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045B1 -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045B1
KR101280045B1 KR1020110042052A KR20110042052A KR101280045B1 KR 101280045 B1 KR101280045 B1 KR 101280045B1 KR 1020110042052 A KR1020110042052 A KR 1020110042052A KR 20110042052 A KR20110042052 A KR 20110042052A KR 101280045 B1 KR101280045 B1 KR 10128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que
voice
controller
tag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259A (ko
Inventor
정달도
김진영
조장호
전일태
강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시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시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시앤에스
Priority to KR102011004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04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FF 태그에서 송출하는 고유 ID에 대한 신호를 인지하여 인지한 고유 ID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RF 컨트롤러; 상기 RF 컨트롤러에서 전송하는 RF 태그의 고유 ID를 판독하고, 판독된 고유 ID를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로 전송하고, 이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의 사용법, 이 사물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안내 메세지로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RF 태그의 고유 ID와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식별된 RF 태그의 고유 ID가 기저장된 정보가 아니라면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RF 태그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음성안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중공의 프레임으로 제작되어 상기 RF 컨트롤러, 제어부, 메모리 및 음성 출력부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선이 내장되고, 선글라스 형태의 고글로 형성되는 고글부; 및 일측으로 상기 RF 컨트롤러, 제어부, 음성 출력부 및 메모리가 내장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전원부가 내장 장착되며 외부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 커넥터가 구성된 착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Voice guider for blind person}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들이 음성 안내장치로부터 음성 안내 메세지와 동시에 주변의 소리를 함께 들을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의 귀가 위치되는 부분에 소형 스피커를 통해 사물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을 향할수록 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시각 장애인들의 경우 보행을 도와주는 지팡이, 위치 안내 시스템 등 활동을 보조해주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각종 사회적 배려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안내 시스템이 기능적인 측면과 편의성에서 점차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아울러,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안내 시스템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안내장치로는 음향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가 있다. 음향 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는 시각장애인이 규정된 방송에 의해 횡단보도 및 공공건물을 유도음에 따라 타인의 도움이 없어도 자력으로 횡단 및 시설물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중 음향 신호기는 주로 횡단보도 유도음향 및 유도음성을 제공해주는 장치로서 횡단보도가 있는 신호대에 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음성 유도 신호기는 공공건물, 관공서, 지하철 시설물을 자력으로 찾을 수 있도록 유도음성을 제공해주는 장치이다. 하지만 이러한 음향 신호기 및 음성 유도 신호기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신호기가 설치된 신호대 등과 같은 시설물까지 가서 사용자가 작동버튼 등을 직접 눌러야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시각 장애인들이 자력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자칫 넘어지거나 기둥과 같은 장애물에 부딪히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2008-0034843호에는 감지부에 감지된 움직임 또는 장애물이 있음을 알려주는 지팡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장애물 탐지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 알람의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시각 장애인들이 효과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출원 제2008-0031045호에는 안경의 형태를 위하면서 초음파를 발생하여 시력 보조장치 역할을 하기 위해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문서 이미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알려주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문서 이미지를 음성으로 변환하기까지 상당시간 소요되어 시각 장애인들이 이를 인지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의 경우, 음성 안내 메세지를 이어폰을 통해 제공하게 되어 이 이어폰 줄에 의해 착용시 불편함을 제고하고, 더불어 이어폰의 고장시 음성 안내 메세지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어폰을 착용하면, 주변의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어 소리에 민감한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전파식별 장치를 내장하여 RFID 태그의 고유 ID를 인식하여 이 고유 ID에 해당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들이 음성 안내장치로부터 음성 안내 메세지와 동시에 주변의 소리를 함께 들을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의 귀가 위치되는 부분에 소형 스피커를 통해 사물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RF 태그에서 송출하는 고유 ID에 대한 신호를 인지하여 인지한 고유 ID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RF 컨트롤러; 상기 RF 컨트롤러에서 전송하는 RF 태그의 고유 ID를 판독하고, 이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의 사용법, 이 사물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안내 메세지로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RF 태그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음성안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중공의 프레임으로 제작되어 상기 RF 컨트롤러, 제어부, 메모리 및 음성 출력부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선이 내장되고, 선글라스 형태의 고글로 형성되는 고글부; 및 시각 장애인이 음성안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상기 RF 컨트롤러, 제어부, 음성 출력부 및 메모리가 내장 장착되며, 타측으로 상기 전원부가 내장 장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 장치의 착용부에는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MP3 플레이어 또는 FM라디오의 메뉴를 선택 또는 전환하는 메뉴 입력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뉴 