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882B1 - 조립식 온돌배관 - Google Patents

조립식 온돌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882B1
KR101274882B1 KR1020110083273A KR20110083273A KR101274882B1 KR 101274882 B1 KR101274882 B1 KR 101274882B1 KR 1020110083273 A KR1020110083273 A KR 1020110083273A KR 20110083273 A KR20110083273 A KR 20110083273A KR 101274882 B1 KR101274882 B1 KR 10127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frame
support cap
support
bol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011A (ko
Inventor
이종래
김시남
Original Assignee
김시남
이종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남, 이종래 filed Critical 김시남
Priority to KR102011008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8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옹벽의 문제점인 아파트의 윗층과 아래층간의 층간소음으로 인하여 입 주민들 사이에 의견충돌이 발생하고, 심지어 다투는 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난방용 조립식 온돌배관에 관한 것으로 온수파이프와 전기저항선의 설치부가 구비된 조립식형태의 알미늄 후레임(30),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지지하는 지지캡, 상기 지지캡에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원판스프링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캡과 알미늄 후레임(30)을 연결하는 연결볼트(25)에 의거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높 낮이의 조절을 하고,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부면과 스라브 윗면과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소음차단 및 단열작용을 하고,
또한 아파트의 거실 등에서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접시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지지하는 지지캡, 상기 지지캡의 밑면 하단부와 방바닥을 이루는 스라브 콘크리트의 사이에 알미늄시트가 접착된 스폰지를 포설하므로 아파트의 윗층에서 어린이들이 뛰어 놀 때 발생하는 소음이 지지캡 과 스폰지에 의거 차단되므로 아파트의 층간소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온돌배관{Assambling unit of ondol pipe }
본 발명은 난방용 조립식 온돌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파이프와 전기저항선의 설치부가 구비된 조립식 알미늄 후레임(30),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지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지지캡(20),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지지캡(20)을 결착하는 연결볼트(25), 상기 연결볼트(25)에 의거 알미늄후레임(30)의 높, 낮이 를 조절하고,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스라브(10)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또한 아파트의 거실 등에서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접시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캡(20), 상기 지지캡(20)의 밑면 하단부와 방바닥을 이루는 스라브 콘크리트의 사이에 알미늄시트가 접착된 스폰지(15)를 포설하므로 아파트의 윗층에서 어린이들이 뛰어 놀 때 발생하는 소음이 지지캡(20)과 스폰지(15)에 의거 차단되므로 아파트의 층간소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구성이다.
우리나라는 온돌을 사용하는 민족으로서 겨울철의 추위를 슬기롭게 극복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 석탄산업이 사양화 산업이 되면서 점차 석유나, 가스와 같은 연료를 사용하게 되었고, 온돌도 내부에 온수파이프를 매설하는 보일러시스템으로 대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보일러시스템에 사용되는 연료로는 공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나,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었고, 온수파이프의 매설은 주로 조립식으로 하는 공법이 사용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KR-B1 제10-0451677호에는 차음/단열패널(2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상면에 온수관홈(31) 및 전열선홈(32)이 형성되고, 하부에 차음홈(33)이 형성된 받침대(30)와, 상기 받침대(30) 사이에 충진되는 마그네시아, 옥돌, 옥분말, 황토가루 및 숯가루로 이루어진 채움재(40)와, 상기 받침대(30)와 채움재(40)의 상면에 안착되는 마감판(50)으로 구성인데도, 아파트의 층간소음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어 민원이 발생하고,
또한 실용신안공보 KR-Y1 제20-1994-0006708호는 다수개의 축열소자 (40)를 삽입시킨 후 온수파이프 (9)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 역시 아파트의 층간소음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1).등록실용신안 KR-Y1 제20-0274865호 2).