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833B1 -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833B1
KR101274833B1 KR1020110062718A KR20110062718A KR101274833B1 KR 101274833 B1 KR101274833 B1 KR 101274833B1 KR 1020110062718 A KR1020110062718 A KR 1020110062718A KR 20110062718 A KR20110062718 A KR 20110062718A KR 101274833 B1 KR101274833 B1 KR 10127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solar cell
sensitized solar
disposed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837A (ko
Inventor
김도헌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건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to KR102011006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8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aircraft runway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는 지면(11)에 매설되는 로우바디(10) 및 상기 로우바디(10)에 결합되고 지면(11) 위로 노출되는 어퍼바디(20)로 구성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모듈(40); 상기 어퍼바디(20) 상측면에 고정되고 소정의 광원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 및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60)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바디(20)의 상면을 최대한 넓게 커버하도록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이 환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20)의 제한적인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기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Airport Lighting appratus using dye sensitized solar cell}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공등화장치의 표면에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일체화되어 부착되고,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운항은 항행안전 시설(NAVAID)에 따라 항공기가 일단 이륙을 하고 순항하여 목적지에 다다르면 안전하게 착륙하여만 비행 목적을 수행하게 되는데 항행안전시설의 NAVAID는 NAVIGATION(항행, 항법)과 AIDS(지원시설들)의 합성어이다.
항행안전 시설 중에 항공등화시설은 항공로 등화시설, 비행장 등화시설, 항공 장애물 등화시설, 항공기 등화시설로 분류한다. 항공등화시설을 비행장 등화시설(Airport Lighting Aids) 이라고도 하는데 비행장 등화시설은 1930년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 홉킨즈 국제공항(당시 Cleveland시립공항)에 활주로 조명시설이 최초로 설치되었고, 비행장이 있는 지상에 불빛 및 표지시설 등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악 기상 조건에서 조종사에게 비행장 및 활주로의 위치, 활주로의 진입방향 등을 눈으로 확인하여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시각에 의해 비행정보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그리고 비행장 등화시설은 이륙과 착륙에 필요한 요소 중에 착륙은 이륙 때 보다 더 많은 항공등화시설에 의존하게 된다.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부속서14, Volume 1, Chapter 5에서 제시한 국제표준에 따라 항공등화시설의 시각지원시설로는 표지시설, 신호지시시설 및 등화시설로 구분되는데, 공항의 활주로 운용등급 별로 기상 조건에 따른 정밀 진입 방식인 Category-Ⅰ, Ⅱ, Ⅲa, Ⅲb, Ⅲc의 기준으로 카테고리가 높을수록, 각 나라의 여건 및 비행장 주위의 지형여건에 따라 비행장내에 의무적으로(Mandatory) 반드시 설치해야하는 시설과, 특정 지형이나 기타 요구 사항에 따라 권고(Recommended)되는 시설을 추가적으로 더 설치하게 된다.
우리나라 인천국제공항은 CAT-Ⅲb(100m), 김포국제공항이 CAT-Ⅲa시설로 설치 운용되고 있고, 나머지 공항은 대부분Category-Ⅰ시설로 설치 운용되고 있다.
또한, 항공로 등화시설은 항공등대 또는 항로등대(Airway Beacons)라고도 하며 항공로를 따라 항행하는 항공기에 항로상에 있는 중요지점을 알려주는 등화시설 이며, 이밖에 지표항공등대(Landmark Beacons), 신호항공등(Signalling Beacons), 위험지역등대(Hazard Beacons)등이 있지만 오늘날엔 이와 같은 지상시설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항공등화장치는 야간이나 악 기상 조건에서 조종사에게 비행장 및 활주로의 위치, 활주로의 진입방향 등을 눈으로 확인하여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시각에 의해 비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높은 휘도 및 조도를 유지해야 하고, 이로 인해 많은 전기의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항공등화장치의 표면에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일체화되어 부착되고,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지면(11)에 매설되는 로우바디(10) 및 상기 로우바디(10)에 결합되고 지면(11) 위로 노출되는 어퍼바디(20)로 구성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모듈(40); 상기 어퍼바디(20) 상측면에 고정되고 소정의 광원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 및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60)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복수개의 부채꼴셀(51)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복수개의 부채꼴셀(51)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복수개의 부채꼴셀(51)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부채꼴셀(51)에서 발생된 전하를 이동시키는 그리드(1)는 상기 하우징(30)의 중심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 이산화티타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판(2)에 배치된 제 1 전극(6); 백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기판(4)에 배치된 제 2 전극(8); 상기 제 1, 2 기판(2)(4) 사시에 충진되는 전해질(5); 및 상기 제 1, 2 기판(2)(4) 상에 배치되어 전하를 이동시키는 그리드(1)를 포함하는 부채꼴형상의 부채꼴셀(5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6) 또는 상기 제 2 전극(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1)는 상기 하우징(30)의 중심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바디(20) 및 상기 로우바디(10)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바디(20)는 상기 광원모듈(30)에서 발생된 빛이 발산되는 윈도우(21)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21)는 상기 어퍼바디(2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는 어퍼바디(20)의 상면을 최대한 넓게 커버하도록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이 환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20)의 제한적인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기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는 환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의 최적화되도록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부채꼴셀(51)(52)로 형성되기 때문에 환형상 또는 원형상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는 그리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채꼴셀(51)(52)에서 형성된 전하를 최단거리로 집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일부절개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채꼴셀의 개략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장치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채꼴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장치는 지면(11)에 매설되는 로우바디(10) 및 상기 로우바디(10)에 결합되고 지면(11) 위로 노출되는 어퍼바디(20)로 구성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모듈(40)과, 상기 어퍼바디(20) 상측면에 고정되고 소정의 광원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과,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 이하 '태양모듈'이라 한다)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60)와,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축전지(60)와 연결된 인쇄회로기판(70)을 포함한다.
