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378B1 -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378B1
KR101273378B1 KR1020130002381A KR20130002381A KR101273378B1 KR 101273378 B1 KR101273378 B1 KR 101273378B1 KR 1020130002381 A KR1020130002381 A KR 1020130002381A KR 20130002381 A KR20130002381 A KR 20130002381A KR 101273378 B1 KR101273378 B1 KR 10127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injection
hydraulic line
bi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이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식 filed Critical 이영식
Priority to KR102013000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롯드를 구비하여 천공,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반응제 분사 및 몰탈 또는 경화제 분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지반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4)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8)을 갖는 이탈방지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부에 설치된 제1가로지지대(112)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부에 설치된 제2가로지지대(114)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Boring machine and method for reinforcing earth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롯드를 구비하여 천공,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몰탈 분사 또는 경화제 분사 및 반응제 분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지반의 천공작업 및 보강작업의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도시는 생략함)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14)과;
상기 레일(14)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와이어(16)를 상, 하로 슬라이딩시켜 주는 와이어조절부(18)와;
상기 레일(14)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16)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16)의 슬라이딩에 따라 레일(14)을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기어박스(20)와;
상기 기어박스(20)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롯드(ROD)(22)와;
상기 롯드(22)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해머(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롯드(22)의 내부에는 3개의 유로관(30)(32)(34)이 설치있되, 상기 유로관(30)은 몰탈유로관 또는 경화제유로관 이고, 상기 유로관(32)은 반응제유로관 이며, 상기 유로관(34)은 절삭수유로관이다.
한편, 상기 롯드(22)의 상단부에는 몰탈주입호스(도시는 생략함), 경화제주입호스(도시는 생략함), 반응제주입호스(도시는 생략함), 절삭수주입호스(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의 조립과정 및 지반 보강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도시는 생략함)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1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본체(12)의 일측에 레일(14)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14)의 일측에 와이어(16)가 감긴 와이어조절부(18)를 설치한 후, 상기 와이어조절부(18)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14)의 일측에 기어박스(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후, 상기 기어박스(20)에 와이어(1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20)에 롯드(22)를 설치한 후, 상기 롯드(22)의 끝단부에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해머(24)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의 조립이 완료되고,
지반을 천공하고자 할 경우,
본체(12)에 구비된 제어부는 와이어조절부(1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때, 상기 와이어조절부(18)는 와이어(16)를 하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와이어(16)의 슬라이딩에 따라 기어박스(2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하고, 기어박스(20)의 슬라이딩에 따라 롯드(22)가 하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롯드(22)의 슬라이딩에 따라 천공해머(24)가 지반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천공해머(24)는 지반을 천공한다.
그리고, 지반 천공이 완료되면, 본체(12)에 구비된 제어부는 와이어조절부(1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때, 상기 와이어조절부(18)는 와이어(16)를 상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와이어(16)의 슬라이딩에 따라 기어박스(2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고, 기어박스(20)의 슬라이딩에 따라 롯드(22)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롯드(22)의 슬라이딩에 따라 천공해머(24)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와 같이, 천공해머(24)의 사용이 완료되고, 지반으로 반응제,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를 분사하고자 할 경우,
상기 롯드(22)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된 천공해머(24)를 제거한 후, 상기 롯드(22)의 끝단부에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제,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비트(26)를 상기 롯드(22)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비트(26)의 내부에는 3개의 유로관(50)(52)(54)이 설치되고 있되, 상기 유로관(50)은 몰탈유로관 또는 경화제유로관이고, 상기 유로관(52)는 반응제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54)는 절삭수유로관이다. 상기 분사비트(26)의 외면에는 상기 유로관(50)에 연결된 분사공(40)이 있고, 상기 유로관(52)에 연결된 분사공(42)이 있으며, 상기 유로관(54)에 연결된 분사공(44)이 있다. 이때, 상기 분사공(42)(44)은 수평 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롯드(22)의 끝단부에 분사비트(26)가 나사 결합되면, 본체(12)에 구비된 제어부는 와이어조절부(1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때, 상기 와이어조절부(18)는 와이어(16)를 하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와이어(16)의 슬라이딩에 따라 기어박스(2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하고, 기어박스(20)의 슬라이딩에 따라 롯드(22)가 하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롯드(22)의 슬라이딩에 따라 분사비트(26)가 천공된 지반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비트(26)는, 분사공(40)을 통해 몰탈 또는 경화제를 지반으로 분사하고, 분사공(42)을 통해 반응제를 지반으로 분사하며, 분사공(44)을 통해 지반으로 절삭수를 분사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는 지반을 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롯드의 끝단부에 천공해머를 나사 결합시키고, 지반으로 반응제,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를 분사하고자 할 경우, 롯드의 끝단부에 천공해머를 제거한 후, 롯드의 끝단부에 반응제,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비트를 나사 결합시키는바,
