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626B1 - 파티션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파티션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626B1
KR101278626B1 KR1020090079905A KR20090079905A KR101278626B1 KR 101278626 B1 KR101278626 B1 KR 101278626B1 KR 1020090079905 A KR1020090079905 A KR 1020090079905A KR 20090079905 A KR20090079905 A KR 20090079905A KR 101278626 B1 KR101278626 B1 KR 10127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display
partition
off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355A (ko
Inventor
신종업
문규선
Original Assignee
(주)미러비전
(주)디에스일렉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러비전, (주)디에스일렉트론 filed Critical (주)미러비전
Priority to KR102009007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6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파티션디스플레이를 통해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공간에서 오픈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개개인의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파티션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을 통해 사무실 내의 알림내용을 개시한다거나,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어, 별도의 전광판과 같은 별도의 알림판 및 광고판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사무실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무용 책상에 별도의 모니터를 올려놓고 사용할 필요가 없어, 사무용 책상의 주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을 메인프레임 내에서 상,하,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된다.
파티션, 디스플레이

Description

파티션디스플레이{Partition display}
본 발명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공간에서는 오픈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구성원이 창의성과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작업영역을 적절하게 확보하고 시선의 분산을 알맞게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무실 내에 개개인의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고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파티션을 설치하고 있으며, 파티션을 설치한 다음에는 개인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편리하도록 파티션에 사무용 책상을 밀착하여 사무를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사무실에서는 각종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사용되는데, 컴퓨터는 크게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며, 이중 모니터와 키보드 그리고 마우스는 사무용 책상 상단에 올려놓고 사용한다.
이에 따라, 사무용 책상의 주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공간에서는 오픈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개인의 작업영역을 적절하게 확보하고 시선의 분산을 알맞게 차단하는 동시에 사무용 책상의 주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으로 짜여진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과 제 1 및 제 2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파티션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서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며,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후방으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 1 수평프레임 상에 설치된 제 1 리니어모션가이드(leaner motion guide)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리니어모션가이드와 결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 가장자리부는 그립(grip) 형태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결합되는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는 상기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가능한 회전그립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회전그립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중심부를 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상, 하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전,후 방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회전 및 상,하,좌,우의 슬라이딩 이동은 스위칭(switching)을 통해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 가장자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온/오프(on/off), 화상의 재생(play) 및 정지(stop) 또는 빨리감기(fast foward), 되감기(rewine), 일시정지(pause), 휘도 조절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이동을 실행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는 입출력포트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디스플레이패널, 구동회로부, 이들을 둘러싸서 결합하는 디스플레이프레임부 및 외곽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양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듀얼 디스플레이모듈이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는 하프미러(half mirror)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티션디스플레이를 통해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공간에서 오픈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구성원이 창의성과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작업영역을 적절하게 확보하고 시 선의 분산을 알맞게 차단할 수 있어, 사무실 내에 개개인의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파티션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을 통해 사무실 내의 알림내용을 개시한다거나,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어, 전광판과 같은 별도의 알림판 및 광고판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설치할 공간 역시 불필요함으로써, 사무실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무용 책상에 별도의 모니터를 올려놓고 사용할 필요가 없어, 사무용 책상의 주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을 메인프레임 내에서 상,하,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디스플레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디스플레이(100)는 메인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데, 메인프레임(110)은 내부에 디스플레이모듈(200)이 결합되는 구조로서,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111a, 111b)과 제 1 및 제 2 수평프레임(113a, 113b)이 사각으로 짜여져 프레임을 이룬 구조로서, 그 내부에 사각의 공간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사각의 공간부(115)의 제 1 수평프레임(113a) 상부에 디스플레이모듈(200)이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전,후방을 공간부(115)의 양측면이라 정의하면, 공간부(115)의 양측면으로 투명한 제 1 및 제 2 유리(117a, 미도시)가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전, 후방은 제 1 및 제 2 유리(117a, 미도시)를 통해 확인가능하다.
그리고, 하부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인프레임(110)의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111a, 111b)으로부터 연장된 제 3 및 제 4 수직프레임(121a, 121b)으로 이루어지며, 하부프레임(120)의 양측면에는 마감패널(123)이 결합된다.
