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307B1 - Power supply system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307B1
KR101278307B1 KR1020110080659A KR20110080659A KR101278307B1 KR 101278307 B1 KR101278307 B1 KR 101278307B1 KR 1020110080659 A KR1020110080659 A KR 1020110080659A KR 20110080659 A KR20110080659 A KR 20110080659A KR 101278307 B1 KR101278307 B1 KR 10127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torage unit
charging
pow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7919A (en
Inventor
현덕수
송리규
심종수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1008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307B1/en
Priority to JP2011193531A priority patent/JP5449278B2/en
Publication of KR2013001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3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축전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축전부의 충전상태에 따라 바이패스(by pass)회로를 작동하는 BMS;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을 별도로 충전하고,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되면 상기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 및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시스템 외부로 전달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은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은 바이패스회로를 통해 정전을 인식하면 자동으로 비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며, 원하는 시간대에 충전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전력이 저렴한 시간대에 비상용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효과, 정전류-정전압-펄스 방식의 충전을 택하여 충전시간이 단축되고 충전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그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므로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 및 방전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효과, 충전된 전력을 방전시 다수의 FET 와 부스바를 적용하여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 power storage unit and an output unit, the BMS monitors the state of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and bypass circuits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BMS to operate; A power storage unit for separately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and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s out of power;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transfer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can recognize the power failure through the bypass circuit automatically supply the emergency power, the loss of unnecessary power does not occur, can be charged at the desired time, so the relatively power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emergency power in this low-cost period, the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pulse charging method can be used to shorten the charging time and improve the charging efficiency. Overdischarge can be prevented, and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 can be maintained in an optimal state, and the dischar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applying a plurality of FETs and busbars when discharging the charged power.

Description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 {Power supply system}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통전원의 전력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축전부에 충전된 전력을 시스템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for stably supplying power charged to a power storage unit to a system when a problem occurs in power supply of a system power source.

통상적으로 비상용 전력공급 장치는 전력공급회사의 발전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거나, 자연재해 등으로 전력공급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원하는 장소에 원하는 만큼의 전력을 일시적으로 공급해주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the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temporarily supplies as much power as desired to a desired place when a power supply company fails to receive power due to a problem in the power generator, or when a power supply line fails due to a natural disaster. .

종래의 비상용 전력공급 장치는 계통전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였다가, 정전시 또는 계통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Conventional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ystem power to charge the power to the battery, it is common to use in places where power failure or grid power is not supplied.

종래의 비상용 전력공급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수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용도의 한계가 존재하였다.Conventional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has a limit of use as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is made manually.

종래에는 원하는 장소에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비상용 전력공급 장치를 수동으로 가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전력공급 차단으로부터 정상화 하는데 현실적인 불편함이 존재하였다.In the related art, since the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had to be manually operated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desired place was stopped, there was a practical inconvenience in normalizing the power supply cutoff.

또한 종래에는 계통전원을 통해서만 배터리를 충전하였기 때문에, 전력충전에 따른 비용이 소모되고, 계통전력이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보완할 전력공급 수단이 없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since the battery was charged only through the system power, the cost of power charging was consumed, and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re was no power supply means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in the system power.

