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875B1 -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875B1
KR101274875B1 KR1020120003019A KR20120003019A KR101274875B1 KR 101274875 B1 KR101274875 B1 KR 101274875B1 KR 1020120003019 A KR1020120003019 A KR 1020120003019A KR 20120003019 A KR20120003019 A KR 20120003019A KR 101274875 B1 KR101274875 B1 KR 10127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ail
blade
shoe
sk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이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102012000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875B1/ko
Priority to PCT/KR2012/000443 priority patent/WO20131056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3/00Accessories for skat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는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형의 장공이 형성되고,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스케이트 날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 고정유닛; 상기 본체의 하면 후방에 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케이트 날의 후단을 접촉 지지하는 위치고정용 후방 지지판; 상기 본체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레일홈 방향을 따라 표시된 수치 표시부; 및,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배치된 스케이트 구두의 외측과 접촉되도록 배치하여 스케이트 구두의 외측 위치를 측정하는 복수의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DEVICE MEASURING JOINT POSITION OF SKATE BLADE AND SHOES}
본 발명은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이트 날을 고정한 다음 스케이트 구두의 외측 위치를 수치화하여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상용 스케이트는 얼음 위를 달리기 위해서 구두 밑에다 금속판(날)을 세로로 붙인 신발이다. 이러한 빙상용 스케이트는 피겨용, 스피드용, 아이스하키용, 쇼트트랙용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스케이트는 스케이트의 날이 구두의 밑의 적절한 위치에 결합되어 있어야만, 사용자의 착용감이 좋고, 사용자의 하중을 스케이트 날이 적절히 받쳐주어 스케이팅 기록이 좋아질 뿐 아니라 장시간 스케이팅을 하여도 피로감이 덜하게 된다. 공개실용신안 2000-0020663호에 개시된 스케이트는 스케이트 날의 위치를 사용자의 체형 및 스케이팅 습관에 따라 적합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된다.
한편, 스케이트 사용자는 자신이 신고 있는 스케이트의 날이 스케이트 구두의 어느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지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스케이트 날을 교체하거나 구두를 교체해야 할 경우, 기존의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를 쉽게 찾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치를 대략적으로 맞춰 스케이트 날과 구두를 결합하여 신은 다음, 스케이팅을 해보면서 구두에 결합된 스케이트 날이 원하는 위치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스케이트 날과 구두를 분리하고 다시 결합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스케이트의 구두와 날이 부착된 상태에서 스케이트 날을 고정하고 구두의 외곽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는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형의 장공이 형성되고,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스케이트 날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 고정유닛; 상기 본체의 하면 후방에 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케이트 날의 후단을 접촉 지지하는 위치고정용 후방 지지판; 상기 본체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레일홈 방향을 따라 표시된 수치 표시부; 및,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배치된 스케이트 구두의 외측과 접촉되도록 배치하여 스케이트 구두의 외측 위치를 측정하는 복수의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장공이 형성되는 사각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장공의 후방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노출홈이 형성된 높이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일홈은 상기 장공의 전방부 양측부와 근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제 1 레일부; 상기 본체의 전방부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3개의 제 2 레일부; 상기 본체의 전방부 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3개의 제 3 레일부; 상기 장공의 후방부 양측부와 근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제 4 레일부; 상기 본체의 후방부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2개의 제 5 레일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부 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2개의 제 6 레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동부재는, 상기 제 1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1 가동판; 상기 제 2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2 가동막대; 상기 제 3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3 가동막대; 상기 제 4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4 가동판; 상기 제 5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5 가동막대; 및, 상기 제 6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6 가동막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치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홈 각각에 표시되는 눈금; 및, 상기 눈금과 근접되게 표시되는 숫자;를 포함하며, 상기 숫자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외측으로 오름차순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날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의 하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날 고정유닛 각각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브라켓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스케이트 날이 수용되는 수용챔버가 형성된 몸체; 상기 수용챔버의 일측으로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수용챔버의 폭방향을 따라 절반의 길이를 갖는 연장부; 상기 몸체의 측벽을 관통하고, 상기 몸체의 측벽과 스크류 결합되어, 내측단이 상기 수용챔버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로드;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상기 로드의 외측단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아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 손잡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용 후방 지지판은 상기 본체의 하면과 결합되는 위치를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씩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장공의 전/후방향에 위치한 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케이트 날과 구두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케이트 날을 기준위치에 고정하고 스케이트 구두의 외측(외곽) 위치를 측정하여 기록해 둠으로써, 추후에 스케이트 날 또는 구두 교체시, 스케이트 날과 구두를 기존 결합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시간낭비 없이 신속하게 맞출 수 있어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에 스케이트 구두와 날이 부착된 스케이트를 적용한 사용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100)는 본체(101),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 날 고정유닛(140,150), 위치 고정용 후방 지지판(160)을 포함한다.