마감패널(123)은 내부에 하나콤(미도시)을 내장하고 접착제 등을 통해 칼라원단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수평프레임(113b)의 상면에는 프레임덮개(119)가 결합되며, 하부프레임(120)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부재(125)가 결합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20)의 하단에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전원공급을 위해 전선배출홈(미도시)이 마련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디스플레이패널, 구동회로부, 이들을 둘러싸서 결합하는 디스플레이프레임부 및 외곽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효과표 시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계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EL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회로부는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영상신호 및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패널로 각종 제어신호와 게이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프레임부는 각각 디스플레이패널 및 구동회로부의 상부, 측면부, 하부를 감싸며 서로 결합되는 탑, 메인, 버툼 프레임(top, main and bottom frames)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는 프레임부 등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티션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공간에서 오픈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구성원이 창의성과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작업영역을 적절하게 확보하고 시선의 분산을 알맞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무실 내에 개개인의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고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특히,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을 통해 사무실 내의 알림내용을 개시한다거나,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무실 내에서는 전광판과 같은 별도의 알림판 및 광고판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설치할 공간 역시 불필요함으로써, 사무실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일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210)는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로써,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전, 후방에 결합되는 유리(117a, 미도시)의 외부로 돌출된 외장형 터치 스위치이거나, 유리(117a, 미도시)의 내부로 장착된 내장형 터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210)는 디스플레이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모듈(200)로 구현되는 화상의 재생(play) 및 정지(stop) 또는 빨리감기(fast foward), 되감기(rewine), 일시정지(pause)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이동을 실행시키는 스위치(210)이다.
또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휘도(luminance)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210)이다.
또한, 본 발명의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제 1 수평프레임(113a) 상에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의 다수의 입출력포트(220)를 구비한다.
입출력포트(220)는 디스플레이모듈(200)과 주변장치(미도시)들과의 접촉을 위한 것으로, 입출력포트(220)들은 다수개의 USB 포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모듈(200) 자체에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사운드 관련 장치들을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입출력포트(220)들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은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미도시)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모 듈(20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미도시) 등과도 입출력포트(220)를 통해 데이터 등을 전송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무선통신 기능을 더욱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별도의 케이블 구성없이 호스트 컴퓨터(미도시)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 등을 전송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00)의 무선통신 기능은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 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그리고 UWB(ultra-wide band)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00)과 호스트 컴퓨터(미도시) 간은 무선으로 인터넷, USB(universal serial bus)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RSS를 통한 실시간 디스플레이화면 등을 송수신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은,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미도시)로부터 동시에 여러대의 디스플레이모듈(200)로 데이터 등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에, 사무실 내의 알림내용을 개시한다거나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를 구현 하고자 할 때에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은 호스트 컴퓨터(미도시)를 통해 모두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다수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이 모두 동일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케이블 연결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은 개인용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 등과도 무선으로 데이터 등을 전송받을 수도 있어, 개인적으로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일예로 사용자가 멀리 떨어져 있는 독립된 공간인 회의실로부터 자료전송을 요청받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회의실의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모듈(200)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인프레임(110)의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111a, 111b)으로부터 연장된 제 3 및 제 4 수직프레임(121a, 121b)으로 이루어지며, 하부프레임(120)의 양측면에는 마감패널(123)이 결합된다.
