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847B1 -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 Google Patents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847B1
KR101277847B1 KR1020120027004A KR20120027004A KR101277847B1 KR 101277847 B1 KR101277847 B1 KR 101277847B1 KR 1020120027004 A KR1020120027004 A KR 1020120027004A KR 20120027004 A KR20120027004 A KR 20120027004A KR 101277847 B1 KR101277847 B1 KR 101277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wind
wind power
power generato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학
Original Assignee
윤선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학 filed Critical 윤선학
Priority to KR1020120027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2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rotatably or swingably mounting, e.g. for boards adapted to be rotated by the wi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 위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의 내부에 바람을 이용해 자가 발전하는 풍력발전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별도의 전기연결 없이 상기 풍력발전장치를 이용해 전광판에 전력을 공급하여 운용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광판의 내부로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해 자가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전광판에 별도의 전기연결 없이 상기 풍력발전장치를 이용해 전광판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전광판의 운용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wind power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 위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의 내부에 바람을 이용해 자가 발전하는 풍력발전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별도의 전기연결 없이 상기 풍력발전장치를 이용해 전광판에 전력을 공급하여 운용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광판은 여러개의 전구(LED)를 평면상에 배열한 상태에서 고층건물의 옥상 또는 야구장과 같은 스포츠 시설 및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하여 기타 광고 또는 경기가 진행되는 사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광판은 현대생활에 있어 다양한 정보를 많은 사람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해 주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 전광판(1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박스형태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전면에 전구(LED)를 평면상에 배열한 상태에서 기타 광고 또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화면표시부(12)와, 전광판(10)을 건물의 옥상 또는 스포츠 시설 및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프레임(14)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별도로 설치되는 전력공급부(13)가 상기 전광판(10)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면표시부(12)를 통해 기타 광고 또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광판(10)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전광판의 경우 외부에서 별도로 설치되는 전력공급부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표시부에 기타 광고 또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광판에서 외부전력을 사용하는 만큼 운용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광판의 내부로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해 자가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전광판에 별도의 전기연결 없이 상기 풍력발전장치를 이용해 전광판에 전력을 공급하여 운용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광판에 구비되는 풍력발전장치를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전광판 내부로 흡입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1풍력발전장치와,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를 통해 흡입된 바람이 배출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제2풍력발전장치의 구조로 제작함에 따라 소량의 바람을 이용해 전기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박스형태의 몸체 전면으로 화면표시부가 결합되어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화면표시부를 이용해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 내측으로 구비되되,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해 몸체 측면에 결합된 터빈형회전익을 회전시켜 상기 터빈형회전익에 상호 연결된 제1발전용터빈을 가동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면서 외부 바람을 몸체 내부로 흡입시키는 제1풍력발전장치와, 상기 몸체의 상면 내측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를 통해 몸체 내부로 흡입된 바람을 이용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배기날개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배기날개와 상호 연결된 제2발전용터빈을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함 동시에 흡입된 바람을 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풍력발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광판의 내부로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해 자가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전광판에 별도의 전기연결 없이 상기 풍력발전장치를 이용해 전광판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전광판의 운용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광판에 구비되는 풍력발전장치가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전광판 내부로 흡입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1풍력발전장치와,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를 통해 흡입된 바람이 배출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제2풍력발전장치의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소량의 바람을 이용해 전기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광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의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박스형태의 몸체(11) 전면으로 화면표시부(12)가 결합되어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화면표시부(12)를 이용해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측면 내측으로 구비되되,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해 