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014B1 -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014B1
KR101280014B1 KR1020110118545A KR20110118545A KR101280014B1 KR 101280014 B1 KR101280014 B1 KR 101280014B1 KR 1020110118545 A KR1020110118545 A KR 1020110118545A KR 20110118545 A KR20110118545 A KR 20110118545A KR 101280014 B1 KR101280014 B1 KR 10128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lum
protein
self
red fluorescent
fra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872A (ko
Inventor
정봉현
정용원
김주옥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1/00869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67402A2/ko
Publication of KR2012005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2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tag with affinity for a non-protein ligand
    • C07K2319/2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tag with affinity for a non-protein ligand containing a His-ta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은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의 1번 β-가닥을 2~11번의 β-가닥 뒤에 유동 펩티드 링커를 통해 연결시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을 제조한 후, 상기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하여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제조하고 단독으로 돌연변이된 mPlum 1 펩티드(mPlum 1 E16V)를 mPlum 2-11 단백질로부터 분리하고 mPlum 2-11 단백질과 자가-결합하여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은 바이오센서로서 살아있는 세포에서의 단백질 위치, 단백질-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 등의 단백질 기능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Red fluorescent protein fragment with self-assembling activit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analysis of protein interac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은 모든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고분자 유기물로 수많은 아미노산의 연결체로서 가장 기본적인 세포 구성물질 중 하나이다. 단백질은 생체내의 여러 반응 및 현상 등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백질의 기능을 분석하고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단백질은 주로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기능이 발현되거나 조절되므로,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것은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명 현상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꼭 선행되어야 할 연구 분야이다. 특히,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의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은 실제 환경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백질 상호작용의 이해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적 기법들도 함께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는 실험으로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과 단백질 칩 등을 들 수 있다.
생체내에서 단백질은 다른 단백질과 결합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특정 단백질을 정제하면 그와 결합하는 다른 단백질들도 같이 정제된다. 즉, X와 결합하는 다른 단백질을 Y라 하면 X에 대한 항체를 넣어주었을 때 X/Y/X-항체의 복합 침전물을 얻을 수 있는데, 이 침전물을 전기영동 분석한 후 Y를 검출하면 X와 Y의 상호작용을 생화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요즘은 면역침강법을 통해 같이 정제된 미지의 단백질을 질량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서 질량 분석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극소량(100 fmol 이하 수준)의 단백질만으로도 단백질 확인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기법을 이용하여 최근에는 개체 수준에서의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단백질 칩은 슬라이드 글라스에 단백질을 고정화시킨 후 광학 형상 분석, 질량 분석, 형광 분석, 전기화학적 분석 등을 통해 단백질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이온 강도나 pH 등의 다양한 조건에서 단백질간의 결합친화력 측정이 가능하므로 여러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상호작용의 변화 등 상호작용 기전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기술로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은 모두 생체외 조건에서 실험을 하기 때문에 실제 생체내 상호작용과 상이한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면역 침강법의 경우에는 단백질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아주 강한 결합의 단백질 상호작용이 아니면 탐지하기 어려우며, 단백질 칩은 한 번에 다양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이 용이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양성 오류 (false positive) 결과를 많이 보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인 효모 2-하이브리드 시스템(yeast two-hybrid system)은 단백질 상호작용을 세포외가 아닌 살아있는 효모 세포내에서 수용체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통해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cDNA 라이브러리와 게놈 융합 라이브러리에서 단백질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효모 2-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생체내에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고등 동물의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상호작용의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효모 2-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전사 인자들의 상보적 결합에 의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핵 내부에 존재하는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에는 유용하지만 핵 외부에 존재하는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시에는 양성 오류 결과를 많이 보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형광 공명에너지 전이(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원리를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형광 단백질은 서로 다른 고유한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여기(excitation)되며, 그 에너지가 빛 혹은 열로 방출되고 나면 기저 상태로 회복되면서 형광 단백질 마다 독특한 파장대의 빛을 방출(emission)하게 된다. 형광 공명에너지 전이 원리는 서로 다른 두 형광 단백질이 10~100Å 내에 있을 경우, 단파장 형광 단백질이 여기된 후 방출하는 빛이 장파장 형광 단백질의 여기를 유도하여 형광을 방출하는 현상이다. 즉,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하는 두 단백질 뒤에 서로 다른 두 형광 단백질을 각각 부착시킨 후, 단백질 상호작용에 의해 두 형광 단백질이 10~100Å 이내로 가까워졌을 때 일어나는 형광 공명에너지 전이 현상에 의한 형광을 탐지함으로써 단백질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살아있는 세포내에서 단백질의 동적인 상호작용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두 형광 단백질의 거리가 매우 가까이 있어야만 탐지가 가능하고 미묘한 형광 파장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의 과량 발현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형광 공명에너지 전이 분석을 위해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살펴본 기존의 단백질 분석법들의 한계를 개선한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biomolecular protein fluorescence complementation)이 주목받고 있다.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은 형광 단백질을 두개의 단편으로 나누었을 때 두개의 단편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형광을 내지 않다가 서로 가까이 오게 되면 상호 결합하여 온전한 형광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형광을 내는 현상을 이용한 기법으로서, 단백질 상호작용을 연구하고자 하는 두개의 단백질에 각각 형광 단백질 단편이 부착된 융합 단백질을 세포 내에서 발현시킨 후 두 단백질이 서로 상호작용할 때 이에 연결된 형광 단백질 단편이 서로 결합하여 발생하는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은 bZIP과 Rel 족 (family) 단백질들의 상호작용과 세포 내 위치를 분석하는데 성공적으로 이용된 이후, 동물, 식물, 효모 등의 다양한 개체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장비를 통해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가 강하기 때문에 세포 내 어느 위치에서 단백질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 관찰할 수 있어 기존의 방법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은 연구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수용체 단백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단백질-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기술이며, 이때 두 개의 단편으로 분리할 수 있는 형광 단백질의 선택이 중요하다.
