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773B1 -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773B1
KR101272773B1 KR1020060097535A KR20060097535A KR101272773B1 KR 101272773 B1 KR101272773 B1 KR 101272773B1 KR 1020060097535 A KR1020060097535 A KR 1020060097535A KR 20060097535 A KR20060097535 A KR 20060097535A KR 101272773 B1 KR101272773 B1 KR 101272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ternal
electrically connected
ground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553A (ko
Inventor
강민석
서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773B1/ko
Publication of KR2008003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33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omprising an articulating, sliding or rolling contact between movable contact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에 외부 단자가 장착되면 해당 외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기 내부의 해당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부 단자의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되어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끊기도록 설치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상기 제1단자와 접속이 끊김과 동시에 기기의 접지부에 접지되도록 상기 제2단자의 주변에 설치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하여, 외부 단자의 삽입에 따라 open되는 제2단자를 기기의 접지부에 접지시킴으로써, 해당 단자의 전기적 연결에 따른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제품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단말기, RF, 고정 단자, 유동 단자, 접지 단자, 외부 단자, 노이즈, 스위칭

Description

스위칭 장치{SWITCH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요부 구성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외부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각종 기기에 적용되는 외부 단자 겸용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단자가 삽입되었을 때, 기 접속되어 있던 단자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지부과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전자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 MP3 플레이어, PDP 등 휴대용 전자 기기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 기기들은 대표적인 기능 이외에 부가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씩 보유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기본적인 통화기능 이외에 피사체 촬영을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음악 감상을 위한 MP3플레이어 기능 역시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을 탑재하여 실시간으로 공중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MP3 플레이어의 경우에도 수십만 화소의 TFT 컬러 엘씨디를 기반으로 피사체 촬영을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탑재하여 디지털 카메라로써의 기능 역시 병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최근에 출시되는 단말기들은 다중 대역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로써, 각 대역에 따라 동작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소비자의 기호에 부응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부피는 점차 슬림화되면서 상술한 다중 대역을 구현하기 위하여 단말기 착탈식 외장형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기도 한다. 즉, 단말기 내부의 RF부에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데, 다른 대역에서 상기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단말기에 소정의 안테나 장치를 장착하게 되면, 상기 내장 안테나 장치와 RF부는 전기적인 연결이 끊기면서, 장착되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와 상기 RF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대역에서 동작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술한 외장형 안테나 장치의 단자가 단말기 내부의 RF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연결된 단자는 open 상태로 남아있게 되며, 이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의 단자와 RF부의 접촉에 따른 노이즈로 작용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안테나 장치의 방사 특성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 적은 외부 단자의 접촉에 따라 open되는 단자의 노이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단자의 접촉에 따라 open되는 단자를 접지시킴으로써 노이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기기의 해당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기에 외부 단자가 장착되면 해당 외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기기 내부의 해당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부 단자의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되어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끊기도록 설치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상기 제1단자와 접속이 끊김과 동시에 기기의 접지부에 접지되도록 상기 제2단자의 주변에 설치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도, 제1단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RF컨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RF 단자이며, 제2단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단자는 RF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의 단자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듀얼 밴드 안테나 장치에 적용되는 스위칭 장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타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1)의 요부 구성도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듀얼 밴드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외장형 안테나 장치의 선택적 접속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내부에는 미도시된 RF 컨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단자(1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 단자(10)는 소정의 고정 프레임(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단자(10)는 상기 고정 프레임(2)에 고정되는 고정단(11)과, 상기 고정단(11)에서 상방으로 일정 텐션을 갖도록 연장 절곡되는 자유단(1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11)에는 소정의 고정편(12)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2)에 관통되며, 솔더링 등에 의한 솔더 패드(3)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2)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고정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유동 단자(20)는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유동 단자(20)는 단부에 상기 고정 단자(10)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가 형성 또는 설치되어 상기 고정 단자(10)와 유동 단자(20) 사이에 삽입되는 일정 두께의 외부 단자(30)에 의해 상기 유동 단자(20)를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유동 단자(20)의 돌출부(22)는 상기 외부 단자(30)와의 전기적 접속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형성 또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 대신 상기 유동 단자(20)의 일부를 상기 돌출부(22)만큼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외부 단자(30)와의 접촉 부분을 소정의 절연체로 코팅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역시, 상기 유동 단자(20)의 주변에는 단말기의 접지부(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단자(5)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단자(30)가 삽입되어 상기 유동 단자(20)가 후방으로 후퇴되면서 상기 접지 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유동 단자(20)는 상기 접지 단자(5)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접촉단(21)을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동 단자(20)는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외부 단자(30)는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단말기에 접속되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고정 단자(10)는 외부 단자(30)와 유동 단자(2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듀얼 밴드의 방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1)의 외부 단자(3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써, 도 1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장형 안테나 장치의 외부 단자(30)를 상기 고정 단자(10)와 유동 단자(20)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외부 단자(30)의 삽입에 따라, 상기 돌출부(21)에 밀려 상기 유동 단자(22)는 후방(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할 것이며, 이는 고정 단자(10)와 접촉되어 있던 유동 단자(20)가 전기적으로 open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단자(30)가 상기 고정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가 된다. 즉,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장착되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만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유동 단자(20)는 후퇴하면서, 접지 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유동 단자(20)는 open된 상태에 서 단말기의 접지부(6)에 접지됨으로써, 노이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는 외부 단자의 삽입에 따라 open되는 단자를 접지시킴으로써, 해당 단자의 전기적 연결에 따른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제품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기기에 외부 단자가 장착되면 해당 외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기기 내부의 해당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단자;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부 단자의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되어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끊기도록 설치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상기 제1단자와 접속이 끊김과 동시에 기기의 접지부에 접지되도록 상기 제2단자의 주변에 설치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에는 상기 외부 단자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밀리도록 절연성 돌출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휴대용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RF컨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RF 단자이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RF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의 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6.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해당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단자;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부 단자의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되어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끊기도록 설치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상기 제1단자와 접속이 끊김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부에 접지되도록 상기 제2단자의 주변에 설치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RF컨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RF단자;
    상기 RF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장형 안테나 장치의 단자의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되어 상기 RF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끊기도록 설치되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단자; 및
    상기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단자가 상기 RF단자와 접속이 끊김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부에 접지되도록 상기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단자의 주변에 설치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60097535A 2006-10-04 2006-10-04 스위칭 장치 KR10127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535A KR101272773B1 (ko) 2006-10-04 2006-10-04 스위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535A KR101272773B1 (ko) 2006-10-04 2006-10-04 스위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553A KR20080031553A (ko) 2008-04-10
KR101272773B1 true KR101272773B1 (ko) 2013-06-10