본 발명은 계통전원 및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발전된 전력을 고효율로 충전시켜 원하는 장소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충전을 수행하는 시간대를 조절할 수 있어 심야의 잉여전력을 활용하여 비상전력을 충전하고, 정전이 되면 자동으로 비상용 전력으로 전력공급 방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lied to the power generated by the system power and renewable energy with high efficiency to stably supply power to the desired place, and to adjust the time zone to perform the charge to charge the emergency power by utilizing the surplus power of the late nigh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truct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verts the power supply method to emergency power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본 발명에 따른 계통전원,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축전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은 상기 BMS는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상기 계통전원의 전력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축전부의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을 직접 전달하는 바이패스(by pass)회로를 작동하는 BMS;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을 별도로 충전하고,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되면 상기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 및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시스템 외부로 전달하는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grid power supply,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 power storage unit and an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MS monitors the power state of the system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he charge state of the power storage unit A BMS operating a bypass circuit for directly transferring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o the output unit; A power storage unit for separately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and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s out of power;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transfer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 ≪ / RTI >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력을 발전하고, 상기 계통전원과 병렬로 상기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신재생에너지전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power through renewable energy, renewable energy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in parallel with the grid power;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회로는, 상기 계통전원 또는 신재생에너지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상기 출력부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공급하는 통과회로부; 상기 통과회로부를 통과하는 전력을 상기 축전부로 우회하여 공급하는 충전회로부; 및 상기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계통전원, 상기 신재생에너지전원 또는 축전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력 공급원에 역방향으로 전력이 유입되면 상기 BMS와 상기 전력 공급원의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회로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circuit includes a pass circuit unit for directly connecting the power input from the system power or renewable energy power supply to the output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for bypassing and supplying power passing through the passing circuit unit to the power storage unit; And a blocking circuit unit which cuts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BMS and the power supply source when power is supplied in a reverse direction to any one of the system power source,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and the power storage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system. . ≪ / RTI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전원감시부; 상기 축전부에 전력의 충전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충전시간 제어부; 및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되면 상기 축전부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축전부의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을 직접 전달하는 바이패스회로를 동작하는 전원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MS, the power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in real time the supply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A charging time control unit controlling a time for starting and ending charging of electric power in the power storage unit; And a power control unit controlling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unit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s out of power, and operating a bypass circuit to directly transfer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o the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 ≪ / RTI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MS는, 전압-정전류-펄스 충전방식으로 상기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펄스 충전부; 상기 신재생에너지전원으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상기 축전부에 충전이 가능한 직류 전력의 형태로 변환하는 신재생에너지 충전부; 및 상기 축전부의 SOC(State Of Charge)를 감시하고, 상기 SOC에 따라 상기 펄스 충전부 또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충전부를 제어하는 축전부 감시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MS, the pulse charg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torage unit in the voltage-constant current-pulse charging method;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for convert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into the form of direct current power that can be charged to the power storage unit; And a power storage unit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monitor a state of charge (SOC) of the power storage unit and to control the pulse charging unit or the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SOC. . ≪ / RTI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는, 상기 축전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다수의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기판에 병렬로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에서 방전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 되는 FET의 수를 제어하는 다중병렬 FET 회로; 및 다수의 부스바(bus bar)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에서 방전되는 전력을 상기 출력부로 전달하는 다중부스바;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torage unit, a battery for charg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torage unit; A multi-parallel FET circuit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eld effect transistors (FETs) in parallel on a substrate and controlling the number of FETs activ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And a plurality of bus bars, the bus bars configured to transfer powe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to the output unit. . ≪ / RTI >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은 상기 축전부의 온도를 감시하고, 냉각팬을 구동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torage unit, the cooling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driving a cooling fan;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에 입출력하는 전력의 공급상태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 real time the supply state of the power input and output to the system;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은 바이패스회로를 통해 정전을 인식하면 자동으로 비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can automatically supply emergency power when the power failure is recognized through the bypass circuit.

또한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며, 원하는 시간대에 충전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전력이 저렴한 시간대에 비상용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nnecessary power loss does not occur, and since charging is possible at a desired time period, there is an effect of charging emergency power in a relatively low power time period.

또한 정전류-정전압-펄스 방식의 충전을 택하여 충전시간이 단축되고 충전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harging time and improve the charging efficiency by selecting the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pulse type charging.

또한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그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므로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 및 방전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te of charge is monitored and its details are displayed, overcharge or overdischarge can be prevented, and the state of charge and discharge can be maintained in an optimal state.

또한 충전된 전력을 방전시 다수의 FET 와 부스바를 적용하여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by applying a plurality of FETs and busbars when discharging the charged pow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의 도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회로 구성의 세부 구성의 도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BMS 구성의 세부 구성의 도시도.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전부 구성의 세부 구성의 도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ypass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MS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ower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d there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의 도시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10), 축전부(20), 출력부(30), 디스플레이부(40), 냉각부(50), 계통전원(60), 신재생에너지전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 1, the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10, power storage unit 20, the output unit 30, the display unit 40, the cooling unit ( 50), the system power source 60, and renewable energy source 70 is made.

계통전원(60)이란 발전소로부터 송전선로를 통해서 전력이 요구되는 장소에 맞는 전압이나 전력의 형태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말한다.The grid power supply 60 refers to a power supply that is converted and supplied in the form of a voltage or power suitable for a place where power is required from a power plant through a transmission line.

신재생에너지전원(70)이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발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의미하고, 신재생에너지의 예로써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등을 들 수 있다. 각각의 신재생에너지전원(70)은 활용되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방식에 따라 직류 또는 교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refers to a power source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supplying power through renewable energy, which converts existing fossil fuels or converts renewable energy including sunlight, water, geothermal energy, and bioorganisms. Examples of renewable energy include solar heat,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iomass, wind power, small hydropower, geothermal energy, marine energy, waste energy, fuel cells, coal liquefied gas, hydrogen energy, and the like. Each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may have a form of direct current or alternating current according to the generation method of renewable energy utilized.

