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949B1 -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949B1
KR101273949B1 KR1020120084544A KR20120084544A KR101273949B1 KR 101273949 B1 KR101273949 B1 KR 101273949B1 KR 1020120084544 A KR1020120084544 A KR 1020120084544A KR 20120084544 A KR20120084544 A KR 20120084544A KR 101273949 B1 KR101273949 B1 KR 10127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yarn
woven fabric
weft
mono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포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포우
Priority to KR102012008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최종매립지 바닥 차수시스템 등의 보호와 침출수 집배수를 위해 사용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 또는 직포를 결합하고 접합된 부직포와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열가소성수지층이 형성되거나 부직포와 직포 사이에 열가소성수지를 방사하여 적층한 다공성 매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매트는 수평방향의 배수능과 꿰뚫림 저항강도를 가지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Method for protection waterroof hibrid compound mat and leachate drain regulation}
본 발명은 폐기물 최종매립지 바닥 차수시스템 등의 보호와 침출수 집배수를 위해 사용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 또는 직포를 결합하고 접합된 부직포와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시트층 또는 필름층이 형성되거나 부직포와 직포 사이에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섬유를 방사하여 형성된 다공성 매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평방향의 배수능과 꿰뚫림 저항강도를 가지도록 한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 매립지나 액체 저장소 등의 경우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목적으로 차수시트(지오멤브레인)나 토목섬유첨토차수재 등의 차수시스템이 포설된다. 특히 폐기물 매립장의 바닥층에는 차수시스템 상부에 배수골재층이 30cm 내외로 포설된다.
상기 골재층 상부에 폐기물 매립운반을 위한 중장비의 이동과 상부에 매립되는 폐기물의 자중 등에 의해 골재가 차수시스템에 손상을 일으키는 꿰뚫림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차수시스템에 꿰뚫림이 발생하면 상부에 야적된 폐기물에서부터 나오는 침출수가 누출되어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차수시스템 상부에 보호기능과 배수골재층의 기능인 배수기능을 동시에 갖는 배수부직포 혹은 지오콤포지트가 사용되어 왔다.
통상 1,500g/m2 이상의 고중량인 부직포인 배수부직포는 제조과정중에 바늘이 제품중에 존재하여 빈약한 품질관리에 의해 설치현장에서 바늘에 의한 핀홀(pin-hole) 형태의 꿰뚫림을 유발하여 침출수 누출의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고 제품 자체가 꿰뚫림에 대한 저항성이 작아 충분한 보호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오콤포지트의 경우 역시 충분한 꿰뚫림 저항성을 보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중장비 운행에 따른 하중에 의해 골재 배수층의 골재에 의한 꿰뚫림 파괴가 발생하여 침출수의 누출이 빈번하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 최종 매립지의 조성시 바닥차수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꿰뚫림 저항성을 갖으며 폐기물 관리법에서 배수골재층에 요구하는 동일한 배수능력을 갖는 배수-보호 복합기능을 갖는 재료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8419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704102호
상기한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 최종 매립지 바닥차수시스템에서 침출수의 집배수가 용이하고, 바닥차수시스템을 꿰뚫림 손상 등으로부터 방지, 보호할 수 있는 배수와 보호기능을 동시에 갖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직포와 배수성이 부여된 직포를 결합하고 결합된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시트를 부착 형성한 복합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결합된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섬유를 규칙 및 정열 없이 불규칙적으로 방사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공성의 매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부직포와 배수성이 부여된 직포를 결합하고 결합된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시트를 부착 형성한 복합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결합된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시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직포는 제1의 필름상의 원사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제2의 필름상의 원사가 하측으로 위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미겹침부의 상측으로 제1의 모노필라멘트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의 미겹침부의 하측으로 제2의 모노필라멘트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모노필라멘트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를 위입시켜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1의 모노필라멘트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를 위입시키는 제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직구조가 경사방향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가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 및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들의 사이에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쳐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상기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하나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시트층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용 차수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상기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하나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섬유를 규칙 및 정열 없이 불규칙적으로 방사하여 일정한 두께로 형성시킨 매트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직포는 제1의 필름상의 원사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제2의 필름상의 원사가 하측으로 위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미겹침부의 상측으로 제1의 모노필라멘트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의 미겹침부의 하측으로 제2의 모노필라멘트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모노필라멘트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를 위입시켜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1의 모노필라멘트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를 위입시키는 제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직구조가 경사방향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가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 및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들의 사이에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상기 