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410B1 -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및 점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및 점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410B1
KR101277410B1 KR1020077015401A KR20077015401A KR101277410B1 KR 101277410 B1 KR101277410 B1 KR 101277410B1 KR 1020077015401 A KR1020077015401 A KR 1020077015401A KR 20077015401 A KR20077015401 A KR 20077015401A KR 101277410 B1 KR101277410 B1 KR 10127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ing
centering
fixing device
cente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842A (ko
Inventor
로베르토 프라티니
Original Assignee
프라티니 에스.피.에이. 코스트루찌오니 메카니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티니 에스.피.에이. 코스트루찌오니 메카니체 filed Critical 프라티니 에스.피.에이. 코스트루찌오니 메카니체
Publication of KR20070089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92Manipulating, e.g. feeding and positioning devices;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2Auxiliary equipment, e.g. 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Abstract

바닥에 노치(20)가 제공되고 측부 표면의 연장된 부분을 따라 기계적인 변형 작업을 하기 위하여 금속 용기(18)를 위한 선택적이고 점진적인 고정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용기 바디(16)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마우스피스(14)를 형성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원형 평면 지지부(12)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에 위치된 밀봉부 또는 환형 멤프레인(24)과 협력하는 성형 및 이동식 링(22)을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용기(18)는 각각의 바닥으로부터 삽입되며, 마우스피스를 형성하는 센터링 칼라(26)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내에서 용기(18)는 삽입되고 밀봉부(24)를 둘러싸며, 센터링 링(30)을 포함하며, 용기(18)를 항하는 상기 센터링 링의 전방 부분은 복수의 관통 홀이 제공되고 용기의 바닥 주변과 상보적인 형상을 나타내며, 장치(10)의 종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고, 나선형 스피링(34)에 의해 인장되는 푸셔를 포함하며 및 노치(20)가 제공된 용기(18)의 바닥과 완전히 접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및 점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THE SELECTIVE AND PROGRESSIVE LOCKING OF METAL CONTAINERS}
본 발명은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용기의 측부 표면의 연장된 부분을 따라 기계적인 변형 작업되어지도록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인 방법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언급된 금속 용기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것과 동일하며, 상기 용기들은 기술적인 용도 또는 음료와 식품 마켓을 위한 병 또는 에어로졸 마켓을 위한 병들로 구성된다. 알루미늄, 이의 합금, 스틸 또는 그 외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된 상기 용기들은 사출되거나 접시 형태로 오목하게 가공되고 드로잉 가공된 가공되지 않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초기 상태가 원통형의 형태이며 그 뒤 나사산 칼라의 인서트를 형성하거나 배출 밸브를 위한 시트 또는 마우스피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측 단부가 테이퍼 가공된다. 상기 가공되지 않은 바디는 공지된 테이퍼링 장치로 이송되며, 상기 테이퍼링 장치는 주기적인 회전 운동식 테이블을 포함하며, 바디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동 기관이 제공된 복수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다양하고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공구와 척(chuck)이 형성된 마주보는 교대 횡단 모션 플레이트를 포함하낟. 상기 작업은 바디의 상측부를 테이퍼링하는 공정, 예를 들어 바디의 상단부를 치수 검사하는 공정과 리밍 공정, 사이즈 절단 공정으로 구성된다. 공지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로 이송된 바디는 예를 들어 제품의 상표, 내용물, 인증 코드, 최종 수요자를 위한 지시 사항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컬러의 문자 또는 장식 요소를 바디 상에 나타내기 위하여 외부 측부 표면상에 페이트 칠해진다. 상기 언급된 공정 또는 이의 준비 단계 동안, 바디들은 종종 바디의 측부 표면의 하나 이상의 제한된 영역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엠보싱/디보싱으로 언급되는 상기 변형들은 바디의 예비 배열된 영역에 측부 표면의 임프린트(imprint), 요홈 및 노치 형태 및/또는 돌출된 섹터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그 외의 다른 형상이 형성되도록 특정 공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임프린트를 형성하기 위한 바디 부분의 정확한 위치 결정은 특정 가공 수단을 탐지하기 위한 각을 형성하는 위치에 의존되며, 이를 위해 상기 언급된 바디들은 바디들의 적절한 방향 설정을 위해 회전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광학적인 판독 신호에 의해 상측 변부를 따라 제공되는 것이 선호된다.