축전부(20)는 도1에 따른 일 실시예의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을 별도로 충전하고,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되면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축전부(20)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등의 충전수단과 시스템으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전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torage unit 20 may separately charg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of the embodiment of FIG. 1, and supply power to the system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s out of power. Therefore, the power storage unit 20 may include a charging means such as a battery capable of stably charging the power and a discharge line for stably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BMS(10)는 도1에 따른 일 실시예의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고, 축전부(20)의 충전상태에 따라 바이패스 회로를 작동할 수 있다.The BMS 10 may monitor the state of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 and operate the bypass circuit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전력은 계통전원(60) 및 신재생에너지전원(70)을 통해 생산 및 전달이 이루어지며, BMS(10)는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가 안정적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에 전달되는 전력의 차단되는 상황(정전)이나, 사전에 정하여진 시스템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전력의 공급상태가 급속히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등의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BMS(10)에서 이를 감지하고 계통전원(60) 또는 신재생에너지전원(70)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게 된다.Power is produced and delivered through the system power source 60 and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the BMS 10 can monitor in real time whether the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s stable. Therefore, in case of unstable condition such as interruption of power delivered to the system (power failure), minimum power required for the predetermined system is not supplied, or power supply rapidly increases or decreases. In addition, the BMS 10 detects this and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system power source 60 or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BMS(10)는 축전부(20)의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축전부의 충전상태에 따라 바이패스 회로를 작동할 수 있다.The BMS 10 may monitor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and operate a bypass circuit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BMS(10)는 축전부의 충전정도가 사용자가 정해놓은 일정한 수준보다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계통전원(60) 또는 신재생에너지전원(7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축전부(20)로 전달할 수 있다.The BMS 10 may transfer power transmitted from the system power source 60 or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to the power storage unit 20 when the degre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fall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set by the user.

BMS(10)는 축전부의 충전정도가 사용자가 정해놓은 일정한 수준보다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계통전원(60) 또는 신재생에너지전원(7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바이패스 회로를 작동시켜 출력부(30)로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용 충전 시스템의 활용과는 무관하게 계통전원(60) 및 신재생에너지전원(70)이 직접 시스템 외부로 출력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이 손실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존재한다.The BMS 10 operates the bypass circuit to operate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system power source 60 or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when the charging degree of the power storage unit fall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set by the user. Can be delivered directly to Therefore, irrespective of the use of the emergency charging system, since the system power source 60 and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are directly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separate power is lost.

다시 말하면, 계통전원(60) 및 신재생에너지전원(7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은 바이패스 회로를 통해 출력부(30)에 바로 공급되는 것이 평상시의 사용 형태가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system power source 60 and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may be supplied to the output unit 30 directly through a bypass circuit.

이후, 축전부(20)의 충전상태가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BMS(10)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축전부(20)로 전력을 우회하여 충전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을 우회시켜 축전부로 보내는 시간대는 전력이 많이 요구되는 전력 피크 시간대가 아니라, 심야시간대 또는 전력의 가격이 저렴한 시간대를 활용하는 경우 전력의 평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Thereafter,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fall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 power may be bypassed to the power storage unit 20 under the control of the BMS 10 to perform charging. In this case, the time zone that bypasses the power and sends it to the power storage unit is not the peak power time zone, which requires a lot of power,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can be leveled when using a night time zone or a low cost time zone.

이후, 계통전원(60)이나 신재생에너지전원(70)의 전력공급이 불안정하거나 정전상태가 발생하면 외부와 연결된 전원공급선로를 차단하고, 축전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출력부(30)로 공급한다. BMS(10)는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므로, 전력의 입출상태에 따라 전력을 입력받는 곳과 출력하는 곳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Then,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grid power supply 60 or renewable energy power supply 70 is unstable or a power outage occurs, the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outside is cut off, an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torage unit 20 to the output unit 30. ). Since the BMS 10 monitors the state of power, there is an advantag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place where the power is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the power input and output states.

출력부(30)는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시스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30)는 시스템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외부기기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컨버터 내지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30 may transfer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The output unit 30 may include a converter or an inverter that can adjust the magnitude of voltage or current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powered by the system.