Family

ID=3953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535A KR101272773B1 (ko) 2006-10-04 2006-10-04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1133B (zh) * 2019-04-22 2021-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usb模组及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334A (ko) * 1999-06-22 2001-01-15 윤종용 외부안테나와 연결된 단말기의 스퓨리어스 감쇄 장치 및 방법
JP2003109465A (ja) 2001-09-28 2003-04-11 Fujisoku:Kk スイッチ装置
KR200404096Y1 (ko) 2005-09-29 2005-12-19 (주)애드컴 스위치 기능을 갖는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334A (ko) * 1999-06-22 2001-01-15 윤종용 외부안테나와 연결된 단말기의 스퓨리어스 감쇄 장치 및 방법
JP2003109465A (ja) 2001-09-28 2003-04-11 Fujisoku:Kk スイッチ装置
KR200404096Y1 (ko) 2005-09-29 2005-12-19 (주)애드컴 스위치 기능을 갖는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553A (ko)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0919B2 (en) Mobile terminal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10135121B2 (en) Antenna for portable device
DE102007002900B4 (de) Mobiltelefon
US7314379B2 (en) Adapter device with resilient conductive means
EP1328068A1 (en) A grounding device for a portable radio terminal
US9402302B2 (en) Device for improving antenna receiving sensitivity in portable terminal
JP2009111913A (ja) 携帯無線装置
JP2000214971A (ja) Cfカ―ド用アダプタ
US20070212938A1 (en) Connection cable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of a portable terminal
KR101272773B1 (ko) 스위칭 장치
WO2010073418A1 (ja) 携帯無線機
KR20110099515A (ko) 이에스디 강화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US7247053B2 (en) High-frequency apparatus having high performance and capable of preventing entry of interfering wave into terminal
KR100811849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20190319379A1 (en) High-rate signal connector module
JP2010107633A (ja) 電子機器
KR1006407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결합구조
JP2010119002A (ja) 携帯端末装置
KR101090217B1 (ko) 배터리커버 부착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어셈블리
EP2387236A1 (en) Receiv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085676A (ja) 受信装置および複合受信装置
KR20160004518U (ko) 커넥터
JP4074141B2 (ja) ダミー内蔵同軸コネクタ
US20080130188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915978B1 (ko) 튜너용 노이즈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