엠보싱/디보싱 형태의 변형은 바디에 대해 미학적인 밸런스(valence)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되지만 바디 자체에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그립을 가진 평면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최종 사용자에 대한 부분적으로 기능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국소적인 엠보싱/디보싱 프린트를 형성하며 테이퍼링을 구현하기 위하여 바디들은 다양한 공구에 의해 수행되는 변형 공정 동안 안정화되고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테이퍼링 장치로 이송된 상기 바디들은 대략 40 내지 60 mm의 연장된 측부 표면을 둘러싸는 소위 플라이어로 불리는 적절한 그립 부재로 바닥으로부터 삽입된다. 상당한 크기의 연장부를 고정시킴에 따라, 바디들은 효과적인 방법으로 안정화되고, 정밀하게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바디들이 상태(phase)를 결정하는 종래의 변형 단계 동안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 하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최근에는 테이퍼 가공된 상측부에 인접하거나 또는 이 위의 제한된 영역 만을 둘러싸지 않거나 또는 둘러싸지 않는 측부 표면의 연장된 형태가 제공되며, 에어로졸, 음료, 식품 및 그 외의 다른 용도의 금속 용기를 알루미늄, 이의 함금 또는 그 외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할 필요성이 부각되어 져 왔다. 이러한 필요성은 상기 용기들이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위생적으로 보장되는 식품 포장 및 배급품에 적합하고, 유리로 제조된 종래의 포장에 비해 재활용 가능하고 폐기 가능하도록 유닛 포장 중량을 추가적으로 한정할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리 용기는 파손되기 쉽다. 최근 들어 몇몇 타입의 유리 용기는 공지된 금속 용기에 비해 미학적인 밸런스가 우수하며, 이러한 특징들은 최종 수요자에게 부합되어져 왔다.
금속 용기의 측부 표면의 연장된 변형은 상당한 문제점을 야기시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해결될 수 없으며, 상기 기술을 이 용하여 상측 표면의 테이퍼링과 엠보싱/디보싱 형태의 국소적인 프린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연장된 변형은 다양한 형상에 따르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며, 사실상 상기 언급된 용기의 측부 표면은 정확한 위치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안정화되는 점에 관해 제한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립 플라이어는 바닥으로부터 용기를 그립하고, 상당한 크기의 측부 표면을 따라 연장되며, 가공 공정 동안 정밀한 고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테이퍼링 공정은 인접한 영역의 엠보싱/디보싱 부분과 용기의 상측 부분과 연관되어 플라이어는 측부 표면의 넓은 영역을 자유롭게 둘러쌀 수 있다.
측부 표면상에서 하부 영역으로부터 테이퍼링 영역으로 용기의 기저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변형이 이뤄지기 때문에, 플라이어 고정 영역은 바닥으로부터 강제적으로 감소되며, 안정성과 일정한 정렬을 교정하는 용기는 보장되지 않는다. 심지어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시작되는 용기의 측부 표면의 제한된 영역에 대해 외접되는 고정력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상기 용기들은 특히 바닥 표면과 연관된 기계적인 예비 변형 작업이 수행되며, 즉 작업 장치 또는 이에 인접한 위치에서 수행되는 부분적인 디싱(dishing) 또는 몰딩에 의해 적절히 강화된다. 상대적으로 큰 종방향 전개부(development)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사용되는 가공 공구의 작동으로 인해, 측부 표면의 폭 넓게 연장된 변형 간섭(deformation intervention)이 공지된 변형 공정에서 발견될 수 있는 하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용기로 제공한다. 따라서 특정의 효과적인 초기 고정 수단과 용기 바닥의 고정 영역으로부터 현저히 엠보싱 가공된 용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마주 보는 용기의 자유 단부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확장을 야기하도록 공지된 변형 공정에서 발생되는 것에 비해 상부 레버 암의 존재를 고려해야함을 의미한다. 오직 이러한 수단에 따라, 가공 공정 시 바디 상에서 사용되는 공구들 사이에 부정확한 결합에 따른 불편함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특정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안정화시키며, 용기가 바닥으로부터 측부 표면의 제한된 영역을 따라 고정될 때 용기들을 균일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에어로졸 마켓 병 또는 음료, 식품 또는 그 외의 다른 목적의 병으로 구성되는 금속 용기를 선택적이고 점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용기의 측부 표면의 연장된 영역을 따라 사용되는 공구에 의해 용기에 높은 하중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변형 공정동안 상기 용기를 축방향 정렬 위치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상기 언급된 타입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추후 고강도가 보장되도록 사용자에게 금속 용기의 선택적이고 점진적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위해, 노치를 가진 바닥을 포함하고 측부 표면의 연장된 부분을 따라 기계적인 변형 작업이 수행되는 금속재질의 용기를 위한 선택적이고 점진적인 고정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고정장치는
구속몸체를 배열하기 위한 시트 마우스피스를 형성하는 단부를 가진 원형 평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바닥이 삽입되는 밀봉부 또는 환형 멤브레인을 둘러싸는 마우스피스가 센터링 칼라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와 함께 작동하는 성형 및 이동식 링을 포함하고,
센터링 링을 포함하며, 용기를 향하는 상기 센터링 링의 전방 부분은 복수의 관통 홀이 제공되고 용기의 바닥 주변과 짝을 이루며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며,
고정장치의 종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고,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인장되는 푸셔를 포함하며,
노치가 제공된 용기의 바닥과 접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구조 및 기능적 특징들은 선호되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에 따르는 하기 설명에 따라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측부 표면의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금속 용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 특히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전방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확대도.