디스플레이부(40)는 시스템의 전력 공급상태와 BMS(10), 축전부(20), 출력부(30), 냉각부(50), 계통전원(60) 및 신재생에너지전원(70)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 is a power supply state of the system and the operation of the BMS 10, power storage unit 20, output unit 30, cooling unit 50, system power supply 60 and renewable energy power supply 70 Status can be output in real time.

디스플레이부(40)는 BMS(10)에서 감시하고 측정하는 각부의 동작에 대한 입출전력의 수치와 이상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계통전원(60) 및 신재생에너지전원(7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 및 안정도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 may output a value and an abnormality of the input / output power for each unit's operation monitored and measured by the BMS 10. The magnitude and stability of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system power source 60 and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may be output.

또한 BMS(10)에서 감시한 축전부(20)의 충전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전부(20)의 충전정도가 60%이고, 계통전원(60) 및 신재생에너지전원(7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축전부(20)를 충전 중이라는 표시와 함께 60%의 충전도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monitored by the BMS (10) can be output. For example, if the charging degre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is 60% and is being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ystem power source 60 and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the power storage unit 20 is being charged. Along with the display will indicate 60% charge.

또한 축전부(20)에 포함된 배터리의 사용상태에 따라 축전부(20)의 온도가 변화하므로 온도 정보가 디스플레이부(40)에 함께 표시되며, 냉각부(50)를 통해 냉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changes accord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battery included in the power storage unit 20, temperature information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40, and whether the cooling is performed through the cooling unit 50. You can also indicate whether or not.

또한 출력부(30)에서 시스템 외부로 공급되고 있는 전력의 크기와 상태를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시스템의 출력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30 may output the magnitude and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to the display unit 40. Therefore, the output state of the system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40.

디스플레이부(40)는 각 부에 대한 정보를 시리얼 통신 방식 또는 RF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 may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on each unit through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or an R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시리얼 통신은 연속적으로 통신 채널이나 컴퓨터 버스를 거쳐 한 번에 하나의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방식을 의미하며 LAN, RS-232, RS-422, RS-485 등의 인터페이스의 통신방식이 존재한다.Serial communication refers to a communication method that continuously transmits data one bit unit at a time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or a computer bus, and there are communication methods of interfaces such as LAN, RS-232, RS-422, and RS-485. do.

무선통신은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방식을 말하며 RF(Radio Frequency) 무선 통신이라 불리기도 한다.Wireless communication refers to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radio waves, also referred to as RF (Radio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냉각부(50)는 축전부(20)의 온도를 감시하고, 냉각팬을 구동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50 may monitor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and drive the cooling fan to adjust the temperature.

축전부(20)는 전력을 충전 또는 방전하는 과정에 따라 발열이 생기고, 냉각부(50)는 축전부(20)의 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power storage unit 20 generates heat according to a process of charging or discharging power, and the cooling unit 50 may serv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to an appropriate state.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회로 구성의 세부 구성의 도시도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ypass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회로(100)는 통과회로부(101), 충전회로부(102), 차단회로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bypass circui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ssing circuit unit 101, a charging circuit unit 102, and a blocking circuit unit 103.

통과회로부(101)는 계통전원(60) 또는 신재생에너지전원(7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출력부(30)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공급할 수 있다.The pass circuit unit 101 may directly supply the power input from the system power source 60 or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to the output unit 30.

바이패스회로(100)의 통과회로부(101)를 통해서 계통전원(60) 또는 신재생에너지전원(70)에서 전달된 전력을 출력부(30)로 직접 전달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시스템으로 전달된 전력이 바로 외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외부 전력의 전달과정 중에서 일종의 변전과정을 거치지 않아 전력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사용 전력공급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system power supply 60 or the renewable energy power supply 7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30 through the pass circuit unit 101 of the bypass circuit 100. Therefore, since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outside to the system is directly supplied to the outside, there is no loss of power due to no change in the external power transfer process, so there is no unused power supply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have an effect.

충전회로부(102)는 통과회로부(101)를 통과하는 전력을 축전부(20)로 우회하여 공급할 수 있다.The charging circuit unit 102 may bypass and supply power passing through the passing circuit unit 101 to the power storage unit 20.

충전회로부(102)는 외부에서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축전부(20)로 공급할 수 있다.The charging circuit unit 102 may supply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storage unit 20.

충전회로부(102)와 통과회로부(101)는 BMS(10)의 제어에 따라 하나의 회로부만 작동하거나 또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The charging circuit unit 102 and the passing circuit unit 101 may operate only one circuit unit or simultaneousl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BMS 10.