본체(10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11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장공(1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므로 장공(112)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 측단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 상면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의 높이를 높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 일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는 전방이 개방되며, 상기 장공(112)의 후방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노출홈(122)이 형성된다.
통상의 스케이트 구두(B)는 밑판의 뒷쪽이 앞쪽 높다 높게 만들어진다. 이런 이유로 본 실시 예에서는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설치함으로써, 스케이트 구두(B)가 본체(101)의 상면에 놓여 질 경우, 스케이트 날(A)이 본체(101)의 하면에 대해 수평지게 배치된다(도 3 참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모서리는 잘린 형상으로 형성되며,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의 후단 양 모서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단 양 모서리와 동일하게 일부가 잘린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장공(112)으로부터 전방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장공(112)으로부터 후방 부분이 투명하고,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는 노출홈(122)으로부터 후방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1)는 장공(112)으로부터 전/후방 부분이 투명하여, 본체(101)의 상부에서 하부가 투과되어 보여지게 된다.
본체(101)는 상면에 복수의 레일홈(115a,115b,115c,125a,125b,125c)이 형성되어,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레일홈(115a,115b,115c,125a,125b,125c)은 제 1 내지 제 6 레일부(115a,115b,115c,125a,125b,125c)로 이루어진다.
제 1 레일부(115a)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된다. 제 1 레일부(115a)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장공(112)의 전방부 양측과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제 2 레일부(115b)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부 우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된다. 제 2 레일부(115b)는 3개가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 형성된다.
제 3 레일부(115c)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부 좌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된다. 제 3 레일부(115c)는 3개가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 형성된다.
이 경우, 제 2 레일부(115b)와 제 3 레일부(115c)는 장공(11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 4 레일부(125a)는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의 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된다. 제 1 레일부(115a)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노출홈(122)의 후방부 양측과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제 5 레일부(125b)는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의 후방부 우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된다. 제 5 레일부(125b)는 2개가 형성되며, 높이 보강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 형성된다.
제 6 레일부(125c)는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의 후방부 좌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된다. 제 6 레일부(125c)는 2개가 형성되며, 높이 보강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 형성된다.
이 경우, 제 5 레일부(125b)와 제 6 레일부(125c)는 노출홈(112) 및 장공(11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본체(110)의 상면에는 제 1 내지 제 6 레일부(115a,115b,115c,125a,125b,125c) 각각에 근접한 위치에 눈금(116)과 숫자(117)가 표시된다. 눈금(116)은 각각의 레일부(115a,115b,115c,125a,125b,125c)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측에 한 쌍이 표시되며, 각각의 눈금(116)에는 일련의 숫자(117)가 표시된다. 이때, 숫자(117)는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오름차순으로 표시된다.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는 본체(101)의 상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레일부(115a,115b,115c,125a,125b,125c)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가동판(131), 제 2 가동막대(132), 제 3 가동막대(133), 제 4 가동판(134), 제 5 가동막대(135) 및, 제 6 가동막대(135)로 이루어진다.