분리 단백질-기반 수용체 시스템은 in vitroin vivo에서 다양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모니터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에 기반한 수용체로는 DHFR(dihydrofolate reductase), β-갈락토시다제, β-락타마제, TEV 프로테아제, 루시퍼라제, 녹색 형광 단백질 (GFPs) 및 그 변형 단백질 등이 있다. 이러한 수용체 단백질은 자발적으로 결합하지 못하는 두 개의 단편으로 분리된다. 즉, 분리된 단편들은 단지 단백질 파트너가 상호작용을 하여 검출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용체 단백질들이 융합하여 모일 경우에만 결합된다.
최근에는, 몇가지 자가-절단 활성을 갖는 형광 단백질이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에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자가-절단 형광 단백질로는 GFP의 자가-회합 (self-associating) 단편이 있으며, 이는 매우 안정한 "슈퍼폴더(superfolder)" GFP로부터 개발되었다. 즉, GFP 단백질의 마지막 β-가닥(GFP 11, 아미노산 214-230)은 큰 GFP 단편(GFP 1-10, 아미노산 1-214)에 자발적으로 결합되고, 성숙한 발색단을 성공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분석은 세포 단백질 용해도 시험, GFPs의 합성 구조, 및 소분자 검출을 포함한다. 보다 중요하게는, 발색단 형성을 위해 형광 단백질의 11 β-가닥 배럴 형태로부터 하나의 β-가닥을 분리하고 자가-결합하면 단백질-펩티드 태깅 및 검출을 위한 커다란 잠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황색 형광 단백질(yellow fluorescent protein; YFP)을 155번 아미노산에서 절단한 형태의 단편인 YN155와 YC155, 황색 형광 단백질의 변종인 비너스 (Venus) 단백질을 155번이나 173번 아미노산에서 절단한 VN155와 VC155 또는 VN173과 VC173 단편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장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적색 형광 단백질로는 mCherry 형광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159번과 160번 사이에서 절단한 1번 내지 159번 단편과 160번 내지 237번의 mCherry 형광 단백질 단편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은 저비용으로 살아있는 세포에서 단백질의 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분석법이다. 그러나, 상기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은 기술적으로 보완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에서는 표적 단백질들 간의 상호작용이 아닌 수용체 단편들만의 융합으로 인한 거짓양성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와 반대로, 수용체 단편이 부착된 위상 (topology)이나 표적 단백질의 특성에 따라, 혹은 표적 단백질과 수용체 단편을 연결하는 유동 연결체(flexible linker)의 성질에 따라 실제 표적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났다 하더라도 검출이 되지 않는 거짓음성반응(false negative)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는 방향으로의 자가-결합 활성을 지닌 형광 단백질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적색 형광 단백질은 600㎚ 이상인 방출 "광학창(optical window)" 때문에 조직 영상 및 세포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유망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적색 형광 단백질들 중 DsRed 유도물인 mPlum은 가장 적색편이 방출 스펙트럼(649㎚에서 최대 방출) 중 하나를 갖는 단량체 형광 단백질로, 590㎚에서 여기되고, 2개의 주요 잔기(Glu 16 및 Ile 65)에 의해 지배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광학적 특성을 갖는 mPlum이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에 사용된 경우는 거의 없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적색 형광 단백질인 mPlum 단편이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지 확인한 후, mPlum 단편을 이분자 형광 상보 분석법에 적용하면 단백질 상호작용의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자가-결합 활성을 지닌 형광 단백질에 대해 연구하던 중,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의 1번 β-가닥을 2~11번의 β-가닥 뒤에 유동 펩티드 링커를 통해 연결시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을 제조한 후,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하여 돌연변이체 (CpmPlum E16V)를 제조하고 단독으로 돌연변이된 mPlum 1 펩티드(mPlum 1 E16V)를 mPlum 2-11 단백질로부터 분리하여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얻은 후,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이 mPlum 2-11 단백질과 자가-결합하여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하여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은 적색 형광 단백질 (mPlum)의 1번 β-가닥을 2~11번의 β-가닥 뒤에 유동 펩티드 링커를 통해 연결시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을 제조한 후, 상기 원순열된 mPlum 단백질 (CpmPlum)의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하여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제조하고 단독으로 돌연변이된 mPlum 1 펩티드(mPlum 1 E16V)를 mPlum 2-11 단백질로부터 분리하고 mPlum 2-11 단백질과 자가-결합하여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은 바이오센서로서 살아있는 세포에서의 단백질 위치, 단백질-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 등의 단백질 기능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장 mPlum 및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도이다[mPlum 1(적색), mPlum 2-11(청색), 및 Glu16(노란색)].