차단회로부(103)는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계통전원(60), 신재생에너지전원(70) 또는 축전부(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력 공급원에 역방향으로 전력이 유입되면 BMS(10)와 전력 공급원(20, 60, 70)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The cutoff circuit unit 103 is connected to the BMS 10 when power is supplied in a reverse direction to a power supply source selected from the system power supply 60, the renewable energy power supply 70, or the power storage unit 20 that supplies power to the system. The connection of the power sources 20, 60, 70 may be interrupted.

차단회로부(103)는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하여 BMS(10) 또는 전력 공급원에 발생할 수 있는 회로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blocking circuit unit 103 has an effect of completely preventing the power supply to the system to prevent a circuit problem that may occur in the BMS 10 or the power supply in advance.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BMS 구성의 세부 구성의 도시도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MS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10)는 전원감시부(110), 충전시간 제어부(120), 전원제어부(130), 펄스충전부(140), 신재생에너지충전부(150), 축전부감시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the BM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onitoring unit 110, a charging time control unit 120, a power control unit 130, a pulse charging unit 140, and a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 150), and the power storage unit monitoring unit 160.

전원감시부(110)는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The power monitoring unit 110 may monitor the supply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n real time.

계통전원(60) 및 신재생에너지전원(70)으로부터 전달된 전력은 전원감시부(110)에 의해서 전압, 전류, 전력 및 전력이 얼마나 고르게 입력되는지에 대한 안정도 등이 측정된다.The power delivered from the system power source 60 and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is measured by the power monitoring unit 110 and stability of how evenly the voltage, current, power, and power are input.

충전시간 제어부(120)는 축전부(20)에 전력의 충전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The charging time controller 120 may control a time for starting and ending charging of power to the power storage unit 20.

계통전원(60)으로 전달되는 전력은 일반적으로 심야시간대가 낮에 공급되는 전력의 가격에 비해 저렴하므로 충전시간 제어부(120)를 통해 축전부(20)로 전달하는 전력의 시간을 조절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더 저렴한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다.When the power delivered to the grid power source 60 is generally cheaper than the price of the power supplied during the night time zone, when adjusting the time of the power delivered to the power storage unit 20 through the charge time controller 120, It is possible to operate a less expensive system economically.

또한 신재생에너지전원(70)이 태양광발전인 경우 일사량이 많은 날에 충전을 실행하는 시간대를 정하고, 계통전원(60)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i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an efficient and economical system by setting a time period for performing charging on a large amount of solar radiation, and operating the system by cutting off the system power source 60.

전원제어부(130)는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되면 축전부(20)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축전부(20)의 충전상태에 따라 바이패스 회로를 동작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unit 20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s out of power, and operate a bypass circuit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전원제어부(130)는 전원감시부(110)에서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이 되는 것을 감지하면 전력공급선로를 차단하고, 축전부(20)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ler 130 may block the power supply line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monitor 110 detects that the power is outage, and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20 to supply power.

전원제어부(130)는 전원감시부(110)에서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안정적이고, 축전부(20)의 충전상태가 만족되면, 바이패스회로를 통해서 계통전원(60) 또는 신재생에너지전원(70)에서 전달된 전력을 출력부(30)로 직접 전달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시스템으로 전달된 전력이 바로 외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전력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monitoring unit 110 to the system is stable, and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is satisfied, the power control unit 130 uses the system power supply 60 or the renewable energy power supply through the bypass circuit ( The power delivered from 70 directly transfers to the output unit 30.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power loss occurs because the power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to the system is directly supplied to the outside.

펄스충전부(140)는 정전압-정전류-펄스 충전방식으로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ulse charger 140 may supply power to the power storage unit in a constant voltage-constant current-pulse charging method.

종래의 비상용 전력공급 장치의 비상전력 충전방식은 정전압 방식 또는 정전류 방식을 취하였다.The emergency power charg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is a constant voltage method or a constant current method.

정전압 충전방식은 전압을 일정하게 설정하고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류가 하강하는 방식으로써, 과충전을 방지하는 것은 유리하지만, 충전을 하는 시간이 길게 소요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The constant voltage charging method is a method of setting a constant voltage and lowering the current of the battery as charging progresses, and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overcharging,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charge.

반면 정전류 충전방식은 전류를 일정하게 설정하고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압이 상승하는 방식으로써, 충전 시간의 단축은 가능하지만 과충전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ant current charg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constant current is set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increases as the charging progresses. However, the charging time can be shortened, but there is a risk of overcharging.

