-03 Hytem Co Ltd 養鶏用多段ケージシステムにおける集卵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06A (ko) * 1988-11-11 1990-06-01 게라르드 반 루이젠 계란 수집장치
KR950029108U (ko) * 1994-04-02 1995-11-17 이종숙 상향식 집란이송 장치
JP2011015613A (ja) 2009-07-07 2011-01-27 Nakajima Seisakusho:Kk 家禽の集卵用ネスト
JP2011019473A (ja) 2009-07-17 2011-02-03 Hytem Co Ltd 養鶏用多段ケージシステムにおける集卵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311B1 (ko) * 2012-08-06 2014-07-10 김진술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CN110169376A (zh) * 2019-06-24 2019-08-27 杨桂连 一种绿色生态排污收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169376B (zh) * 2019-06-24 2021-12-21 德州迈科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绿色生态排污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18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177B1 (ko)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KR101365703B1 (ko) 파리 애벌레 연속사육장치
RU26322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грузки птицы из клетки
KR100925868B1 (ko) 고상식 가금류 위생 사육시설구조
KR101788289B1 (ko) 산란계 자동 사육장치
US20210235671A1 (en) Module for poultry farming cages
CN109220884B (zh) 蛋鸡福利养殖系统
US11473314B2 (en) Modular flooring system for agricultural animal and poultry houses
US3994260A (en) Universal poultry cage
KR100835184B1 (ko) 종란 자동 난상장치
KR101417311B1 (ko)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KR100425930B1 (ko) 종란 자동 난상장치
KR101479268B1 (ko) 종란 수거 장치
KR200270496Y1 (ko) 종란 자동 난상장치
EP0965266B1 (en) Device for keeping poultry
KR101263101B1 (ko) 가금류 사육시설
EP0184266B1 (en) Device for keeping animals
KR102539297B1 (ko) 위생적인 산란이 가능한 난상장치
US2250818A (en) Laying nest
KR100702701B1 (ko) 조류사육시설물
CN213153465U (zh) 一种立式层叠育雏笼
ITTO20011046A1 (it) Gabbia per l'allevamento di galline ovaiole provvista di una lettieraper razzolare e becchettare.
CN211268134U (zh) 一种智能一体化养鸡设备
US11166439B2 (en) Platform floor support for poultry nesting system
KR20220042831A (ko) 다중구조를 가지는 곤충사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