또한, 파티션디스플레이(100)를 개인 사무용 책상에 설치할 경우,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모듈(200)에 컴퓨터(미도시)를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모듈(200)을 컴퓨터(미도시)의 모니터로써 겸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사무실 내에서 개인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편리하도록 파티션에 사무용 책상을 밀착하여 사무를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사무실에서는 각종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컴퓨터는 크게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며, 이중 모니터와 키보드 그리고 마우스는 사무용 책상 상단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사무용 책상의 주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 점이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티션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실내공간에서 오픈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구성원이 창의성과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작업영역을 확보하는 동시에,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을 컴퓨터(미도시)의 모니터를 겸용해서 사용함으로써, 사무용 책상(300)에 별도의 모니터를 올려놓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무용 책상(300)에는 키보드(311) 그리고 마우스(312)만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무용 책상(300) 주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이 역시 사무실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을 양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듀얼 디스플레이모듈로 구비할 경우,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전,후 방향 즉, 공간부(115)의 양측면으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사무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일예로, 도 4a ~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라는 작업공간과 B라는 작업공간을 본 발명의 파티션디스플레이(100)를 통해 독립된 공간으로써 분리되도록 할 경우, A 작업공간과 B 작업공간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A 작업공간과 B 작업공간 동시에 듀얼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화상을 통해 사무실 내의 알림내용이 개시되거나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A 작업공간과 B 작업공간에서 파티션디스플레이(100)에 사무용 책 상(300a, 300b)을 밀착하여 사무를 보는 경우, A 작업공간과 B 작업공간의 사무용 책상(300a, 300b)에 별도의 모니터(미도시)를 올려놓고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무용 책상(300a, 300b)의 주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A 작업공간과 B 작업공간 모두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유리(117a, 117b)를 가변유리(half mirror)로 사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유리(117a, 117b)가 미러(mirror)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프미러는 빛이 비춰지면 그림이나 문자를 보일 수 있는 유리와 같은 성질(투과성)을 가지나 어두울때에는 거울과 같이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유리(117a, 117b)를 하프미러로 사용하면, 제 1 및 제 2 유리(117a, 117b)는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이 화상을 구현하는 동안에는 투명한 유리로써 디스플레이모듈(200)이 구현하는 화상이 투과되도록 하나, 디스플레이모듈(200)이 화상을 구현하지 않는 동안에는 거울로써 작동하는 것이다.
이에,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통해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모듈(200)이 화상을 구현하지 않는 동안 사용자는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거울을 주의 깊게 보다가 갑자기 거울이 사라지고 어떤 광고그림이나 홍보그림이 갑자기 나타나게 된다면 신선한 충격을 느끼게 될 것이고, 이러한 광고 및 홍보내용에 대한 영상은 사용자의 잠재의식 속에 오래 간직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 용으로 매우 효과가 있을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사이즈가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메인프레임(110)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크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사이즈는 사무실의 인테리어 및 사용자의 요구등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파티션디스플레이(10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모듈(200) 또한 다양한 사이즈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메인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이 메인프레임(120)의 크기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메인프레임(120)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메인프레임(120)의 제 1 수평프레임(113a) 상에 리니어모션가이드(leaner motion guide : 이하 LM 가이드라 함)를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메인프레임(120)은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111a, 111b)과 제 1 및 제 2 수평프레임(113a, 113b)이 사각으로 짜여져 프레임을 이룬 구조로서, 그 내부에 사각의 공간부(115)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수평프레임(113a) 상에는 제 1 LM 가이드(400)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제 1 LM 가이드(400)와 결합되어 사각의 공간부(115)에 구비된다.
이때, 제 1 LM 가이드(400)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일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도록 “U” 형태의 그립(grip : 미도시) 형태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일 가장자리는 그립(미도시)에 삽입되어, 제 1 LM 가이드(400)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다.
또는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일 가장자리가 “U” 형태의 그립(grip)으로 이루어지며, 제 1 LM 가이드(400)는 그립(미도시)과 결합되는 레일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제 1 LM 가이드(400)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슬라이딩 이동은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일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스위치(210)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원하는 위치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 및 고정 가능하다.
삭제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메인프레임(120) 내에서 상,하,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디스플레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때, 여기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도 5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디스플레이(100)는 메인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데, 메인프레임(110)은 내부에 디스플레이모듈(200)이 결합되는 구조로서,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111a, 111b)과 제 1 및 제 2 수평프레임(113a, 113b)이 사각으로 짜여져 프레임을 이룬 구조로서, 그 내부에 사각의 공 간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사각의 공간부(115)의 제 1 수평프레임(113a) 상부에 디스플레이모듈(200)이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전,후방을 공간부(115)의 양측면이라 정의하면, 공간부(115)의 양측면으로 투명한 제 1 및 제 2 유리(117a, 미도시)가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전,후방은 제 1 및 제 2 유리(117a, 미도시)를 통해 확인가능하다.