등록특허공보 KR-B1 제10-0451677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이루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온수파이프와 전기저항선의 설치부가 구비된 조립식 알미늄 후레임(30),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지지하면서 접시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캡, 상기 지지캡과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연결설치하는 연결볼트(25), 상기 연결볼트(25)에 의거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높 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부면과 아파트의 방을 이루는 스라브 콘크리트의 윗면과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작용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아파트의 거실 등에서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접시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캡, 상기 지지캡에 의거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부면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캡의 밑면 하단부와 방바닥을 이루는 스라브 콘크리트의 사이에 알미늄시트가 접착된 스폰지를 포설하므로 아파트의 윗층에서 어린이들이 뛰어 놀 때 발생하는 소음이 지지캡과 스폰지에 의거 차단되므로 아파트의 층간소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온돌배관은 알미늄 후레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열매체파이프 설치부(36)와 전기 저항선 설치부(37)에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설치가 편리하여 인건비가 절감되므로 그 설치공사 기간을 1/2로 단축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알미늄 후레임(30),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0), 황토 쎄라믹볼(56), 황토몰탈(58) 등은 리모델링으로 재시공시 재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옹벽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온수파이프와 전기저항선의 설치부가 구비된 조립식형태의 알미늄 후레임(30),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지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지지캡(20),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지지캡(20)을 결착하는 연결볼트(25), 상기 연결볼트(25)에 의거 알미늄후레임(30)의 높, 낮이 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스라브(10)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작용을 하고,
또한 아파트의 거실 등에서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접시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지지하는 지지캡, 상기 지지캡의 밑면 하단부와 방바닥을 이루는 스라브 콘크리트의 사이에 알미늄시트가 접착된 스폰지를 포설하므로 아파트의 윗층에서 어린이들이 뛰어 놀 때 발생하는 소음이 지지캡과 스폰지에 의거 차단되므로 아파트의 층간소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구성이다.
온수파이프와 전기저항선의 설치부가 구비된 조립식 알미늄 후레임(30),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지지하면서 접시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캡, 상기 지지캡과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을 연결설치하는 연결볼트(25), 상기 연결볼트(25)에 의거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높 낮이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부면과 아파트의 방을 이루는 스라브 콘크리트의 윗면과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파트의 거실 등에서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접시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캡, 상기 지지캡에 의거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부면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캡의 밑면 하단부와 방바닥을 이루는 스라브 콘크리트의 사이에 알미늄시트가 접착된 스폰지를 포설하므로 아파트의 윗층에서 어린이들이 뛰어 놀 때 발생하는 소음이 지지캡과 스폰지에 의거 차단되므로 아파트의 층간소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온돌배관은 알미늄 후레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열매체파이프 설치부(36)와 전기 저항선 설치부(37)에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설치가 편리하여 인건비가 절감되므로 그 설치공기가 1/2로 단축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미늄 후레임(30),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0), 황토 쎄라믹 볼(56), 황토몰탈(58) 등은 리모델링으로 재시공시 재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온돌배관의 조립 평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알미늄 후레임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온돌배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알미늄 후레임과 멤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알미늄 후레임과 멤버의 조립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스톤의 장착구조와 이에 의한 옹벽설치 방법을 제1도 내지 도 3의 실시 예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난방용 조립식 온돌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파이프(40)을 배관하는 파이프의 설치부(36)와 전기저항선(41)을 배선하는 저항선의 설치부(37)가 상부에 구비된 조립식 알미늄 후레임(30),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지지캡(20)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결볼트(25), 상기 연결볼트(25)에 구비된 넛트(26c)와 받침판(27)에 의거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볼트(25)에 구비된 넛트(26b)와 위치조정 넛트(26a)에 의거 상기 지지캡(20)의 상단부(18)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캡(20)은 위층에서 어린이들이 뛰어 놀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또한 아파트의 거실 등에서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접시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을 설치하기에 앞서, 상기 지지캡(20)의 밑면 하단부와 방바닥을 이루는 스라브 콘크리트(10)의 상단부에 포설되는 알미늄시트가 접착된 스폰지(15), 상기 스폰지(15)를 포설하므로 아파트의 윗층에서 어린이들이 뛰어 놀 때 발생하는 소음이 지지캡(20)과 스폰지(15)에 의거 차단되므로 아파트의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며,