본 발명에 따른 정전압-정전류-펄스 충전방식은 정전압 충전방식과 병행하여 최대 충전전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충전 초기에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여 충전하다가 충전 말기에는 전압을 일정하게 하는 방식이다. 정전압-정전류-펄스 충전방식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복잡하지만, 충전시간이 단축되고, 순간적인 고율충전에 따른 충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stant voltage-constant current-pulse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limiting the maximum charging current in parallel with the constant voltage charging method, and is a method in which the current is constant at the initial stage of charging and the voltage is constant at the end of charging. The constant voltage-constant current-pulse charging method is complicated to construct a system, but the charging time is shorten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charging efficiency due to instantaneous high rate charging.

신재생에너지 충전부(150)는 신재생에너지전원(70)으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축전부(20)에 충전이 가능한 직류 전력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The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150 may convert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into a form of direct current power capable of charging the power storage unit 20.

신재생에너지전원(70)은 활용되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방식에 따라 직류 또는 교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축전부(20)에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교류 또는 직류의 형태로 발전 및 전송되어진 전력을 축전부(20)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그 형태를 변형하여할 필요성이 있다.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may have a form of direct current or alternating current according to the generation method of renewable energy utilized. Therefore, in order to charge the power storage unit 20,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shape so that the power storage unit 20 can be charged with power generated and transmitted in the form of AC or DC.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축전부(20)는 Ni-MH전지(니켈-수소전지)를 채택하고 직류 형태로 변환된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ectrical storage unit 20 may be charged by adopting a Ni-MH battery (nickel-hydrogen battery)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converted into a direct current form.

또한, 신재생에너지 충전부(150)는 신재생에너지전원(70)을 태양광 발전 방식으로 채택하는 경우, 직류로 발전된 전력을 충전 FET 를 직렬로 2개 이상을 연결하여 출력 전압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최적의 충전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150 adopts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70 a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ethod, by connecting two or more charge FETs in series to the power generated by direct current, and accurately grasps the output voltage. The optimum charging efficiency can be achieved.

축전부 감시부(160)는 축전부(20)의 SOC(State Of Charge)를 감시하고, SOC에 따라 펄스 충전부(140) 또는 신재생에너지 충전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unit monitoring unit 160 may monitor a state of charge (SOC) of the power storage unit 20, and control the pulse charging unit 140 or the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SOC.

축전부 감시부(160)는 축전부(20)에 충전된 전력의 잔존용량, 즉 SOC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SOC가 사전에 정해진 수준보다 밑으로 떨어졌을 경우에 펄스충전부(140) 또는 신재생에너지 충전부(150)를 통해 축전지(20)로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unit monitoring unit 160 determines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power charged in the power storage unit 20, that is, SOC in real time, and when the SOC fall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 pulse charging unit 140 or renewable energy. Power charging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power to the storage battery 20 through the charging unit 150.

축전부 감시부(160)는 축전부(20)에 포함되는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에서 입출력되는 전압, 전류,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unit monitoring unit 160 may include a sensing unit for checking a state of a battery included in the power storage unit 20. Therefore, the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can be measured.

축전부 감시부(160)는 전압의 크기 또는 SOC를 감시하여 축전부(20)에 포함된 배터리에서 전력이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ower storage unit monitoring unit 160 may monitor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r the SOC to prevent the power from being overcharged or overdischarged in the battery included in the power storage unit 20.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전부 구성의 세부 구성의 도시도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ower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부는 다중병렬 FET 회로(210), 다중부스바(220), 배터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a power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parallel FET circuit 210, a multi-bus bar 220, and a battery 230.

배터리(230)는 축전부(20)로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에로 배터리는 Ni-MH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Ni-MH형태는 안정성과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존재한다.The battery 230 may charg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torage unit 20.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ttery may use the Ni-MH form. Ni-MH type has the advantage of high stability and durability.

다중병렬 FET 회로(210)는 다수의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기판에 병렬로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배터리(230)에서 방전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 되는 FET의 수를 제어할 수 있다.The multi-parallel FET circuit 210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eld effect transistors (FETs) in parallel on a substrate, and may control the number of FETs activ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230.

종래에는 대전류용 FET를 적용하여 FET 부품 자체로도 고가이며, 방전 전류가 낮은 경우에는 방전 효율이 저하 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Conventionally, a large current FET is applied to the FET component itself, which is expensiv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ischarge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discharge current is low.