하나의 롯드의 끝단부에 천공해머 또는 분사비트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교체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시간 또는 지반으로 반응제,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를 분사하는 분사시간이 길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롯드를 구비하여 천공, 에어 분사, 반응제 분사, 절삭수 분사, 몰탈 분사 또는 경화제 분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지반의 천공작업 및 보강작업의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는,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4)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8)을 갖는 이탈방지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부에 설치된 제1가로지지대(112)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부에 설치된 제2가로지지대(114)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4)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과;
상기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114)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과;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120)의 슬라이딩에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와;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122)의 슬라이딩에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와;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와;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롯드(130)와;
상기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해머(132)와;
상기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와;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2롯드(136)와;
상기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반응제 분사 및 몰탈 또는 경화제 분사하는 분사비트(138)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롯드(130) 또는 제2롯드(136)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터감지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지반 보강 공법은,
제어부(104)는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으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센터감지센서(140)로 제어신호를 보낸 후, 상기 센터감지센서(140)로부터 제1롯드(130)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수신된 센싱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센터값과 수신된 센싱값이 일치하면,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된 천공해머(132)를 지반에 위치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으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좌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센터감지센서(140)로 제어신호를 보낸 후, 상기 센터감지센서(140)로부터 제2롯드(136)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수신된 센싱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센터값과 수신된 센싱값이 일치하면, 상기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된 분사비트(138)를 천공된 지반에 위치하여 지반으로 에어,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 및 반응제를 분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은 제1롯드의 끝단부에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해머가 나사 결합 되어 있고, 제2롯드의 끝단부에 지반으로 에어 분사, 반응제 분사, 절삭수 분사, 몰탈 분사 또는 경화제 분사하는 분사비트가 나사 결합 되어 있는바,
종래에서의 천공해머 또는 분사비트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교체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시간 또는 지반으로 에어 분사, 반응제 분사, 절삭수 분사, 몰탈 분사 또는 경화제 분사하는 분사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도 1의 롯드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는 분사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1의 롯드 및 분사비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는 도 3의 제2롯드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는 분사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b는 도 3의 제2롯드 및 분사비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분사비트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는 도 3의 제2롯드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는 분사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3의 제2롯드 및 분사비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0)는,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4)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8)을 갖는 이탈방지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부에 설치된 제1가로지지대(112)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부에 설치된 제2가로지지대(114)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4)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과;
상기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114)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과;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120)의 슬라이딩에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와;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122)의 슬라이딩에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와;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와;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롯드(130)와;
상기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해머(132)와;
상기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와;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2롯드(136)와;
상기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반응제 분사 및 몰탈 또는 경화제 분사하는 분사비트(138)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롯드(130) 또는 제2롯드(136)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터감지센서(140)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보내는 경고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롯드(136)의 내부에는 4개의 유로관(200)(202)(204)(206)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유로관(200)은 몰탈유로관 또는 경화제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202)은 반응제유로관이고, 상기 유로관(204)은 에어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206)은 절삭수유로관이다.