도 2는 여러 mPlum 단편을 발현하는 E. coli 콜로니의 형광 영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mPlum, mPlum E16V, CpmPlum E16V, mPlum 단편의 표준화된 흡광 스펙트럼(실선)과 형광 스펙트럼(점선, 570㎚에서 여기)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mPlum 단편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mPlum 2-11과 합성 mPlum 1 E16V 펩티드의 in vitro 상보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여러 mPlum 1 펩티드 돌연변이체와 mPlum 2-11의 in vivo 상보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mPlum 2-11과 결합된 mPlum 1 E16V C-1 펩티드의 형광 스펙트럼, 및 mPlum 2-11과 결합된 CmPlum E16V의 형광 스펙트럼을 비교 관찰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여러 mPlum 단편을 발현하는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여러 mPlum 단편을 순차적으로 발현하는 테트라사이클린-조절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테트라사이클린의 유도 시점에서 여러 mPlum 단편을 순차적으로 발현하는 테트라사이클린-조절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α-syn, α-syn-mPlum 1 E 16 V 및 MBP-mPlum 1 E 16 V의 섬유화를 관찰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테트라사이클린-조절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의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현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포함하는 단백질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의 1번 β-가닥을 2~11번의 β-가닥 뒤에 유동 펩티드 링커를 통해 연결시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하여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mPlum 2-11 단편과 mPlum 1 E16V 단편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분리한 mPlum 2-11 단편과 mPlum 1 E16V 단편을 자가-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maltose-binding protein)을 융합한 mPlum 1 E16V(MBP-mPlum 1 E16V)와 His-태그된 mPlum 2-11(His-mPlum 2-11)을 숙주 세포에서 함께 발현시킨 후 숙주 세포에서 적색 형광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은,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의 1번 β-가닥을 2~11번의 β-가닥 뒤에 유동 펩티드 링커를 통해 연결시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을 제조한 후, 상기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하여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제조하고 단독으로 돌연변이된 mPlum 1 펩티드(mPlum 1 E16V)를 mPlum 2-11 단백질로부터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된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된다.
E. coli에서 mPlum 1 단편과 mPlum 2-11 단편의 공-발현 및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은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하지 않아, mPlum 1 단편과 mPlum 2-11 단편은 자가-결합 활성을 갖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E. coli에서 원순열된 CpmPlum 돌연변이체(CpmPlum E16V) 및 mPlum 2-11와 mPlum 1 E16V의 공-발현은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한다. 따라서, mPlum 2-11 단편은 mPlum 1 E16V 펩티드와 자가-결합되고, mPlum 1 E16V 펩티드는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mPlum 2-11 단백질과 mPlum 1 E16V 펩티드 사이의 in vitro 상보성은 우레아의 농도 변화(0.2-0.8M)에 따라 mPlum 1 E16V 펩티드의 더 높은 농도(4μM)가 더 빠른 상보성을 제공하며, 대략 24시간 후 평형에 도달한다. 또한, mPlum 1 펩티드의 Glu 16을 Val(발린)으로 대체한 돌연변이체(mPlum 1 E16V)는 높은 수준의 in vivo 형광 상보성을 나타내나, mPlum 1 펩티드의 Glu 16을 Ile(이소루이신) 또는 Met(메티오닌)으로 대체한 돌연변이체(mPlum 1 E16I, mPlum 1 E16M)는 낮은 수준의 in vivo 형광 상보성을 나타내고, 다른 돌연변이체들은 형광 신호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mPlum 1 E16V 펩티드가 우수한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mPlum 2-11과 자가-결합을 위한 mPlum 1 E16V 펩티드의 최소 잔기는 18개 아미노산이며, 상기 18개 아미노산이 최대 자가-결합의 임계점임을 확인하였다. 즉, 18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mPlum 1 E16V로부터 단지 하나의 잔기만을 제거하는 것이 형광 상보를 유의하게 방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Plum와 CpmPlum E16V는 HeLa 세포에서 적색 형광 활성을 나타낸 반면, mPlum 2-11 단편 단독은 형광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mPlum 2-11 및 MBP-mPlum 1 E16V 펩티드의 공-형질전환체는 밝은 적색 형광을 나타낸다. 