몸체(11) 측면에 결합된 터빈형회전익(110)을 회전시켜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에 상호 연결된 제1발전용터빈(120)을 가동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면서 외부 바람을 몸체(11) 내부로 흡입시키는 제1풍력발전장치(100)와, 상기 몸체(11)의 상면 내측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를 통해 몸체(11) 내부로 흡입된 바람을 이용해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결합된 배기날개(2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배기날개(210)와 상호 연결된 제2발전용터빈(220)을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함 동시에 흡입된 바람을 몸체(11)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풍력발전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광판(1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광판(10)은 사각의 박스형태 몸체(11) 전면으로 기타 광고 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12)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11)의 하단으로 설치프레임(14)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전광판(10)을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의 건물 옥상 또는 야구장과 같은 스포츠 시설에 설치하여 기타 정보를 상기 화면표시부(12)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전광판(1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전광판(10)에 구비되는 제1풍력발전장치(100)는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상기 전광판(10)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흡입하면서 제1발전용터빈(120)을 작동하여 전광판(10)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는 상기 몸체(11)의 측면 내측에 다수로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몸체(11) 측면에 제1풍력발전장치(100)가 설치되는 수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측면설치부(15)에 원통형의 터빈형회전익(110)이 수직 방향으로 축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며, 상기 측면설치부(15)에는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흡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공(16)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빈형회전익(110)과 상호 연결되는 제1발전용터빈(120)이 상기 측면설치부(15) 내측에 고정결합되어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해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을 회전시키면 상기 터빈형회전익(110)과 상호 연결된 제1발전용터빈(120)을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의 중앙으로 둘레에는 일측면에 기어가공되어 있는 링기어(111)가 결합되며,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의 일측면으로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이 결합되어 있는 방향에는 상기 링기어(111)와 상호 연결되는 피니언기어(121)가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을 터빈형회전익(110)의 구동에 따라 가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터빈형회전익(110)이 회전되면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의 구동력을 상기 피니언기어(121)를 통해 제1발전용터빈(120)에 전달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의 후측방에는 상기 터빈형회전익(110)과 더불어 외부의 바람을 몸체(11) 내부에 효율적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날개(130)가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과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조흡입날개(130)는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의 회전을 통해 제1발전용터빈(120)을 회전시켜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을 가동하게되고,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의 회전력이 상기 보조흡입날개(130)에 전달되어 회전됨에 따라 몸체(11)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강제 흡입하여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의 회전을 보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은 일반적인 풍력발전기에서 바람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전광판(10)에 구비되는 제2풍력발전장치(200)는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를 통해 전광판(10) 내부로 흡입된 바람을 이용하여 제2발전용터빈(220)을 작동함에 따라 전광판(10)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풍력발전장치(200)는 몸체(11)의 상면 내측에 다수로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몸체(11)의 상면에 제2풍력발전장치(200)가 설치되는 수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측설치부(17) 내측으로 제2발전용터빈(220)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상측설치부(17)에는 몸체(11) 내부에 흡입된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배기공(18)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의 하단으로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과 상호 연결되는 배기날개(21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를 통해 몸체(11) 내부로 흡입된 바람을 이용해 상기 배기날개(210)를 회전시켜 제2발전용터빈(220)을 가동함에 따라 상기 제2풍력발전장치(200)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면서 흡입된 바람을 몸체(11)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의 상단에는 상기 몸체(11)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회전작동을 통해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를 가동시키는 수평형회전익(230)이 결합되며, 상기 수평형회전익(230)은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과 상호 연결되어 상기 몸체(11)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회전날개에 의해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해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를 가동시켜 전기를 생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1)의 내부로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의 내측에는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를 통해 흡입된 바람이 각각의 제1풍력발전장치(10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개폐문(140)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개폐문(140)은 일측면에 결합된 경첩(141)을 통해 회동개폐작동하면 상기 경첩(141) 내측에 결합된 탄성부재(142)에 의해 바람이 흡입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 및 제2풍력발전장치(200)가 전기를 생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전광판(10)의 