입력부는 음악을 재생하거나, 정지, 감기의 기능이 스위치의 작동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음악 스위치; 라디오를 듣거나 주파수 등을 변경하는 라디오 스위치;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 선택된 메뉴를 전환하거나 RF 태그의 고유 ID에 대한 음성 메세지를 반복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메세지 반복 스위치;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 및 RF 태그의 고유 ID에 대한 음성 메세지를 반복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메세지 반복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RF 태그의 고유 ID와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고, 식별된 RF 태그의 고유 ID가 기저장된 정보가 아니라면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에는 사물의 정보 및 사용법을 외부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도록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에는 전원부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식 전파식별 장치를 내장하여 RFID 태그의 고유 ID를 인식하여 이 고유 ID에 해당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RF 태그가 부착된 각종 의약품의 고유 ID를 통해 사물에 대한 정보 및 사용법을 음성 안내 메세지로 제공받을 수 있어 시각 장애인이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해당 사물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 장애인들이 음성 안내장치로부터 음성 안내 메세지와 동시에 주변의 소리를 함께 들을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의 귀가 위치되는 부분에 소형 스피커를 통해 사물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안내 장치에 MP3 플레이, FM 라디오 기능 등을 추가로 구성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는 RF 태그(110)로부터 송출되는 고유 ID에 대한 신호를 인지하는 RF 컨트롤러(210), 이 RF 컨트롤러(210)와 연동하며, RF 컨트롤러(210)에서 전송하는 RF 태그(110)의 고유 ID를 판독하고, 판독된 고유 ID를 임시 저장하는 제어부(220), 음성안내 장치에 포함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 및 입력하는 메뉴 입력부(230), 제어부(220)를 통해 판독된 고유 ID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40) 및 음성안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 컨트롤러(210)는 RF 태그(110)에서 송출하는 고유 ID에 대한 신호를 인지하여 인지한 고유 ID의 신호를 제어부(22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RF 컨트롤러(2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RF 수신부, 안테나, RF 회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RF 태그(110)의 고유 ID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2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제어부(220)는 RF 컨트롤러(210)와 연동하며, RF 컨트롤러(210)에서 전송하는 RF 태그(110)의 고유 ID를 판독하고, 판독된 고유 ID를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26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220)는 RF 컨트롤러(210)에서 전송하는 각종 사물에 부착된 RF 태그(110)의 고유 ID가 메모리(260)에 저장된 고유 ID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만약 메모리(260)에 저장된 고유 ID라면, 이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의 사용법, 이 사물의 정보 등을 음성 출력부(240)를 통해 음성 안내 메세지로 제공하고, 메모리(26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유 ID라면 이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의 정보를 음성 안내 메세지로 제공함과 동시에 메모리(260)에 저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메모리(260)는 RF 태그(110)의 고유 ID와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식별된 RF 태그(110)의 고유 ID가 기저장된 정보가 아니라면, 이를 임시 저장하도록 한다.
메뉴 입력부(230)는 MP3 파일을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 또는 FM라디오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구성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MP3 플레이어 또는 FM라디오 기능 등이 추가로 구성되는 경우, 음성안내 장치에 별도의 작동 스위치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이 작동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MP3 플레이어 또는 FM라디오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행시 주변 사물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메뉴 전환의 기능을 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뉴 전환 기능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시각 장애인의 경우, 의약품과 같이 보호자가 없는 상태에서 용이하게 복용하지 못하는 특성상 의약품의 정보를 RF 태그(110)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제어부(220)에서는 메모리(260)에 저장되어 있는 의약품의 사용법, 복용 및 사용 날짜, 시간, 분, 초 등을 음성 출력부(240)를 통해 음성 안내 메세지를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가 이 음성 안내 메세지를 통해 의약품을 복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음성 출력부(240)는 제어부(220)에서 제공하는 RF 태그(110)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골전도 방식의 소형 스피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음성 출력부(24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인식된 사물의 고유 ID에 해당하는 의약품의 정보를 디코더를 통하여 압축을 해제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토록 한다.
전원 공급부(250)는 음성안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이에 해당하며, 충전 가능한 충전용 배터리, 혹은 빛, 열 등에 의해 충전되는 태양 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성안내 장치는 선글라스 형태의 고글부(310)와, 이 고글부(310)와 연결되어 시각 장애인 다시말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고글부(3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용부(320)로 이루어진다.
고글부(310)는 내부에 내장 장착되는 구성요소들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중공의 프레임으로 제작되어 이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의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선이 내장된다.
착용부(320)에는 그 일측으로 전술한 음성안내 장치를 이루는 RF 컨트롤러(210), 제어부(220), 음성 출력부(240) 및 메모리(260) 등이 내장 장착되고, 타측으로 음성안내 장치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전원부(250)가 내장 장착된다.
또한, 착용부(320)의 일측에는 제어부(220)와 연동하는 메모리(260)가 더 구성되어 있으며, 이 메모리(260)와 외부 컴퓨터를 연결하여 RF 태그에 대한 고유 ID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3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착용부(320)의 타측에 구성된 전원부(250) 역시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 커넥터(330)가 구성된다.