따라서, mPlum 1 E16V 펩티드 태그가 포유동물 세포(HeLa 세포)에서 단백질의 태깅 및 검출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mPlum 1 E16V 펩티드에 태그된 MBP 단백질은 즉시 발현되는 반면, mPlum 2-11 단백질의 발현은 테트라사이클린 조절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야생형 mPlum 단백질은 테트라사이클린 유도시 적색 형광 신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MBP-mPlum 1 E16V 펩티드의 형광 라벨링은 테트라사이클린을 첨가하여 mPlum 2-11 단백질을 유도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mPlum의 적색 형광 신호는 테트라사이클린 유도 후 6시간 이내에 명백하게 관찰되고, mPlum 2-11가 MBP-mPlum 1 E16V 펩티드에 결합하고 성숙한 발색단을 형성하는데는 8시간이 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은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의 1번 β-가닥을 2~11번의 β-가닥 뒤에 유동 펩티드 링커를 통해 연결시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을 제조한 후, 상기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하여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제조하고 단독으로 돌연변이된 mPlum 1 펩티드(mPlum 1 E16V)를 mPlum 2-11 단백질로부터 분리하고 mPlum 2-11 단백질과 자가-결합하여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은 바이오센서로서 살아있는 세포에서의 단백질 위치, 단백질-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 등의 단백질 기능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적색 형광 단백질( mPlum )의 제조
1. 원순열된 mPlum 단백질( CpmPlum )의 제조
전장 mPlum 및 mPlum 2-11(잔기 25-216)과 같은 mPlum 단편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시판되는 mPlum 유전자(Clontech)로부터 PCR로 증폭시켰다. 이후 Escherichia coli에서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키기 위해, PCR 산물을 pET28a 발현벡터(Novagen)로 클론시켰다. mPlum 1 펩티드(잔기 6-23)의 박테리아 발현을 위해, mPlum 1 펩티드를 유동 펩티드 링커(GGSGGT)로 MBP(maltose binding protein)의 C-말단에 융합시키고, pET21a 발현벡터(Novagen)로 클론시켰다. 그 다음, 유동 펩티드 링커(GGTGGSGGTGGS)를 통해 mPlum 2-11 단편의 C-말단에 mPlum 1 단편을 융합시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을 제조하였다. 전장 mPlum 및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 및 3으로 표시되며, 도 1에 나타내었다[mPlum 1(적색), mPlum 2-11(청색), 및 Glu16(노란색)].
상기 제조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자가-결합 활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현 플라스미드가 사는 E. coli BL21(DE3) 세포를 OD600=0.6이 될 때까지 37℃에서 성장시켰다. 그리고, 단백질을 1mM IPTG(isopropyl-β-D-thiogalactopyranoside)로 유도시키고 25℃에서 밤새도록 배양하였다. 유도된 세포의 초음파-기준 파괴 후, 단백질을 Ni-킬레이팅 컬럼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을 PBS 완충액으로 투석하고, 사용 전 -20℃에서 저장하였다.
mPlum 단편의 in vivo 상보성은, mPlum 단편을 E. coli BL21(DE3)에서 공-발현시켜 실험하였다. 먼저, E. coli BL21(DE3) 세포를 mPlum 2-11(in pET28a, kanamycin resistant) 및 MBP-융합된 mPlum 1 펩티드(in pET21a, ampicillin resistant)의 발현벡터로 변형시키고, 암피실린과 카나마이신으로 보충된 LB 아가 배지에 있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위에 놓았다. 37℃에서 밤새 성장시킨 후, 막을 1mM IPTG를 함유하는 LB 플레이트로 옮겨 단백질을 유도하고, 2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 coli 콜로니의 형광 영상은 575㎚ 여기 필터와 670㎚ 방출 필터를 이용하여 발광 영상 분석기 LAS 3000(FujiFilm)으로 얻었다.
여러 mPlum 단편을 발현하는 E. coli 콜로니의 형광 영상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E. coli에서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은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하였으나, mPlum 1 단편과 mPlum 2-11 단편의 공-발현 및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은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하지 않았다. 따라서, mPlum 1 단편과 mPlum 2-11 단편은 자가-결합 활성을 가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 원순열된 mPlum 단백질( CpmPlum )의 돌연변이체의 제조 [ CpmPlum E16V ]
무작위로 돌연변이시킨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라이브러리를 error-prone PCR(GeneMorph II Random Mutagenesis Kit, STRATAGENE)로 제조하였다. PCR 산물을 pBAD-A 발현벡터로 클론하였다. 라이브러리 플라스미드를 TOP10 전기충격용 대장균 세포로 변형시키고, 직접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위에서 평판 배양하였다. 37℃에서 밤새 성장시킨 후, 막을 0.02% L-아라비노오스를 함유하는 LB 플레이트로 옮기고 단백질을 유도하였다. 막 위의 E. coli 콜로니에서 단백질 발현 및 형광물질(fluorophore) 형성을 16℃에서 며칠 동안 모니터하였다. 6×104 라이브러리로부터 형광 콜로니를 선택하고, 13개의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스크리닝하였다. 스크리닝된 13개의 돌연변이체(CpmPlum E16V)의 아미노산 치환을 분석하였으며,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클론 아미노산 치환
1 E230V
2 H148Y, M158V, E194V, H197Y, E230V
3 S88T, E230V
4 G102C, R125W, E218G, E230V, V236M
5 E218N, E219K, E230V
6 R227P, E230V
7 D150N, E230V
8 K229R, E230V
9 E218Q, E230V
10 R227P, E230V
11 S215N, E218K, E230V
12 K97M, E217G, E230V
13 N74T, E230V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리닝된 13개의 모든 CpmPlum 돌연변이체 (CpmPlum E16V)에서 mPlum의 Glu 16에 대응하는 하나의 공통된 돌연변이(Glu 230 to Val, E230V)가 관찰되었다.
