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178B1 -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178B1
KR101276178B1 KR1020120115903A KR20120115903A KR101276178B1 KR 101276178 B1 KR101276178 B1 KR 101276178B1 KR 1020120115903 A KR1020120115903 A KR 1020120115903A KR 20120115903 A KR20120115903 A KR 20120115903A KR 101276178 B1 KR101276178 B1 KR 10127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mobile terminal
fixing
fixing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주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주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주연테크
Priority to KR1020120115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내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가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고정돌기(11-2) 및 결합홈(11-3)이 형성된 수납공간(11)을 구비하는 한편, 일측면 형성된 안착부(12)와, 상기 안착부(12)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4)과, 내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15) 및 제1지지부(16)와, 내부에 형성된 안내돌기(17) 및 제2고정부재(18)가 마련된 모니터(10)와; 상기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와 상호 대응하게 양측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21)가 형성되고, 중앙에 안내공간(22)이 형성되며, 정면에는 형성된 안착부재(23) 및 일단부에 결합부(24)가 형성된 거치대(20)와; 상기 모니터(10)의 수납공간(11) 하부에 마련되어 두 개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부(30)로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부(30)는,
모니터(10)의 관통공(14) 및 제2고정부재(18)에 관통하게 설치되는 회동축(31)과, 상기 회동축(31)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부(32)와, 상기 제2고정부재(18)와 상기 고정부(32)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부재(33)와, 모니터(10) 내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15)와 상호 대응하여 안착되기 위해 외주연에 안착홈(34-1)이 형성되고, 중앙에 홈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34-2) 바닥면에 제1지지부(16)와 상호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34-3)를 포함하는 회동부재(34)와, 상기 회동부재(34)와 고정부(32) 사이에 마련되며, 모니터(10)의 안내돌기(17)에 안내되어, 모니터(10)의 안착부(12)에 안착되는 연결단자(35-1)가 단부에 구비된 케이블(35)과, 상기 회동부재(34)의 제2지지부(34-3)와 모니터(10)의 내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16)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모니터 일측에 거치대를 내장하여 간단히 손으로 가압함으로 거치대를 열거나 닫아 이동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음으로써, 컴퓨터 작업 및 이동 단말기 사용에 있어서 아주 편리하며, 이동 단말기를 책상 상면 등에 배치할 필요가 없음으로 책상 상면 공간을 좀더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 일측에 인터페이스 장치부을 구비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모니터에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으로써, 컴퓨터 본체에 긴 케이블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 및 미관상 좋지 않은 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Monitor with mobile holder}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기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를 모니터 내부에 장착시켜, 간단히 손으로 압력을 가함으로 거치대를 열거나 닫아,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해제함으로써, 다양한 컴퓨터 주변기기, 서류철, 책꽂이와 책 등이 배치된 컴퓨터 책상 상면 좁은 공간에 별도로 이동 단말기를 배치할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컴퓨터 책상 공간을 좀더 넓게 사용하는 할 수 있으며, 모니터 내부에 HDMI 단자가 장착된 인터페이스 장치부를 장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데 있어서 매우 용이하고, 컴퓨터 본체에 케이블로 이동단말기를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케이블이 외부로 나와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점 등을 개선한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는 가정 및 사무실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인터텟의 보급과 함께 거의 모든 사람이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본체, 모니터, 마우스, 스피커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며,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 책상 상면에 모니터와 마우스 등을 올려놓고 책상 아래에 본체를 놓고 각종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 후, 컴퓨터작업을 한다.
또한, 컴퓨터보다 더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은 컴퓨터의 기능을 다 내장된 작은 컴퓨터이기에 현대인들에게는 필수품으로 자리잡히고 있다.