제 1 가동판(131)은 한 쌍의 제 1 레일부(115a)에 끼워져, 한 쌍의 제 1 레일부(115a)를 따라 본체(101)의 전방부에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2 가동막대(132)는 3개의 제 2 레일부(115b)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본체(101)의 전방부 우측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3 가동막대(133)는 3개의 제 3 레일부(115c)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본체(101)의 전방부 좌측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4 가동판(134)은 한 쌍의 제 4 레일부(125a)에 끼워져, 한 쌍의 제 4 레일부(125a)를 따라 본체(101)의 후방부에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5 가동막대(135)는 2개의 제 5 레일부(125b)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본체(101)의 후방부 우측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6 가동막대(136)는 2개의 제 6 레일부(125c)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본체(101)의 후방부 좌측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도 4와 같이, 사용자는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 사이에 스케이트 구두(B)를 배치하고,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를 복수의 레일홈(115a,115b,115c,125a,125b,125c)을 따라 이동시켜,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가 스케이트 구두(B)의 외측에 접촉되게 한 후,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가 위치한 눈금(116)과 숫자(117)를 참고해 스케이트 구두(B)의 외측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날 고정유닛(140,150)은 본체(101)의 하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스케이트(S)를 기준 위치에 배치한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스케이트 구두(B)의 외곽 위치를 측정하도록 스케이트 날(A)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날 고정 유닛(140,150)은 설치위치에 차이가 있을 뿐, 구성은 동일하다.
날 고정유닛(140,150)은 각각 몸체(141,151), 연장부(144,154), 로드(146,156), 조임 손잡이(147,157)를 포함한다.
몸체(141,151)는 상부가 개방된 "
Figure 112012002495344-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141,151)의 개방된 상부는 장공(112)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몸체(141,151) 내부에는 스케이트 날(A)이 수용되는 수용챔버(143,153)가 형성된다. 몸체(141,151)는 본체(101)의 하면에 결합된 브라켓(142,152)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 몸체(141,151)는 본체(101)의 폭 방향의 정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연장부(144,154)는 사각판 형상으로 몸체(141,151)에 형성된 수용챔버(143,153)의 일 측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수평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 경우, 연장부(144,154)의 길이는 끝단이 몸체(141,151)의 폭 방향 길이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수용챔버(143,153)의 폭 길이의 1/2로 구성된다. 따라서, 연장부(144,154)의 끝단은 본체(101)의 폭방향의 정 중앙에 위치된다.
연장부(144,154)는 몸체(141,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몸체(141,151)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드(146,156)는 몸체(141,151)에 형성된 수용챔버(143,153)의 타측벽을 관통하고 스크류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로드(146,156)의 끝단이 수용챔버(143,153)의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드(146,156)의 끝단은 연장부(144,154)의 끝단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조임 손잡이(147,157)는 로드(146,156)의 몸체(141,151)의 외측에서 로드(146,156)의 외측단과 고정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조임 손잡이(147,157)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드(146,156)가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드(146,156)의 끝단이 연장부(144,154)의 끝단과 가까워지며, 조임 손잡이(147,157)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드(146,156)도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드(146,156)의 끝단이 연장부(144,154)의 끝단과 멀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케이트 날(A)이 로드(146,156)와 연장부(144,154)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임 손잡이(147,157)를 조여 스케이트 날(A)을 고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는 조임 손잡이(147,157)를 풀어 스케이트 날(A)을 고정상태에서 해제할 수 있다. 