3. mPlum 1 E16V 펩티드와 mPlum 2-11 단백질의 자가-결합
단독으로 돌연변이된 mPlum 1 펩티드(mPlum 1 E16V)를 mPlum 2-11 단백질로부터 분리하였다. 그 다음, MBP가 융합된 mPlum 1 펩티드를 His 태그된 mPlum 2-11 단백질과 공-발현시키고 SDS-PAGE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결합된 형광 단백질을 융합된 MBP 및 His 태그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mPlum 2-11 단백질을 화학적으로 합성된 mPlum 1 펩티드(mPlum 1 E16V)와 자발적으로 결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된 단백질들의 흡광 스펙트럼과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원순열된 CpmPlum 돌연변이체(CpmPlum E16V) 또는 mPlum 단편을 발현하는 E. coli 콜로니의 형광 영상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mPlum, mPlum E16V, CpmPlum E16V, mPlum 단편의 표준화된 흡광 스펙트럼(실선)과 형광 스펙트럼(점선, 570㎚에서 여기)은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mPlum 단편의 제조과정은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E. coli에서 원순열된 CpmPlum 돌연변이체 (CpmPlum E16V) 및 mPlum 2-11와 mPlum 1 E16V의 공-발현은 적색 형광 신호를 방출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제된 단백질은 원래의 단백질로부터 약간 청색 편이된 615㎚에서 최대 방출을 나타내었다. mPlum의 Glu 16 돌연변이체의 형광 방출에서 청색 편이는 이전에 보고되었다[X. Shu, L. Wang, L. Colip, K. Kallio, S. J. Remington, Protein Sci . 2009, 18, 460.]. 단백질 복합체(MBP-mPlum 1 E16V + His-mPlum 2-11) 및 원순열된 CpmPlum 돌연변이체(CmPlum E16V)의 흡광 스펙트럼과 형광 스펙트럼은 구별할 수 없었다. 또한, 반합성적으로 결합된 단백질(mPlum 1 E16V 펩티드 + mPlum 2-11)의 분광학적 특성은 공-발현된 단백질의 분광학적 특성과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mPlum 2-11 단편은 공-발현된 또는 합성된 mPlum 1 E16V 펩티드와 자가-결합됨을 확인하였다. 즉, mPlum 1 E16V 펩티드가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 mPlum 단편의 in vitro 상보성
mPlum 단편의 in vitro 상보성은 mPlum 2-11 및 합성 펩티드 mPlum 1 E16V (EVIKEFMRFKVHMEGSVN, Peptron)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변화하는 결합 완충액(50 mM Tris pH 7.4, 0.1 M NaCl, 10% glycerol, 1% DMSO, 및 0.2-0.8M urea)에서 1μM 의 mPlum 2-11 단백질과 1-4μM의 mPlum 1 E16V 펩티드의 최종 농도로 양 단편을 혼합하였다. mPlum 2-11과 합성 mPlum 1 E16V 펩티드의 결합 및 형광 상보성을 570㎚ 여기 및 615㎚ 방출에서 50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μM의 mPlum 2-11 단백질과 1-4μM의 mPlum 1 E16V 펩티드 사이의 in vitro 상보성은 우레아의 농도 변화(0.2-0.8M)에 따라 mPlum 1 E16V 펩티드의 더 높은 농도(4μM)가 더 빠른 상보성을 제공하였으며, 대략 24시간 후 평형에 도달하였다.
실험예 2 : 여러 mPlum 1 펩티드 돌연변이체와 mPlum 2-11의 in vivo 상보성
여러 mPlum 1 펩티드 돌연변이체와 mPlum 2-11과의 자가-결합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펩티드의 잔기가 형광 방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mPlum 1 펩티드의 Glu 16을 Gly(글리신), Ile(이소루이신), Met(메티오닌), Gln(글루타민) 및 Ser(세린)과 같은 여러 아미노산으로 돌연변이시켰다. 그 다음, 여러 mPlum 1 펩티드 돌연변이체와 mPlum 2-11의 in vivo 상보성을 E. coli 에서 공-발현시켜 조사하였다.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mPlum 1 펩티드의 Glu 16을 Val(발린)으로 대체한 돌연변이체(mPlum 1 E16V)는 높은 수준의 in vivo 형광 상보성을 나타내었으나, mPlum 1 펩티드의 Glu 16을 Ile(이소루이신) 또는 Met(메티오닌)으로 대체한 돌연변이체(mPlum 1 E16I, mPlum 1 E16M)는 낮은 수준의 in vivo 형광 상보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돌연변이체들은 형광 신호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mPlum 1 E16V 펩티드는 우수한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mPlum 2-11과 자가-결합을 위한 mPlum 1 E16V 펩티드의 최소 잔기 조사 및 형광 스펙트럼 관찰
mPlum 2-11과 자가-결합을 위한 mPlum 1 E16V 펩티드의 최소 잔기를 펩티드의 N- 또는 C-말단 아미노산을 체계적으로 제거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mPlum 1 E16V 펩티드의 잔기(아미노산 서열)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mPlum 2-11과 결합된 mPlum 1 E16V C-1 펩티드의 형광 스펙트럼, 및 mPlum 2-11과 결합된 CmPlum E16V의 형광 스펙트럼을 비교 관찰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펩티드 명 아미노산 서열 자가-결합
Long mPlum 1 E16V VSKGEEVIKEFMRFKVHMEGSVN 있음
mPlum 1 E16V EVIKEFMRFKVHMEGSVN 있음
mPlum 1 E16V C-1 EVIKEFMRFKVHMEGSV 약함
mPlum 1 E16V C-3 EVIKEFMRFKVHMEG 없음
mPlum 1 E16V N-3 KEFMRFKVHMEGSVN 없음