상기 언급된 도면들에서, 도 1에서 도면부호(10)로 도시된 본 발명의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및 점진적으로 고정하는 장치는 한 단부에 구속몸체(containment body, 16)를 위한 시트 마우스피스(seat mouthpiece, 14)가 형성되고, 측면 표면에서 광범위하게 형성되는 간섭(extensive forming intervention)을 중재하기 위하여 전방 부분에서 지지부(support)로부터 용기를 향하여 돌출되는 원형 평면 지지부(circular plan support, 12)를 포함한다.
도 1의 용기(18)가 도 2에서 측면도로 나타나며, 용기(18)는 서로 다른 가공 단계에 대응하는 2개의 형상에 따른 실례로써 도시되고, 즉 상부 절반 부분“S1"은 큰 포밍(forming)이 제공되고, 하부 절반 부분”S2"은 마우스피스의 바로 옆의 영역에서 뒤이은 테이퍼링 공정(tapering operation)이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용기(18)는 측면 표면의 상당 부분이 연장되며, 바람직하게 추후 변형 공정이 수행되는 "B"로 도시된 마주보는 상부 부분과 10 내지 30 mm로 구성되고 "A"로 도시되며 제한된 행정(limited stroke)을 위해 이격되는 바닥 사이에 구성되는 전체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포밍(forming)과 관련된 용기(18)의 측면 표면 부분(C)은 상당히 연장되고, 이에 따라 용기(18)의 바닥으로부터 시작되는 그리핑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는 안정화 수단(stabilization means)을 이용하여 정밀한 커플링 시트(precise coupling seat)를 형성하고, 바닥을 따라 용기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한 측부로부터 구형 돔과 같은 형태의 요홈 또는 부분적인 디싱(dishing, 20)을 형성하는 공지된 장치에 의해 얻어진 기계적 변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용기(18)를 수용하는 마우스피스에 위치한 밀봉부 또는 환형 멤브레인(24)과 협력하는 성형 링(shaped ring, 22)은 지지부(12)의 시트마우스피스에 위치한 구속몸체(16)로 고정되고, 용기(18)는 바닥으로부터 시작되도록 위치되고, 센터링 칼라(26)에 의해 고정된다. 성형 링(22)은 금속 또는 그 외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되며, 용기(18)를 원주 방향으로 고정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수단과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보적인 섹터(complementary sector)를 포함한다. 용기(18)를 수용하는 상기 마우스피스와 인접하게 또는 이에 대응하여 방사형 도관(radial conduit, 28)이 형성되며, 상기 도관을 통하여 가압된 유체, 일반적으로 공기가 송풍된다(blow). 상기 도관(28)에 의해 송풍된 유체는 성형 링(22)의 후방 운동을 결정하고, 상기 성형 링(22)은 용기(18)를 제한하고 둘러싸는 내부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팽창되는 밀봉부(24)에 대해 피스톤 또는 푸셔(pusher)로서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26)의 전방 노출된 단부와 조합하여 또는 함께 작동되는 용기(18) 영역상에 형성된 상기 밀봉부는 치수적으로 상당히 제한되어 측면 표면 영역“C"을 따라 용기 내에서 광범위한 변형이 허용되도록 전체 용기 부분은 마주보는 단부를 향해 인접 부분으로부터 전개된다(develop). 상당히 제한된 용기(18)의 그리핑 및 안정화 지점으로 인해 용기는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지 않으며, 작업 동안 축방향 정렬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라서 그 외의 고정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방법으로 장치(10)는 성형 링(22)에 대해 동축을 형성하는 센터링 링(20)을 포함하며, 마우스피스를 향하여 용기(18)가 배열되는 전방부는 특히 마우스피스 또는 부분적인 디싱(patial dishing, 20)에 대해 외부에 위치된 환형 존에서 용기의 바닥 표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고정장치(10)는 푸셔(pusher, 32)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전방 단부에 용기(18)의 바닥에 형성된 노치(20)에 대해 짝을 이루며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 접시형 부분(dish, 36)이 형성되고 고정장치(10)의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선형 스프링(34)에 의해 인장된다. 