아울러, 착용부(320)에는 음성안내 장치에서 제공하는 각종 메뉴를 선택 및 전환이 가능한 메뉴 입력부(230)가 구성되며, 이러한 메뉴 입력부(230)는 음악을 재생하거나, 정지, 감기 등의 기능이 스위치의 작동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음악 스위치, 라디오를 듣거나 주파수 등을 변경하는 라디오 스위치,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 선택된 메뉴를 전환하거나 RF 태그(110)의 고유 ID에 대한 음성 메세지를 반복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메세지 반복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에 따라 이 기능을 선택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RF 태그 210: RF 컨트롤러
220: 제어부 230: 메뉴 입력부
240: 음성 출력부 250: 전원부
260: 메모리부 310: 고글부
320: 착용부 330: 충전 커넥터
340: 연결 커넥터

Claims (6)

  1. RF 태그에서 송출하는 고유 ID에 대한 신호를 인지하여 인지한 고유 ID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RF 컨트롤러; 상기 RF 컨트롤러에서 전송하는 RF 태그의 고유 ID를 판독하고, 이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의 사용법, 이 사물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안내 메세지로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RF 태그의 고유 ID에 해당하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음성안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중공의 프레임으로 제작되어 상기 RF 컨트롤러, 제어부, 메모리 및 음성 출력부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선이 내장되고, 선글라스 형태의 고글로 형성되는 고글부; 및
    상기 고글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각 장애인이 음성안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상기 RF 컨트롤러, 제어부, 음성 출력부 및 메모리가 내장 장착되며, 타측으로 상기 전원부가 내장 장착되고, MP3 플레이어 또는 FM라디오의 메뉴를 선택 또는 전환하는 메뉴 입력부와, 사물의 정보 및 사용법을 외부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도록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가 구성된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 입력부는
    음악을 재생하거나, 정지, 감기의 기능이 스위치의 작동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음악 스위치; 라디오를 듣거나 주파수를 변경하는 라디오 스위치;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 선택된 메뉴를 전환하거나 RF 태그의 고유 ID에 대한 음성 메세지를 반복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메세지 반복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RF 태그의 고유 ID와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고, 식별된 RF 태그의 고유 ID가 기저장된 정보가 아니라면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에는 전원부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KR1020110042052A 2011-05-03 2011-05-03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KR10128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52A KR101280045B1 (ko) 2011-05-03 2011-05-03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52A KR101280045B1 (ko) 2011-05-03 2011-05-03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59A KR20120124259A (ko) 2012-11-13
KR101280045B1 true KR101280045B1 (ko) 2013-06-28

Family

ID=4750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052A KR101280045B1 (ko) 2011-05-03 2011-05-03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0984A (zh) * 2014-01-24 2014-04-30 成都万先自动化科技有限责任公司 衣着导盲系统
KR101904505B1 (ko) * 2016-07-19 2018-10-05 주식회사 휴먼라인 정신치료장치 및 개인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
KR102022109B1 (ko) * 2018-06-15 2019-09-17 김희성 시각장애인 러닝용 음성지원 선글라스
KR20210154895A (ko) 2020-06-13 2021-12-21 양은송 Ai 기반의 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블루투스 선글라스와 이어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857A (ko) * 2007-08-24 2009-02-27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KR20090109436A (ko) * 2008-04-15 2009-10-20 정성용 안경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교통신호 안내시스템
KR20100062355A (ko) * 2008-12-02 2010-06-1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안경형 rfid 리더 시스템
KR20100108773A (ko) * 2009-03-30 2010-10-08 정달도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의약품 정보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857A (ko) * 2007-08-24 2009-02-27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KR20090109436A (ko) * 2008-04-15 2009-10-20 정성용 안경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교통신호 안내시스템
KR20100062355A (ko) * 2008-12-02 2010-06-1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안경형 rfid 리더 시스템
KR20100108773A (ko) * 2009-03-30 2010-10-08 정달도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의약품 정보 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59A (ko)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65B1 (ko) Rfid 블록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방향 안내 유도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677013B (zh) 虚拟实境系统以及虚拟实境系统的操作模式的控制方法
JP6158317B2 (ja) 眼鏡用アダプタ
KR101280045B1 (ko) 시각 장애인용 음성안내 장치
WO2015081694A1 (zh) 智能眼镜及其控制方法
JP2017063407A (ja) モジュラー型スマートネックレス
CN104739622A (zh) 一种新型可穿戴导盲设备及其工作方法
KR20110079738A (ko) 동력공급형 안과용 렌즈의 부품들의 활성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1135573A (ja) 人体通信を利用した歩行案内装置
KR20100123036A (ko) 보행 보조 장치
WO2020012180A2 (en) Human interface device
KR101503381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지팡이
CN111158169A (zh) 一种智能眼镜及智能眼镜的控制方法
CN204951532U (zh) 一种盲人或视力受损者助行设备
Wei et al. [Retracted] Innovative Design of Intelligent Health Equipment for Helping the Blind in Smart City
EP3323567B1 (en) Robot and robot system
CN206275809U (zh) 盲人避障装置
KR20190004490A (ko) 보행 안내 시스템
KR20140099784A (ko) 플렉서블 도광판을 활용한 휴대폰 연동형 수면 및 기상 유도 안대
CN209220872U (zh) 一种盲人腰带
JP2016036419A (ja) 触覚情報を伝達メディアとして利用したアイウェア
KR2013011504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장애물 경고 시스템 및 경고방법
US10897664B2 (en) Voice assisted sunglasses for running of the blind
CN207518794U (zh) 脖戴式语音交互耳机
KR102470136B1 (ko) 스마트 인공후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