스케이트 날(A)이 고정된 경우, 연장부(144,154)의 끝단은 본체(101)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므로, 로드(146,156)의 끝단에 의해 연장부(144,154)의 끝단에 고정된 스케이트 날(A)은 본체(101)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몸체(141)는 브라켓(142)과 결합되는 위치를 상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브라켓(142)에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용 장공(142c)이 형성되고, 몸체(141)에는 결합용 장공(142a)과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볼트 결합공(141a)이 형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볼트 결합공(141a)의 위치를 결합용 장공(142a)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결합함으로써, 몸체(141)에 브라켓(142)에 결합되는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51)와 브라켓(152)도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위치 고정용 후방 지지판(160)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으로부터 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 후단부에 고정설치된다. 사용자는 위치 고정용 후방 지지판(160)에 스케이트 날(A)의 후단을 접촉시켜 스케이트 날(A)을 기준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위치 고정용 후방 지지판(160)은 본체(101)의 하면에 나사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1)의 후방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스크류 결합공(118)이 형성되어, 위치 고정용 후방 지지판(160)이 본체(101)의 하면과 결합되는 위치를 본체(101)의 길이방향(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씩 조절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100)의 사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케이트 날(A)이 스케이트 구두(B)에 결합된 상태의 스케이트(S)를 기준위치에 배치하고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스케이트 날(A)이 스케이트 구두(B)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케이트 날(A)을 장공(112)을 통과시키고, 스케이트 날(A)의 후단이 위치 고정용 후방 지지판(160)에 접촉되게 한 후(도 3참조), 각각의 조임 손잡이(147,157)를 돌려 각각의 로드(146,156)가 스케이트 날(A)을 연장부(144,154)에 고정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 각각을 움직여 스케이트 구두(B)의 외측에 접촉시킨 다음, 가동부재(131,132,133,134,135,136)가 위치한 눈금(116)과 숫자(117)를 보고 스케이트 구두(B)의 외측(외곽)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제 1 가동판(131)으로 스케이트 구두(B)의 앞 끝단 위치를 측정하고, 제 2 및 제 3 가동막대(132,133)로 스케이트 구두(B)의 앞 양측단 위치를 측정하며, 제 4 가동판(134)으로 스케이트 구두(B)의 뒤 끝단 위치를 측정하고, 제 5 및 제 6 가동막대(135,136)으로 스케이트 구두(B)의 뒤 양측단 위치를 측정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100)는 날(A)을 고정함으로써 날(A)과 구두(B)가 결합된 스케이트(S)를 기준위치에 고정하고, 구두(B)의 외측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날(A)과 구두(B)의 결합 위치를 맞추기 위한 참고용 수치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스케이트 날(A)을 기준 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스케이트 구두(B)의 외측 위치를 수치화하여 기록해 두었다가, 추후에 스케이트 날(A) 또는 스케이트 구두(B)를 교체할 경우, 기록해 둔 수치를 이용해 시간 낭비 없이 스케이트 날(A)과 스케이트 구두(B)의 결합 위치를 기존 결합 위치와 동일하게 맞추는 참고용 수치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본체
115a,115b,115c,125a,125b,125c...복수의 레일홈
116...눈금
117...숫자
131,132,133,134,135,136...가동부재
140,150...날 고정유닛
141,151...몸체
143,153...수용 챔버
144,154...연장부
146,156...로드
147,157...조임 손잡이
160...위치 고정용 후방 지지판

Claims (9)

  1.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형의 장공이 형성되고, 전/후단면 및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스케이트 날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 고정유닛;
    상기 본체의 하면 후방에 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케이트 날의 후단을 접촉 지지하는 위치고정용 후방 지지판;
    상기 본체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레일홈 방향을 따라 표시된 수치 표시부; 및,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배치된 스케이트 구두의 외측과 접촉되도록 배치하여 스케이트 구두의 외측 위치를 측정하는 복수의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장공이 형성되는 사각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장공의 후방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노출홈이 형성된 높이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일홈은
    상기 장공의 전방부 양측부와 근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제 1 레일부;
    상기 본체의 전방부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3개의 제 2 레일부;
    상기 본체의 전방부 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3개의 제 3 레일부;
    상기 장공의 후방부 양측부와 근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제 4 레일부;
    상기 본체의 후방부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2개의 제 5 레일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부 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형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2개의 제 6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동부재는,
    상기 제 1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1 가동판;