mPlum 1 E16V N-6 MRFKVHMEGSVN 없음
표 2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mPlum 2-11과 자가-결합을 위한 mPlum 1 E16V 펩티드의 최소 잔기는 18개 아미노산이었으며, 상기 18개 아미노산이 최대 자가-결합의 임계점임을 확인하였다. 즉, 18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mPlum 1 E16V로부터 단지 하나의 잔기만을 제거하는 것이 형광 상보를 유의하게 방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포유동물 세포에서 단백질-펩티드( mPlum 1 E16V )의 태깅 및 검출
1. 여러 mPlum 단편을 발현하는 HeLa 세포의 형광 영상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mPlum 1 E16V 펩티드가 포유동물 세포에서 단백질의 태깅 및 검출에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유전적으로 암호화된 펩티드 태깅과 외부적으로 적용된 형광 화합물로 펩티드의 검출은 다소 큰 형광 단백질 태그의 많은 한계를 극복하였다[a) I. Chen, A. Y. Ting, Curr . Opin . Biotechnol . 2005, 16, 35; b) H. M. O'Hare, K. Johnsson, A. Gautier, Curr . Opin . Struct . Biol. 2007, 17, 488.]. 그러나, 이러한 펩티드-화합물 라벨링 방법의 광범위한 사용은 비특이적 기저 신호, 세포 투과, 및 화합물의 한정된 자원에 의해 제한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유전적으로 암호화된 mPlum 2-11 단백질을 사용하여 형광 화합물을 대체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포유동물 세포에서 단백질을 발현시키기 위해, 단백질의 유전자를 pcDNA 발현벡터(Invitrogen)로 클론하였다. 자궁경부암 세포주(HeLa 세포)를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리포펙타민 2000(Invitrogen)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형질전환하였다. 형질전환 후 mPlum 단편의 여러 형태를 HeLa 세포에서 24시간 동안 발현시키고, 555/28㎚의 여기 필터와 617/23㎚의 방출 필터를 이용하여 DeltaVision RT fluorescent microscope(Applied Precision)로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을 얻었다.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mPlum와 CpmPlum E16V는 HeLa 세포에서 적색 형광 활성을 나타낸 반면, mPlum 2-11 단편 단독은 형광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mPlum 2-11 및 MBP-mPlum 1 E16V 펩티드의 공-형질전환체는 밝은 적색 형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Plum 1 E16V 펩티드 태그가 포유동물 세포(HeLa 세포)에서 단백질의 태깅 및 검출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여러 mPlum 단편을 순차적으로 발현하는 테트라사이클린 -조절 HeLa 세포의 형광 영상
mPlum 단편의 순차적 발현은 테트라사이클린-조절 발현(T-Rex) HeLa 세포주 (Invitrogen)와 함께 수행하였다. 테트라사이클린-조절 발현(T-Rex) HeLa 세포를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성장시키고, mPlum 또는 mPlum 2-11 단편의 유전자를 함유하는 pcDNA4/TO 발현벡터와 함께 형질전환하였다. MBP-mPlum 1 E16V 펩티드는 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pcDNA로 클론하였다. 첫째날, 테트라사이클린-조절 발현(T-Rex) HeLa 세포는 pcDNA-MBP-펩티드(mPlum 1 또는 mPlum 1 E16V 펩티드) 및 pcDNA4/TO-mPlum 2-11과 함께 공-형질전환하였다. 둘째날, 테트라사이클린(1㎍/㎖)을 세포 배양액에 가하여 mPlum 2-11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여러 테트라사이클린 유도 시점에서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을 얻었다. HeLa 세포에서 테트라사이클린-유도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야생형 mPlum 단백질도 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해 유도하였다.
여러 mPlum 단편을 순차적으로 발현하는 테트라사이클린-조절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은 도 9에 나타내었으며, 테트라사이클린의 유도 시점에서 여러 mPlum 단편을 순차적으로 발현하는 테트라사이클린-조절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은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mPlum 1 E16V 펩티드에 태그된 MBP 단백질은 즉시 발현되는 반면, mPlum 2-11 단백질의 발현은 테트라사이클린 조절에 의해 억제되었다. 또한, 야생형 mPlum 단백질은 테트라사이클린 유도시 적색 형광 신호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MBP-mPlum 1 E16V 펩티드의 형광 라벨링은 테트라사이클린을 첨가하여 mPlum 2-11 단백질을 유도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mPlum의 적색 형광 신호는 테트라사이클린 유도 후 6시간 이내에 명백하게 관찰되었고, mPlum 2-11가 MBP-mPlum 1 E16V 펩티드에 결합하고 성숙한 발색단을 형성하는데는 8시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시뉴클레인 -펩티드( Synuclein - peptide ) 융합 단백질의 특성
α-syn 야생형 및 c-말단 mPlum 1 E16V이 태깅된 α-syn 유전자를 pET21a에 클로닝 시켰다. 상기의 플라스미드를 포함한 BL21 (DE3) 세포를 37℃에서 OD600이 0.6이 될 때까지 배양하고, 단백질의 발현은 3시간 후 1mM IPTG로 유도하였다. 발현 유도된 세포는 10 mM Tris pH 7.4. 로 수집 및 발현을 중지시켰다.