외부로 불어오는 바람은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의 터빈형회전익(110)을 회전시켜 전광판(10)의 내부로 바람을 흡입하게 되며,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의 회전을 통해 링기어(111)와 피니언기어(121)로 상호 연결된 제1발전용터빈(120)이 가동되어 전광판(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의 가동에 대응되어 보조흡입날개(1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터빈형회전익(110)과 더불어 외부 바람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광판(10)의 몸체(11) 내부로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를 통해 흡입된 바람은 상측설치부(17)에 형성된 배기공(18)을 통해 배출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바람이 배출되면 상기 제2풍력발전장치(200)의 배기날개(210)를 회전시켜 상기 배기날개(210)와 상호 연결된 제2발전용터빈(220)을 가동함에 따라 전광판(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추가로 생산함과 동시에 상기 제2풍력발전장치(200)의 수평형회전익(230)이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로 흡입된 바람을 통해 제자리 회전작동함에 따라 상기 몸체(11) 내부에 흡입된 바람을 배출시키면서 풍속을 증가시켜 상기 배기날개(210)의 회전을 가속시킴에 따라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의 전기생산을 돕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 및 제2풍력발전장치(200)를 이용해 전광판(10)에 별도의 전기연결 없이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 및 제2풍력발전장치(200)로 전기를 자가 발전함에 따라 상기 전광판(10)에 전력을 공급하여 운용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로 흡입된 바람을 제2풍력발전장치(200)로 배출시키면서 각각 자가 발전함에 따라 소량의 바람을 이용해 전기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적인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전광판 11.몸체
12.화면표시부 13.전력공급부
14.설치프레임 15.측면설치부
16.흡입공 17.상측설치부
18.배기공 100.제1풍력발전장치
110.터빈형회전익 111.링기어
120.제1발전용터빈 121.피니언기어
130.보조흡입날개 200.제2풍력발전장치
210.배기날개 220.제2발전용터빈
230.수평형회전익

Claims (5)

  1. 박스형태의 몸체(11) 전면으로 화면표시부(12)가 결합되어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화면표시부(12)를 이용해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측면 내측으로 구비되되,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해 몸체(11) 측면에 결합된 터빈형회전익(110)을 회전시켜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에 상호 연결된 제1발전용터빈(120)을 가동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면서 외부 바람을 몸체(11) 내부로 흡입시키는 제1풍력발전장치(100)와,
    상기 몸체(11)의 상면 내측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를 통해 몸체(11) 내부로 흡입된 바람을 이용해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결합된 배기날개(2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배기날개(210)와 상호 연결된 제2발전용터빈(220)을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함 동시에 흡입된 바람을 몸체(11)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풍력발전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는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의 중앙으로 링기어(111)가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111)와 상호 연결되는 피니언기어(121)가 상기 제1발전용터빈(120)과 연결되어 상기 터빈형회전익(110)의 구동력을 상기 피니언기어(121)를 통해 제1발전용터빈(12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의 제1발전용터빈(120) 후측방에는 상기 터빈형회전익(110)과 더불어 외부의 바람을 몸체(11) 내부에 흡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날개(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의 상단에는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과 상호연결되는 수평형회전익(230)이 상기 몸체(11)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회전작동을 통해 상기 제2발전용터빈(220)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를 통해 흡입된 바람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작동하는 다수의 개폐문(140)이 상기 제1풍력발전장치(100) 측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KR1020120027004A 2012-03-16 2012-03-16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KR10127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04A KR101277847B1 (ko) 2012-03-16 2012-03-16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04A KR101277847B1 (ko) 2012-03-16 2012-03-16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847B1 true KR101277847B1 (ko) 2013-06-21

Family

ID=4886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04A KR101277847B1 (ko) 2012-03-16 2012-03-16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8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136B1 (ko) 2010-01-11 2012-07-30 윤정산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광고안내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136B1 (ko) 2010-01-11 2012-07-30 윤정산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광고안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0228A (zh) 一种智能驱动抗风广告牌
KR101277847B1 (ko)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전광판
CN102945643B (zh) 一种通风防水led显示模组箱体
KR101079858B1 (ko)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폐 바람을 이용한 발전장치
CN212076102U (zh) 一种智慧楼宇的通风电梯轿厢
CN106224305B (zh) 无叶风扇
KR100968587B1 (ko) 접이식 대형 전광판 및 방열장치
CN204833935U (zh) 一种led超大显示屏
CN206073294U (zh) 一种贯流风道装置及其立式空调器
CN105070231A (zh) 一种智能抗风广告牌
CN210723903U (zh) 一种电气工程用室外配电柜
KR200425083Y1 (ko) 발전가능한 회전간판
CN207008984U (zh) 云电脑空净传媒一体机
CN109410802A (zh) 一种节能环保的广告展示装置
CN203573593U (zh) 一种led显示屏箱体
KR20110017524A (ko) 풍량보조팬이 구비된 풍력발전기
CN110459126A (zh) 一种节能电子信息广告牌
CN206339585U (zh) 一种电能表防护装置
CN213347591U (zh) 可视化消防巡检控制柜
CN209980751U (zh) 一种基于信息技术的电子广告牌
CN103001270B (zh) 供电组件及含有该供电组件的地铁广告牌
CN208423526U (zh) 带广告灯箱的弱电井门
CN217238991U (zh) 宣传板背光用防虫装置
CN219958474U (zh) 一种具备温湿度监测的led大屏
CN218772685U (zh) 一种户外人脸识别门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