그리고, 하부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인프레임(110)의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111a, 111b)으로부터 연장된 제 3 및 제 4 수직프레임(121a, 121b)으로 이루어지며, 하부프레임(120)의 양측면에는 마감패널(123)이 결합된다.
마감패널(123)은 내부에 하나콤(미도시)을 내장하고 접착제 등을 통해 칼라원단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수평프레임(113b)의 상면에는 프레임덮개(119)가 결합되며, 하부프레임(120)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부재(125)가 결합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20)의 하단에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전원공급을 위해 전선배출홈(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때,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메인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이 메인프레임(120)의 크기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가질 경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메인프레임(120) 내에서 상,하,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 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수평프레임(113a) 상에는 제 1 LM 가이드(400)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제 1 LM 가이드(400)와 결합되어 사각의 공간부(115)에 구비된다.
이때, 제 1 LM 가이드(400)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일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도록 “U” 형태의 그립(grip : 미도시) 형태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일 가장자리는 그립(미도시)에 삽입되어, 제 1 LM 가이드(400)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다.
또는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일 가장자리가 “U” 형태의 그립(grip)으로 이루어지며, 제 1 LM 가이드(400)는 그립(미도시)과 결합되는 레일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양측 즉,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111a, 111b)과 평행한 양측 가장자리부는 한쌍의 제 2 및 제 3 LM 가이드(410a, 410b)에 결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제 2 및 제 3 LM 가이드(410a, 4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도록 각각 “U” 형태의 그립(grip : 미도시) 형태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양측 가장자리부는 그립(미도시)에 삽입되어,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다.
또는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U” 형태의 그립(grip)으로 이루어지며,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는 그립(미도시)과 결합되는 레일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제 1 수평프레임(113a) 상에 형성된 제 1 LM 가이드(400)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결합되는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메인프레임(120) 내에서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모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러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상,하,좌,우 슬라이딩 이동 또한 스위치(21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원하는 위치로 상,하,좌,우 슬라이딩 이동 및 고정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0)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스위치(21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된다.
일예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모듈(200)을 컴퓨터(미도시)의 모니터 등의 개인적인 용도로써 사용하고자 하면,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사무용 책상(도 2의 300) 앞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제 1 수평프레임(113a)과 근접한 위치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사용자가 다수의 사람들이 모두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회의 등을 진행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면,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은 넓은 영역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모두 볼 수 있어야 하므로, 다수의 사람들이 앉아 있는 위치의 상측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제 2 수평프레임(113b)과 근접한 위치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역시, 다수의 사람들이 모두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에 회전그립(420a, 420b)을 구성하여, 회전그립(420a, 420b)이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중심부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에 장착된 회전그립(420a, 420b)은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그립(420a, 420b)은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중심부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모듈(200)은 회전그립(420a, 420b)을 통해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회전 또한 가능하다.
즉,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의 회전그립(420a, 420b)은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전, 후방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한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모듈(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모듈(200)의 각도 조절 또한 스위치(210)를 통해 손쉽게 조작가능하며, 회전그립(420a, 420b)의 형태는 제 2 및 제 3 가이드(410a, 410b)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양측 가장자리부 일부와 결합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티션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공간에서 오픈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구성원이 창의성과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작업영역을 적절하게 확보하고 시선의 분산을 알맞게 차단할 수 있어, 사무실 내에 개개인의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특히, 파티션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을 통해 사무실 내의 알림내용을 개시한다거나, 광고 및 홍보 등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어, 전광판과 같은 별도의 알림판 및 광고판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설치할 공간 역시 불필요함으로써, 사무실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무용 책상(도 2의 300)에 별도의 모니터를 올려놓고 사용할 필요가 없어, 사무용 책상(도 2의 300)의 주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을 메인프레임(120) 내에서 상,하,좌,우로 슬라이 딩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위치(210) 조작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20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모듈(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디스플레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파티션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모듈을 컴퓨터의 모니터 겸용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 ~ 4b는 듀얼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디스플레이모듈이 파티션디스플레이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디스플레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디스플레이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Claims (13)

  1. 사각으로 짜여진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과 제 1 및 제 2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파티션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서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며,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후방으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유리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 1 수평프레임 상에 설치된 제 1 리니어모션가이드(leaner motion guide)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니어모션가이드와 결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 가장자리부는 그립(grip) 형태인 파티션디스플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결합되는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는 상기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리니어모션가이드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가능한 회전그립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회전그립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중심부를 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상, 하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전,후 방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회전 및 상,하,좌,우의 슬라이딩 이동은 스위칭(switching)을 통해 작동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 가장자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온/오프(on/off), 화상의 재생(play) 및 정지(stop) 또는 빨리감기(fast foward), 되감 기(rewine), 일시정지(pause), 휘도 조절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이동을 실행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된 파티션디스플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는 입출력포트가 구비된 파티션디스플레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디스플레이패널, 구동회로부, 이들을 둘러싸서 결합하는 디스플레이프레임부 및 외곽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파티션디스플레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파티션디스플레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파티션디스플레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양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듀얼 디스플레이모듈인 파티션디스플레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는 하프미러(half mirror)인 파티션디스플레이.