상기 제2롯드(136)의 상단부에는 에어주입호스(300), 반응제주입호스(302), 절삭수주입호스(304), 몰탈주입호스(306), 경화제주입호스(30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비트(138)의 내부에는 상기 제2롯드(136)의 유로관(200)(202)(204)(206)에 대응되도록 4개의 유로관(400)(402)(404)(406)이 설치되되,
상기 유로관(400)은 몰탈유로관 또는 경화제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402)은 반응제유로관이고, 상기 유로관(404)은 에어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406)은 절삭수유로관이다.
상기 분사비트(138)의 외면에는 상기 유로관(400) 및 유로관(402)에 연결된 분사공(500)이 있고, 상기 유로관(404) 및 유로관(406)에 연결된 분사공(502)(504)(506)이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공(502)은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사공(504)은 분사공(5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공(506)은 분사공(5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롯드(136)의 내부에는 4개의 유로관 대신에 3개의 유로관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분사비트(138)의 내부에는 4개의 유로관 대신에 3개의 유로관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0)의 조립과정 및 지반 보강공법을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순서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4)와 경고부(142)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10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센터감지센서(140)를 구비하고 있는 수직지지대(10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하부에 가이드공(108)을 갖는 이탈방지부(1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부에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을 구비하고 있는 제1가로지지대(112)를 설치한 후,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부에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과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을 구비하고 있는 제2가로지지대(11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에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설치한 후,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에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를 설치한 후,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제1롯드(13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천공해머(132)를 나사 결합한다.
한편, 상기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를 설치한 후,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4개의 유로관(200)(202)(204)(206)을 구비하고 있는 제2롯드(13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분사공(500)(502)(504)(506)을 구비하고 있는 분사비트(138)를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에 경고부(142), 센터감지센서(140),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상기 제2롯드(136)의 상단부에 에어주입호스(300), 반응제주입호스(302), 절삭수주입호스(304), 몰탈주입호스(306), 경화제주입호스(308)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주입호스(300)는 에어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고, 반응제주입호스(302)는 반응제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며, 절삭수주입호스(304)는 절삭수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고, 몰탈주입호스(306)는 모탈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며, 경화제주입호스(308)는 경화제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되고,
지반을 천공하고자 할 경우,
본체(102)에 구비된 제어부(104)는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으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은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연결된 제1롯드(13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1롯드(13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어부(104)는 센터감지센서(14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센터감지센서(140)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롯드(130)를 센싱하고, 센싱된 값을 상기 제어부(104)로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4)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 설정된 센터값과 센터감지센서(140)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센터값과 수신된 센싱값이 일치하면, 제1롯드(130)가 수직지지대(106)의 상측 중앙에 위치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는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타고 하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연결된 제1롯드(13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1롯드(13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된 천공해머(132)가 이탈방지부(110)의 가이드공(108)을 관통하여 지반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천공해머(132)는 지반을 천공한다.
그리고, 지반의 천공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4)는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는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타고 상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연결된 제1롯드(13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1롯드(13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된 천공해머(132)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으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은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좌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연결된 제1롯드(13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 된다.