부직포와 직포 사이에 매트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때 상기 직포의 투수계수는 3.3×10-4m/sec 이며, 꿰뚫림 저항값이 320kgf/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시트층에 돌가루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시트층의 일면에 엠보싱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직포를 서로 결합하고 접합된 부직포와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열가소성수지재의 시트 또는 불규칙하게 방사되어 형성된 매트층으로 이루어진 복합매트에 있어서, 상기 직포가 수평방향의 배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함으로서 침출수의 수평이동이 용이하며, 따라서 침출수의 집수가 가능하게 되므로 침출수의 배수가 용이하고, 제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직포의 꿰뚫림 저항성이 차수시트의 그것보다 충분히 큰 제품을 적용하여 상부 침출수 집배수용 골재층에 중장비 차량 하중, 폐기물 자중 등이 가해져 발생하는 꿰뚫림 파괴에 대해 우수한 저항성을 발휘하여 기존의 약한 꿰뚫림 저항성의 배수부직포나 지오콤포지트층이 가지는 침출수 누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합매트매트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다른 구조의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합매트를 구성하는 직포의 제직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요점인 직포의 제직구조를 보여주는 일부발췌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인 복합매트의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복합매트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복합매트의 또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합매트매트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로서 이에 따르면 부직포(200)와 직포(100)를 접합하고 접합된 부직포(200) 또는 직포(100) 중 어느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섬유를 규칙 및 정열 없이 불규칙적으로 방사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공성의 매트층(400)을 형성시킨다.
상기 불규칙적으로 섬유를 방사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공성의 매트층(400)은 산과 골 예컨대 계란을 담는 판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직방향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으며 또한 투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상기 부직포(20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직포(100)의 구조는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10)(20)와 모노필라멘트(30)(40)(50)(60)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부직포(200)와 직포(100)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직포(100)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가 하측으로 위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의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의 미겹침부의 상측으로 제1의 모노필라멘트(30)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의 미겹침부의 하측으로 제2의 모노필라멘트(40)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모노필라멘트(40)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50)를 위입시켜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와 제1의 모노필라멘트(30)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4의 모노필라멘트(60)를 위입시키는 제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직구조가 경사방향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가 산(70)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 및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들의 사이에 골(8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부직포(200)와 직포(100)의 접합은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 수평투수율을 조절할 수 있는 직포(100)의 제직구조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10)(20)와 모노필라멘트(30)(40)(50)(60)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만들어진 직포이다.
상기 직포(100)는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가 하측으로 위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겹침부(12)가 형성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의 미겹침부(21)의 상측으로 제1의 모노필라멘트(30)가 위치되도록 위입된다.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의 미겹침부(11)의 하측으로 제2의 모노필라멘트(40)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모노필라멘트(40)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50)를 위입시켜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와 제1의 모노필라멘트(30)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4의 모노필라멘트(60)를 위입시키는 제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직구조가 경사방향으로 반복형성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가 산(70)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 및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들의 사이에 골(80)이 형성되도록 제직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직포의 투수계수는 3.3×10-4m/sec 이며, 꿰뚫림 저항값이 320kgf/cm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의 모노필라멘트(50)와 타측의 제3의 모노필라멘트(60)를 사번수를 달리하여 투수공 크기를 조절하여 투수율을 조절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5a는 본 발명인 복합매트의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매트층(400), 직포(100),부직포(200) 순으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상 미 도시된 부직포(200), 직포(100), 매트층(400)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200)와 직포(100) 사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섬유를 규칙 및 정열 없이 불규칙적으로 방사하여 일정한 두께로 형성시킨 매트층(4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매트층(400)은 산과 골 예컨대 계란을 담는 판형의 용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직방향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으며 또한 투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다른 구조의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로서 부직포(200)와 직포(100)를 접합하고 접합된 부직포(200) 또는 직포(100) 중 어느 일면에 열경화성수지 예컨데 시트층/필름층(300)을 부착 형성한다,
상기 부직포(20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직포(100)의 구조는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 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10)(20)와 모노필라멘트(30)(40)(50)(60)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부직포(200)와 직포(100)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 형성시킨다.