또한 난방용 조립식 온돌배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아파트의 스라브 콘크리트(10)상에 알미늄시트가 접착된 스폰지(15)를 포설하고, 접시 스프링 형태를 이루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하되, 받침부에 앙카볼트공(21)이 형성되어 앙카볼트(16)를 체결하므로서 아파트의 스라브 콘크리트(10)상에 설치되며,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캡(20),
상기 지지캡(20)의 앙카볼트(16)를 체결하기에 앞서, 상기 지지캡(20)의 상단부(18)에 구비되는 볼트공(24)에 연결볼트(25)를 삽입하여 할 때는 상기 연결볼트(25)에 지지판(27)과 넛트(26b, 26c)를 먼저 가 조립 한 상태에서, 지지캡(20)의 볼트공(24)에 연결볼트(25)를 삽입하여 높이 조절넛트(26a)에 의거 알미늄 후레임(30)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고, 가조립된 넛트(26b)을 체결하므로 지지캡(20)의 상단부(18)와 연결볼트(25)가 고정된다.
상기 접시형태의 지지캡(20)을 이루기 위하여 형성하는 곡면부에 구비되는 원형 절곡부(22,23), 상기 지지캡(20)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단부(18)가 구비 되므로서, 상기 지지캡(20)의 완충작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볼트(25)의 상단부에 구비된 리벳 머리(29)가 스라이딩 결착 하기 위하여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단부에 리벳 머리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요홈(31), 상기 하부요홈(31)에 연결볼트(25)의 리벳 머리(29)를 삽입하면, 하부요홈(31)의 하부측 좌,우측에 형성된 결림부(32)에 리벳 머리(29)가 걸려지게 되므로 하부요홈(31)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연결볼트(25)를 완전히 고정하기 위하여 가조립된 넛트(26c)를 체결하므로서, 받침판(27)이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밑바닥을 지지하도록 상기 넛트(26c)를 체결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볼트(25)에 의거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상기 지지캡(20)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중간부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멤버(51), 상기 멤버(51)와 알미늄 후레임(30)의 측면에 형성되는 ┳형 측면요홈부(34), 상기 ┳형 측면요홈부(34)에 슬라이딩 결착되는 ┓자형 콘넥타(52)의 걸림부(55)가 ┳형 측면요홈부(34)의 걸림턱(35)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ㄱ자형 콘넥타(52)에 구비되는 체결넛트(54)에 체결볼트(53)를 체결하므로서 상기 멤버(51)의 설치 위치에 따라 ┓자형 콘넥타(52)가 고정되며,
상기 ┓자형 콘넥타(52)의 절곡부에 구비된 관통부(59), 상기 관통부(59)는 ┳형 측면요홈부(34)의 입구측에 구비된 상기 걸림턱(35)에 걸리지 않으므로 상기 ┳형 측면요홈부(34)에 스라이딩하도록 결착 된다.
또한 상기 멤버(51)와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측면요홈(33)에는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0)을 삽입하여 황토 쎄라믹 볼(56)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황토 쎄라믹 볼(56)은 직경은 4-6㎜ 크기이고,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측면부와 상기 멤버(51)의 측면부 및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형 공간부를 채워지게 된다.
또한 황토 쎄라믹 볼(56)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직경은 5-10㎜ 크기의 잔 자갈로 대체하여 포설할 수도 있다.
또한 알미늄 후레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열매체파이프 설치부(36)에는 이탈방지부(36a, 36b), 상기 이탈방지부(36a, 36b)가 구비되므로 열매체 파이프(36)의 배관시에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열매체 파이프(40)의 배관을 용이하게 설치하므로 인건비가 절감되므로 그 설치공사 기간을 1/2로 단축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알미늄 후레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기히타선설치부(37), 상기 전기히타선설치부(37)의 입구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37a,37b), 상기 이탈방지부(37a,37b)에 의거 상기 전기히타선(41)의 배선시에 전기히타선(41)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상기 전기히타선(41)의 배선을 용이하게 설치하므로 인건비가 절감되므로 그 설치공사 기간을 1/2로 단축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황토 쎄라믹볼(56)의 상부면에는 와이어매쉬(57)를 포설하고, 상기 와이어매쉬(57)의 상부측에는 황토 몰탈(58)를 반죽하여 10-12㎜높이로 마감처리 한다.
상기 황토 몰탈(58)의 주성분은 쎄라믹 황토 가루 ; 80중량%, 조개껍질 가루 ; 9중량%, 우무가사리 가루 ; 2중량%로 형성되므로, 상기 황토 몰탈(58)을 형성할 수 있는 만큼의 청정수로 반죽한다.
또한 지지캡(20), 알미늄 후레임(30),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0), 황토 쎄라믹 볼(56), 황토몰탈(58) 등은 리모델링으로 재시공시 재활용이 가능하다.
***황토 몰탈의 시험성적서***
시험성적서 발행처 ; 한국건설생활환경 시험연구원장.
성적서번호 ; FWR1418014
시료명 ; 황토 몰탈
시험 결과 ; 아레 표 1 참조
시험항목 단위 구 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온도; 40℃,
측정파장 ; 5㎛-20㎛ )