센터링 링(30)과 접시형 부분(36)은 복수의 관통 홀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지지부(12) 상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관(31)으로부터 상기 관통 홀을 통하여 가압된 공기가 흡입된다. 공극(air void)은 용기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용기(18)의 안정화(stabilization) 또는 사전-안정화를 결정하며, 접시형 부분(36)은 상기 바닥 표면에 정밀하게 결합되고, 센터링 링(30)은 용기(18)의 상기 언급된 바닥 표면을 수용하여 짝을 이루며 일치하는 부분들 사이에 완벽한 부착이 구현된다. 조합된 공극과 밀봉부 또는 환형 멤브레인(24)의 효과에 기초하여, 성형 링(22)의 축방향 슬라이딩이 변형되고 바닥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용기(18)가 고정되며, 상기 용기는 측면 표면의 마이너 영역을 따라 고정될지라도 최적의 방법으로 고정장치(10) 내에서 안정화된다.
이에 따라 측부 표면의 “C" 영역을 성형하는 단계(shaping)로 안내되는 다 양한 작동 상태 동안 용기(18)의 정밀한 축방향 정렬이 보장된다.
이러한 작업 동안에 또는 그 이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엠보싱(embossing)/디보싱(debossing) 간섭(intervention)이 용기(18) 상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추후 테이퍼 가공되는 “B"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서 성형된 측부 표면을 따라 다수의 돌출되거나 또는 요홈 구조의 프린트가 형성된다. 유사한 프린트는 도 2 내에서 40으로 도시된다.
하기 상세히 기술되어 지는 것과 같이, 엠보싱/디보싱 구현(realization)은 각을 형성하는 용기(18)의 방향 설정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용기들은 장치(10) 내에 삽입될 때 이들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 센터링 링(30)과 성형 링(20)과 동축을 형성하는 슬리브(sleeve, 44) 사이에 또는 지지부(12)와 고정 바디(16) 사이에 위치된 탄성 수단(42)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수단은 예를 들어 나선형 또는 컵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수단(42)은 센터링 링(30)을 형성하는 전방 단부에 베어링과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은 회전식 전방 부분(48)과 고정된 후방 부분(46)을 포함하며 센터링 링(30)과 자체적으로 접촉한다. 탄성 수단(42)과 함께 베어링의 고정된 후방 부분(46)과 회전식 전방 부분(48)은 도 5에서 도시된다. 상기 언급된 베어링은 성형 링(22)에 대해 동축을 이루는 환형 부재(50)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한정된다. 단단한 환형 칼라(52)는 센터링 링(3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용기(18)가 삽입되는 마우스피스에 인접한 전방 부분을 따라 성형 링(22) 상에서 숄더(54)가 결합된다. 고정장치(10)의 비-작동 상태에서, 즉 공지된 이송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위치한 용기(18)가 제거되었을 때, 스프링(42)은 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 링(22)의 숄더(54)에 대해 센터링 링(30)의 칼라(collar, 52)를 가압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팽창된다. 용기(18)가 고정장치(10)의 마우스피스에서 바닥으로부터 삽입될 때, 완벽한 부착은 성형 부분에 인접한 센터링 링(30)을 포함하는 접시형 부분(36)과 한 측부상의 상기 바닥 사이에서 수행된다. 상기 완벽한 부착은 도관(31)으로부터의 공기 진공(air vacuum)을 활성화시킴으로 인해 유지된다. 고정장치(10) 내에서 종래의 용기(18)의 이송 수단은 센터링 링(30)과 플레이트(36)에 대해 용기를 자체적으로 가압시키며, 상기 센터링 링(48)은 이의 일부분이 베어링의 회전식 전방부분(48)과 상부의 후방부분(46)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탄성 수단(42)은 제한된 행정을 위해 센터링 링(30)을 후방 운동시키며 압축시키며, 상기 센터링 링(30)의 환형 칼라(52)는 성형 링(22)의 숄더(54)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센터링 링(30)은 자유롭게 회전한다. 