상기 직포(100)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가 하측으로 위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의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의 미겹침부의 상측으로 제1의 모노필라멘트(30)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의 미겹침부의 하측으로 제2의 모노필라멘트(40)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모노필라멘트(40)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30)를 위입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와 제1의 모노필라멘트(30)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4의 모노필라멘트(60)를 위입시키는 제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직구조가 경사방향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가 산(70)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 및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들의 사이에 골(8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부직포(200)와 직포(100)의 접합은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 수평투수율을 조절할 수 있는 직포(100)의 제직구조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10)(20)와 모노필라멘트(30)(40)(50)(60)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만들어진 직포이다.
상기 직포(100)는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가 하측으로 위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겹침부(12)가 형성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의 미겹침부(21)의 상측으로 제1의 모노필라멘트(30)가 위치되도록 위입된다.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의 미겹침부(11)의 하측으로 제2의 모노필라멘트(40)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모노필라멘트(40)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50)를 위입시켜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와 제1의 모노필라멘트(30)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4의 모노필라멘트(60)를 위입시키는 제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직구조가 경사방향으로 반복형성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가 산(70)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 및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들의 사이에 골(80)이 형성되도록 제직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직포의 투수계수는 3.3×10-4m/sec이며, 꿰뚫림 저항값이 320kgf/c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10)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20)와의 겹침부(12)는 장반경의 50%이하가 되도록 겹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겹침부(12)의 형성시 50%이상의 겹칩이 이루어질 경우 수평투수율의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또한, 제직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의 모노필라멘트(50)와 타측의 제4의 모노필라멘트(60)를 사번수를 달리하여 투수공 크기를 조절하여 투수율을 조절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6b는 본 발명인 복합매트의 다른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열경화성수지 예컨데 시트층/필름층(300), 직포(100),부직포(200) 순으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상 미 도시된 부직포(200), 직포(100), 열경화성수지층 예컨데 시트층/필름층(300)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200)와 직포(100) 사이에 용융상태의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시트층/필름층(3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층/필름층(300)에 돌가루를 더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시트층/필름층(300)의 일면에 엠보싱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포(100), 부직포(200) 및 매트층(400)의 순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층(400)을 중심으로 양측에 직포(100), 부직포(200)를 대향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직포를 접합하고 접합된 부직포와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열가소성수지층이 형성된 매트에 있어서 상기 직포가 수평방향의 투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함으로서 침출수의 수평이동이 용이하며, 따라서 침출수의 집수가 가능하게 됨으로 침출수의 배수가 용이하고, 제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10 : 제1의 필름상의 원사 20 : 제2의 필름상의 원사
30,40,50,60 : 모노필라멘트 70 : 산
80 : 골 100 : 직포
200 : 부직포 300 : 시트층/필름층
400 : 매트층

Claims (12)

  1. 부직포와 배수성이 부여된 직포를 결합하고 결합된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시트를 부착 형성한 복합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결합된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섬유를 규칙 및 정열 없이 불규칙적으로 방사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공성의 매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의 제조방법.
  2. 부직포와 배수성이 부여된 직포를 결합하고 결합된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시트를 부착 형성한 복합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결합된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시트층 또는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는 제1의 필름상의 원사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제2의 필름상의 원사가 하측으로 위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미겹침부의 상측으로 제1의 모노필라멘트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의 미겹침부의 하측으로 제2의 모노필라멘트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모노필라멘트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를 위입시켜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1의 모노필라멘트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를 위입시키는 제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직구조가 경사방향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가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 및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들의 사이에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의 제조방법.