1
0.925 KCL-FIR-1005

: 2011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측정온도; 40℃,
측정파장 ; 5㎛-20㎛ )

W/㎡

1

3.73 * 100
KCL-FIR-1005

: 2011
또한 황토의 효능에 관하여 살펴보면, 동의보감, 성호사설, 지봉유설 등에서 소개되고 있고, 목욕탕의 황토방, 또는 전통적인 황 토집을 짓는 조상님들의 지혜로부터 자명하게 알 수 있는 봐와 같이 온돌방의 방바닥면을 황토로 형성하면, 황토에서는 고효율의 원적외선이 방사하므로 인체의 건강을 활성화하는 기능성 물질이므로 황토쎄라믹볼이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측면부와 상기 멤버(51)의 측면부 및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0)상부면과 이루는 ∪형 공간부에 채워지고,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상기 황토 쎄라믹 볼(56)의 상부면에는 황토 몰탈(58)을 반죽하여 10-12㎜를 포설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스라브 20 ; 지지캡 25 ; 연결볼트
30 ; 알미늄 후레임 40 ; 온수배관 50 ; 지지판

Claims (3)

  1. 아파트의 스라브 콘크리트(10)상에 알미늄시트가 접착된 스폰지(15)를 포설하고, 접시 스프링 형태를 이루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하되, 받침부에 앙카볼트공(21)이 형성되어 앙카볼트(16)를 체결하므로서 아파트의 스라브 콘크리트(10)상에 설치되며, 스텐리스 판 또는 아연도금 판으로 형성되는 지지캡(20),
    상기 지지캡(20)의 앙카볼트(16)를 체결하기에 앞서, 상기 지지캡(20)의 상단부(18)에 구비되는 볼트공(24)에 연결볼트(25)를 삽입하여 할 때는 상기 연결볼트(25)에 지지판(27)과 넛트(26b, 26c)를 먼저 가 조립 한 상태에서, 지지캡(20)의 볼트공(24)에 연결볼트(25)를 삽입하여 높이 조절넛트(26a)에 의거 알미늄 후레임(30)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고, 가조립된 넛트(26b)을 체결하므로 지지캡(20)의 상단부(18)에 결착되는 연결볼트(25),
    상기 연결볼트(25)의 상단부에 구비된 리벳 머리(29)가 스라이딩 결착 하기 위하여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하단부에 리벳 머리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요홈(31), 상기 하부요홈(31)에 연결볼트(25)의 리벳 머리(29)를 삽입하면, 하부요홈(31)의 하부측 좌,우측에 형성된 결림부(32)에 리벳 머리(29)가 걸려지게 되므로 하부요홈(31)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볼트(25),
    상기 연결볼트(25)를 완전히 고정하기 위하여 가조립된 넛트(26c)를 체결하므로서, 받침판(27)이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밑바닥을 지지하도록 상기 넛트(26c)를 체결하므로서, 상기 연결볼트(25)에 의거 상기 지지캡(20)과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이 연결 설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중간부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멤버(51), 상기 멤버(51)와 알미늄 후레임(30)의 측면에 형성되는 ┳형 측면요홈부(34), 상기 ┳형 측면요홈부(34)에 슬라이딩 결착되는 ┓자형 콘넥타(52)의 걸림부(55)가 ┳형 측면요홈부(34)의 걸림턱(35)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자형 콘넥타(52)에 구비되는 체결넛트(54)에 체결볼트(53)를 체결하므로서 상기 멤버(51)의 설치 위치에 따라 ┓자형 콘넥타(52)가 고정되며,
    상기 ┓자형 콘넥타(52)의 절곡부에 구비된 관통부(59), 상기 관통부(59)는 ┳형 측면요홈부(34)의 입구측에 구비된 상기 걸림턱(35)에 걸리지 않으므로 상기 ┳형 측면요홈부(34)에 스라이딩 결착 되며,
    상기 멤버(51)와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요홈(33)에는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0)을 삽입하여 황토 쎄라믹 볼(56)을 지지하고.
    상기 황토 쎄라믹 볼(56)은 직경은 4-6㎜ 크기이고,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측면부와 상기 멤버(51)의 측면부 및 스텐리스판 또는 아연 도금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형 공간부를 채워지며.
    .상기 알미늄 후레임(30)과 황토 쎄라믹볼(56)의 상부면에는 와이어매쉬(57)를 포설하고, 상기 와이어매쉬(57)의 상부측에는 황토 몰탈(58)를 반죽하여 10-12㎜높이로 마감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접시형태의 지지캡(20)을 이루기 위하여 형성하는 곡면부에 구비되는 원형 절곡부(22,23), 상기 지지캡(20)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단부(18)가 구비 되므로서 상기 지지캡(20)의 완충작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배관.
  3. 제 1항에 있어서,
    알미늄 후레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열매체파이프 설치부(36)에는 이탈방지부(36a, 36b), 상기 이탈방지부(36a, 36b)가 구비되므로 열매체 파이프(36)의 배관시에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열매체 파이프(40)의 배관을 용이하게 설치하므로 인건비가 절감되고,
    상기 알미늄 후레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기히타선설치부(37), 상기 전기히타선설치부(37)의 입구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37a,37b), 상기 이탈방지부(37a,37b)에 의거 상기 전기히타선(41)의 배선시에 전기히타선(41)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상기 전기히타선(41)의 배선을 용이하게 설치하므로 인건비가 절감되어, 그 설치공사기간을 1/2로 단축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배관.