센터링 링(30)은 용기(18), 접시형 부분(36) 및 베어링의 전방 부분과 함께 회전한다. 바람직하게 접시형 부분(36)과 푸셔(32)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32)를 포함하는 접시형 부분의 회전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추가적인 롤 베어링(37)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배열된다. 이에 따라 용기(18)는 바람직하게 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뒤 이어 공지된 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용기의 단부들은 가압되며, 탄성 수단(2)은 연장되고, 센터링 링의 환형 칼라(52)는 숄더(54)와 접촉하도록 귀환된다. 이때, 용기(18)는 이의 측부 표면의 연장된 영역“C"을 따라 작동상 변형되며, 이를 위해 상기 용기는 밀봉부 또는 연장 가능한 멤브레인(24)에 고정되며, 상기 언급된 영역”C"과 노치(20)가 제공된 바닥 사이에 형성된 제한된 연장 영역"A" 내에서 용기(18)를 원주 방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도록 구동된다. 상기 밀봉부(24)의 팽창은 도관(28)로부터 개시되는 장치(10)의 효과에 따라 가압된 공기의 유입부 아래에서 밀봉부를 압축하고 이에 인접하게 지나가는 성형 링(22)의 축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용기(18)는 차단되고, 바닥으로부터의 공기 진공의 작용으로 인해 센터링 링(30)을 포함하는 접시형 부분(36)과 바닥의 완벽한 부착 및 완벽한 결합이 구현되며, 용기(18)는 밀봉부(24)에 의해 바닥 영역“A"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밀봉부는 성형 링(22)에 가해진 압축력으로 인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된다. 이러한 안정적이고 일정한 고정 상태 하에서 용기는 그립 영역(grip zone)으로부터 상당히 돌출되었을 지라도 변형 공구들의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 완벽히 정렬된다. 물론, 용기들이 엠보싱/디보싱 성형된 프린트가 형성될 필요가 없음으로 인해 회전을 통해 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방향설정될 필요가 없다면 센터링 링(30)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이 경우 장치(10)는 탄성 요소(42) 없이 베어링의 전방 부분(48) 및/또는 후방 부분(4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공기 진공에 의해 용기(18)들이 바닥으로부터 고정되는 해결 방법으로 구성될지라도 그 외의 균등 수단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안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8)들이 흡입 컵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을 통해 또는 강자성 재료로 형성된다면 이러한 고정 기능은 예를 들어 자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점이 명확히 구현된다.
본 발명의 고정 장치에 따라, 밀봉부(24)와 전체 바닥 표면상에 제공되는 공기 진동의 효과로 인해, 바닥의 제한된 그립 위치에 인접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측면 표면의 연장된 부분“C"을 변형시키는 가공 단계 동안 용기(18)는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측부 상의 바닥과 그 외의 다른 측부 상의 센터링(30)과 접시형 부분(36) 사이에 완벽한 부착이 구현된다.
추가적인 장점에 따르면, 센터링 링(30)이 후방을 향해 일시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용기(18)위에 엠보싱/디보싱 성형된 프린트가 형성되도록 방향설정될 수 있으며, 용기의 충분한 처리를 보장하는 공기 진공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호되며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라 기술되지만 다양한 변형물과 개조물들이 상기 언급된 기술 내용에 따라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 사이에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보호 범위와 사상 내에서 모든 균등물과 변형물을 포함한다.