상기와 같이, 천공해머(132)의 사용이 완료되고, 지반으로 에어,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 및 반응제를 분사하고자 할 경우,
본체(102)에 구비된 제어부(104)는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으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은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좌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연결된 제2롯드(136)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2롯드(136)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어부(104)는 센터감지센서(14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센터감지센서(140)는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롯드(136)을 센싱하고, 센싱된 값을 상기 제어부(104)로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4)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 설정된 센터값과 센터감지센서(140)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센터값과 수신된 센싱값이 일치하면, 제2롯드(136)가 수직지지대(106)의 상측 중앙에 위치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는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타고 하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연결된 제2롯드(136)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2롯드(136)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된 분사비트(138)가 이탈방지부(110)의 가이드공(108)을 관통하여 천공된 지반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비트(138)는 분사공(500)(502)(504)(506)을 통해 지반으로 에어,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 및 반응제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비트(138)의 사용 상태를 도 8을 참조하여 다시 한번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사비트(138)의 외면에는 유로관(400) 및 유로관(402)에 연결된 분사공(500)이 설치되어 있고, 유로관(404) 및 유로관(406)에 연결된 분사공(502)(504)(506)이 설치되되,
상기 분사공(502)은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사공(504)는 분사공(5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공(506)은 분사공(5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바,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분사공(502)은 에어유로관 및 절삭수유로관에 연결되어 에어 및 절삭수를 하 방향으로 분사하고, 수평으로 설치된 분사공(504)은 에어유로관 및 절삭수유로관에 연결되어 에어 및 절삭수를 수평 방향으로 분사하며,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분사공(506)은 에어유로관 및 절삭수유로관에 연결되어 에어 및 절삭수를 하 방향으로 분사하고, 분사공(500)은 몰탈유로관 또는 경화제유로관 및 반응제유로관에 연결되어 몰탈 또는 경화제 및 반응제를 분사한다.
한편, 에어,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 및 반응제 분사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4)는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는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타고 상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연결된 제2롯드(136)가 상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2롯드(136)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된 분사비트(138)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으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은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연결된 제2롯드(136)가 우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102 : 본체
104 : 제어부 106 : 수직지지대
108 : 가이드공 110 : 이탈방지부
112 : 제1가로지지대 114 : 제2가로지지대
116 :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 118 :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
120 :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 122 :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
124 : 제1좌우 슬라이딩부 126 : 제2좌우 슬라이딩부
128 : 천공해머용기어박스 130 : 제1롯드
132 : 천공해머 134 : 분사비트용기어박스
136 : 제2롯드 138 : 분사비트
140 : 센터감지센서

Claims (3)

  1.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4)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부에 설치된 제1가로지지대(112)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부에 설치된 제2가로지지대(114)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4)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과;
    상기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114)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과;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120)의 슬라이딩에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와;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122)의 슬라이딩에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와;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와;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롯드(130)와;
    상기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해머(132)와;
    상기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와;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2롯드(136)와;
    상기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반응제 분사 및 몰탈 또는 경화제 분사하는 분사비트(138)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롯드(130) 또는 제2롯드(136)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터감지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2.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4)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8)을 갖는 이탈방지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부에 설치된 제1가로지지대(112)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부에 설치된 제2가로지지대(114)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4)의 정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과;
    상기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114)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과;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120)의 슬라이딩에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와;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112)의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122)의 슬라이딩에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와;
    상기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와;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롯드(130)와;
    상기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해머(132)와;
    상기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와;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되, 몸체의 내부에 4개의 유로관(400)(402)(404)(406)을 갖는 제2롯드(136)와;
    상기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반응제 분사 및 몰탈 또는 경화제 분사하는 분사비트(138)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상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롯드(130) 또는 제2롯드(136)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터감지센서(140)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보내는 경고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사비트(138)의 내부에는,
    상기 제2롯드(136)의 유로관(200)(202)(204)(206)에 대응되도록 4개의 유로관(400)(402)(404)(406)이 설치되되,
    상기 분사비트(138)의 외면에는,
    상기 유로관(400) 및 유로관(402)에 연결된 분사공(5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로관(404) 및 유로관(406)에 연결된 분사공(502)(504)(506)이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분사공(502)은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사공(504)는 분사공(5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공(506)은 분사공(5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분사비트(138)의 외면에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3. 제어부(104)는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으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제1좌우 슬라이딩부(124)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센터감지센서(140)로 제어신호를 보낸 후, 상기 센터감지센서(140)로부터 제1롯드(130)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수신된 센싱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센터값과 수신된 센싱값이 일치하면, 상기 제1천공해머용유압라인(116) 및 제2천공해머용유압라인(12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천공해머용기어박스(128)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제1롯드(13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된 천공해머(132)를 지반에 위치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으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제2좌우 슬라이딩부(126)를 좌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센터감지센서(140)로 제어신호를 보낸 후, 상기 센터감지센서(140)로부터 제2롯드(136)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상기 제어부(104)는 수신된 센싱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센터값과 수신된 센싱값이 일치하면, 상기 제1분사비트용유압라인(118) 및 제2분사비트용유압라인(122)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분사비트용기어박스(134)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제2롯드(136)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된 분사비트(138)를 천공된 지반에 위치하여 지반으로 에어, 절삭수, 몰탈 또는 경화제 및 반응제를 분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공법.