그러나, 책상 상면에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니터나 본체 및 각종 컴퓨터주변기기, 이동 단말기 거치대, 각종 케이블 등을 올려놓게 되면 책상의 가용면적이 좁아지게 되어 컴퓨터작업 이외의 업무를 할 때,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컴퓨터 본체에 긴 케이블 등을 연결해서 모니터에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해야 하기 때문에 케이블이 외부로 나와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니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를 장착하고, 상기 거치대에 이동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두 개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부를 장착함으로써, 별도로 이동 단말기를 배치할 공간이 필요없는 동시에, 모니터에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컴퓨터에 긴 케이블 등을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고정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한편, 일측면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내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 및 제1지지부와, 내부에 형성된 안내돌기 및 제2고정부재가 마련된 모니터와; 상기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와 상호 대응하게 양측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 안내공간이 형성되며, 정면에는 형성된 안착부재 및 일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모니터의 수납공간 하부에 마련되어 두 개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부로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부는,
모니터의 관통공 및 제2고정부재에 관통하게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부재와, 모니터 내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상호 대응하여 안착되기 위해 외주연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 바닥면에 제1지지부와 상호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니터의 안내돌기에 안내되어, 모니터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연결단자가 단부에 구비된 케이블과, 상기 회동부재의 제2지지부와 모니터의 내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 일측에 거치대를 내장하여 간단히 손으로 가압함으로 거치대를 열거나 닫아 이동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음으로써, 컴퓨터 작업 및 이동 단말기 사용에 있어서 아주 편리하며, 이동 단말기를 책상 상면 등에 배치할 필요가 없음으로 책상 상면 공간을 좀더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 일측에 인터페이스 장치부을 구비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모니터에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으로써, 컴퓨터 본체에 긴 케이블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 및 미관상 좋지 않은 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와 인터페이스 장치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작용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의 작용 1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의 작용 2을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가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고정돌기(11-2) 및 결합홈(11-3)이 형성된 수납공간(11)을 구비하고 있는 모니터(10)와; 상기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와 상호 대응하게 양측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2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안내공간(22)이 형성되며, 정면에는 형성된 안착부(12) 및 일단부에 결합부(24)가 형성된 거치대(20)와; 상기 수납공간(11) 하부에 마련되며, 두 개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부(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가 설치된 사각형태를 갖는 모니터(10)가 마련되며, 상기 모니터(10) 상부 일측에 수납공간(11)을 형성하는데,
상기 수납공간(11)은 모니터(10) 일측 내부에 연결형성되며, 수납공간(11)의 내면에는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가 형성되고 수납공간(11)의 중앙에는 거치대(20)를 고정하되, 수납공간(11)에 삽입된 거치대(20)가 수납공간(11)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돌기(11-2)가 형성되며, 거치대(20)가 완전삽입되기 위해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10) 일측에 내부로 연결형성된 수납공간(11)에 거치대(20)가 삽입설치되는데,
상기 거치대(20)의 구성은 수납공간(11) 내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와 상호대응하게 양측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21)가 형성되고, 수납공간(11) 중앙에 형성된 고정돌기(11-2)를 타고 거치대(20)가 좌우수평이동하여 수납공간(11)에 삽입되거나 해제되기 위해 거치대(20) 중앙부에 안내공간(22)이 형성되며, 거치대(20) 정면에는 이동 단말기(40)가 안착되기 위해 안착부재(23)가 형성되고, 모니터(10)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1-3)에 안착되는 결합부(24)로 이루어진다.
한편, 수납공간(11) 하부에 두 개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 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부(30)가 설치되는 것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10)의 일측면에 안착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2) 하부에 관통공(14)을 형성하고, 모니터(10) 내면에 제1고정부재(15) 및 제1지지부(16)를 구비하는 한편, 모니터(10) 내부에 안내돌기(17) 및 제2고정부재(18)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상호 대응하게 인터페이스 장치부(30)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부(30)는 모니터(10)의 관통공(14) 및 제2고정부재(18)에 관통하게 설치되는 회동축(31)과, 상기 회동축(31)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부(32)와, 상기 제2고정부재(18)와 상기 고정부(32)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부재(33)와, 모니터(10) 내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15)와 상호 대응하여 안착되기 위해 외주연에 안착홈(34-1)이 형성되고, 중앙에 홈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34-2) 바닥면에 제1지지부(16)와 상호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34-3)를 포함하는 회동부재(34)와,
상기 회동부재(34)와 고정부(32) 사이에 마련되며, 모니터(10)의 안내돌기(17)에 안내되어, 모니터(10)의 안착부(12)에 안착되는 연결단자(35-1)가 단부에 구비된 케이블(35)과, 상기 회동부재(34)의 제2지지부(34-3)와 모니터(10)의 내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16)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36)로 구성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34)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하며, 회동부재(34) 외주연에 형성되는 안착홈(34-1)은 원형태로 형성하여 제1고정부재(15)와 상호 대응하여 억지회동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터페이스 장치부(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수납공간(11)에 수용된 거치대(20)를 손으로 잡아 당기면, 수납공간(11)의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와 거치대(20)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21)가 상호 작용하여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거치대(20) 중앙에 형성된 안내공간(22) 일단부에 밀착해 있던 고정돌기(11-2)가 상기 안내공간(22)의 타단에 밀착되어 더 이상 거치대(20)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단말기의 접속부에 케이블(35) 단부에 구비된 연결단자(35-1)를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연결단자(35-1)를 이동단말기의 접속부에 연결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35-1)를 당기면, 인터페이스 장치부(30)의 회동축(31)에 감겨있던 케이블(35)이 풀리는 동시에, 회동축(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동축(31)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동부재(34)가 