다중병렬 FET 회로(210)는 종래의 대전류용 FET 보다 소용량인 FET를 2개 이상 병렬로 배치하고, 방전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낮은 전류일 경우 FET 하나만 구동하고, 전류의 크기가 큰 경우 2개 이상의 FET를 동시에 구동하여 방전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용량 FET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경제적 효과가 발생하며, 방전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The multi-parallel FET circuit 210 arranges two or more smaller FETs in parallel than the conventional high current FET, drives only one FET when the current is low, and two when the current is large, depending on the amount of discharged current. The above FETs are simultaneously driven and discharged. Accordingly, by using a relatively inexpensive small capacity FET, economic effects occur, an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discharge efficiency.

다중부스바(220)는 다수의 부스바(bus bar)로 이루어지며, 배터리(230)에서 방전되는 전력을 출력부(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multi-booth bar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s bars, and may transmit powe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230 to the output unit 30.

다중부스바(220)는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부스바 다수개를 축전부(20) 내부에 설치하고, 배터리(230)에 충전된 전력을 시스템으로 방전하는 경우, 부스바를 통해 고전류가 흐르므로, 도전로 확보에 따른 저항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The multi-bus bar 22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eparate bus bar to move the current inside the power storage unit 20, when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230 to the system, high current flows through the bus ba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istance loss due to the conductive path is reduc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10 :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110 : 전원감시부
120 : 충전시간 제어부
130 : 전원제어부
140 : 펄스충전부
150 : 신재생 에너지 충전부
160 : 축전부 감시부
20 : 축전부
210 : 다중병렬 FET(Field Effect Transistor) 회로
220 : 다중부스바
230 : 배터리
30 : 출력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냉각부
60 : 계통전원
70 : 신재생에너지전원
10: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110: power monitoring unit
120: charge time control unit
130: power control unit
140: pulse charging unit
150: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160: power storage unit monitoring unit
20: power storage
210: multi-parallel FET (Field Effect Transistor) circuit
220: multi-booth bar
230: battery
30: Output section
40: display unit
50: cooling unit
60: grid power
70: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계통전원의 전력상태를 감시하고, 축전부의 충전상태에 따라 출력부로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을 직접 전달하는 바이패스(by pass)회로를 작동하는 BMS;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을 별도로 충전하고,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되면 상기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 및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시스템 외부로 전달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회로는,
상기 계통전원 또는 신재생에너지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상기 출력부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공급하는 통과회로부와, 상기 통과회로부를 통과하는 전력을 상기 축전부로 우회하여 공급하는 충전회로부, 및 상기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계통전원, 상기 신재생에너지전원 또는 축전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력 공급원에 역방향으로 전력이 유입되면 상기 BMS와 상기 전력 공급원의 연결을 차단하여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BMS는,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전원감시부와, 상기 축전부에 전력의 충전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충전시간 제어부, 및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되면 상기 축전부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축전부의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동작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
In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 BMS for monitoring a power state of the system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and operating a bypass circuit for directly transferring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o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charge of a power storage unit;
A power storage unit for separately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and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s out of power;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transfer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Lt; / RTI >
The bypass circuit,
Pass-through circuit unit for directly connecting and supplying power input from the system power source or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to the output unit, Charging circuit unit for bypassing and supplying power passing through the pass-through circuit unit to the power storage unit, and power to the system Blocking circuit unit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by cutting off the connection of the power supply source when the power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any one of the power supply selected from the grid power supply, the renewable energy power supply or power storage unit for supplying the power supply; And including
The BMS,
A power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a supply state of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n real time, a charging time control unit controlling a time for starting and terminating the 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unit, and the power storage unit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s out of power. And a power control unit controlling to supply power from the unit and operating the bypass circuit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MS는,
정전압-정전류-펄스 충전방식으로 상기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펄스 충전부;
상기 신재생에너지전원으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상기 축전부에 충전이 가능한 직류 전력의 형태로 변환하는 신재생에너지 충전부; 및
상기 축전부의 SOC(State Of Charge)를 감시하고, 상기 SOC에 따라 상기 펄스 충전부 또는 상기 신재생에너지 충전부를 제어하는 축전부 감시부; 를 포함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MS,
A pulse charge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torage unit in a constant voltage-constant current-pulse charging method;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for convert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into the form of direct current power that can be charged to the power storage unit; And
A power storage unit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state of charge (SOC) of the power storage unit and controlling the pulse charging unit or the renewable energy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SO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는,
상기 축전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다수의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기판에 병렬로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에서 방전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 되는 FET의 수를 제어하는 다중병렬 FET 회로; 및
다수의 부스바(bus bar)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에서 방전되는 전력을 상기 출력부로 전달하는 다중부스바; 를 포함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ower storage unit,
A battery for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torage unit;
A multi-parallel FET circuit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eld effect transistors (FETs) in parallel on a substrate and controlling the number of FETs activ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And
A plurality of bus bars formed of a plurality of bus bars and transferring powe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to the output unit;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의 온도를 감시하고, 냉각팬을 구동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부; 를 더 포함하는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cooling unit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torage unit and controlling a temperature by driving a cooling f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110080659A 2011-08-12 2011-08-12 Power supply system KR101278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59A KR101278307B1 (en) 2011-08-12 2011-08-12 Power supply system
JP2011193531A JP5449278B2 (en) 2011-08-12 2011-09-06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59A KR101278307B1 (en) 2011-08-12 2011-08-12 Power suppl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19A KR20130017919A (en) 2013-02-20
KR101278307B1 true KR101278307B1 (en) 2013-06-25