세포 현탁액은 100℃에 20 분 동안 가열하고,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상층액은 천천히 냉각시키고, Q-Sepharose Fast Flow column (GE Healthcare) 안으로 로딩시켜, 200 mM NaCl이 포함된 10 mM Tris (pH 7.4)를 이용하여 녹였다. 정제된 α-syn 단백질은 20 mM HEPES pH 7.2 및 10 mM PMSF로 투석하고, -80℃에 저장하였다.
시험관 내(in vitro)에서의 통합 분석을 위해, 20 mM HEPES (pH 7.2) 및 10 mM PMSF에 α-syn 샘플을 포함하는 80 mM 단백질 500 mL을 유리 바이얼을 이용하여 37℃, 연속 교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원섬유(fibril formation) 형성은 2% 우라닐 아세테이트로 음성염색한 후에 20 mM Thioflavin T를 가진 형광 검출 및 전송 전자 현미경 검사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분석에 의해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작은 mPlum E16V 펩티드 (18 아미노산)는 a-syn의 C 말단에 융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펩티드-태깅된 a-syn의 섬유화 속성은 표준 티오플라빈 T 형광 분석(standard ThioFlavin T fluorescence assay) 및 TEM 분석처럼, a-syn 야생형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1a 및 b). 기본 집합 속성에서 큰 형광 단백질 태그 (w27 kDa)의 정확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작은 α-syn (w15 kDa)보다 오히려 논쟁적이다. 그러나, 작은 태그는 α-syn 폴딩 및 응집법의 연구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 중요하게는 최근에 보여준 여러 연구에서 α-syn의 cell-to-cell 전달이 병리학의 핵심 요소로 보여지고 있다.
a-syn의 펩티드 태그 검출은 GFPs와 같은 현저하게 세포성 단백질 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큰 단백질 때문에 cell-to-cell의 모니터링이 가치가 있을 것이다. 더욱이, 형광 단백질 단편의 자가-조립하는 다중 연쇄는 살아있는 세포 시스템에서 a-syn 단백질의 다양한 소스의 관찰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in vitro 및 대장균에서 mPlum 2-11 및 α-syn-tagged mPlum 1 E16V의 자가 조립 및 형광 신호의 발생을 확인하고 도 11 c 및 d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포유동물 세포주( mammalian cells )에서의 시뉴클레인 -펩티드( Synuclein - peptide ) 검출
mammalian cells에서의 단백질 발현을 위해 단백질 유전자는 pcDNA 발현 백터(Invitrogen)를 통해 클로닝하였다. 헬라 세포주(HeLa cells)는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리포펙타민 2000(Lipofectamine 2000 (Invitrogen))을 이용하여 형질 전환 시켰다. mPlum 단편의 다양한 형태는 헬라 세포주(HeLa cells)에서 감염 후 24시간에 발현되었으며, 형광 이미지는 DeltaVision RT fluorescent microscope (Applied Precision)의해서 획득하였다.
MNBP 펩티드-태킹 및 α-syn 단백질은 상기 실험예 4의 2의 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해 조절되지 않아, pcDNA로 클로닝 되었다.
첫째날, 테트라사이클린-조절 발현(T-Rex) HeLa 세포는 pcDNA-α-syn-펩티드(mPlum 1 또는 mPlum 1 E16V 펩티드) 및 pcDNA4/TO-mPlum 2-11과 함께 공-형질전환하였다. 둘째날, 테트라사이클린(1㎍/㎖)을 세포 배양액에 가하여 mPlum 2-11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여러 테트라사이클린 유도 시점에서 HeLa 세포의 형광 영상을 얻었다. HeLa 세포에서 테트라사이클린-유도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야생형 mPlum 단백질도 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해 유도하였다.
면역 조직 화학적 분석을 통해, 세포 표현 a-syn-펩티드는 제조자의 매뉴얼 (BD Bioscience)에 따라 고정되고 투과시켰다. 세포핵은 Hoechst 33342로 염색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α-syn은 α-syn 항체 Syn211로 염색되었으며, 이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mPlum 2-11 단백질로 유전학적으로 인코딩된 a-syn-mPlum 1 E16V를 관찰하였다. 펩티드 태깅된 α-syn은 mPlum 2-11 형광 검출 전에 1일 동안 발현시켰다. 세포의 α-syn 단백질은 mPlum 조립 및 α-syn-특이적인 항체 모두를 이용하여 이미징하였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종 분포 형광 신호(both homogeneously distributed fluorescence signals; 아마도 비집합적) 및 더욱 국한된 신호(localized signals; 아마도 집합적)는 mPlum 조립 및 및 항체 염색으로 관찬하였다. mPlum 및 항체 신호의 공존에서도 역시, 명백한 cell-to-cell의 변화가 있었다.