상기 로우바디(10)는 본 실시예에서 항공기 활주로 등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지면(11)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면고정수단(12)이 배치되며, 상기 지면고정수단은 볼트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로우바디(10)는 상기 지면고정수단(12)이 설치되기 위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3)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13)에 상기 지면고정수단(12)이 관통되어 지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우바디(1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72)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72)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항공등화장치의 상시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어퍼바디(20)는 상기 로우바디(10)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광원모듈(40)이 배치되며, 상기 광원모듈(40)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어퍼바디(20)에 형성된 윈도우(21)를 통해 투사된다. 상기 윈도우(21)는 본 실시예에서 투명한 재질로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바디(20)에 홀의 형태로 개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어퍼바디(20)는 본 실시예에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어퍼바디(20)의 상측면에 상기 태양모듈(50)이 고정되며, 상기 어퍼바디(20)의 중심에 상기 광원모듈(40)이 배치되는 바, 상기 태양모듈(50)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도넛형태의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0) 내부에는 상기 광원모듈(40), 축전지(6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바디(20) 측에 안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70) 하측에 상기 축전지(60)가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70) 상측에 상기 광원모듈(40)이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고정수단(22)에 의해 상기 어퍼바디(20)에 고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수단(22)이 상기 로어바디(10), 인쇄회로기판(70) 및 어퍼바디(20)를 동시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어퍼바디(20)의 하측단은 상기 로우바디(10)와 동시에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플랜지(23)가 형성되고, 상기 로우바디(10) 및 어퍼바디(20)의 플랜지(13)(23)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수단(22)이 체결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22)은 볼트 또는 나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과 같은 항공등화장치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위쪽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양모듈(50)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어퍼바디(20)의 상측면에 체결을 위한 홀 등을 구비하지 않고, 로우바디(10) 측에서 상기 어퍼바디(20)와 체결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비, 눈,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3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습기 또는 이물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수단(22)은 상기 어퍼바디(20), 로우바디(10) 및 인쇄회로기판(70)을 동시에 체결시키기 때문에 체결이 용이하고 간편하며, 상기 광원모듈(40)을 교체할 때에도 작업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충전지(60)는 상기 로우바디(10)에 배치되고, 상기 태양모듈(5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커넥터(72)를 통해 공급된 외부전력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태양모듈(50)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로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1991년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EPFL)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염료감응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태양전지가 개발된 이후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계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와 달리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을 생성할 수 있는 염료분자와,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이다.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위 셀 구조는 상, 하부 투명한 기판(일반적으로 유리)과 그 투명기판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TCO)로 이루어진 도전성 투명전극을 기본으로 하여, 제1전극(작용극)에 해당하는 일측의 도전성 투명전극위에는 그 표면에 염료가 흡착된 전이금속 산화물 다공질 층이 형성되어지고, 제2전극(촉매극)에 해당하는 타 측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는 촉매박막전극(주로 Pt)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전이금속산화물, 예를 들면 TiO2, 다공질 전극과 촉매박막전극 사이에는 전해질이 충진된 구조를 가진다.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빛을 받아 전자를 발생시키는 염료가 부착된 광전극(TiO2) 재료가 코팅된 작용극 기판과 전자를 공급하는 촉매극 기판 사이에 산화된 염료에 전자를 공급하여 주는 전해질을 기본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대면적에서도 효율의 감소가 없는 모듈을 실현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은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그리드를 통하여 전자를 수송시키는 방식이 있다. 