Family

ID=4789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59A KR101278307B1 (en) 2011-08-12 2011-08-12 Power supply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49278B2 (en)
KR (1) KR1012783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232B1 (en) * 2013-11-28 2015-07-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Battery Conditioning System an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at Battery Conditioning System
FR3016702B1 (en) * 2014-01-17 2017-08-04 Blue Solution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ENERGY STORAGE ASSEMBLY
CN106023953B (en) * 2016-07-21 2018-07-06 合肥联信电源有限公司 A kind of emergency power supply display screen circuit
CN106253454B (en) * 2016-07-27 2019-03-08 合肥联信电源有限公司 A kind of emergency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CN106026373A (en) * 2016-07-29 2016-10-12 赵安吉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857796B1 (en) 2016-08-03 201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X RAY Apparatus
KR101871365B1 (en) 2017-01-11 201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X RAY Apparatus
KR102199384B1 (en) * 2018-12-24 2021-01-06 성창 주식회사 Control system for dispersion supply of electric power provided by DC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KR102534172B1 (en) * 2020-07-06 2023-05-19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DC-DC converter that instantaneously controls output current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curr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4403A (en) * 2005-04-15 2006-11-02 Toshiba Corp Supervisory controller for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07166818A (en) * 2005-12-15 2007-06-28 Sharp Corp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200A (en) * 1992-09-28 1994-04-29 이창성 Mobile electric generator
DE19527486C2 (en) * 1995-07-27 2000-11-16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MOS transistor for high performance
JP2010068571A (en) * 2008-09-09 2010-03-25 Hitachi Koki Co Ltd Charging apparatus
WO2011068133A1 (en) * 2009-12-04 2011-06-09 三洋電機株式会社 Charge/discharge system,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harge/discharge controller
KR101216704B1 (en) * 2010-01-21 2012-12-28 세방전지(주) Apparatuses of grid connecting for standalone solar power streetlight system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4403A (en) * 2005-04-15 2006-11-02 Toshiba Corp Supervisory controller for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07166818A (en) * 2005-12-15 2007-06-28 Sharp Corp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42643A (en) 2013-02-28
KR20130017919A (en) 2013-02-20
JP5449278B2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307B1 (en) Power supply system
KR101386166B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battery system
KR101146670B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2097821B (en) Grid-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grid-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KR101084214B1 (en) Grid-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id-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EP2515412A1 (en) Charge/discharge system
WO2013011758A1 (en) Storage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1147329A (en) Power conserv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power conservation system
US20130127626A1 (en) Apparatus for reporting fault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KR10114720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igh current, and power storage apparatus using the same
RU2010148553A (en) ELECTRIC POWER ACCUMULATION SYSTEM THAT MAXIMIZES THE USE OF RENEWABLE ENERGY
KR101863141B1 (en) Power-controlled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lithium battery and supercapacitor
US20200366101A1 (en) Energy storage system
CN102545291A (en) Solar power storage system and solar power supply system
JP2015070746A (en) Control device and power storage system
JP7242563B2 (en) energy storage system
KR102222560B1 (en) An energy storage system
KR101863138B1 (en) Power-controlled energy storage device using lithium battery and supercapacitor
KR20150085227A (en) Th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System
US9929571B1 (en) Integrated energy storage system
JP2015122841A (en)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generation system
JP2014121151A (en)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upply system
KR102257906B1 (en) An energy storage system
CN106058899A (en) Monitoring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KR101456475B1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system with dual inverter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