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943B1 -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943B1
KR101274943B1 KR1020110135121A KR20110135121A KR101274943B1 KR 101274943 B1 KR101274943 B1 KR 101274943B1 KR 1020110135121 A KR1020110135121 A KR 1020110135121A KR 20110135121 A KR20110135121 A KR 20110135121A KR 101274943 B1 KR101274943 B1 KR 101274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lux
measurement
unit
measuring
radian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환
김흥열
인기호
안재홍
조범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ndu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7/00Measuring quantity of heat
    • G01K17/06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 G01K17/08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based up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of a temperature
    • G01K17/20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based up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of a temperature across a radiating surface, combined with ascertainment of the 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Abstract

측정 대상물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 대상물로부터의 복사 열유속 및 대기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대상물의 측정 지점의 성능을 화재 구획별로 파악할 수 있고, 측정 유닛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 대상물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는,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의 수직 구획별로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과 가이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장치 본체; 장치 본체의 가이드 하우징에 설치되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측정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및 측정 유닛과 이송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측정 유닛은 이송 유닛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측정 대상물의 측정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MEASURING HEAT FLUX OF FIRE COMPARTMENT ELEMENT,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수직 구획부재로 구획된 측정 대상물을 성능 측정실에 설치하고, 측정 대상물의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화재 구획별로 측정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Heat Flux) 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성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건축물로 도시는 점차 변화 및 발전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로의 인구 과밀화 현상으로 인한 주택난 해소의 대안으로 건축물은 초고층화가 되고 건물사이 간격은 더욱 좁아졌다. 또한, 건축기술의 발달과 함께 외관의 모습도 중요하게 되면서 다양한 외장재 사용으로 미관성이 뛰어난 건축물을 선호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건축물의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를 실시하며 에너지 효율이 좋은 외장재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외장재는 유기물 단열재로 인해 화재에 취약한 안전상에 문제가 있다. 국외의 경우, 이러한 외장재로 인한 화재확산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연구가 통하여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러한 외장재의 KS 규격 및 안전성에 대한 법적인 규제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특히, 건축법상 건물 측벽간의 이격거리 규정이 명확하지 않아 외장재 화재 발생시 복사열로 인해서 인접 건물로 화재가 확산될 위험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 있다.
한편, 열방출률 측정과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86374호에는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 시스템은, 산소소모량에 의해 연소시 발생하는 열방출률과 착화시간, 연기발생량, 질량감소율, 산소소모량, CO/CO2 생성량 등을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한 각 장치들이 랙(Rack: 11)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장치들은, 명령입력용 키보드와 시편(Specimen; 12) 연소시 질량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명령입력용 패널 등과 같은 각종 입력수단(13); 모니터(14)와 중앙처리장치(15)를 포함한 컴퓨터; 시편(12)을 장착하여 발화시키고, 연소시에 연소가스를 포집하는 열량계(16); 열량계(16)를 통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장치; 배기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기팬(17); 및 배기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모터와 같은 팬조절 수단(18)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 시스템에 따르면, 각종 제품의 화재시 연소 특성을 손쉽고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고, 또한, 각종 건축물의 자재로 사용되는 제품의 연소시 열방출률 등의 특성을 시험하여 화재시 실제 화재의 크기, 발전 및 예측이 가능하다.