KR1020090079905A 2009-08-27 2009-08-27 파티션디스플레이 KR10127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905A KR101278626B1 (ko) 2009-08-27 2009-08-27 파티션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905A KR101278626B1 (ko) 2009-08-27 2009-08-27 파티션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355A KR20110022355A (ko) 2011-03-07
KR101278626B1 true KR101278626B1 (ko) 2013-06-25

Family

ID=4393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905A KR101278626B1 (ko) 2009-08-27 2009-08-27 파티션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105B1 (ko) * 2012-12-14 2014-11-25 주식회사 프라이머스코즈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파티션
GB201708710D0 (en) * 2017-05-31 2017-07-19 Clements Robert James A device
CN108784180A (zh) * 2018-07-26 2018-11-13 北京望远传媒有限公司 智能镜箱
KR102091021B1 (ko) * 2018-09-06 2020-03-19 황복득 이동식 사인보드
KR102264923B1 (ko) * 2020-09-11 2021-06-11 김봉수 다기능 듀얼 모니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584A (ja) 1999-10-15 2001-04-24 Kokuyo Co Ltd パネル
KR20010074207A (ko) * 2001-04-10 2001-08-04 김진경 적외선센서와 컴퓨터를 구비한 하프거울 장치
KR100891646B1 (ko) 2007-05-28 2009-04-02 빛샘전자주식회사 양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도트라인 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584A (ja) 1999-10-15 2001-04-24 Kokuyo Co Ltd パネル
KR20010074207A (ko) * 2001-04-10 2001-08-04 김진경 적외선센서와 컴퓨터를 구비한 하프거울 장치
KR100891646B1 (ko) 2007-05-28 2009-04-02 빛샘전자주식회사 양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도트라인 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355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626B1 (ko) 파티션디스플레이
US8075145B2 (en) Display screen shades for mobile devices
US9529194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6437974B1 (en) Freestanding electronic presentation system
EP3072009B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10320962B1 (en) Dual screen smartphone and portable devices with a full display screen
US201302858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ual Displays Provided on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nd for Operations Thereon
EP2777441B1 (en) Showcas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showcase system including same
US10771663B2 (en) Pressure pivoting electronic mirroring device
US20100263802A1 (en) Movable office screen system
US6947014B2 (en) Personalized, private eyewear-based display system
KR20170009001A (ko)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74109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현실 시스템
US20130016078A1 (en) Multi-perspective imaging systems and methods
CN209879369U (zh) 一种可折叠护眼平板
US98980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90011701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20160327729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20160144165A (ko) 스위블 회전 및 틸트 각도 조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스마트기기용 보호케이스
CN210158204U (zh) 化妆镜
CN108267860B (zh) 头戴式显示装置
CN207867837U (zh) 一种基于视觉暂留效应的显示设备
WO2020037637A1 (zh) 一种十字型全息广告风扇屏
CN105975015A (zh) 一种智能的镜面灯
CN113384108A (zh) 冷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