즉, 대면적 서브 모듈의 경우, 셀 면적의 증대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큰 기판 내에서의 전자 이동거리가 늘어나 전자의 장거리 이동에 따른 효율 감소가 발생하는데, 그리드 방식은 이러한 효율저하를 줄이기 위하여 셀 내부에 집전 그리드를 배치하여 전자의 기판 내에서의 이동거리를 줄여 저항을 줄이고, 효율 감소를 막는 것으로, 이들 집전 그리드 전극 도입을 통하여 작용극 기판과 촉매극 기판을 각각 최적화하여 발전효율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집전 그리드 전극 도입은 그 공정이 단순하여 대면적화 적용에 용이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대면적 제트-시리즈(Z-series) 형태의 직렬 모듈로 제작되어, 사용된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개시된다.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두 개의 판상 투명전극으로서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이 서로 접합된 샌드위치 구조를 갖고, 하나의 투명전극인 제 1 기판(2)의 이면에 이산화티타늄 등으로 구성된 도전성 제 1 전극(6)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투명전극인 제 2 기판(4)에 백금 등으로 구성된 상대전극인 제 2 전극(8)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6) 및 제 2 전극(8)이 각각 구비된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 사이의 공간에 전해질(5)이 충진된 형태를 하나의 단위 셀(cell)로 하여 다수의 셀을 금속 그리드(1)로 서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그리드(1)는 통상적으로 전해질(5)에 취약하므로 상기 그리드(1)의 외부를 밀봉부재(3)로 감싸 전해질(5)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중 외측에 위치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벽면을 밀봉부재(3)로 마감시켜 전해질(5)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그리드(1)와 이웃하게 기판(2, 4) 표면에 코팅된 도전성 필름(7)에 에칭부(미도시)를 구비시켜 염료감응 태양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다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병렬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금속 그리드(1)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인 셀의 경계면으로서, 상기 셀의 일 측 벽면으로부터 이에 대향되는 타 측 벽면까지 연장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셀,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충진된 전해질(5)이 다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각각에 전해질(5)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해당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셀마다 전해질 주입구(9)가 별도로 두 개 구비된다.
여기서 소정의 광원을 통해 발생된 전자는 상기 제 1, 2 전극(6)(8)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도전성 필름(7)을 거쳐 그리드(1)를 통해 이동되면서 집전된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모듈(50)은 본 실시예에서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태양모듈(5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셀이 부채꼴셀(51)로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형상의 복수개 셀이 결합되어 환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채꼴셀(51)은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전극(6)(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부채꼴셀(51)을 연결하여 전하는 집전시키는 그리드(1)는 상기 환형상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다수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 부채꼴셀(51)은 상기 광원모듈(40)이 중심에 배치된 본 항공등화장치에 최적화되어 설치되는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하를 집전시키는 그리드(1)도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전하의 집전 시 최단거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는 상기 윈도우(21) 또는 상기 하우징(30)의 가장자리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양모듈(50)의 제 1, 2 기판(2)(4)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빛을 투과시킬 수도 있는 바, 본 실시예와 달리 환형상의 어퍼바디(20)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어퍼바디(20)의 상측에서 투사되는 빛뿐만 아니라 상기 광원모듈(40)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태양모듈(50)을 투과하는 과정에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장치는 낮에 투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상기 태양모듈(50)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는 상기 축전지(60)에 저장되어 비상시 또는 밤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조도가 일정 이하가 되는 밤에 상기 항공등화장치가 점등되고, 상기 항공등화장치의 점등 시 상기 커넥터(72)를 통한 상시전원을 통해서 점등할 수도 있고, 상기 축전지(60)의 전원을 통해서도 점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축전지(60)는 상기 커넥터(72)를 통해 상시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상황에서도 상기 축전지(60)의 전원을 통해 상기 광원모듈(40)을 작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비상시에도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모듈(50)은 낮은 조도에서도 작동되는 바, 태양광이 조사되는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상기 광원모듈(40)에 의한 광원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장치는 상기 일 실시예와 달리 반원형태의 태양모듈(5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태양모듈(50)을 구성하는 각 셀은 복수개의 부채꼴셀(52)이 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부채꼴셀(52)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그리드(1)를 통해 최단거리로 전하를 집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 부채꼴셀(52)에 배치된 제 1, 2 전극(6)(8)은 상기 부채꼴셀(52)에 대응되도록 부채꼴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1 : 그리드 2 : 제 1 기판
3 : 밀봉부재 4 : 제 2 기판
5 : 전해질 6 : 제 1 전극
7 : 도전성 필름 8 : 제 2 전극
9 : 주입구 10 : 로우바디
11 : 지면 12 : 지면고정수단
13 : 플랜지 20 : 어퍼바디
21 : 윈도우 22 : 고정수단
30 : 하우징 40 : 광원모듈