한편, 다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77617호에는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은, 메인 하우징(21); 메인 하우징(21)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22); 덕트(22)의 입구에 설치되며 연소시험을 위한 화재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모아져 덕트(22)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후드(23); 배출후드(23)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 시험대(24); 룸 본체(25a)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버너(25b)를 구비하여 고정시험대(44)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설치되는 메인 테스트룸(25); 가이드레일(26)을 구비하여, 메인 테스트룸(25)을 이동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이동유닛; 복사열 측정장치(27); 및 배출후드(23)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측정하는 연소가스 분석장치를 구비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 시스템에 따르면, 두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연소 시험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연속해서 서로 다른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고, 연소 시험시 발생되는 외기 복사열을 측정하기 위한 복사열 측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외기로의 화염전파 가능성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서 초기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는 그 규모가 작고 쉽게 진화할 수 있는 상태이지만, 이것이 계속적으로 확산되면 쉽게 진화하기 어려운 큰 화재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화재의 발생 초기에 진화하는 것에 관해서는 많은 기술들이 창안되었다. 예를 들면,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시설은 화재발생 초기에 화재를 감지하여 진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다.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구조물의 공간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Member)로 나누어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부재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화재의 확산을 막기 위한 측정 대상물로서, 단열재일 수 있고, 이러한 부재는 벽체 또는 바닥판의 구조체로 형성되는 구획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획에 형성되는 통로, 즉, 창호 등의 개구부는 화재확산의 주요한 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개구부의 화재확산 방지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러한 개구부 부재의 성능기준은 국토해양부 고시의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와 다르게 선박에서도 같은 개념의 부재성능을 요구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IMO FTP CODE(International code for application of fire test procedure)에 제시된 성능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능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성능 시험을 수행할 때, 사람이 직접 부재 근처에서 부재의 복사열을 측정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부재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부재로부터의 복사열 및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부재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로 인해 온도 센서가 과열되어 부재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부재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77617호(출원일: 2009년 9월 7일), 발명의 명칭: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86374호(출원일: 2005년 1월 22일), 발명의 명칭: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시스템" 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8-33837호(공개일: 2008년 4월 17일), 발명의 명칭: "화재시 시험 대상체의 연소평가 요소 측정 및 분석시스템" 4)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29150호(출원일: 2005년 7월 19일), 발명의 명칭: "불연재료 난연성능 시험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측정 대상물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 대상물로부터의 복사 열유속 및 대기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대상물의 측정 지점의 성능을 화재 구획별로 파악할 수 있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 유닛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 대상물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는,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의 수직 구획별로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과 가이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가이드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측정 유닛과 이송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측정 대상물의 측정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장치 본체의 가이드 하우징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 블록;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어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열유속 센서(Heat Flux Meter); 및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측정지점을 표시하는 레이저포인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측정 유닛을 지지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상하로 왕복하도록 설치된 이송부재;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원격지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는, 상기 측정 유닛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 유닛은,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부; 상기 냉매 공급부에서 공급된 냉매가 상기 측정 유닛을 경유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냉매 유로; 상기 냉매가 상기 냉매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압력을 인가하는 펌프; 및 상기 냉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매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 및 상기 밸브는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의 수평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조절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조절 유닛은, 상기 장치 본체의 횡방향과 종향방 각각의 수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평계; 및 상기 장치 본체의 메인 하우징 및 주행바퀴의 연결 부분이 나사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은,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도록 수직 구획별로 측정지점이 설정된 측정 대상물; 상기 측정 대상물의 수직 구획별로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로부터 원격 배치되고,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물의 화재 확산방지 특성 및 성능을 분석하는 분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는, 메인 하우징과 가이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측정 유닛과 이송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은,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의 수직 구획별로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측정 대상물의 측정지점을 수직 구획별로 설정하고,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수평을 조절하는 단계; c) 열유속 센서의 과열 방지를 위한 냉매를 냉매 유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d) 레이저포인터를 구동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 상에서 측정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e) 이송 유닛을 사용하여 측정 유닛을 상기 측정 대상물 상의 측정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측정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측정 대상물의 온도와 열유속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대상물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 대상물로부터의 복사 열유속 및 대기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대상물의 측정 지점의 성능을 화재 구획별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정 대상물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 대상물의 성능을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유닛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 대상물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대상물의 측정하고 싶은 지점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측정 유닛과 이송 유닛의 연결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제어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냉매 유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냉각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열유속 센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자동운전 프로그램이 수행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를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은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측정 대상물 및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은, 성능 측정실(100), 측정 대상물(200),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 및 분석장치(400)가 구비되어,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가 사용되는 시험 환경을 제공한다.
측정 대상물(200)은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부재로서, 예를 들면, 시멘트벽, 철제문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측정 대상물(200)은 성능 측정실(100)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인위적으로 화재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 대한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를 설치하고, 상기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가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온도 및 열유속(열방출량)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거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가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온도 및 열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 대한 온도 및 열유속 데이터는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원거리에 마련된 분석장치(400)인 PC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 및 상기 분석장치(400)는 각각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인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분석장치(400)는 예를 들면, PC로 구현될 수 있고,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의 원거리에 마련되며, 데이터 통신을 통해서 무선으로 송신되는 측정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로 인해, 고온의 열이 방출되는 측정 대상물(200)의 원거리에서 측정 대상물(200)을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측정 유닛과 이송 유닛의 연결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제어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는, 장치 본체(310), 측정 유닛(320), 이송 유닛(330), 제어 유닛(340), 냉각 유닛(350) 및 수평조절 유닛(360)을 포함한다.