회전하면서 모니터(10)의 제1고정부재(15)와 상호 대응하여 회동부재(34)의 외주연에 형성된 안착홈(34-1)이 제1고정부재(15)에 밀착하여 억지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용과 동시에 회동부재(34)의 안착홈(34-1)이 제1고정부재(15)에 상호 대응하여 억지 회전 후, 제1고정부재(15)에 안착고정되고, 회동부재(34)의 제2지지부(34-3)와 모니터(10)의 내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16)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36)가 수축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40)의 접속부에 연결된 연결단자(35-1)를 해제 후, 거치대(20)를 수용공안에 삽입하게 되면, 수납공간(11)의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와 거치대(20)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21)가 상호 작용하여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거치대(20) 중앙에 형성된 안내공간(22) 일단부에 밀착해 있던 고정돌기(11-2)가 상기 안내공간(22)의 타단으로 밀착하게 되는 동시에 거치대(20)의 결합부(24)가 모니터(10)의 결합홈(11-3)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40)의 접속부에 연결단자(35-1)를 해제한 다음, 회동축(31) 일단부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모니터(10)의 제2고정부재(18)와 상기 고정부(32)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부재(33)가 수축하게 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제1고정부재(15)에 회전력을 유지한 채 안착되었던 회동부재(34)의 안착홈(34-1)이 제1고정부재(15)에 이탈하게 되는 동시에, 회동부재(34)의 제2지지부(34-3)와 모니터(10)의 내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16)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36)가 복원하게 되어 회동부재(3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작용과 동시에 케이블(35)이 회동축(31) 외주연에 감기게 되어, 케이블(35) 단부에 구비된 연결단자(35-1)가 모니터(10) 일측에 형성된 안착부(12)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모니터 20: 거치대
11: 수납공간 30: 인터페이스 장치부
11-1, 21: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 40: 이동 단말기
12: 안착부
14: 관통공
15: 제1고정부재
16: 제1지지부
17: 안내돌기
18: 제1고정부재

Claims (2)

  1. 내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가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고정돌기(11-2) 및 결합홈(11-3)이 형성된 수납공간(11)을 구비하는 한편, 일측면 형성된 안착부(12)와, 상기 안착부(12)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4)과, 내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15) 및 제1지지부(16)와, 내부에 형성된 안내돌기(17) 및 제2고정부재(18)가 마련된 모니터(10)와; 상기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11-1)와 상호 대응하게 양측면에 한 쌍의 지그재그형 결합돌기(21)가 형성되고, 중앙에 안내공간(22)이 형성되며, 정면에는 형성된 안착부재(23) 및 일단부에 결합부(24)가 형성된 거치대(20)와; 상기 모니터(10)의 수납공간(11) 하부에 마련되어 두 개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부(30)로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부(30)는,
    모니터(10)의 관통공(14) 및 제2고정부재(18)에 관통하게 설치되는 회동축(31)과, 상기 회동축(31)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부(32)와, 상기 제2고정부재(18)와 상기 고정부(32)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부재(33)와, 모니터(10) 내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15)와 상호 대응하여 안착되기 위해 외주연에 안착홈(34-1)이 형성되고, 중앙에 홈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34-2) 바닥면에 제1지지부(16)와 상호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34-3)를 포함하는 회동부재(34)와, 상기 회동부재(34)와 고정부(32) 사이에 마련되며, 모니터(10)의 안내돌기(17)에 안내되어, 모니터(10)의 안착부(12)에 안착되는 연결단자(35-1)가 단부에 구비된 케이블(35)과, 상기 회동부재(34)의 제2지지부(34-3)와 모니터(10)의 내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16)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
  2. 삭제
KR1020120115903A 2012-10-18 2012-10-18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 KR10127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903A KR101276178B1 (ko) 2012-10-18 2012-10-18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903A KR101276178B1 (ko) 2012-10-18 2012-10-18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178B1 true KR101276178B1 (ko) 2013-06-18

Family

ID=4886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903A KR101276178B1 (ko) 2012-10-18 2012-10-18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1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90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
US20110157801A1 (en) * 2008-09-05 2011-06-30 Satterfield Johnny A Electronic Device Docking System
KR101058172B1 (ko) * 2010-10-01 2011-08-24 주식회사주연테크 컴퓨터 케이스
KR101111265B1 (ko) 2009-11-12 2012-03-13 (주)기술과가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nfc 컨트롤러 모듈을 통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인터넷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7801A1 (en) * 2008-09-05 2011-06-30 Satterfield Johnny A Electronic Device Docking System
KR20100107190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
KR101111265B1 (ko) 2009-11-12 2012-03-13 (주)기술과가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nfc 컨트롤러 모듈을 통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인터넷 연결장치
KR101058172B1 (ko) * 2010-10-01 2011-08-24 주식회사주연테크 컴퓨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7836A1 (en) Add-On Component for Computing Devices for Multi-Display Functionality
KR101534488B1 (ko)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CN105611756B (zh) 电子装置
CN105446423B (zh) 用来可旋转地承载携带式电子装置的保护装置
KR20170087008A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US20190184907A1 (en)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276178B1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모니터
KR20170087001A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CN205051750U (zh) 手机支撑装置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WO2014034765A1 (ja) 携帯端末装置のアクセサリー
KR20180105352A (ko) 빔 프로젝트를 구비하는 침대 시스템
CN206022761U (zh) 遥控器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CN205017386U (zh) 能够组装为适用于不同场合的移动终端支架
KR101328501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TWM430805U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display screen of the cover support structure
CN208285361U (zh) 一种手机支撑装置
CN207625746U (zh) 用于蓝牙接收装置的夹子
WO2019233080A1 (zh) 充电支架
KR101563257B1 (ko) 스마트폰용 손받침 겸용 홀 폐쇄장치
CN215488471U (zh) 电子设备支架
CN114614291B (zh) 一种可升缩数据线
KR200470556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CN215596848U (zh) 一种能够360度旋转的移动终端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