  4. 제 2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상기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하나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시트층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5.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상기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어느 하나 일면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수지재를 일정한 두께로 형성시킨 시트층 또는 매트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는 제1의 필름상의 원사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제2의 필름상의 원사가 하측으로 위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일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의 미겹침부의 상측으로 제1의 모노필라멘트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의 미겹침부의 하측으로 제2의 모노필라멘트가 위치되도록 위입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모노필라멘트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를 위입시켜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1의 모노필라멘트의 수직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3의 모노필라멘트를 위입시키는 제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직구조가 경사방향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와 제2의 필름상의 원사가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의 필름상의 원사 및 상기 제2의 필름상의 원사들의 사이에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7. 부직포의 일면에 섬유단면의 장반경이 위사 한 올의 밀도간격보다 큰 필름상의 원사와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위사로 사용하여 위입순서를 위사밀도에 따라 상호교차 위입함으로써 위사들이 서로 겹치어져 형성된 직포를 니들펀칭 또는 스티치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고, 상기 부직포와 직포 사이에 매트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8. 제 4 항, 제 5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의 투수계수는 3.3×10-4m/se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9. 제 4 항, 제 5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매트의 꿰뚫림 저항값이 320kgf/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층에 돌가루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층의 일면에 엠보싱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층을 중심으로 양측에 직포, 부직포 또는 부직포, 직포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KR1020120084544A 2012-08-01 2012-08-01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7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44A KR101273949B1 (ko) 2012-08-01 2012-08-01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44A KR101273949B1 (ko) 2012-08-01 2012-08-01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949B1 true KR101273949B1 (ko) 2013-06-11

Family

ID=4886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544A KR101273949B1 (ko) 2012-08-01 2012-08-01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6673A (zh) * 2018-09-21 2020-03-31 刘军忠 抗冲击复合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031Y1 (ko) * 1983-01-07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매트
KR870001030Y1 (ko) * 1983-01-07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매트
KR870001029Y1 (ko) * 1983-01-07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매트
KR20030056626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골든포우 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배수용 토목합성 차수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031Y1 (ko) * 1983-01-07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매트
KR870001030Y1 (ko) * 1983-01-07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매트
KR870001029Y1 (ko) * 1983-01-07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매트
KR20030056626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골든포우 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배수용 토목합성 차수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6673A (zh) * 2018-09-21 2020-03-31 刘军忠 抗冲击复合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5707B2 (ja) 積層不織布
ES2678200T3 (es) Compuesto geosintético para la filtración y drenaje de geomateriales de grano fino y método para fabricarlo
CN101460304A (zh) 具有一层或多层增强稀松布层的建筑施工复合材料
JP5044456B2 (ja) 法面被覆護岸工用遮水シート並びに法面被覆護岸の施工方法及び護岸構造
KR101193150B1 (ko) 겉보기 구멍크기와 투수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제직구조를 가지는 직포 지오텍스타일
KR101273949B1 (ko) 침출수 집배수 및 차수시트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복합매트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77242A1 (en) Composite backing for stabilized carpet
KR20160070760A (ko) 캐리어 재료의 제공 방법
EP1972707A1 (en) Articles including high modulus fibrous material
CN113978044B (zh) 一种缝合加筋复合防排水板及其制备方法
CN112078195B (zh) 弹性反滤土工布及其制备方法
JP2751451B2 (ja) 積層不織布シート
US20230087094A1 (en) Three-dimensional composite fabric
JP4168324B2 (ja) 土木資材用複合シート
KR200426979Y1 (ko) 삼층구조의 부직포형 지오텍스타일
KR20200019475A (ko) 투수성, 위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웹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 부직포
KR102257758B1 (ko) 수평배수재의 필터부 제조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날개부를 구비하는 수평배수재
TWI779532B (zh) 人工皮革結構及其製造方法
KR200270970Y1 (ko) 고하중압력하에서 고투과 계수를 갖는 단일층 부직포형지오텍스타일
CN207552832U (zh) 一种路基稳定加筋滤网
WO2024049449A1 (en) Three-dimensional composite fabric
JPH0157208B2 (ko)
KR200270971Y1 (ko) 고하중압력하에서 고투과 계수를 갖는 이중층 부직포형지오텍스타일
JP3829978B2 (ja) 耐貫通性を向上させた陸上土木用シート
JP2501457Y2 (ja) 土木用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