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369B1 -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369B1
KR101273369B1 KR1020110137271A KR20110137271A KR101273369B1 KR 101273369 B1 KR101273369 B1 KR 101273369B1 KR 1020110137271 A KR1020110137271 A KR 1020110137271A KR 20110137271 A KR20110137271 A KR 20110137271A KR 101273369 B1 KR101273369 B1 KR 10127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mising
technology
documents
technologies
technical te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정한민
김평
이승우
서동민
이미경
성원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7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많이 참조되는 연관 기술,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파생되어 신규 등장하는 기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cision of Boosting technology using of Literature Analysis}
본 발명은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식과 정보가 그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지식기반 산업사회로 전환되고, 특히 국가과학기술경쟁력을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세계 각국들은 미래의 경쟁에 살아남기 위한 핵심기술 및 연구과제를 미리 도출하고 선정하여 집중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해 나가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국들은 미래 국가 과학기술을 주도할 유망한 연구영역을 찾아내어 기술 생명 주기(Life Cycle) 그래프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많이 참조되는 연관 기술,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파생되어 신규 등장하는 기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많이 참조되는 연관 기술,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파생되어 신규 등장하는 기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및 다종의 문헌 DB에서 기술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고 다양한 기술 유망도 분석 방법을 통하여 그 기술들이 미래에 얼마나 유망한 지를 자동으로 예측할 수 있는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조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참조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문선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c)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중 문헌 제공 장치, 상기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유망 기술 판단 장치를 포함하는 유망 기술 판단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듈,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유망 기술 판단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유망 기술 판단 모듈은,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 및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여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 또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하는 피참조 횟수 조회부,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를 포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제공된다.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문헌들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유망 기술문헌 분석부,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는 기술 용어 획득부,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를 포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제공된다.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많이 참조되는 연관 기술,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파생되어 신규 등장하는 기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 및 다종의 문헌 DB에서 기술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고 다양한 기술 유망도 분석 방법을 통하여 그 기술들이 미래에 얼마나 유망한 지를 자동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문헌 분석을 통해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참조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참조 유망 기술은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많이 참조되는 연관 기술을 말하고, 파생 유망 기술은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파생되어 신규 등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참조 유망 기술 분석은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많이 참조되는 주요 문헌에서 활용되는 기술로 타 유망 기술들과 연관성이 매우 깊은 기술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다.
파생 유망 기술 분석은 타 유망 기술들에 의해 새롭게 파생되거나 신규 등장하는 기술로 기존 유망 기술로부터 완전히 새롭게 파생되는 기술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다. 파생 유망 기술은 ‘mobile device'와 'augmented reality'와 같이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augmented reality'와 같은 기술들이 'mobile device'라는 유망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신규 등장하는 기술로써 기존 유망 기술을 기반으로 파생되는 새로운 유망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시스템은 다중 문헌 제공 장치(100), 유망 기술 판단 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 문헌 제공장치(100)에는 논문, 특허, 보고서, 학술자료, 신문, 표준 등의 문헌들이 통합되어 있다.
상기 유망 기술 판단 장치(200)는 상기 다중 문헌 제공 장치(100)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한다.
상기 유망 기술 판단 장치(200)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 또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유망 기술 판단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고,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하며,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망 기술 판단 장치(200)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듈(210),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유망 기술 판단 모듈(230)을 포함한다.
상기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듈(210)은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구축한다.
상기 유망 기술 사전에는 전문가에 의해 설정된 유망 기술의 목록들이 정의되어 있다.
즉, 상기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듈(210)은 텍스트 마이닝, 메타 데이터 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다중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상기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한다.
그런 다음 상기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듈(210)은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구축한다.
상기 유망 기술 판단 모듈(230)은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유망 기술 판단 모듈(230)은 참조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232),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232)는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한다. 그런 다음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232)는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문헌이 논문인 경우,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232)는 미리 정해진 참조문헌 영역을 분석하여 참조 문헌들을 획득한다.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234)는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 그런 다음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234)는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한다.
즉,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234)는 텍스트 마이닝, 메타 데이터 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 이때, 문헌이 논문인 경우,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234)는 미리 정해진 주요 부분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데, 상기 논문의 주요 부분은 제목, 초록, 키워드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300)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310),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320), 피참조 횟수 조회부(330),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320)는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한다.
즉, 상기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320)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문헌들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320)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310)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한다.
상기 피참조 횟수 조회부(330)는 상기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320)에서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한다.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340)는 상기 피참조 횟수 조회부(330)에서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한다.
즉,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340)는 참조 문헌을 분석하여 그 문헌에 출현하는 기술용어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가장 많이 출현하는 기술용어를 해당 참조 문헌의 주요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340)는 참조 문헌에 미리 설정된 주요 부분을 분석하여 기술용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를 해당 참조 문헌의 주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문헌이 논문인 경우,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340)는 논문의 제목, 초록, 키워드 등을 통해 기술용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문헌이 특허인 경우,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340)는 서지사항을 분석하여 기술용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300)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400)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410),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420), 기술 용어 획득부(430),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420)는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
즉, 상기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420)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420)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
상기 기술 용어 획득부(430)는 상기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420)에서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한다.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440)는 상기 기술 용어 획득부(430)에서 획득된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400)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문헌 분석을 통해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망 기술 판단장치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 및 기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여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502).
상기 S502의 수행 후, 상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상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유망 기술 또는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한다(S504).
상기 유망 기술 판단장치가 참조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고,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참조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참조 유망 기술 판단장치는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한다(S602).
이때,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문헌들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S602의 수행 후,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한다(S604).
상기 S604의 수행 후, 상기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한다(S60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S702).
즉,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S702의 수행 후,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S704)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한다(S706).
그런 다음 상기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고(S708),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한다(S71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중 문헌 제공 장치 200 : 유망 기술 판단 장치
210 : 유망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듈
220 :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유망 기술 판단 모듈 300 :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
310 :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 320 :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
330 : 피참조 횟수 조회부 340 :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
400 :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 420 :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
430 : 기술용어 획득부 440 :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