Claims (12)

  1. 노치(20)를 가진 바닥을 포함하고 측부 표면의 연장된 부분을 따라 기계적인 변형 작업이 수행되는 금속재질의 용기(18)를 위한 선택적이고 점진적인 고정장치(10)에 있어서,
    구속몸체(16)를 배열하기 위한 시트 마우스피스(14)를 형성하는 단부를 가진 원형 평면 지지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18)의 바닥이 삽입되는 밀봉부(24) 또는 환형 멤브레인을 둘러싸는 마우스피스가 센터링 칼라(26)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24)와 함께 작동하는 성형 및 이동식 링(22)을 포함하고,
    센터링 링(30)을 포함하며, 용기(18)를 향하는 상기 센터링 링의 전방 부분은 복수의 관통 홀이 제공되고 용기의 바닥 주변과 짝을 이루며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며,
    고정장치(10)의 종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고, 나선형 스프링(34)에 의해 인장되는 푸셔(32)를 포함하며
    노치(20)가 제공된 용기(18)의 바닥과 접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노치(2)가 제공된 용기(18)의 바닥과 접합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푸셔(32)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접시형 부분(36)과 상기 푸셔와 함께 작동하는 센터링 링(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는 선택적 밀봉부(24)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시키고 팽창시키는 링(22)의 축방향 운동을 위하여 압축된 유체 유입구의 방사형 도관(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푸셔(32)의 전방단부에 배열된 접시형 부분(36)은, 용기(18)의 바닥에 형성된 노치(20)와 짝을 이루며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고 복수 개의 관통 홀을 가지며, 상기 접시형 부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시형 부분(36)과 푸셔(32)사이에 롤베어링(37)이 배열되고,
    지지부(12)는 하나 이상의 도관(31)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을 통해 센터링 링(30)과 접시형 부분(36)의 관통 링에 대해 용기(18)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공기 진공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용기 바디(16)와 지지부(12) 사이에 탄성 수단(42)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42)은 나선형 또는 컵 스프링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42)은, 상기 링(22)과 동축을 형성하는 슬리브(44)와 센터링 링(30)사이에 배열된 나선형 스프링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상기 탄성 수단(42)은 센터링 링(30)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서, 센터링 링(30)과 접촉하는 회전식 전방 부분(48)과 고정식 후방 부분(46)을 포함한 베어링과 정합(match)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고정식 후방 부분(46)과 회전식 전방 부분(48)을 포함한 베어링은, 상기 링(22)과 동축을 형성하는 환형 부재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링(30)은 상기 링(22)에 형성된 숄더(54)와 일치되는 환형 칼라(52)를 원주 방향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42)은, 상기 링(22)과 동축을 형성하는 슬리브(44)와 센터링 링(30)사이에 배열된 나선형 스프링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KR1020077015401A 2004-12-27 2005-06-21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및 점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1277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4A002517 2004-12-27
IT002517A ITMI20042517A1 (it) 2004-12-27 2004-12-27 Dispositivo per il bloccaggio selettivo e progressivo di contenitori metallici
PCT/EP2005/006673 WO2006069609A1 (en) 2004-12-27 2005-06-21 Device for the selective and progressive locking of metal contai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842A KR20070089842A (ko) 2007-09-03
KR101277410B1 true KR101277410B1 (ko) 2013-06-20

Family

ID=3497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401A KR101277410B1 (ko) 2004-12-27 2005-06-21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및 점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631529B2 (ko)
EP (1) EP1830974B1 (ko)
JP (1) JP4881318B2 (ko)
KR (1) KR101277410B1 (ko)
CN (1) CN101090782B (ko)
BR (1) BRPI0517601A (ko)
DE (1) DE202005021250U1 (ko)
ES (1) ES2393066T3 (ko)
IT (1) ITMI20042517A1 (ko)
PL (1) PL1830974T3 (ko)
RU (1) RU2376096C2 (ko)
WO (1) WO2006069609A1 (ko)
ZA (1) ZA2007049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99164T1 (de) * 2007-06-13 2011-03-15 Frattini Costr Mecc Greif- und handhabungsvorrichtung für metallbehälter
ITVR20110229A1 (it) * 2011-12-22 2013-06-23 Spl Soluzioni S R L Dispositivo di presa per il bloccaggio di contenitori metallici cilindrici destinati alla lavorazione mediante macchine operatrici
US10441992B2 (en) * 2017-01-20 2019-10-15 Pride Engineering, Llc Can bottom former assembly
JP7335278B2 (ja) * 2018-02-27 2023-08-29 ベルヴァック・プロダクション・マシーナ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加工作業の間に容器をクランプ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DE102018210527A1 (de) * 2018-06-27 2020-01-02 Tubex Holding Gmbh Spannvorrichtung zur festen Fixierung einer Aerosoldose während einer Bearbeitung der Aerosoldose, Konifikationssystem und Verwendung einer Spannvorrichtung zur festen Fixierung einer Aerosoldose während einer Bearbeitung der Aerosoldose
WO2021084150A1 (es) 2019-10-29 2021-05-06 Tech Pro Packag, S.L. Máquina conformadora de envases y procedimiento de fijación de un env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1761A (en) * 1998-06-03 2000-10-17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an bottom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6237399B1 (en) * 1998-01-16 2001-05-29 Bellave S. Shivaram Cantilever having sensor system for independent measurement of force and torque
US20020000028A1 (en) * 2000-05-11 2002-01-03 Jamison John R. Device for reducing the eccentricity and non-uniformities among cartridge cas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097A (en) * 1978-08-04 1981-10-13 Gombas Laszlo A Bottom roll-form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sultant can end configuration
ES2030635T3 (es) * 1987-01-21 1993-01-01 Frattini S.P.A.-Costruzioni Meccaniche Perfeccionamiento en maquinas para dar forma conica y rebordear botes tipo aerosoles y similares.