KR1020130002381A 2013-01-09 2013-01-09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KR10127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381A KR101273378B1 (ko) 2013-01-09 2013-01-09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381A KR101273378B1 (ko) 2013-01-09 2013-01-09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378B1 true KR101273378B1 (ko) 2013-06-12

Family

ID=4886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381A KR101273378B1 (ko) 2013-01-09 2013-01-09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3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47B1 (ko) 2007-02-14 2007-10-29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구동 분리형 지반 개량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KR20100090390A (ko) * 2009-02-06 2010-08-16 신분선 지중 천공 수직 및 수평〔직선〕굴착방향 감지장치
KR101069107B1 (ko) 2010-01-07 2011-09-30 김사현 지반 개량용 굴착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47B1 (ko) 2007-02-14 2007-10-29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구동 분리형 지반 개량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KR20100090390A (ko) * 2009-02-06 2010-08-16 신분선 지중 천공 수직 및 수평〔직선〕굴착방향 감지장치
KR101069107B1 (ko) 2010-01-07 2011-09-30 김사현 지반 개량용 굴착교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32075A (zh) 一种用于覆岩裂隙探测的钻测一体化系统及方法
CN102445710B (zh) 一种用于覆岩导水裂隙带监测系统的探测钻进装置
JP2012517540A (ja) ジェットグラウト工法による土壌強化で用いるダウンザホールハンマードリルのための設備
CN102926409B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施工方法
WO2019231332A3 (en) At-the-bit mud loss treatment
KR101273378B1 (ko) 2개의 롯드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CN105064946A (zh) 封孔器及其钻孔取芯工艺
KR101350200B1 (ko) 4중관과 그에 따른 선단장치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MX2016002291A (es) Metodo integrado de perforacion de chimeneas de inspeccion y mantenimiento y un acomodo de cadena de perforacion asociada.
RU2020113007A (ru) Горнопроходческое или строите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труба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цилиндра, содержащая трубопро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60033895A (ko)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IT201800007633A1 (it) Sistema di drenaggio acqua
CN108318931A (zh) 高精度、本质安全煤层顶板导水裂隙带高度实时监测方法
CN206957583U (zh) 一种煤矿矿井长距离贯通钻孔的设备
CN202866772U (zh) 喷砂割缝射孔工具
CN205314944U (zh) 一种孔口瓦斯水煤渣引导分流装置
CN113187393B (zh) 基于重力导向机制的水力割缝水平导向装置及使用方法
CN106049471B (zh) 硬石层旋喷搅拌装置
CN105781437A (zh) 一种双壁钻杆钻井系统及钻井方法
KR101589531B1 (ko) 4중관의 선단장치와 3중관의 롯드가 구비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CN203685288U (zh) 一种煤矿井下探放水钻孔控水装置
CN205135415U (zh) 一种水辨头
WO2011075045A1 (en) An arrangement for joining double-walled drill rods and double-walled drill rod
KR101213083B1 (ko) 기수분리 공급용 최상부 로드 구조
SE530357C2 (sv) Anordning vid utförande av borrning i jordlager och ber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