50 :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 51 : 부채꼴셀
52 : 부채꼴셀 60 : 축전지
70 : 인쇄회로기판 72 : 커넥터

Claims (11)

  1. 지면(11)에 매설되는 로우바디(10) 및 상기 로우바디(10)에 결합되고 지면(11) 위로 노출되는 어퍼바디(20)로 구성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모듈(40);
    상기 어퍼바디(20) 상측면에 고정되고 소정의 광원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 및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60)를 포함하며,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복수개의 부채꼴셀(51)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부채꼴셀(51)에서 발생된 전하를 이동시키는 그리드(1)는 상기 하우징(30)의 중심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복수개의 부채꼴셀(51)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복수개의 부채꼴셀(51)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환형상으로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환형상으로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5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
    이산화티타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판(2)에 배치된 제 1 전극(6);
    백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기판(4)에 배치된 제 2 전극(8);
    상기 제 1, 2 기판(2)(4) 사시에 충진되는 전해질(5); 및
    상기 제 1, 2 기판(2)(4) 상에 배치되어 전하를 이동시키는 그리드(1)를 포함하는 부채꼴형상의 부채꼴셀(51)로 구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6) 또는 상기 제 2 전극(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1)는 상기 하우징(30)의 중심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바디(20) 및 상기 로우바디(10)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2)을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바디(20)는 상기 광원모듈(30)에서 발생된 빛이 발산되는 윈도우(21)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21)는 상기 어퍼바디(20)의 중심에 배치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KR1020110062718A 2011-06-28 2011-06-28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KR10127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718A KR101274833B1 (ko) 2011-06-28 2011-06-28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718A KR101274833B1 (ko) 2011-06-28 2011-06-28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37A KR20130001837A (ko) 2013-01-07
KR101274833B1 true KR101274833B1 (ko) 2013-06-13

Family

ID=4783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718A KR101274833B1 (ko) 2011-06-28 2011-06-28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8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114A (ja) * 1993-03-08 1994-09-13 Sekisui Jushi Co Ltd 自発光式誘導標識
KR20100007407A (ko) * 2008-07-14 2010-01-22 한규성 염료감응 투명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보도블럭
KR20100116899A (ko) * 2009-04-23 2010-11-02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원형곡면 테이퍼형 태양광모듈과 원통기둥형 태양광모듈 및 엘이디조명등장치가 된 가로등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114A (ja) * 1993-03-08 1994-09-13 Sekisui Jushi Co Ltd 自発光式誘導標識
KR20100007407A (ko) * 2008-07-14 2010-01-22 한규성 염료감응 투명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보도블럭
KR20100116899A (ko) * 2009-04-23 2010-11-02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원형곡면 테이퍼형 태양광모듈과 원통기둥형 태양광모듈 및 엘이디조명등장치가 된 가로등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37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495B2 (en) Solar powered aerial vehicle
AU2013317631B9 (en) Hydrogen-regenerating solar-powered aircraft
RU2725573C2 (ru)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двумя крыльями, к которым прикреплены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ие элементы
Mozer Origin and effects of electric fields during isolated magnetospheric substorms
CN106130113A (zh) 一种便携式旋翼无人机充电装置
US9559632B2 (en) Solar propelled aircraft structure
KR20130059022A (ko) 태양전지가 부착된 날개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N102730183A (zh) 一种新型太阳能飞机
TWI619643B (zh) 多電源無人飛機
KR101274833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항공등화장치
JPH045198A (ja) 太陽電池式電気飛行機
CN205044948U (zh) 一种太阳能无人机
US20150240785A1 (en) Power generation device floating in the air
CN210882679U (zh) 一种充电站
EP1736406A1 (en) Airplane with an electric drive
Najafi Design of a high altitude long endurance solar powered UAV
CN103135556A (zh) 一种提高太阳能无人机应用性能的飞行方法
CN203902841U (zh) 一种可进行太阳能跟踪的无人机
CN106184708A (zh) 一种串置翼太阳能无人机
CN203336446U (zh) 全视角太阳能led警示灯
EP2916000A1 (en) Ligher-than-air device converting solar and wind energy
KR20180075042A (ko) 항공장애등 전원공급 장치
CN215285276U (zh) 一种无碳排放连续跨昼夜飞行器
CN219974703U (zh) 一种阵列电极离子风飞行器
CN104716570A (zh) 一种具有导航功能的避雷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