    상기 제 2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2 가동막대;
    상기 제 3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3 가동막대;
    상기 제 4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4 가동판;
    상기 제 5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5 가동막대; 및,
    상기 제 6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6 가동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홈 각각에 표시되는 눈금; 및,
    상기 눈금과 근접되게 표시되는 숫자;를 포함하며,
    상기 숫자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외측으로 오름차순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의 하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날 고정유닛 각각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결합된 브라켓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스케이트 날이 수용되는 수용챔버가 형성된 몸체;
    상기 수용챔버의 일측으로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수용챔버의 폭방향을 따라 절반의 길이를 갖는 연장부;
    상기 몸체의 측벽을 관통하고, 상기 몸체의 측벽과 스크류 결합되어, 내측단이 상기 수용챔버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로드;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상기 로드의 외측단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아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용 후방 지지판은 상기 본체의 하면과 결합되는 위치를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씩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장공의 전/후방향에 위치한 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KR1020120003019A 2012-01-10 2012-01-10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KR10127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019A KR101274875B1 (ko) 2012-01-10 2012-01-10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PCT/KR2012/000443 WO2013105684A1 (ko) 2012-01-10 2012-01-18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019A KR101274875B1 (ko) 2012-01-10 2012-01-10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875B1 true KR101274875B1 (ko) 2013-06-17

Family

ID=4878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019A KR101274875B1 (ko) 2012-01-10 2012-01-10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4875B1 (ko)
WO (1) WO201310568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349A (ja) * 1994-12-23 1996-09-17 Fischer Gmbh スキー等に用いるスチールエッジの機械加工法及び装置、前記方法による硬化スチールエッジ、前記スチールエッジを備えるスキー、前記装置におけるプラズマヘッド
JP2006217952A (ja) 2005-02-08 2006-08-24 Mitsunari Sukegaw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110B1 (ko) * 1996-11-26 1999-06-15 정몽규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JPH10185501A (ja) * 1996-12-25 1998-07-14 Sekisui House Ltd 手のサイズ測定装置
KR200249836Y1 (ko) * 2001-06-21 2001-11-16 박인식 발 사이즈 측정장치
KR100886610B1 (ko) * 2006-11-07 2009-03-05 우병선 스케이트 날 가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349A (ja) * 1994-12-23 1996-09-17 Fischer Gmbh スキー等に用いるスチールエッジの機械加工法及び装置、前記方法による硬化スチールエッジ、前記スチールエッジを備えるスキー、前記装置におけるプラズマヘッド
JP2006217952A (ja) 2005-02-08 2006-08-24 Mitsunari Sukegaw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684A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6141B2 (ja) 滑走ボードビンディング
KR101274875B1 (ko)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CN103202577B (zh) 多参数下肢脚型测量仪
CN104215138A (zh) 一种移动限位标尺杆组件
CN205674324U (zh) 一种刨子
CN204123483U (zh) 一种定位靠尺
CN203040899U (zh) 一种脚型测量工具
KR101122849B1 (ko) 인테리어 몰딩의 절단각 측정장치
CN110207649B (zh) 用于洞室顶拱结构面产状的辅助测量装置
KR101322502B1 (ko)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CN209404785U (zh) 一种测量脊柱侧凸畸形背部高度差的工具
CN205593459U (zh) 一种具有定位结构的高度测量装置
US3039199A (en) Carpenter's jig
KR102201776B1 (ko) 발 사이즈 측정장치
CN205564314U (zh) 一种用于样品辐照处理的活动架
US1319545A (en) Level and sqtjabe
CN220583418U (zh) 一种测量定位装置
KR101389606B1 (ko) 스케이트
CN105054496B (zh) 一种四点平面度测量仪
CN212389979U (zh) 一种测绘工程辅助测绘装置
CN205458686U (zh) 一种滑移式脚型测量工具
CN203028267U (zh) 简易脚型测量器
WO2013111931A1 (ko)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CN210374839U (zh) 一种可换测头卡尺
CN210512925U (zh) 一种服装加工用长度计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