IT1216844B (it) * 1987-01-21 1990-03-14 Frattini Costr Mecc Mezzi di presa e di controllo per il posizionamento di oggetti sottoposti a lavorazioni in genere, e/o lavorazioni multiple sequenziali, in particolare eseguibili su macchine operatrici.
US5469729A (en) * 1993-11-23 1995-11-28 Bal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ple necking operations on a container body
JPH10128474A (ja) * 1996-10-28 1998-05-19 Mitsubishi Materials Corp 缶のフランジング装置
US6296139B1 (en) * 1999-11-22 2001-10-02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an manufacturing apparatus, can manufacturing method, and can
US6237388B1 (en) * 2000-03-08 2001-05-29 Can Industry Products, Inc.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ainer bodies in a press
US6490904B1 (en) * 2001-05-15 2002-12-10 Mark L. Zauhar Double action bottom former for high cyclic operation
ITMI20042138A1 (it) * 2004-11-08 2005-02-08 Frattini Costr Mecc Procedimento per la sagomatura della superficie di un contenitore metallic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7399B1 (en) * 1998-01-16 2001-05-29 Bellave S. Shivaram Cantilever having sensor system for independent measurement of force and torque
US6131761A (en) * 1998-06-03 2000-10-17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an bottom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20020000028A1 (en) * 2000-05-11 2002-01-03 Jamison John R. Device for reducing the eccentricity and non-uniformities among cartridge cas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T 1,216,844 B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842A (ko) 2007-09-03
DE202005021250U1 (de) 2007-06-14
PL1830974T3 (pl) 2013-04-30
ITMI20042517A1 (it) 2005-03-27
ZA200704962B (en) 2008-09-25
CN101090782B (zh) 2010-06-09
EP1830974B1 (en) 2012-08-08
CN101090782A (zh) 2007-12-19
JP2008525196A (ja) 2008-07-17
JP4881318B2 (ja) 2012-02-22
RU2007128770A (ru) 2009-02-10
US20080302166A1 (en) 2008-12-11
RU2376096C2 (ru) 2009-12-20
ES2393066T3 (es) 2012-12-18
EP1830974A1 (en) 2007-09-12
WO2006069609A1 (en) 2006-07-06
BRPI0517601A (pt) 2008-10-14
US7631529B2 (en)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410B1 (ko) 금속 용기를 선택적으로 및 점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EP1812183B1 (en) A process for the shaping of the surface of a metal container
CZ21097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onical embedding of a vessel body face
JPH0380570B2 (ko)
US10350666B2 (en) Tools and methods for handling workpieces
US5069052A (en) Method for roll forming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6830419B1 (en) Aerosol can ends
KR101462702B1 (ko) 금속 용기를 그리핑하고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JP2007229807A (ja) 金属製ボトル缶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A2830315C (en) Apparatus for holding a container
ATE328717T1 (de) Werkzeug zur formung eines flaschenhalses von faltbaren kunststoff-behältern
US891916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reclosable containers
US6766677B1 (en) Die curl assembly
CN113458233B (zh) 再拉套筒和制罐机
EP1167222A3 (de) Behälter mit Randbord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Randbordierung
JP3546733B2 (ja) 缶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