장치 본체(310)는 메인 하우징(311)과 가이드 하우징(312)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311)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그 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를 쉽게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바퀴(38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바퀴(380)는,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시험 현장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를 이동시킬 때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바퀴(380)는 수평 지지부재(390)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하우징(42)의 내부에 제어 유닛(340), 구동모터(331) 및 냉각 유닛(350)이 설치되며, 그 측면에 후술할 밸브(35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하우징(312)은 상기 메인 하우징(311)의 상면으로 돌출된 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312)의 단면적은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메인 하우징(31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312)에는 측정 유닛(320)과 이송 유닛(330)이 설치된다.
이러한 장치 본체(310)는 주행바퀴(380) 및 이송 핸들(370)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고, 수평 지지부재(390)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에서, 상기 이송 유닛(330)은 상기 장치 본체(310)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유닛(320)을 이동시킨다. 즉, 상기 이송 유닛(330)은 상기 장치 본체(310)에 마련되며, 상기 측정 유닛(320)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모터(331), 풀리(332) 및 이송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31)는 상기 메인 하우징(311)에 설치되며 이송부재(333)를 시계 방향(D1) 또는 반시계 방향(D2)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송부재(333)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12)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정 유닛(320)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재(333)는 상기 풀리(332)에 의해 구동모터(331)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 유닛(320)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312)을 일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 유닛(320)의 일측 단부(325)는 상기 이송부재(333)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31)가 시계 방향(D1)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송부재(333)가 시계 방향(D1)으로 이송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측정 유닛(320)은 하향 이동된다. 반면에, 구동모터(331)가 반시계 방향(D2)으로 회전되면 이송부재(333)도 반시계 방향(D2)으로 이송되고 측정 유닛(320)은 상향 이동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에 따르면, 상기 측정 대상물(200)의 여러 부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측정 유닛(320)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31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측정 대상물(20)의 화재 구획인 F1, F2, F3, …, Fn 지점에서 방출되는 온도 및 열유속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에서, 상기 이송부재(333)는 타이밍 벨트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측정 유닛(320)은 상기 장치 본체(310)의 가이드 하우징(312)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한다. 즉, 상기 측정 유닛(320)은 상기 이송 유닛(3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측정 대상물(200)의 측정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 유닛(320)은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온도와 열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가동 블록(321), 온도 센서(322), 열유속 센서(323) 및 레이저포인터(3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블록(321) 상에 온도 센서(322), 열유속 센서(323) 및 레이저포인터(324)가 설치되고, 그 가동 블록 일측 단부(325)가 상기 이송부재(333)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하우징(31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온도 센서(Thermocouple: 322)는 상기 가동 블록(32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 센서(322)는 0~1000℃ 범위의 온도를 측정하며, 예를 들면, 'Sheathed K Type'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유속 센서(Heat Flux Meter: 323)는 가동 블록(321)에 설치되어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열유속을 측정한다.
상기 온도 센서(322) 및 열유속 센서(323)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통해 상기 측정 대상물(200)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의 확산방지를 위한 양질의 측정 대상물(200)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포인터(324)는 상기 가동 블록(321)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200)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온도 센서(322)와 열유속 센서(323)가 측정하는 지점을 표시해준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물(200)의 정확한 지점에서의 특성을 측정하고 확인함으로써, 상기 측정 대상물(200)의 화재 확산방지 성능을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포인터(324)는 DC 5V의 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340)은 상기 측정 유닛(320)과 이송 유닛(3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 유닛(340)은 메인 하우징(311)에 설치되어 복사 열유속 측정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며, 측정 유닛 구동버튼(341), 전원버튼(342), 레이저포인터 버튼(343), 자동/수동 운전 절환버튼(344) 및 데이터통신 버튼(345)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 유닛 구동버튼(341)은 측정 유닛(32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상향이동 버튼(341a), 정지버튼(341b) 및 하향이동 버튼(341c)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들(341a, 341b, 341c)을 조작하면 이와 연결된 구동모터(331)가 버튼들(341a, 341b, 341c)의 조작에 대응되는 신호로 작동되어 측정 유닛(32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전원버튼(342)은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에 동력공급 유무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상기 레이저포인터 버튼(343)은 측정 유닛(320)에 마련된 레이저포인터(324)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상기 자동/수동 운전 절환버튼(344)은 복사 열유속 측정 과정을 자동 운전 또는 수동 운전으로 수행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자동 운전 또는 수동 운전 따른 절차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통신 버튼(345)은 측정 유닛(3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원거리에 위치한 분석장치인 PC(400)로 전송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무선통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안테나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무선통신 안테나는 블루투스 안테나 한 쌍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조절 유닛(360)은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의 평형을 유지하여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평조절 볼트(361)와 수평계(36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조절 볼트(361)는 주행바퀴(380)와 메인 하우징(311)의 연결부분이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주행바퀴(380)를 나사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주행바퀴(380)와 메인 하우징(311)의 밀착도가 약해져서 장치 본체(310)의 높이가 높아진다. 반면에, 상기 주행바퀴(380)를 상기 메인 하우징(311)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주행바퀴(380)가 상기 메인 하우징(311)에 밀착되어 상기 장치 본체(310)의 높이가 낮아진다.