다양한 α-syn 검출 도구 및 α-syn-특이적 항체의 다양한 소스가 세포적 α-syn 이미징의 면역조직화학적 결과를 높게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자기 조립 GFP 및 mPlum 단편으로, 두개의 다양한 a-syn-펩티드 단백질이 관찰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유전학적으로 발현되고 외인성으로 전달되는 α-syn-펩티드 단백질 모두는 동시에 모니터링 될 수도 있다. 게다가 유전학적으로 인코딩된 mPlum 2-11 단편 또한 α-syn-펩티드 타켓의 검출을 허락하고, 이는 셀의 특정 부분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mPlum 상보성을 위해 α-synpeptide 폴딩 상태의 효과를 연구하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9)

  1.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의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
  2. 제 1항의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코딩하는 유전자.
  3. 제 2항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4. 제 3항의 발현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대장균(E. col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주 세포.
  6. 제 1항의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포함하는 단백질 검출용 키트.
  7. 1) 적색 형광 단백질(mPlum)의 1번 β-가닥을 2~11번의 β-가닥 뒤에 유동 펩티드 링커를 통해 연결시켜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원순열된 mPlum 단백질(CpmPlum)의 1번 β-가닥의 아미노산 서열 중 16번의 Glu(글루탐산)을 Val(발린)으로 대체하여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돌연변이체(CpmPlum E16V)를 mPlum 2-11 단편과 mPlum 1 E16V 단편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분리한 mPlum 2-11 단편과 mPlum 1 E16V 단편을 자가-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의 제조방법.
  8.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maltose-binding protein)을 융합한 mPlum 1 E16V (MBP-mPlum 1 E16V)와 His-태그된 mPlum 2-11(His-mPlum 2-11)을 숙주 세포에서 함께 발현시킨 후 숙주 세포에서 적색 형광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E. col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mPlum 1 E16V)을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KR1020110118545A 2010-11-16 2011-11-14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KR10128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8697 WO2012067402A2 (ko) 2010-11-16 2011-11-15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3703 2010-11-16
KR1020100113703 2010-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72A KR20120052872A (ko) 2012-05-24
KR101280014B1 true KR101280014B1 (ko) 2013-06-28

Family

ID=4626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545A KR101280014B1 (ko) 2010-11-16 2011-11-14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373B1 (ko) * 2019-01-04 2021-02-25 한국과학기술원 단일분자 형광 상보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12B1 (ko) * 2006-01-20 2009-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12B1 (ko) * 2006-01-20 2009-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smid Vol.61(2):110-118(2009) *
논문1:BIOCHEM BIOPHYS RES COMMU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72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 et al. A novel far-red 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 system that allows for efficient visualization of protein interactions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US7585636B2 (en) Protein subcellular localization assays using split fluorescent proteins
JP2008521447A (ja) 蛍光タンパク質マイクロドメインを使用するタンパク質−タンパク質相互作用検出システム
JP2007508841A (ja) 自己組織化するスプリット蛍光タンパク質システム
DK2451841T3 (en) Detection and visualization of the cell cycle in living cells
US20150225467A1 (en) Novel far red fluorescent protein
JP4748719B2 (ja) 生細胞内の特定タンパク質の定量方法および標準蛍光マイクロビーズの作製方法
JPWO2003033693A1 (ja) 蛍光蛋白質
JP4852676B2 (ja) 蛍光蛋白質及び色素蛋白質
EP2685260A1 (en) Direct and quantitative detection of targets in living cells
KR101280014B1 (ko)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US8541558B2 (en) Fluorescent proteins and uses thereof
JP2005527210A (ja) 薬物スクリーニングのためのトランスロケーション依存的な相補性
Keem et al. Splitting and self-assembling of far-red fluorescent protein with an engineered beta strand peptide: application for alpha-synuclein imaging in mammalian cells
Kodama A bright green-colored 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 assay in living plant cells
CA2949355A1 (en) Genetically encoded sensors for imaging proteins and their complexes
EP3932934A1 (en) Fusion protein of antigen-binding protein and fluorescent protein or fluorescence-labeled tag protein
WO2012067402A9 (ko) 자가-결합 활성을 갖는 적색 형광 단백질 단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Junghans et al. Monitoring the diffusion behavior of Na, K-ATPase by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FCS) upon fluorescence labelling with eGFP or Dreiklang
US20230203110A1 (en) Photostable fluorescent proteins
WO2013087921A1 (en) Engineered fluorescent proteins for enhanced fret and uses thereof
WO2013163681A1 (en) Fluorescent proteins and uses thereof
CN118108809A (zh) 一种跨膜荧光蛋白、水溶荧光蛋白及其用途
WO2013087922A1 (en) Methods for producing engineered fluorescent proteins for enhanced fret, products and uses thereof
Shaner Engineering novel fluorescent prote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