KR1020110083273A 2011-08-22 2011-08-22 조립식 온돌배관 KR10127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273A KR101274882B1 (ko) 2011-08-22 2011-08-22 조립식 온돌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273A KR101274882B1 (ko) 2011-08-22 2011-08-22 조립식 온돌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11A KR20130021011A (ko) 2013-03-05
KR101274882B1 true KR101274882B1 (ko) 2013-06-17

Family

ID=4817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273A KR101274882B1 (ko) 2011-08-22 2011-08-22 조립식 온돌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1156A1 (de) * 2020-07-17 2022-01-19 Kermi GmbH Verfahren zur verlegung einer flächenheizung und flächenheiz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981B1 (ko) * 2014-01-20 2018-04-09 김경숙 전열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건식 바닥 난방 시스템
CN109237290A (zh) * 2018-11-23 2019-01-18 安吉罗氏铝合金箱包厂 一种铝制装配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36Y1 (ko) 2003-01-22 2003-04-08 김상영 난방용 온수판넬
KR200382122Y1 (ko) 2005-01-24 2005-04-18 (주)희수에이엔에이 레벨조절가동부재가 구비된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KR20050076201A (ko) * 2004-01-20 2005-07-26 이피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난방배관 및 층간소음저감용 온돌패널
KR20100002021U (ko) * 2008-08-18 2010-02-26 박성걸 온돌용 조립식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36Y1 (ko) 2003-01-22 2003-04-08 김상영 난방용 온수판넬
KR20050076201A (ko) * 2004-01-20 2005-07-26 이피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난방배관 및 층간소음저감용 온돌패널
KR200382122Y1 (ko) 2005-01-24 2005-04-18 (주)희수에이엔에이 레벨조절가동부재가 구비된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KR20100002021U (ko) * 2008-08-18 2010-02-26 박성걸 온돌용 조립식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1156A1 (de) * 2020-07-17 2022-01-19 Kermi GmbH Verfahren zur verlegung einer flächenheizung und flächenheiz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11A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882B1 (ko) 조립식 온돌배관
KR10190536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공법
KR101830681B1 (ko) 조립식 온수판넬
KR200467659Y1 (ko) 건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바닥구조
KR102053584B1 (ko)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983131B1 (ko) 온돌용 패널 어셈블리 구조
KR101250357B1 (ko)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KR100837500B1 (ko) 조립식 난방 패널과 이를 이용한 바닥 난방 구조
JP5886013B2 (ja) 放射パネルの設置方法
KR20160017465A (ko) 난방 모듈판 및 난방 모듈판의 시공방법
KR100644508B1 (ko)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CN212178981U (zh) 用于铺设地暖的浮筑楼板保温隔声系统结构
KR20170108355A (ko) 난방효율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KR20090113235A (ko) 조립식 온돌용 판넬
KR101318200B1 (ko) 황토 방바닥의 난방장치
JPH07292872A (ja) 載置物を載置可能にした建築物の屋根瓦の構造
KR20110074298A (ko) 대면적의 방열 구조를 갖는 온돌바닥
KR20110134061A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20130140257A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삼중바닥 난방 시스템
KR200419674Y1 (ko) 온수 온돌조립용 세라믹 패널을 이용한 난방 바닥구조
KR100850748B1 (ko) 이중바닥을 이용한 냉난방 및 급수급탕 배관 설치구조
KR200325968Y1 (ko) 바닥마감재용 시트 판넬
KR101388280B1 (ko) 바닥난방구조
KR102541568B1 (ko) 황토 구들 시스템
KR100586162B1 (ko) 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