상기 수평계(362)는 상기 장치 본체(310)의 수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수평계(362)는 상기 메인 하우징(311)의 상면에 대각으로 두 개가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310)의 횡방향과 종향방 각각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냉매 유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냉각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 유닛(350)은 열유속 센서(323)가 과열로 인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냉매공급부(351)와 냉매 유로(352), 펌프(353) 및 밸브(354)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 공급부(351)는 냉매를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 유닛(340)의 제어신호에 의해 펌프(353)로 냉매를 공급한다. 여기서, 냉매 공급부(351)는 탱크와 같이 일정한 부피를 가진 저장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수도와 같이 별도의 저장장치를 갖추지 않고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냉매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유로(352)는 장치 본체(310)에 수납되어 설치되어 냉매의 이동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매 유로(352)는 열유속 센서(323)를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열유속 측정 시, 열유속 센서(323)가 과열되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열유속 및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펌프(353)는 냉매에 압력을 가하여 냉매가 냉매 유로(35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펌프(353)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냉매 유로(352)를 따라 냉매를 유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밸브(354)는 메인 하우징(311)의 옆면에 마련되며 냉매가 과도한 압력을 받아 열유속 센서(32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열유속을 측정 시, 냉매를 공급할 때는 밸브(354)를 최저유동위치에 놓고 냉매를 공급하여 적정한 유동량에 도달할 때까지 밸브(354)를 서서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밸브(354)는 냉매의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며 니들밸브(Needle Valve)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열유속 센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평면도이고, 도 9의 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열유속 센서(323)는, 가동 블록(321)에 설치되어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열유속을 측정한다. 여기서, 열유속 센서(323)는 0~100 kW/mㅂ범위의 열유속을 측정하며, Medtherm사에서 공급하는 'Gardon Gage Type'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열유속 센서(323)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통해 상기 측정 대상물(200)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의 확산방지를 위한 양질의 측정 대상물(200)을 판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의 작용은 수동 운전과 자동 운전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서 자동운전 프로그램이 수행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은,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의 수직 구획별로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으로서, 먼저 측정 대상물의 측정지점을 수직 구획별로 설정하고,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를 배치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수평을 조절하고(S120), 다음으로, 열유속 센서의 과열 방지를 위한 냉매를 냉매 유로를 통해 공급한다(S130).
다음으로, 수동 운전 또는 자동 운전 모드를 선택하고(S140), 다음으로, 수동 운전이 선택된 경우, 레이저포인터를 구동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 상에서 측정지점을 확인한다(S150).
다음으로, 이송 유닛을 사용하여 측정 유닛을 상기 측정 대상물 상의 측정지점으로 이동시키고(S160), 다음으로, 상기 측정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측정 대상물의 온도와 열유속을 측정한다(S170). 이후,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80).
구체적으로, 수동 운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를 측정위치에 놓고 수평계(362)를 확인하면서 장치 본체(310)가 수평을 유지하면 수평조절 볼트(361)를 고정시키고 전원선을 코드에 꽂는다.
다음으로, 열유속 센서(323)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매를 공급한다. 여기서, 밸브(354)를 최저 유동위치에 놓고 냉매를 공급하면서 적정한 유동량에 도달할 때까지 밸브(354)를 조절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340)의 자동/수동 운전 절환버튼(344)을 수동 운전모드(Manual)로 전환한 후,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전원버튼(342)을 눌러 전원을 인가한다.
다음으로, 레이저포인터 버튼(343)을 눌러 레이저포인터의 전원을 온(ON)한다. 여기서, 레이저포인터(324)의 적색 불빛이 측정 대상물(200)에 보이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레이저포인터(324)의 적색 불빛을 보면서 측정 유닛 구동버튼(351)을 이용하여 측정 유닛(320)을 측정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측정 유닛(320)이 해당 측정 위치에 위치하면 레이저포인터의 전원을 오프(OFF)한다.