Claims (26)

  1.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각각 분석하여 유망기술용어를 제외한 기술용어들과 참조 문헌들을 각각 획득 및 누적한 후,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고, 누적된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기술용어들 중에서 상위에 정렬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
    룰 포함하는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3. 삭제
  4. 삭제
  5.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참조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기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분석하여 각 문헌들의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참조 유망 기술 판단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방법.
  9.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a) 기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분석하여 각 문헌들의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가 파생 유망 기술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기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파생 유망 기술 판단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방법.
  14.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a) 기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다중 문헌 제공 장치; 및
    상기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기술용어를 제외한 기술용어들과 참조 문헌들을 각각 획득 및 누적한 후,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고, 누적된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기술용어들 중에서 상위에 정렬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유망 기술 판단 장치;
    를 포함하는 유망 기술 판단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듈; 및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기술용어를 제외한 기술용어들과 참조 문헌들을 각각 획득 및 누적한 후,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고, 누적된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기술용어들 중에서 상위에 정렬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유망 기술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기술 판단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 기술 판단 모듈은,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각 문헌들의 참조문헌들을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 및
    상기 유망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 및 그 그런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여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기술 판단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 기술 판단 장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 또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기술 판단 시스템.
  19. 기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분석하여 각 문헌들의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들을 참조문헌별로 누적하여 피참조 횟수가 가장 많은 참조문헌을 획득하는 피참조 횟수 조회부; 및
    상기 획득된 참조문헌의 주요 기술을 참조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부;
    를 포함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 문헌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 기술별 참조 문헌 획득부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참조문헌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유망 기술 판단 장치.
  23. 기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유망 기술문헌 분석부;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들을 누적하여 그 누적된 수가 많은 기술용어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기술용어 중에서 상위에 랭킹된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의 기술용어를 획득하는 기술 용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기술용어를 파생 유망 기술로 판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부;
    를 포함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들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각 유망 기술별로 획득된 문헌들로 구성된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는 다중 문헌 제공 장치에 저장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 사전에 정의된 유망 기술을 포함하는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 기술 문헌 분석부는 유망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망 기술들에 대한 문헌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유망 기술을 제외한 기술용어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생 유망 기술 판단 장치.

KR1020110137271A 2011-12-19 2011-12-19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127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271A KR101273369B1 (ko) 2011-12-19 2011-12-19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271A KR101273369B1 (ko) 2011-12-19 2011-12-19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369B1 true KR101273369B1 (ko) 2013-06-20

Family

ID=4886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271A KR101273369B1 (ko) 2011-12-19 2011-12-19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29B1 (ko) * 2016-06-13 2017-03-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상기술판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42A (ko) * 2007-05-16 2009-01-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정보의 계량화를 통한 유망연구영역 선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42A (ko) * 2007-05-16 2009-01-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정보의 계량화를 통한 유망연구영역 선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과학계량학적 정보분석을 통한 LED 및 광분야 유망기술 탐색에 관한 연구(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장시영 외2인, 페이지1213-1222, 2011.3월 발행) *
과학계량학적 정보분석을 통한 LED 및 광분야 유망기술 탐색에 관한 연구(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장시영 외2인, 페이지1213-1222, 2011.3월 발행)*
특허정보를 활용한 IT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한국통신학회논문지, 김방룡 외1인, 페이지1021-1030, 2009.10월 발행) *
특허정보를 활용한 IT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한국통신학회논문지, 김방룡 외1인, 페이지1021-1030, 2009.10월 발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29B1 (ko) * 2016-06-13 2017-03-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상기술판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4255B (zh) 基于文本语义相关的网络舆情信息分析方法
KR101479040B1 (ko) 태그들을 문서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
US79373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document structure and associated metainformation
KR101276602B1 (ko) 표의문자적 내용을 가지는 데이터를 서치하고 매칭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2054015B (zh) 使用有机物件数据模型来组织社群智能信息的系统及方法
CN103176983B (zh) 一种基于互联网信息的事件预警方法
US8180773B2 (en) Detecting duplicate documents using classification
US9367581B2 (en) System and method of quality assessment of a search index
US85274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information organization structure for related information browsing
CN107992633A (zh) 基于关键词特征的电子文档自动分类方法及系统
CN103593410A (zh) 通过替换概念性词语进行搜索推荐系统
KR100892842B1 (ko) 사용자 중심 정보탐색 방법 및 시스템
CN107562843B (zh) 一种基于标题高频切分的新闻热点短语提取方法
CN107451120B (zh) 一种公开文本情报的内容冲突检测方法及系统
MX2012011923A (es) Asignacion de atributis aplicables para datos que describen la identidad personal.
CN103631842A (zh) 用于检测多列复合键列集合的方法和系统
CN102542061A (zh) 一种产品的智能分类方法
CN106815605B (zh) 一种基于机器学习的数据分类方法及设备
KR20140081721A (ko)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중요 키워드 도출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1033611B1 (ko) 참고 문헌 적합성 판정 시스템 및 방법
CN115618014A (zh) 一种应用大数据技术的标准文献分析管理系统及方法
CN110413997B (zh) 针对电力行业的新词发现方法及其系统、可读存储介质
KR101019627B1 (ko) 패턴 기반 참고문헌 자동 구축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CN103870489B (zh) 基于搜索日志的中文人名自扩展识别方法
KR101273369B1 (ko) 문헌 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 판단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