다음으로, 성능 측정실(100)에서 측정 유닛(320)을 작동시켜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온도와 열유속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온도와 열유속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 유닛(3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측정 유닛(320)을 측정 유닛 구동버튼(341)을 이용하여 하단부로 내리고, 상기 전원버튼(342)을 눌러 전원을 오프(OFF)한다. 마지막으로 냉매의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자동 운전이 선택된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를 작동시킨다(S190).
구체적으로, 자동 운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를 해당 측정 위치에 놓고 수평계(362)를 확인하면서 장치 본체(310)가 수평을 유지하면 수평조절 볼트(361)를 고정시키고 전원선을 코드에 꽂는다.
다음으로, 상기 열유속 센서(323)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매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340)의 자동/수동 운전 절환버튼(344)을 자동 운전모드(Auto)로 전환하고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의 측정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410은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전원버튼(412)과 레이저포인터 버튼(414)을 클릭하여 온(ON)되도록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410) 상에 레이저포인터 지시등(415)이 켜지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측정 유닛 이동버튼(416)을 이용하여 측정 유닛(320)을 측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측정 유닛(320)이 정확한 측정 위치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는 측정 장소에 있는 사용자가 레이저포인터의 적색 불빛을 보면서 위치를 확인하여 준다.
이후, 상기 측정 유닛(320)이 측정위치에 도달하면 레이저포인터 버튼(414)을 클릭하여 오프(OFF)되도록 하고, 제어 프로그램의 측정버튼(418)을 클릭하여 온(ON)되도록 하여 측정 대상물(20)에서 방출되는 온도와 열유속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측정이 끝나면 제어프로그램의 측정버튼(418)을 클릭하여 오프(OFF)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원버튼(412)을 오프(OFF)하기 전에 측정버튼(418)을 오프(OFF)해야 측정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측정 유닛(419)을 가이드 하우징(312)의 하단부로 내리고 전원을 오프(OFF)시킨다. 마지막으로, 냉매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때, 제어 프로그램에는 측정된 온도와 열유속을 디지털값(411)과 그래프(413)로 표시해준다. 이에 따라 측정값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서 원거리에서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온도와 열유속을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냉각 유닛(350)이 열유속 센서(323)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 대상물(200)에서 방출되는 열유속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에는 무선통신 안테나(블루투스)가 마련되어 있어서 측정된 데이터를 원거리에 있는 분석장치(400)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해 손쉽게 측정 대상물(200)의 특성 및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를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가 성능 측정실 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도 12b는 측정 대상물(200)의 측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측정 대상물(200)은 수직 구획별로 구획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300)의 측정 유닛(32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대상물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 대상물로부터의 복사 열유속 및 대기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대상물의 측정 지점의 성능을 화재 구획별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정 대상물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 대상물의 성능을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유닛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 대상물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대상물의 측정하고 싶은 지점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성능 측정실
200: 측정 대상물
300: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400: 분석장치(PC)
310: 장치 본체
311: 메인 하우징(Main Housing)
312: 가이드 하우징(Guide Housing)
320: 측정 유닛
321: 가동 블록(Moving Block)
322: 온도 센서
323: 열유속 센서(Heat Flux Meter)
324: 레이저포인터(Laser Pointer)
330: 이송 유닛
331: 구동모터
332: 풀리(Pulley)
333: 이송부재
340: 제어 유닛
350: 냉각 유닛
351: 냉매 공급부
352: 냉매 유로(Cooling Line)
353: 펌프(Pump)
354: 밸브(Valve)
360: 수평조절 유닛
361: 수평조절 볼트
362: 수평계
370: 이송 핸들
380: 주행바퀴
390: 수평 지지부재
410: 제어 프로그램

Claims (17)

  1.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의 수직 구획별로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과 가이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가이드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측정 유닛과 이송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측정 대상물의 측정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원격지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장치 본체의 가이드 하우징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 블록;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어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열유속 센서(Heat Flux Meter); 및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측정지점을 표시하는 레이저포인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측정 유닛을 지지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상하로 왕복하도록 설치된 이송부재;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부;
    상기 냉매 공급부에서 공급된 냉매가 상기 측정 유닛을 경유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냉매 유로;
    상기 냉매가 상기 냉매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압력을 인가하는 펌프; 및
    상기 냉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매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상기 밸브는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수평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조절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 유닛은,
    상기 장치 본체의 횡방향과 종향방 각각의 수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평계; 및
    상기 장치 본체의 메인 하우징 및 주행바퀴의 연결 부분이 나사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11.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도록 수직 구획별로 측정지점이 설정된 측정 대상물;
    상기 측정 대상물의 수직 구획별로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로부터 원격 배치되고,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물의 화재 확산방지 특성 및 성능을 분석하는 분석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는,
    메인 하우징과 가이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측정 유닛과 이송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상기 분석장치는 각각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인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측정 유닛은,
    상기 장치 본체의 가이드 하우징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 블록;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어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열유속 센서(Heat Flux Meter); 및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를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측정 유닛은,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측정지점을 표시하는 레이저포인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이송 유닛은,
    상기 측정 유닛을 지지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상하로 왕복하도록 설치된 이송부재;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 시스템.
  16. 화재의 확산방지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의 수직 구획별로 복사 열유속을 측정하는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측정 대상물의 측정지점을 수직 구획별로 설정하고,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의 수평을 조절하는 단계;
    c) 열유속 센서의 과열 방지를 위한 냉매를 냉매 유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d) 레이저포인터를 구동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 상에서 측정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e) 이송 유닛을 사용하여 측정 유닛을 상기 측정 대상물 상의 측정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측정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측정 대상물의 온도와 열유속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내지 f) 단계는 수동 운전 또는 자동 운전 모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방법.
KR1020110135121A 2011-12-15 2011-12-15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274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21A KR101274943B1 (ko) 2011-12-15 2011-12-15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21A KR101274943B1 (ko) 2011-12-15 2011-12-15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943B1 true KR101274943B1 (ko) 2013-06-17

Family

ID=4886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121A KR101274943B1 (ko) 2011-12-15 2011-12-15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41B1 (ko) 2017-10-13 2018-11-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대를 이용한 온도 측정오차 보정계수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2631463B1 (ko) 2022-11-30 2024-01-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규모 화재실험실의 복사열 측정센서용 상온수 온도유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사열 측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150B1 (ko) * 2005-07-19 2006-09-28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불연재료 난연성능 시험장치
KR100686374B1 (ko) * 2005-01-22 2007-02-22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74B1 (ko) * 2005-01-22 2007-02-22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시스템
KR100629150B1 (ko) * 2005-07-19 2006-09-28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불연재료 난연성능 시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41B1 (ko) 2017-10-13 2018-11-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대를 이용한 온도 측정오차 보정계수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2631463B1 (ko) 2022-11-30 2024-01-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규모 화재실험실의 복사열 측정센서용 상온수 온도유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사열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4753C (en) Concrete cylinder curing box and method
Wan et al. Effects of pool size and spacing on burning rate and flame height of two square heptane pool fires
US7474387B2 (en) Electro-optical distance measuring method, distance measuring program and distance measuring system
KR100977617B1 (ko) 룸 코너 연소시험 측정시스템
ES2310838T3 (es) Medicion, sin contacto fisico, de los gases de escape por espectroscopia ftir en unidades metalurgicas.
US9625437B2 (en) System for determination of explosibility indicies of fuels
KR101274943B1 (ko) 화재 구획별 복사 열유속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065768B1 (ko) 연료탱크의 기밀검사장치 및 방법
US9773424B2 (en) Fire fighting training system with integrated extinguishant sensor
EP3799111B1 (en) Inspection device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US20170074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an Industrial Furnace
US20140369888A1 (en) Humidity determining device and environmental tester including the same
CN104792741A (zh) 光穿透率量测设备
CN104865289B (zh) 一种铺地材料热辐射测试仪
US9459220B2 (en) Alloyed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lloyed posi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13160606A (ja)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101988252B1 (ko) 적외선 가열장치에 의한 시편의 화염착화 자동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Wang et al. Experimental studies of the effect of burner location on the development of building fires
KR1007049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 실험용 수평 가열로
KR200483769Y1 (ko) 난연성 측정장치
Bennett et al. Effects of soot volume fraction on local gas heating and particle sizing using laser induced incandescence
KR102631463B1 (ko) 실규모 화재실험실의 복사열 측정센서용 상온수 온도유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사열 측정 시스템
CN102246026B (zh) 用于检测材料的加热炉以及利用所述加热炉的表征方法
JP2008058019A (ja) 熱分析装置
KR100941442B1 (ko) 재하조건 콘크리트 폭렬실험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